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071A -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071A
KR20170017071A KR1020150110426A KR20150110426A KR20170017071A KR 20170017071 A KR20170017071 A KR 20170017071A KR 1020150110426 A KR1020150110426 A KR 1020150110426A KR 20150110426 A KR20150110426 A KR 20150110426A KR 20170017071 A KR20170017071 A KR 2017001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curvature
keel
hydraul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1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071A/ko
Publication of KR2017001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63B9/00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시나 수리시에 선박의 저부에 설치하여 선체 블록이나 선체를 작업장의 바닥으로 부터 일정 높이로 받쳐 놓게 되는 반목의 구조를 개량하여 선박의 곡률과 하중에 따라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한 선박의 곡률에 따라 조정 가능한 대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저의 사이드(빌지)를 지지하는 반목으로서 유압실린더에 의한 유압으로 수직 승강되는 수직지지대와 이의 측부에 설치된 프레임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한 유압으로 선체 저면의 선형에 맞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가변지지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조정 가능한 대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An apparatus of a complex cart which can be adjustable supporter of ship according to curvature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시나 수리시에 선박의 저부에 설치하여 선체 블록이나 선체를 작업장의 바닥으로 부터 일정 높이로 받쳐 놓게 되는 대차에 선박의 곡률, 선체의 형상에 따라 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조정되는 반목을 설치하여 선박의 크기, 선형, 곡률에 대응하여 안정성있게 선박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는 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하거나 수리시에 선박을 탑재하여 육상의 선박 수리장 등으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데 상기 대차에는 선박의 수리를 위해 지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반목이 다수개 설치되어 선박을 안정하게 받치고 지지하게 된다.
통상 이러한 반목은 용골(keel), 선저, 빌지(bilge)등에 받쳐져 지면 또는 대차와 선체 저면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선박 전체의 중량을 견디게 된다.
반목의 일반적 구조는 콘크리트나 강철등으로 된 마운트의 상부에 아비톤이라는 재질의 하부 반목과 상부 반목을 차례로 적층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그 사이에 경사진 쐐기를 햄머로서 다수회 박아 높이를 고정하게 된다.
선박은 사용목적에 따라 상선, 군함, 어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선형으로 제작된다.
화물용량이나 건조 편의성을 고려하여 건조한 보통의 선박들은 넓은 선저부를 가지고 선저의 선형이 대체적으로 평탄하여 통상의 반목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도 선박의 형태는 차이가 있으므로 반목의 형태나 쐐기등을 다앙하게 구비하여 필요한 반목으로 지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저의 형상이 복잡하거나 함정과 같은 특수선박의 경우에는 선저부가 다양한 곡률의 곡면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인 반목으로 선체를 고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선박은 지면 또는 대차로 부터 선체 저면까지의 높이가 지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허다하므로 일정한 높이와 크기로 제작된 종래의 반목으로는 이러한 선박을 받치는 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반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선체에 대한 도장 작업을 하게 되면 반목이 받쳐진 부분은 도장이 안되므로 이 부분에 대한 도장을 부분적으로 포기하거나 선체를 받치고 있는 반목을 단계적으로 철거하고 도장 마감작업을 한 후에 다시 반목을 설치하는 번거러운 작업을 하게 되므로 일일히 반목을 해체하고 다시 설치해야 되는 등 반목 설치 및 해체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많이 있었고 특히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에 유압실린더로서 작동되는 반목을 설치하여 반목의 설치와 해체를 유압으로서 매우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차에 설치한 반목을 킬반목과 수직반목 및 경사반목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반목으로 구성하고 이들은 유압으로서 각각 개별적으로 선체의 곡률, 선저의 형상 그리고 하중에 따라 반목의 높이와 경사도를 조절하여 선박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는, 선박을 이동시키는 대차의 상면 프레임에 선박의 사이드를 지지하는 사이드 반목과 선박의 용골을 지지하는 킬 반목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반목은 전 후 두개 한조의 유압실린더에 의한 유압으로 수직 승강되어 가변 조정되는 수직반목과 이의 측부에 설치된 브라켓트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전 후 두개 한조의 유압실린더에 의한 유압으로 선체의 사이드를 지지하는 경사반목으로 구성되며, 킬반목은 한 개의 유압실린더에 설치되어 용골을 유압에 의해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이드 반목을 구성하는 수직반목과 경사반목은 선박의 늑골을 지지하도록 늑골 간격을 초과하는 길이로서 전 후 두개의 유압실린더가 한조가 되어 작동하며 이는 선체의 선형에 부합되어 밀착될 수 있는 아비톤 또는 이와 동일 유사한 물성을 가진 재질로서 선체와 접하는 상면이 수평을 이루며 선체의 곡률에 따라 접촉이 원활하도록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핀 또는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전,후,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킬 반목은 선박의 용골의 높이에 따라 한 개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높이가 조정되도록 설치되며 선체의 선형에 부합되어 밀착될 수 있는 아비톤 또는 이와 동일 유사한 물성을 가진 재질로서 선체와 접하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며 선체의 곡률과 용골의 높이에 맞춰 접촉이 원활하도록 핀으로 축설되어 선박의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사이드 반목은 각각 전 후 두개 한조의 유압실린더에 설치된 수직반목과 경사반목이 어셈블리로서 대차의 프레임 상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승강되는 스토퍼에 의거 일정위치에서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반목과 킬 반목의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라인에 각 반목에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하중 분포에 따라 반목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차장치에 선체의 사이드(빌지)와 용골을 받치는 반목장치를 유압으로 작동되게 설치하여 반목을 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어 선박의 건조나 수리시에 매우 편리하며 특히, 각 반목을 선체 저면의 선형에 맞춰 반목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 가능하므로 선체의 크기, 선박의 곡률, 형태 등 선형에 대응하여 다양한 선박을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박의 하중과 높이 차이에 따라 반목의 높이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반목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장 작업시에 반목이 설치된 부분도 빠짐없이 편리하게 도장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이드 반목의 설치 상태 확대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킬 반목의 설치 상태 정면 예시도
도 5는 킬 반목의 설치 상태 측면 예시도
도 6은 킬 반목이 설치되는 선박의 용골 높이 차이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100)는, 선박을 이동시키는 대차(200)의 상면 프레임(1)에 선박의 사이드를 지지하는 사이드 반목(300)과 선박의 용골을 지지하는 킬 반목(400)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반목(300)은 전 후 두개 한조의 유압실린더(2)(2')에 의한 유압으로 수직 승강되어 가변 조정되는 수직반목(3)과 이의 측부에 설치된 브라켓트(4)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전 후 두개 한조의 유압실린더(2)(2')에 의한 유압으로 선체의 선현을 지지하는 경사반목(5)으로 구성되며, 킬 반목(400)은 한 개의 유압실린더(6)에 설치되어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용골 전체를 유압에 의해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사이드 반목(300)을 구성하는 수직반목(3)과 경사반목(5)을 설치한 유압실린더(2)(2')는 베이스플레이트(7)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한세트의 반목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사이드 반목(300)은 유압실린더(2)(2')에 의한 유압으로 승강 조정되어 선체의 크기, 선형에 따라 가변하여 다양한 선박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선박의 용골을 지지하고 받치는 킬 반목(400)은 선박의 용골의 높이에 따라 한 개의 유압실린더(6)에 의해 높이가 조정되도록 설치되며 이는 선박의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용골 전체를 가변 조정하여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사이드 반목(300)의 수직반목(3)은 베이스플레이트(7)에 지면과 직교되게 수직으로 설치한 유압실린더(2)(2')에 설치되어 선박의 선현측(선박의 중앙 현측)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있도록 받쳐주면서 지지하게 되는 데 이는 선체의 선형에 부합되어 밀착될 수 있는 아비톤 또는 이와 동일 유사한 물성을 가진 재질로서 선체와 접하는 상면이 수평을 이루며 선체의 곡률에 맞춰 밀착될 수 있도록 로드(S)에 볼조인트(8)로 연결되어 전후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사이드 반목(300)의 경사반목(5)은 수직반목(3)의 측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브라켓트(4)에 경사지게 설치된 유압실린더(2)(2')에 설치되어 선저의 사이드(빌지)를 경사진 각도에서 지지하게 되고, 이 또한 선체와 접면하는 상면에는 선형에 부합되어 밀착될 수 있는 아비톤 또는 이와 동일 유사한 물성을 가진 재질로서 선체와 접하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며 선체의 곡률에 맞춰 밀착될 수 있도록 로드(S)에 볼조인트(8)으로 연결되어 선체의 사이드 곡면을 따라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드 반목(300)을 구성하는 수직반목(3)과 경사반목(5)은 반목으로 부터 받치는 힘이 선박의 늑골에서 지지되어야 함으로 그 길이는 늑골 간격을 초과하는 길이로 구성되고 전 후 두개의 유압실린더(2)(2')(6)가 한조가 되어 한세트로서 동시 작동하며 특히, 각 반목은 유압실린더(2)(2')(6)의 로드(S)와 볼조인트(8) 전후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상면이 평면 또는 곡면을 이루므로서 선체의 곡률과 형태에 따라 접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완전히 밀착 상태로 받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이드 반목(300)은 대차의 프레임(1)에 설치된 레일(9)을 따라 이동 설치되는 데 이의 저부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스토퍼(10)가 승강자재 되게 설치되어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사이드 반목(300)을 뒤에서 받쳐 뒤로 밀려 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10)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선박의 크기에 따른 사이드 반목(300)의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위치의 스토퍼(10)를 자동으로 상승시켜 선박을 지지하므로서 선박을 안정성있게 받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선박의 용골을 받치는 킬 반목(400)은 사이드 반목(300)과 마찬가지로 한 개의 유압실린더(6)의 로드(S)에 핀(11)으로 축설되어 용골의 높이와 곡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유압실린더(6)의 로드(S)를 승강시킴으로서 용골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게 되는 데 이 또한, 사이드 반목(300)과 같이 아비톤 또는 이와 동일 유사한 물성을 가진 재질로서 선체와 접하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며 선체의 곡률에 맞춰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반목(300)과 킬 반목(400)은 대차(200)의 프레임(1) 상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상에 설치된 레일(9)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박의 크기와 형태에 맞추어 이들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선형과 크기의 선박을 모두 다 받칠 수 있게 되고, 특히 킬 반목(400)은 선박에 따라 다양한 용골의 형태에 맞춰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안정성있게 받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킬 반목(400)은 도 6의 개략도와 같이 선박의 용골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데, 용골의 형태는 선박마다 상이하고 이로 인해 지면과의 높이 차이도 위치에 따라 상이하므로 용골의 높이에 맞춰 킬 반목(400)의 높이를 유압으로 각각 다르게 조정하여 선박 전체를 하중이 고르게 받칠 수 있게 되며, 특히 용골에 설치되어 있는 선박의 각종 센서와 같은 장비로 인해 반목의 설치가 불가한 위치는 킬 반목(400)을 부분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사이드 반목(300)과 킬 반목(400)의 유압실린더(2)(2')(6)를 작동시키는 유압라인에 각 반목에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각 반목에 미치는 부하를 감지하여 받침력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선박에서도 엔진실과 같이 많은 무거운 설비가 있는 곳이나 화물칸등은 상대적으로 다른 데에 비하여 하중이 많이 작용하게 되므로 하중을 센서에 의거 감지하여 무거운 부분보다 가벼운 부분의 사이드 반목(300) 또는 킬 반목(400)을 더 상승시켜 하중을 보다 많이 받게 하면 대차장치에 미치는 하중이 분산됨에 따라 선박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게 되는 데 선박의 하중에 따른 높이를 각각 다르게 조정하여 선박의 중량이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집중 분포되어 있어도 해상에서의 부력에 의해 각부에 분산되는 것과 같이 선저에 미치는 중량 부하가 고르게 미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리프트 도크의 경우 각 부의 윈치에 부하가 대체적으로 고르게 분담되어 안정적인 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대차장치(100)에 유압에 의해 개별적으로 자동 조정되는 사이드 반목(300)과 킬 반목(400)을 설치 하므로서 선박의 건조시나 수리시에 선박을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고 특히 선박의 높이차와 부하차를 극복하여 안정적으로 고르게 반목을 사용할 수 있는 대차장치(100)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가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설계변경, 추가,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대차장치 200 : 대차 300 : 사이드 반목 400 : 킬 반목 1 : 프레임 2, 2', 6 : 유압실린더 3 : 수직반목 5 : 경사반목 8 : 볼조인트 9 : 레일 10 : 스토퍼 11 : 핀

Claims (5)

  1. 선박을 이동시키는 대차(200)의 상면 프레임(1)에 선박의 사이드를 지지하는 사이드 반목(300)과 선박의 용골을 지지하는 킬 반목(400)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반목(300)은 전 후 두개 한조의 유압실린더(2)(2')에 의한 유압으로 수직 승강되어 가변 조정되는 수직반목(3)과 이의 측부에 설치된 브라켓트(4)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전 후 두개 한조의 유압실린더(2)(2')에 의한 유압으로 선체의 선현을 지지하는 경사반목(5)으로 구성되며, 킬 반목(400)은 한 개의 유압실린더(6)에 설치되어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용골 전체를 유압에 의해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반목(300)과 킬 반목(400)은 레일(9)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이드 반목(300)과 킬 반목(400)은 유압실린더(2)(2')(6)의 로드(S)에 볼조인트(8) 또는 핀(11)으로 축설되어 유동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이드 반목(300)은 유압으로 승강 작동되는 다수개의 스토퍼(10)에 의해 선택적으로 뒤로 밀려 나지 않도록 후측에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드 반목(300)과 킬 반목(400)을 작동시키는 유압라인에 각 반목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KR1020150110426A 2015-08-05 2015-08-05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KR20170017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26A KR20170017071A (ko) 2015-08-05 2015-08-05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26A KR20170017071A (ko) 2015-08-05 2015-08-05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071A true KR20170017071A (ko) 2017-02-15

Family

ID=5811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426A KR20170017071A (ko) 2015-08-05 2015-08-05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071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8706A (zh) * 2017-11-21 2018-04-06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用支墩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933821A (zh) * 2017-11-30 2018-04-20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球鼻艏定位工装及球鼻艏的定位安装方法
CN109050789A (zh) * 2018-09-21 2018-12-21 大连海事大学 一种智能胎架及智能胎架支撑船体的方法
KR101959554B1 (ko) * 2017-12-28 2019-03-1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몰 선박의 수평화 작업용 머드 스키드 장치
CN109625159A (zh) * 2018-10-31 2019-04-1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化学品船上集管区单元建造的专用工装
CN109625170A (zh) * 2018-10-31 2019-04-1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平板车联动运输船舶总段的方法
CN109625161A (zh) * 2018-10-31 2019-04-1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化学品船集管区单元的建造方法
CN110329452A (zh) * 2019-06-28 2019-10-15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墩木支撑结构
KR20200046973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브랜드뉴 곡면 대조블록 고정구조를 갖는 용접용 곡면 대조블록 위치 정렬장치
KR20200054735A (ko) * 2018-11-12 2020-05-20 주식회사 브랜드뉴 선박 대조블록 용접용 대조블록 위치 정렬장치
KR102157797B1 (ko) * 2019-09-26 2020-09-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상가 시스템
CN112389594A (zh) * 2020-12-20 2021-02-23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层船舶跨层升降装置及其组装工法
CN113247207A (zh) * 2021-05-27 2021-08-13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智能胎架活络头的系列化装置
KR20220118675A (ko) 2021-02-19 2022-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블록의 지지장치
KR102510038B1 (ko) * 2022-07-11 2023-03-14 동일조선주식회사 쌍동형 선체를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반목 자동 조정장치
KR102561969B1 (ko) * 2023-04-03 2023-07-31 김평배 선박 건조용 제습 및 배기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CN118004373A (zh) * 2024-04-08 2024-05-10 福建省白马船厂 一种船舶智能维修设备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8706B (zh) * 2017-11-21 2023-09-26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用支墩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878706A (zh) * 2017-11-21 2018-04-06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用支墩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933821A (zh) * 2017-11-30 2018-04-20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球鼻艏定位工装及球鼻艏的定位安装方法
CN107933821B (zh) * 2017-11-30 2019-06-07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球鼻艏的定位安装方法
KR101959554B1 (ko) * 2017-12-28 2019-03-1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몰 선박의 수평화 작업용 머드 스키드 장치
CN109050789B (zh) * 2018-09-21 2023-08-25 大连海事大学 一种智能胎架及智能胎架支撑船体的方法
CN109050789A (zh) * 2018-09-21 2018-12-21 大连海事大学 一种智能胎架及智能胎架支撑船体的方法
KR20200046973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브랜드뉴 곡면 대조블록 고정구조를 갖는 용접용 곡면 대조블록 위치 정렬장치
CN109625159A (zh) * 2018-10-31 2019-04-1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化学品船上集管区单元建造的专用工装
CN109625170A (zh) * 2018-10-31 2019-04-1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平板车联动运输船舶总段的方法
CN109625161A (zh) * 2018-10-31 2019-04-1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化学品船集管区单元的建造方法
KR20200054735A (ko) * 2018-11-12 2020-05-20 주식회사 브랜드뉴 선박 대조블록 용접용 대조블록 위치 정렬장치
CN110329452A (zh) * 2019-06-28 2019-10-15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墩木支撑结构
KR102157797B1 (ko) * 2019-09-26 2020-09-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상가 시스템
CN112389594A (zh) * 2020-12-20 2021-02-23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层船舶跨层升降装置及其组装工法
KR20220118675A (ko) 2021-02-19 2022-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블록의 지지장치
CN113247207A (zh) * 2021-05-27 2021-08-13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智能胎架活络头的系列化装置
KR102510038B1 (ko) * 2022-07-11 2023-03-14 동일조선주식회사 쌍동형 선체를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반목 자동 조정장치
KR102561969B1 (ko) * 2023-04-03 2023-07-31 김평배 선박 건조용 제습 및 배기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CN118004373A (zh) * 2024-04-08 2024-05-10 福建省白马船厂 一种船舶智能维修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7071A (ko)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KR20110008579U (ko) 선박의 런칭시스템
CN103057663B (zh) 一种万吨滚装船活动甲板水下安装工艺
CN105480907B (zh) 隧道缩径防卡车载侧壁雷达伺服举送装置
CN202923842U (zh) 船舶登陆梯
CN108622332A (zh) 用于小型船舶的吊装托架
CN203067943U (zh) 一种电缆托架
KR20150018323A (ko) 화물선의 갑판 위에서 운송되는 컨테이너들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CN106835941A (zh) 一种连接浮桥与浮式平台的跳板结构
KR101430740B1 (ko) 보트 인양 장치
CN106644435B (zh) 集装箱横向刚性试验柔性可调装置
CN215160581U (zh) 一种船舶维修用垂直升降设备
CN205954481U (zh) 一种钢箱梁落放调整装置
CN111361689B (zh) 船舶
CN104595637B (zh) 一种带外接减震器型的船用发电机进行匀力式安装的方法
CN208746212U (zh) 一种用于船舶上排和下水的牵引装置
DK179039B1 (en) Adjustable arm davit apparatus
CN103552858A (zh) 汽车尾部液压升降登车桥
KR200467095Y1 (ko) 선박 해양구조물용 이중 바닥 구조
CN206278821U (zh) 一种将船舶移至岸上或干船坞内的吊运装置
US20190144080A1 (en) Method for raising or lowering an object by davit apparatus with height adjustment feature
CN204776641U (zh) 一种用于近海箱的鞍座结构和近海箱
CN210592365U (zh) 一种船舶修理坞内防护装置
CN203806109U (zh) 活动登船平台
CN109933878B (zh) 一种船舶磁性系留柱吸附性能仿真验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