KR20210008611A -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611A
KR20210008611A KR1020190084942A KR20190084942A KR20210008611A KR 20210008611 A KR20210008611 A KR 20210008611A KR 1020190084942 A KR1020190084942 A KR 1020190084942A KR 20190084942 A KR20190084942 A KR 20190084942A KR 20210008611 A KR20210008611 A KR 2021000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ck
space
drilling
press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106B1 (ko
Inventor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08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1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대상 암반을 효율적으로 분할 및 파쇄하면서 할암된 암석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일련의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워터젯 원리로 굴착대상 암반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할암 공간을 형성하는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천공부를 따라 할암 공간으로 삽입되고 쐐기 구조로 상기 할암 공간에서 외형이 확장되어 굴착대상 암반을 분할 또는 파쇄하는 할암부를 포함하는 할암 장치; 및 상기 할암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천공부와 할암부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할암 장치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BASE ROCK EXCAVATION MONITING SYSTEM}
본 발명은 굴착대상 암반을 효율적으로 분할 및 파쇄하면서 할암된 암석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일련의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작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굴착기에는 구매자의 구매사항에 따라 굴착기에 설치된 고유의 버킷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부가적인 작업기(option attachment)를 설치함으로써 굴착기의 용도를 다양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옵션 작업기는 굴착기 선단의 암에 체결용 핀과 속공 클램프에 의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암반 굴착방식은 발파방식, 파워 브레이커(Power breaker)를 사용하는 기계식 천공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발파방식의 경우에는 매우 큰 소음과 진동은 물론 분진 등을 유발하여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특히 도심지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도심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굴착방식은 파워 브레이커공법으로 수압브레이커를 굴착기에 장착하여 굴착면에 치젤을 타격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방법으로 굴착된 암석을 2차 소할 하는데도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도 소음과 충격진동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민원을 유발하여 시가지에서 장기적인 작업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종래의 암반 굴착방식들은 암반의 천공, 할암 및 상차 등을 각기 다른 장비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자유면이 없는 경우 할암 작업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암반 굴착방식들은 암반의 천공과 할암 과정이 지반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련의 과정을 확인할 수 없어 작업자가 일일이 각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후행 과정으로 진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79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1479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할암 장치에 워터젯 원리를 이용한 천공부를 구비하여 암반을 굴착함에 있어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일 장치를 통해 암반의 천공, 할암 및 암반의 상차 등을 수행하여 작업의 신속성, 편의성, 경제성이 우수한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할암 장치를 통한 일련의 굴착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각 과정 별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은, 워터젯 원리로 굴착대상 암반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할암 공간을 형성하는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천공부를 따라 할암 공간으로 삽입되고 쐐기 구조로 상기 할암 공간에서 외형이 확장되어 굴착대상 암반을 분할 또는 파쇄하는 할암부를 포함하는 할암 장치; 및 상기 할암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천공부와 할암부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할암 장치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할암부는, 횡단면의 너비가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되며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확장모듈; 상기 확장모듈의 형상과 대응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연직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위를 형성하여 분할된 복수의 단위 모듈로 구성되면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확장모듈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호 단위 모듈 간의 횡방향 거리가 이격되는 유동모듈; 승강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는 상기 확장모듈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공간과 연통하여 고압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유입/배출구가 구비되는 실린더케이싱; 및 상기 실린더케이싱의 승강 공간 내에서 수압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승강 구동하고 상기 확장모듈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확장모듈을 실린더케이싱의 개구부를 통해 승강 공간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인출하거나 승강 공간을 향하여 상부 방향으로 인입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실린더케이싱와 피스톤 및 유동모듈의 각 중심부를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천공부와 연통하여 고압수를 상기 천공부에 공급하는 제 1워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실린더케이싱의 유입/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2워터관; 및 상기 제 1워터관 및 제 2워터관이 연결되고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워터관 또는 제 2워터관 중 어느 하나로 고압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고압수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천공부의 인출 거리를 감지하여 제 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 1센서; 상기 유동모듈의 확정 거리를 감지하여 제 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 2센서; 상기 제 1센서와 제 2센서에서 출력되는 제 1감지신호와 제 2감지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제 1감지신호와 제 2감지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분석하여 상기 천공부 및 할암부의 구동 상태와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출력하는 비교분석부; 및 상기 비교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처리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천공부와 할암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성되며 상기 천공부와 할암부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이 구비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에 나란히 결합되는 그랩을 포함한 단위 유닛을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단위 유닛은 상기 그랩이 굴착기의 암의 축으로부터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 구동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은, 할암 장치에 워터젯 원리를 이용한 천공부를 구비하여 암반을 굴착함에 있어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단일 굴착 시스템으로 암반의 천공, 할암 및 암반의 상차 등을 수행하여 작업의 신속성, 편의성,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천공부가 워터젯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암반을 천공하고, 고압수의 반력으로 천공부가 회전함과 동시에 천공부의 하부에 장착된 드릴비트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되게 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할암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할암 장치를 통한 일련의 굴착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각 기기별 구동 상태는 물론 각 과정별 진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반 굴착 모니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할암장치의 일 구성인 천공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공부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도 2에 도시된 A-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할암장치의 일 구성인 할암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할암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유닛이 굴착기에 장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e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착기를 이용한 할암장치의 암반 굴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은, 굴착 대상 암반(1)을 파쇄 내지 분할하기 위한 할암장치(10)와 상기 할암장치(10)와 연결되어 할암장치(10)에 의한 일련의 할암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암장치(10)는 굴착대상 암반(1)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할암 공간(200)을 형성하는 천공부(20) 및 상기 천공부(20)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천공부(20)를 따라 할암 공간(200)으로 삽입되고 쐐기 구조로 상기 할암 공간(200)에서 외형이 확장되어 굴착대상 암반(1)을 분할 또는 파쇄하는 할암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할암장치(10)는 독립적인 하나의 장치로 굴착 공정을 수행하거나 굴착기의 암 등에 장착되어 굴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천공부(20)는 굴착대상 암반(1)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할암 공간(200)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지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예로서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워터젯(water jet) 원리를 적용하여 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할암부(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20)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천공부(20)를 따라 상기 할암 공간(200)으로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할암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바, 천공과 할암을 일 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할암부(30)는 상기 천공부(20)에 형성된 할암공간(200)에 위치하여 할암공간(200)과 대향하게 되는 암반과 인접하게 되는데, 고압수의 공급에 의해 외형이 확장되어 인접한 암반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할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할암부(30)는 상기 천공부(20)의 천공 과정에서 필요한 고압수를 상기 할암부(30)의 할암 과정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할암부(30)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요구하지 않아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할암부(30)는 쐐기 구조로 고압수의 공급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할암 공간(200)에서 외형이 점차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인접한 암반을 할암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할암부(30)는 외형이 확장되는 유동모듈(310)과 상기 유동모듈(310)을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모듈(300)은 횡단면의 너비가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되어 있으며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하게 되는 쐐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동모듈(310)은 상기 확장모듈(300)의 형상과 대응하는 내부공간(311)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311)을 향하여 하강하는 상기 확장모듈(300)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모듈(310)은 연직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위를 형성함으로써 분할된 복수의 단위 모듈(31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절개부위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2개의 단위 모듈(312)이 대칭으로 분할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절개부위 및 절개부위에 따라 분할되는 단위 모듈(312)의 개수는 임의 설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유동모듈(310)은 그 형상에 있어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보다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갖는 육면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모듈(310)은 상기 내부공간(311)으로 삽입되는 확장모듈(300)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호 단위 모듈(312) 간의 횡방향 거리가 이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동모듈(310)의 확장에 의해 할암공간(200)에서 암반을 분할 내지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할암부(3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확장모듈(300)의 외면과 상기 유동모듈(310)의 내면은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확장모듈(300)이 하강하여 상기 유동모듈(310)의 내부공간(31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확장모듈(300)이 설정된 임계 깊이를 초과하여 삽입되면 상기 유동모듈(310)의 단위 모듈(312)들이 절개 부위를 중심으로 상호 외측 방향으로 점차 이격되어 확장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확장에 의해 인접한 암반의 측면을 가압하여 할암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동모듈(310)에 대한 승강 구동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상기 천공부(20)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고압수를 활용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천공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케이싱(320)과 피스톤(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케이싱(320)는 내부에 피스톤(330)과 확장모듈(300)이 승강할 수 있는 승강공간(321)을 가지며, 하부에는 상기 확장모듈(300)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케이싱(320)은 상기 승강공간(321)과 연통하여 고압수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배출구(323)가 구비되어 유입된 고압수가 상기 승강공간(321)에서 압력으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330)은 상기 실린더케이싱(320)의 승강공간(321) 내에서 작용하는 수압 즉 고압수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연직 방향으로 승강 구동한다.
이러한 피스톤(33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실린더케이싱(320)의 내면과 접하게 되는 둘레에 외주면이 테이퍼 형상이거나 가운데가 볼록한 구조의 피스톤 링이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케이싱(320)의 내면과 선접촉을 하면서 승강 작동시에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를 참자하면 상기 피스톤(330)의 저면에는 상기 확장모듈(310)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330)과 확장모둘(310)이 일체로 연동하게 되며, 이에 상기 피스톤(330)의 승강 구동에 따라 상기 확장모듈(310)이 실린더케이싱(310)의 개구부(322)를 통해 승강공간(321)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인출하거나 승강공간(321)을 향하여 상부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모듈(310)은 상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개구부(321)의 직경보다 큰 걸림테두리(3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테두리(313)가 형성된 상단부가 상기 실린더케이싱(320)의 승강 공간(321)에 위치하면서 횡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동모듈(310)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할암장치(10)는 외부의 워터펌프로부터 상기 천공부(20) 및 할암부(30)에 고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바, 먼저 상기 실린더케이싱(320)과 피스톤(330) 및 유동모듈(3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천공부(20)와 연통하는 제 1워터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할암장치(10)는 상기 실린더케이싱(320)의 유입/배출구(323)와 연결되는 제 2워터관(60) 및 상기 제 1워터관(40) 및 제 2워터관(60)이 연결되고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워터관(40) 또는 제 2워터관(60) 중 어느 하나로 고압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고압수제어밸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할암장치(10)에서는 천공 과정에서는 제 2워터관(60)의 고압수 공급을 차단하면서 제 1워터관(40)을 통해서만 고압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고압수제어밸브(70)를 제어하며, 할암 과정에서는 반대로 제 1워터관(40)의 고압수 공급을 차단하면서 제 2워터관(60)을 통해서만 고압수가 공급 또는 회수되도록 상기 고압수제어밸브(7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워터 펌프와 고압수제어밸브(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의 경우 상기 할암부(30)에 의한 할암과정에서 상기 피스톤(330)이 상기 실린더케이싱(320)의 승강공간(321)에서 교차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워터펌프의 압력을 제어하여 천공된 할암 공간(200) 내에서 상기 할암부(30)에 의한 반복적인 가압 및 충격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암반에 대한 할암 과정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부(20)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천공부(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할암부(30)의 전방에 이격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굴착대상 암반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할암 공간(200)을 형성한다.
이러한 천공부(20)는 공지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워터젯(water jet) 원리를 적용하여 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천공부(20)는 상기 제 1워터관(40)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에 의해 작동되어 고속 회전을 통해 암반을 천공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젯하우징(210)과, 워터젯하우징(210)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워터젯노즐(220) 및 상기 워터넷하우징(210) 전단에 구성되는 복수의 드릴비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워터젯하우징(210)은 전방의 직경선상에 형성되는 전방유로(240)와, 전방유로(240)와 연결되고 워터젯하우징(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유로(250)를 포함하고, 한 쌍의 워터젯노즐(220)은 상기 워터젯하우징(210)의 중심 양쪽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방유로(240) 상에 구비된다.
상기 전방유로(240)와 측면유로(250)는 천공 작업 시 발생되는 암분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통로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배출라인과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워터관(40)을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제 1워터관(40)의 이중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워터젯노즐(220)은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함으로써, 고압수에 의해 암반이 천공되고 동시에 고압수의 반력에 의해 천공부(20)가 회전 구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복수의 드릴비트(230)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된다.
따라서 워터젯노즐(220)의 분사방향은 천공부(20)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되는데, 이때 분사방향은 워터젯하우징(21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20 내지 70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도 경사지게 하는 것이 좋다.
즉, 한 쌍의 워터젯노즐(220)에서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암반이 천공되고, 고압수의 반력으로 천공부(20)가 회전하며, 이 회전 시 천공부(20) 저면에 형성된 드릴비트(230)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분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워터젯노즐(220)의 분사방향의 각도를 크게 하면 천공부(20)의 회전은 잘 되나 천공방향이 너무 외측으로 향하게 되고, 분사방향의 각도를 적게 하면 천공부(20)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결국 드릴비트(230)에 의해 천공이 불리하게 되므로, 분사방향의 각도를 위에서 한정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워터젯노즐(220)로 고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워터젯라인이 구비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워터젯라인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할암부(30)을 관통하는 상기 제1 워터관(40)을 통해 상기 천공부(20)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워터젯노즐(220)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천공부(20)는 상기 할암부(30)의 전단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워터젯라인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된 회전축(260)과, 회전축(260) 전방에 구비되어 고압수 누수를 방지하는 부시(270)와, 상기 회전축(260) 둘레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할암부(30)의 전단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28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압수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천공부(20)에 의한 천공 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압수는 초고압수파워팩(UHP<Ultra High Pressure water jet> Power pack)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초고압수파워팩은 상기 워터젯라인과 연결되도록 하여 고압수가 상기 천공부(20)로 공급 및 분사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고압수를 발생시키는 UHP Power pack은 압력 3,000bar 이상의 고수압과 유량 30 l/min 이상의 유량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며, 각각의 천공부(20)에는 6~7 l/min의 유량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고압수를 천공부(20)에 공급하여 할암 작업에 사용하는 고압수의 압력은 1,500 bar 정도로 설정하여 별도의 유압장치 없이 초고압수파워팩으로 천공 및 할암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20)는 그 단부에 워터젯노즐(220)이 형성된 구조로, 고압 분사 시 상호 반대 방향으로 분사되는 8kgf 정도의 고압수에 의해 반발력이 작용하며, 이 반발력에 의해 회전축(260)을 중심으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60)에 형성된 부시(270)는 고압수의 누수를 방지하며, 베어링(280)은 원활한 회전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고, 워터젯노즐(220)을 통해 암반 천공 시 노즐의 수가 2개이나 워터젯노즐(220)에 의해 천공부(20)는 회전을 하며 전 면적을 빠짐없이 천공함으로써 원형의 할암공간(200)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고압수 분사에 따라 연동하는 드릴비트(230)가 회전함으로써 고압수에 의해 천공되지 않은 돌출된 부분을 타격 및 분쇄하도록 하여 순수 워터젯 보다 기계 천공을 병용하는 워터젯 천공의 천공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천공부(20)의 천공속도는 일반적으로 볼 때 Φ60mm 기준 500mm/min 정도인데, 이 속도는 유압 크롤러드릴 천공속도보다 작으나 공압식 천공기보다는 높은 수준이고, 또한 일반적으로 암반 할암에 사용되는 회전식 코어드릴의 50mm/min 보다는 매우 빠른 속도이다.
일반적으로 천공속도가 빠른 유압식 크롤러 드릴보다 속도가 떨어지는 코어드릴 사용이유는 천공경이 매끈하게 천공되어야 할암부(30)의 삽입이 편리하고, 할암시 밀착이 잘되어 원활한 할암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본 실시 예의 천공부(20)는 첫째 고속으로 회전하는 워터젯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크롤러 드릴과 달리 타격에 의한 암반의 교란을 최소화하므로 매끈한 형태의 천공 확보가 가능하고, 둘째 천공기로 천공 후 할암기를 다시 삽입하여 할암하는 일반 공법과 달리 천공과 동시에 할암을 수행하므로 천공경의 상태가 할암 공정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일반적인 할암 공법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할암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천공된 암분(debris)은 천공부(20) 내지 할암부(30) 등에 별도로 설치된 배출라인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크롤러드릴 등은 천공된 암분을 고압공기를 사용하여 밖으로 배출하지만 수 ~ 십수 m에 달하는 크롤러 드릴 천공 깊이와 달리 본 발명은 천공경이 500mm 정도로 매우 짧으므로 고압공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며, 고압의 워터젯을 분사하므로 배출수와 함께 암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고압수를 이용한 워터젯(water jet) 구조를 일 예로 천공부(20)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압식 등 다양한 공지의 천공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할암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대상 암반(1)에 상기 할암장치(10)를 위치시킨 후, 할암장치(10)를 하강시켜 천공부(20)가 지반과 대면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b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고압수제어밸브(7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워터관(40)을 통해 고압수가 상기 천공부(20)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천공부(20)를 작동시키면서 기설정된 깊이로 할암장치(10)를 점차 하강시키고, 천공부(20)의 회전 구동을 통해 계획 심도까지 천공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계획 심도까지 천공부(20)에 의한 천공 공정이 완료되어 할암 공간(200)이 확보되면, 할암장치(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공급관(40)의 고압수 공급을 중단시켜 천공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압수제어밸브(70)를 제어하여 상기 제 2워터관(60)을 통해 워터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수가 상기 실린터케이싱(320)의 승강 공간(321)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승강 공간(321) 내에 고압수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이러한 압력에 의해 피스톤(330)과 피스톤(330)에 연결된 확장모듈(300)이 실린더케이싱(320)의 개부구(322)를 통해 하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된 확장모듈(300)의 일부는 유동모듈(310)의 내부공간(311)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워터펌프를 제어하여 고압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면 상기 확장모듈(30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할암 공정시에는 상기 확장모듈(300)을 점차적으로 하강시켜 설정된 임계 깊이 즉 확장모듈(300)의 외면과 유동모듈(310)의 내면이 상호 접하게 되는 깊이를 초과하도록 승강공간(321)에 압력을 가한다.
설정된 임계 깊이를 초과하도록 상기 확장모듈(300)이 삽입되면 상기 유동모듈(310)의 단위 모듈(312)들은 절개 부위를 중심으로 상호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확장하게 되며, 이러한 확장에 의해 인접한 암반의 측면을 가압하여 할암 대상 암반(1)을 할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모듈(300)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할암공간(200) 내에서 상기 할암부(30)에 의한 반복적인 가압 및 충격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암반에 대한 할암 과정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후 할암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케이싱(320)의 승강 공간(321)에 공급한 고압수를 상기 유입/배출구(323)를 통해 회수하여 상기 피스톤(330)과 피스톤(330)에 연결된 확장모듈(300)을 상승시킴과 더불어 유동모듈(310)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 후, 할암장치(10)를 상승시켜 천공된 할암공간(200)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장치(50)는 원격지에서 상기 할암장치(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부(20)와 할암부(3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할암장치(10)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할암 장치(10)의 천공부(20)와 할암부(30) 자체에서 출력되는 구동정보 및 에러정보를 포함한 이벤트데이터는 물론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각 기기별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2G, 3G, 4G, LTE),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망 중 적합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니터링장치(50)는 상기 할암장치(10)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처리 결과를 통해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처리 결과와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니터링장치(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센서(500), 제 2센서(510), 데이터수집부(520), 비교분석부(530), 디스플레이부(540) 및 메모리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센서(500)는 상기 천공부(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천공부(20)의 인출 거리를 감지하여 제 1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감지신호는 상기 천공부(20)의 천공 깊이를 판단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공부(20)의 인출 기준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외부케이싱(8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외부케이싱(80)의 끝단으로부터 계측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2센서(510)는 상기 한 쌍의 유동모듈(30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듈(3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유동모듈(300) 간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센서(510)는 포토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 비접촉식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리 감지에 따라 생성되는 제 2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감지신호는 상기 한 쌍의 유동모듈(300)을 통한 암반의 파쇄 또는 분할을 판단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집부(520)는 상기 제 1센서(500)와 제 2센서(510)에서 출력되는 제 1감지신호와 제 2감지신호를 수집하는 중계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분석부(530)는 상기 데이터수집부(520)로부터 수집되는 제 1감지신호와 제 2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기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분석하여 상기 천공부(20) 및 할암부(30)의 구동 상태와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교분석부(530)는 상기 천공부(20)의 구동이 시작되면 천공부(20)에 의한 천공 과정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며, 구동이 유지되는 동안 제 1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굴착대상 암반(1)에 대한 천공 과정에서 실시간 천공 깊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분석부(530)는 상기 천공부(20)의 구동이 종료된 이후 상기 할암부(30)의 구동이 시작되며 할암 과정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구동이 유지되는 동안 제 2감지신호를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분석하여 굴착대상 암반(1)에 대한 할암 과정에서 암반 분할 또는 파쇄 정도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분석부(530)는 상기 한 쌍의 유동모듈(300) 간 이격 거리를 통해 굴착대상 암반(1)의 분할 또는 파쇄 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신호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메모리부(5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신호는 굴착대상 암반(1)의 특성 등에 대한 사전 조사를 통하여 도출되는 기준신호로 굴착대상 암반(1)의 특성에 따른 분할 또는 파쇄 정도에 따라 그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40)는 상기 비교분석부(530)에서 출력되는 처리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할암장치(10)의 구동 상태 내지 굴착 상황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부(550)는 모니터링장치(50)의 관리자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할암장치(10)로부터 수집되는 제 1감지신호 및 제 2감지신호 등은 물론 각 기기별 구동 내지 오류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550)에 저장되는 정보는 추후 할암장치(10)의 현장 작업 정보 내지 관리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할암장치(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기(2)의 암(3)에 탈착될 수 있는 단위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위 유닛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굴착기(2)의 암(3)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굴착 대상 암반(1)을 할암함과 더불어 할암 과정이후 적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위 유닛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20)와 할암부(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800)이 구성되며 상기 천공부(20)와 할암부(30)를 상기 수용 공간(800)으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이 구비된 외부 케이싱(80) 및 상기 외부 케이싱(80)의 측면에 나란히 결합되는 그랩(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유닛은 상기 그랩(90)이 굴착기(2)의 암(3)의 축으로부터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 구동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단위 유닛은 120도 간격으로 3개 구비되거나 도 9b에서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4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위 유닛을 상기 굴착기(2)의 암(3)에 결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회전 브라켓(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브라켓(4)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굴착기(2)의 암(3)에 핀(42)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41)이 구성되며, 굴착기(2)의 유압을 각 단위 유닛의 그랩(9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유압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그랩(90)은 상기 회전 브라켓(4)에 핀 결합되며, 회전 브라켓(4)으로부터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유압장치와 유압 공급 라인이 연결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전 브라켓(4)과 그랩(90)에 핀 결합된 유압 실린더(5)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5)의 압축 또는 팽창 구동과 연동하여 상기 암(3)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암(3)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한다는 의미는 암(3)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회전한다는 의미이고, 다시 말하자면 상기 그랩(90)을 포함한 상기 단위 유닛은 회전 전후 모두 암(3)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게 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그랩(90)은 상기 천공부(20) 및 할암부(30)를 수용한 외부케이싱(80)을 굴착하고자 하는 굴착대상 암반(1) 상부에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랩(90)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굴착대상 암반(1)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외부케이싱(8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천공부(20)와 할암부(30)를 전, 후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이 구비되어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 후방향에서의 전방은 상기 단위 유닛 관점에서 그 단부 즉, 천공부(20) 측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상기 이송 수단은 유압에 의해 상기 천공부(20)와 할암부(30)를 전, 후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적절한 유압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먼저 상기 천공부(20)가 암반을 천공해 들어가도록 하는데 이 경우 이송 수단은 상기 천공부(20) 및 할암부(30)를 단순히 전진시킬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 후방향으로 미소하게 진동 부여하면서, 즉 적절한 충격을 가하면서 전진시키도록 함으로써 암반의 천공이 더욱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언급한 이송 수단은 일 예로 제시된 유압 방식뿐만 아니라 기어 방식 등 공지 기술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부와 할암부를 직선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라면 어떠한 물리적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10e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착기를 이용한 할암장치의 암반 굴착 과정과 이후 적재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브라켓(4)을 이동시켜 상기 단위 유닛을 굴착대상 암반(1)에 거치함과 더불어 단위 유닛의 그랩(90)의 각도를 조정하여 굴착 대상 암반(1)의 굴착 각도를 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b 및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 유닛에 있어 외부케이싱(80) 이송 수단을 구동시켜 각 단위 유닛의 천공부(20) 및 할암부(30)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 할암장치(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천공부(20)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암반을 천공해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단위 유닛이 상기 회전 브라켓(4)에 4개가 결합되어 각각 천공 및 할암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10d의 아래쪽 도면에서와 같이 4개의 할암 장치(10)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정사각뿔 형상으로 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즉 4개의 단위 유닛은 상기 회전 브라켓(4)의 축방향으로부터 설치 거리를 달리함으로써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천공하는 각도도 각기 달리하여 천공할 수도 있다.
암반을 천공한 후에는 천공부(20)의 후단에 연결된 할암부(30)가 구동하게 되는데, 할암부(30)의 한 쌍의 유동모듈(300)은 확장모듈(310)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그 둘레가 확장됨으로써 인접한 암반을 가압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각각의 할암부(30)에서 작용하는 가압력의 합력에 의해 머리 잘린 사각뿔 형상으로 암반이 할암되는 것이다.
또한 할암된 암반은 상기 할암부(30)의 확장된 유동모듈(300)에 의해 파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이 할암된 암반(1)을 그대로 들어올려 적재 또는 적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0d의 아래쪽 도면에서 큰 사각형 점선은 암반 표면상의 할암선이고 내측의 작은 사각형 점선은 암반의 아래쪽의 할암선이다.
즉 도 10d의 경우 4개의 단위 유닛에 의해 암반이 할암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d을 고려하면 4개의 할암 장치(10)의 할암부(30)가 암반의 중심쪽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이들의 힘의 합력은 상측 즉,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때 암반의 할암선은 각 할암 장치(10)의 좌우방향으로 진행하여 인접한 할암선이 서로 만나게 됨으로써 머리 잘린 사각뿔 형상으로 암석이 할암된다.
실제에 있어서는 암석의 상태 등에 따라 할암선은 다소 방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형상은 도 10d의 아래쪽 도면과 같은 머리 잘린 역사각추 형상으로 할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단위 유닛을 사각추 형상으로 위치시켜 천공 및 할암하는 경우 표면 외에 자유면이 없는 평탄한 암반에서도 암반의 천공 및 할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한 후, 상기 단위 유닛을 이동하여 암반(1)을 적치하고자 할 때는 각 단위 유닛의 그랩(90)이 벌어지도록 회전 구동시켜 암반(1)을 내려놓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그랩(70)은 적어도 상기 회전 브라켓(4)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 또는 그 이상으로 벌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그랩(90)의 회전은 상기 회전 브라켓(4)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외측으로 10도에서 내측으로 6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고(여기서 외측은 중심축에서 먼쪽, 내측은 중심축쪽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5도에서 내측으로 50도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3도에서 내측으로 4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내측으로의 회전각은 측면에 자유면이 없는 경우의 암반의 할암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외측으로의 회전은 천공 및 할암된 암반을 쉽게 내려놓기 위함이다. 내측으로의 회전각을 크게 하면 할암은 잘 되나 할암되는 암반의 양이 적게되고, 내측으로의 회전각을 적게하면 할암은 어려워지나 할암되는 암반의 양은 많아지게 된다. 또한 외측으로의 회전각은 크게 하면 암반을 내려놓기가 좋고, 외측으로의 회전각을 작게 하면 암반을 내려놓기가 어렵게 된다.
이때 상기 그랩(90)을 외측으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외부케이싱(80)의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천공부(20) 및 할암부(30)를 후진시켜 암반을 내려놓을 수도 있고, 또한 그랩(90)을 상기 회전 브라켓(4)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즉, 외측으로 0도로 하더라도 암반의 무게에 의해 암반을 내려놓는 것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할암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천공과 할암과 이송 등을 하나의 장치로 수행할 수 있어 암반 굴착을 수행함에 있어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할암 장치(10)는 각 단위 유닛을 통해 암반을 할암 및 운반함에 있어 암반으로부터 분리되는 입자가 작은 돌(6) 등이 굴착 영역에 잔존하는 경우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랩(80)을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시켜 전존하는 돌(6) 등을 용이하게 굴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천공부(20) 및 할암부(30)는 상기 외부케이싱(80)의 이송 수단을 통해 외부케이싱(80) 내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그랩(90)이 굴착 영역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암반 굴착 시 크롤러 드릴에 의한 천공, 할암기에 의한 암반 할암, 브레이커에 의한 굴착암 소할, 굴착기에 의한 굴착암의 상차(덤프트럭)를 하므로 다수의 장비와 인원 및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할암장치(10)는 천공(drilling), 덜 천공된 암반 블록의 절단 또는 할암(rock splitting), 분리된 암반의 이동 또는 제거(mucking) 작업을 하나의 장비로 수행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굴착 작업이 매우 신속할 뿐 아니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할암장치 20 : 천공부
30 : 할암부 40 : 제 1워터관
50 : 모니터링장치 60 : 제 2워터관
70 : 고압수제어밸브 80 : 외부케이싱
200 : 할암 공간 300 : 유동모듈

Claims (7)

  1. 워터젯 원리로 굴착대상 암반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할암 공간을 형성하는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천공부를 따라 할암 공간으로 삽입되고 쐐기 구조로 상기 할암 공간에서 외형이 확장되어 굴착대상 암반을 분할 또는 파쇄하는 할암부를 포함하는 할암 장치; 및
    상기 할암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천공부와 할암부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할암 장치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할암부는,
    횡단면의 너비가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되며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확장모듈;
    상기 확장모듈의 형상과 대응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연직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위를 형성하여 분할된 복수의 단위 모듈로 구성되면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확장모듈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호 단위 모듈 간의 횡방향 거리가 이격되는 유동모듈;
    승강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는 상기 확장모듈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공간과 연통하여 고압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유입/배출구가 구비되는 실린더케이싱; 및
    상기 실린더케이싱의 승강 공간 내에서 수압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승강 구동하고 상기 확장모듈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확장모듈을 실린더케이싱의 개구부를 통해 승강 공간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인출하거나 승강 공간을 향하여 상부 방향으로 인입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케이싱와 피스톤 및 유동모듈의 각 중심부를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천공부와 연통하여 고압수를 상기 천공부에 공급하는 제 1워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케이싱의 유입/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2워터관; 및
    상기 제 1워터관 및 제 2워터관이 연결되고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워터관 또는 제 2워터관 중 어느 하나로 고압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고압수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천공부의 인출 거리를 감지하여 제 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 1센서;
    상기 유동모듈의 확정 거리를 감지하여 제 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 2센서;
    상기 제 1센서와 제 2센서에서 출력되는 제 1감지신호와 제 2감지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제 1감지신호와 제 2감지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분석하여 상기 천공부 및 할암부의 구동 상태와 일련의 암반 굴착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출력하는 비교분석부; 및
    상기 비교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처리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와 할암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성되며 상기 천공부와 할암부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이 구비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에 나란히 결합되는 그랩을 포함한 단위 유닛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닛은 상기 그랩이 굴착기의 암의 축으로부터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 구동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084942A 2019-07-15 2019-07-15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6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42A KR102266106B1 (ko) 2019-07-15 2019-07-15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42A KR102266106B1 (ko) 2019-07-15 2019-07-15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611A true KR20210008611A (ko) 2021-01-25
KR102266106B1 KR102266106B1 (ko) 2021-06-18

Family

ID=7423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42A KR102266106B1 (ko) 2019-07-15 2019-07-15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10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664A (ja) * 1995-12-13 1997-06-17 Daiho Constr Co Ltd 液圧式割岩器
KR200317939Y1 (ko) 2003-03-20 2003-06-27 서동소 암반 균열장치
KR20050112085A (ko) * 2003-02-21 2005-11-29 산드빅 탐로크 오와이 피스톤의 말단 위치에 폐쇄된 압력 공간부를 포함하는충격장치의 제어밸브 및 제어방법
KR101014793B1 (ko) 2010-08-31 2011-02-14 (주)진양이엔씨 암반 파쇄 장치
KR20170018599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KR20170112237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할암 장치
KR101858060B1 (ko) * 2017-04-14 2018-05-15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암반 굴착 장치
KR20180087599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암반 굴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664A (ja) * 1995-12-13 1997-06-17 Daiho Constr Co Ltd 液圧式割岩器
KR20050112085A (ko) * 2003-02-21 2005-11-29 산드빅 탐로크 오와이 피스톤의 말단 위치에 폐쇄된 압력 공간부를 포함하는충격장치의 제어밸브 및 제어방법
KR200317939Y1 (ko) 2003-03-20 2003-06-27 서동소 암반 균열장치
KR101014793B1 (ko) 2010-08-31 2011-02-14 (주)진양이엔씨 암반 파쇄 장치
KR20170018599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KR20170112237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할암 장치
KR20180087599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암반 굴착 시스템
KR101858060B1 (ko) * 2017-04-14 2018-05-15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암반 굴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106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9264A (en) Earth boring machine
JP2003506605A (ja) 3次元的多段階トンネル掘削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03452B1 (ko) 할암 장치
KR102067515B1 (ko) 암반 급속 굴착을 위한 일체형 구조를 갖는 굴착 장치
KR102340894B1 (ko)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KR101745426B1 (ko)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KR102266106B1 (ko)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58060B1 (ko) 암반 굴착 장치
JP6008749B2 (ja) 硬質地盤掘削工法及び硬質地盤掘削工法の偏心用砕岩装置用ロープガイド装置
KR101582166B1 (ko)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KR20190002020A (ko) 연암 굴착용 수평천공장치
JP3004903B2 (ja) 掘削装置
KR20180087599A (ko) 암반 굴착 시스템
KR100478029B1 (ko) 무진동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굴착 방법
KR101874708B1 (ko) 무진동 터널굴착방법 및 무진동 터널굴착장치
JP2001073662A (ja) 岩盤破砕装置
EP1589187A1 (en) Bedrock drilling and excavating apparatus
KR102356585B1 (ko)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EP0990765B1 (en) Percussive core barrel
JP2003027469A (ja) 鋼管杭、これを使用した基礎杭造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3374207B2 (ja) アースドリル用ハンマグラブ穿孔装置
CN114729561A (zh) 射弹增强型钻孔系统
EP3938615B1 (en) A rock crushing unit for widening a pilot hole made on rocky terrain
CN218669363U (zh) 一种便于移动且稳定的开挖设备
JP2003253982A (ja) 環状掘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