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953A -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 Google Patents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953A
KR20170016953A KR1020177000646A KR20177000646A KR20170016953A KR 20170016953 A KR20170016953 A KR 20170016953A KR 1020177000646 A KR1020177000646 A KR 1020177000646A KR 20177000646 A KR20177000646 A KR 20177000646A KR 20170016953 A KR20170016953 A KR 20170016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guide wire
distal end
elastic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린 린
시이 리
안닝 리
Original Assignee
라이프테크 사이언티픽 (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프테크 사이언티픽 (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라이프테크 사이언티픽 (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61B1/2676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4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n air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5Coils or wires comprising additional materials, e.g. thrombogenic, having filaments, having fibers, bein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09Cut-outs or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09Lu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61B2017/12095Threaded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61B2090/376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X-rays, e.g. fluoroscopy
    • A61B2090/3762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X-rays, e.g. fluoroscopy using computed tomography systems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61B2090/378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25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5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magnetic, e.g. NMR or MR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66Radiopaque markers visible in an X-ray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3Bronch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66Shape memory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2) 및 폐 체적 감소 기계에 있어서,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2)는 관 형상이고 또한 임플란트 근단(201), 탄성 변형부(205) 및 임플란트 원단(202)을 포함하며, 탄성 변형부(205)는 임플란트 근단(201)과 임플란트 원단(20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적어도 탄성 변형부(205)는 기억 형상 특성을 구비하며, 폐 체적 감소 임플란트(2)는 적어도 임플란트 근단(201)이 개구되며, 탄성 변형부(205)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약간의 그루브(204)가 설치되며, 각 그루브(204)와 탄성 변형부(205)의 내강은 서로 통하며; 폐 체적 감소 기계는 폐 체적 감소 임플란트(2)와 그와 조립되는 수송 장치(1)를 포함하며. 수송 장치(1)는 가이드 와이어(101)와 중공 푸쉬 부재(110)를 포함하며, 폐 체적 감소 임플란트(2)는 임플란트 근단(201)을 통해 중공 푸쉬 부재(110)의 원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이드 와이어(101)는 폐 체적 감소 임플란트(2)의 내강과 중공 푸쉬 부재(110)의 내강을 관통할 수 있다. 폐 체적 감소 기계는 수술 조작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시간이 더욱 단축되며, 기관지 내벽의 손상을 방지하며, 기흉 발생율을 감소하게 한다.

Description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LUNG VOLUME-REDUCING ELASTIC IMPLANT AND INSTRUMENT}
본 발명은 삽입 치료 기술 분야에 속하고, 삽입 치료용 임플란트 및 기계와 관련되며, 특히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와 관련된다.
임상 치료에서, 폐기종(肺氣腫)은 자주 볼 수 있는 폐부 질병이며, 특히 노인의 발병율이 높다. 통계에 의하면, 말기 폐기종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0% 미만이다. 전통의 폐기종 내과 치료는 산소 흡입, 폐부 감염 예방, 기관지 진경제 등을 포함하지만, 치료 효과는 극히 유한한 반면; 폐기종의 외과 치료는 대다수 폐 체적 감소 수술 위주이어서, 엄격한 수술 적응증과 같은 많은 제한성이 존재하며, 마취 및 마취와 관련된 합병증과 같은 많은 합병증이 존재하며, 수술 전 치료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고, 수술 후 과다 또는 과소 절제로 인해 치료 효과가 양호하지 못한 결과를 보충할 수 없으며, 비싼 수술 비용과 큰 정신적 육체적 고통이 있으며, 또한 일부 환자 자체의 폐 기능이 떨어져 종종 수술을 견뎌낼 수가 없어, 수술 후 사망율이 높아, 외과 수술의 응용을 제한하고 있다.
폐기종을 더욱 잘 치료하고, 환자의 생활 품질을 제고하고, 수술 과정에서 환자에 대한 상처를 줄이기 위해, 기관지경을 통해 단방향 판막, 생물 접착제, 수증기 핫멜트, 탄성 코일 등 삽입 방식을 이용하여 폐기종에 대해 치료를 진행하는 것을 국제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단방향 판막은 표적 구역 잔여 기체 및 가래로 인해 유효하게 주동적으로 배출할 수 없어, 임상 지표가 좋지 못하며, 이미 미국 FDA의 거절을 받았으며, 또한 단방향 판막의 유효성은 또한 측지 환기 및 다른 해부 위치에 정확히 놓는 기술 난이도의 제한을 받는다. 생물 접착제는 기종 구역을 완전히 막기 때문에, 수술 후 염증을 일으키는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수증기 핫멜트는 기종 구역의 원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에 수술 후 염증을 일으킨다.
현재는 폐기종에 대해 새로운 치료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탄성 코일을 임플란트로 하여 인체 폐부의 병변 위치에 삽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폐 체적 감소 탄성 코일의 개념도이며, 이 제품은 니켈 티타늄 기억 합금의 금속사로 만들며, 외력의 작용 하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적재 시스템의 제약 하에, 직선 형식을 나타내어 기관지경 작업 통로를 통해 폐부에 삽입되며, 코일이 폐기종 구역의 기관지 내에 수송된 후, 코일은 적재 장치의 제약을 잃게되어, 도 1에 도시된 자연 형상(즉, 외력을 받지 아니할 때의 형상)으로 변형 회복 된다. 동시에 기종 구역이 니켈 티타늄 함금사의 당김 작용 하에 압출되어, 기관지 내의 기체가 배출되고, 폐기종 구역의 폐조직 체적이 감소하여, 주변의 상대적으로 건강한 폐조직이 생리 기능을 더욱 잘 발휘하게 한다.
상기 탄성 코일을 사용하는 수술 방식은 기관지경의 삽입, 통로의 형성 및 제품을 삽입하는 3개 조작 과정을 포함하며, 기관지경을 삽입하는 개념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 또는 코를 통해 기관지경(201)을 삽입하고, 기관지경(201)은 기관지경 원단(203)이 탐측한 영상을 모니터(204)에 현시하여, 기관지경(201)이 인간 폐부의 기관지(205)에 도달하도록 가이딩한다.
통로를 형성하는 개념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가이드 와이어(206)의 외경은 약 5Fr~7Fr 이며, 수송 시드(sheath)의 관경은 약 5Fr과 9Fr의 사이이다. 가이드 와이어(206)는 확장기(207)의 내강(內腔)을 통해 전진하고, 확장기(207)는 수송 시드(208)의 내강을 통해 전진하고, 가이드 와이어(206), 확장기(207) 및 수송 시드(208)는 조립된 후 같이 기관지경(201)의 작업 통로(202)를 통해 기관지경(201) 내로 진입하고, 기관지경(201)의 원단(203)을 통해 기관지(205) 내로 진입한다. 가이드 와이어(206)의 원단(209)은 길이 표지(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지(210)는 원단(209)에서 시작하여 가이드 와이어(206)와 연하는 거리를 나타낸다. 수송 시드(208)의 원단(211)은 다수의 서로 대응하는 고대비 금속 밴드(금, 백금, 탄탈, 이리듐, 텅스텐 및/또는 유사 금속을 포함) 형식의 표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 영상 캡처 장치(212)를 구비한 형광 검사 시스템, 초음파 영상 시스템, MRI 시스템, 컴퓨터 X선 단층 촬영술(CT) 시스템 또는 기타 일부 원격 영상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가이드 와이어(206)에 대해 가이딩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원격 영상 캡처 장치(212)는 탐측한 영상을 모니터(213)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원격 영상 캡처 장치(212)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206)의 궤적 또는 영상 표지(210)을 식별하여, 통로를 형성한다.
통로를 형성한 후, 수송 시트(208)에서 근단으로 확장기(207) 및 가이드 와이어(206)를 꺼내고, 수송 시드(208)의 열린 내강에 폐 체적 감소 탄성 코일(301)를 적재할 수 있다. 도 3은 코일(301)을 삽입하는 개념도이며, 코일(301)을 적재한 적재시스템(302)은 록킹 허브 연결(303)을 통해 수송 시드(208)의 근단과 연결된다. 코일(301)을 수송 시드 내로 가이드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장치(304)의 강 케이블(305)를 통해 제품을 수송 시드(208)의 원단으로 밀어 기관지(205) 내로 진입하고, 수송 시드(208)를 후퇴하며, 작동 장치(304)의 그립퍼(306)를 통해 코일(301)을 릴리스한다. 코일(301)은 초기 형상을 회복함과 동시에 기관지(205)를 당겨 컬링 형상으로 되게 하여, 폐기종 체적 감소의 치료 효과를 실현한다.
상기 임플란트 및 그 삽입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기존의 니켈 티타늄 철사로 만든 탄성 코일은 수송 시드를 통해 릴리스를 진행해야 하므로, 수송 시드가 기관지 내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기관지 내벽에 손상을 초래하여, 기흉(氣胸) 등 불량 사건의 발생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2. 수송 시드의 외경이 약 5Fr~9Fr로 커서, 수송 시드를 통해 탄성 코일을 폐부 바이패스 또는 일부 소직경 기관(氣管)의 말단에 삽입하기가 어려우며, 탄성 코일을 통해 압출 및 당김되는 폐기종의 범위가 유한하여 체적 감소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3. 기존 탄성 코일을 삽입하는 수술 방식은 기관지경의 삽입, 통로의 형성 및 제품을 삽입하는 3개 조작 과정이 필요하여, 조작 시간이 길고, 또한 상기 수술은 환자가 깨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을 진행하므로, 만약 조작 시간 길면, 환자의 불편 및 COPD 급성 악화 등 불량 사건의 발생이 쉽게 일어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 문제는,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에 대해, 수송 시드를 채용하지 아니하고, 직접 가이드 와이어가 수송하는 임플란트를 채용하는 것이다. 이 임플란트를 채용하면 수송 시드의 기관지 내벽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여, 기흉의 발생율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진일보하게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 문제는, 실제 요구에 따라 임플란트를 폐부 바이패스 또는 일부 소직경 기관 말단에 삽입하고, 통로 형성 과정과 임플란트 삽입 조작 과정을 병합하고, 수술 조작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수술 조작 시간을 감소하고, 더욱 양호한 수술 효과에 도달할 수 있는 폐 체적 감소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상기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용하는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관(管) 형상이고 또한 임플란트 근단, 탄성 변형부 및 임플란트 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변형부는 임플란트 근단과 임플란트 원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탄성 변형부는 기억 형상 특성을 구비하며, 상기 임플란트 중 적어도 임플란트 근단은 개구(開口)되며, 상기 탄성 변형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약간의 그루브가 설치되며, 각 그루브와 상기 탄성 변형부의 내강은 서로 통한다.
본 기술 방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는 축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전개 평면 상에서, 각 그루브의 절개 방향과 상기 탄성 변형부의 길이 방향의 협각 α 는 10-90° 이며; 또한 그루브 형상 및 배열은 탄성 변형부가 다방향으로 벤딩 및 비틀림을 진행하는 것을 만족하고, 또한 임플란트의 벤딩 응력 요구를 부합한다.
본 기술 방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임플란트는 적어도 상기 탄성 변형부의 외벽을 커버하는 탄성막을 더 포함한다.
본 기술 방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막은 또한 전체 임플란트 표면을 커버하고 또한 상기 그루브를 충전할 수 있다.
본 기술 방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외경은 원단에서 근단 방향으로 점차 증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근단과 상기 탄성 변형부의 근단은 일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임플란트 원단은 외측으로 연신되어 유연성의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와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는 임플란트 원단과 동축이고 또한 상기 임플란트 원단을 막으며, 상기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에는 현상 표지가 설치된다.
본 기술 방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중, 상기 임플란트 근단에는 분리 가능한 커넥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이 채용하는 기술 방안은 폐 체적 감소 기계를 제공하며, 이 기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임플란트와 상기 임플란트와 조립되는 수송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송 장치는 가이드 와이어와 중공 푸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근단을 통해 상기 푸쉬 부재의 원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임플란트의 내강과 상기 푸쉬 부재의 내강을 관통할 수 있다.
본 기술 방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원단에는 가이드 와이어와 동축인 유연성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의 외경은 가이드 와이어의 외경과 일치한다.
본 기술 방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연성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 상에는 현상 표지가 설치된다.
본 기술 방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는 가이드 칼럼 및 가이드 칼럼 외측에 슬리브되게 장착되어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칼럼과 가이드 와이어는 일체 구조이거나 또는 가이드 칼럼이 가이드 와이어의 원단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관 형상이고 또한 적어도 임플란트의 근단이 개구되므로, 가이드 와이어를 임플란트의 내강에 관통하게 넣어 임플란트를 직선 형상으로 구속하여 수송을 진행하므로, 임플란트 외경보다 큰 수송 시드로 임플란트를 구속할 필요가 없어, 수송 과정 중 수송 시드에 의한 기관의 상해를 방지하고, 진일보하게 기흉의 발생율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근단 및 임플란트 원단이 모두 개구될 수 있으며, 단지 임플란트 근단 만이 개구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 근단 및 임플란트 원단이 모두 개구될 때,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직접 기관 중에 가이딩하고 또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단지 임플란트 근단 만이 개구될 때,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임플란트 원단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임플란트 원단을 막는 유연성 가이드 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직접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임플란트의 내강에 삽입하고 또한 상기 유연성 가이드 헤드를 구속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유연성 가이드 헤드를 이용하여 기관 중에 가이딩하고 또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적재 및 릴리스하여, 폐부 바이패스 또는 일부 소직경 기관의 말단에 삽입하여, 폐기종 구역에 대해 압출을 진행하여, 폐부 삽입 치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중공 내강의 구조를 구비하여, 수술 시 우선 가이드 와이어가 임플란트의 내강에 관통하여, 임플란트를 가이드 와이어 상에 적재하여, 기관지경을 통해 양자를 함께 폐기종 구역의 기관지 내로 밀어 보내기가 편리하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와 임플란트 자체를 이용하여 통로를 형성하여, 임플란트를 적합한 표적 구역으로 밀어 보낸 후, 가이드 와이어를 후퇴하고 임플란트를 릴리스한다. 즉 종래 기술의 통로 형성 과정과 임플란트 삽입의 2개 조작 과정을 동시에 완성하여, 수술 조작 시간을 유효하게 감소할 수 있어, COPD 급성 가중 등 불량 사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탄성 변형부 또는 전체 임플란트를 탄성막을 채용하여 그 표면을 커버함으로써, 임플란트의 금속 표면과 기관지 내벽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금속 원소가 릴리스되는 것을 감소하여, 폐렴 또는 소기도(小氣道) 감염을 유효하게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는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적재하고, 동시에 가이딩과 통로를 형성하고 임플란트를 수송하고 또한 릴리스를 진행하며; 또는 임플란트 원단에 유연성의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를 설치하고,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는 가이딩 및 통로를 형성하는 작용을 하고, 통로 형성 후 즉각 임플란트를 릴리스하며; 이 방안을 이용하여 통로 형성 과정과 임플란트의 삽입 과정을 병합하여, 수술 조작이 더욱 편리하며, 또한 수술 조작 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 기계에서, 수송 장치는 가이드 와이어를 채용하여, 내강 구조를 구비한 임플란트를 관통하고, 또한 푸쉬 기구를 통해 밀어 임플란트의 수송을 완성하며, 가이드 와이어의 구속을 통해 임플란트가 자연 상태(즉 열처리 후 얻은 컬링의 예정 상태)에서 수송 상태(즉 가이드 와이어와 배합하는 직선 형상)로 전환하게 하며, 가이드 와이어를 임플란트의 내강에서 후퇴하여, 가이드 와이어의 제약을 해제하여, 임플란트가 수송 상태에서 자연 상태로 전환하게 하여, 폐기종 표적 구역을 압출하는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이 채용한 수송 시드와 비교하여, 수송 장치의 직경은 더욱 작고, 임플란트가 더욱 작은 폐기종 표적 구역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하여, 더욱 양호한 치료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로 형성과 임플란트 릴리스를 서로 결합한 기술 방안을 채용하여, 전체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더욱 정확하게 폐기종 표적 구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는 또한 탄성막을 채용하여 임플란트 표면을 커버하며, 탄성막은 생물 적합성이 더욱 양호한 고분자 재료를 선택하여 만들며, 고분자 재료의 탄성막이 기관지 내벽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니켈 티타늄 철사가 직접 기관지 내벽과 접촉하는 방안에 비해, 호흡 과정에서 임플란트와 기관지 내벽의 마찰로 인해 초래되는 기관지 염증 발생 및 손상을 감소할 수 있어, 폐렴 및 소기도 감염의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의 금속 표면을 고분자 재료의 탄성막으로 커버하여, 금속 원소가 릴리스되는 것을 유효하게 감소할 수 있다.
다음은 도면 및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진일보한 설명을 진행하며, 첨부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탄성 코일의 구조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기관지경 및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조작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탄성 코일을 수송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서 탄성 코일을 릴리스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임플란트의 구조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가 도시한 임플란트의 해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임플린트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전개된 후의 그루브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임플란트의 탄성 변형부가 직선으로 제약된 후의 그루브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이 도시한 임플란트의 국부 해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임플란트의 그루브 실시 방식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10이 도시한 임플란트의 탄성 변형부의 국부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다른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임플란트의 그루브 다른 하나의 실시 방식의 전개도이다.
도 13은 도 12가 도시한 임플란트의 탄성 변형부의 국부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커넥터 및 골격 가이드 헤드의 임플란트의 구조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국부 탄성막을 보유한 임플란트의 구조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폐 체적 감소 기계의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I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폐 체적 감소 작업 통로 형성의 개념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개념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B 위치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 특징, 목적 및 효과에 대해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을 대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2)는 관(管) 형상이고 또한 임플란트 근단(201), 탄성 변형부(205) 및 임플란트 원단(202)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변형부(205)는 임플란트 근단(201)과 임플란트 원단(20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탄성 변형부(205)는 형상 기억 특성을 구비하며, 상기 임플란트(2) 중 적어도 임플란트 근단(201)은 개구(開口)되며(근단은 수술 조작자와 근접하는 일단을 가리킴), 임플란트(2)의 3개 구성 부분은 일체 구조일 수 있으며, 이 3개 부분이 고정 연결을 통해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205)는 내강(內腔)(207)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부(205)는 그 축방향을 따라 즉 길이 방향 상에 간격을 두고 다수의 그루브(204)가 설치되며, 그루브(204)는 내강(207)과 연통된다. 탄성 변형부(205)는 임플란트(2)의 주요 구조이며, 자연 상태 하에서(즉, 어떠한 외력도 받지 아니할 때) 예정된 컬링 형상을 나타내며, 외력 작용 하에서 직선형 또는 기타 임의의 형상으로 제약될 수 있으며, 또한 외력이 제거된 후 벤딩 및 비틀림을 통해 예정 형상으로 회복된다. 임플란트(2)는 본 업종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억 형상 기능을 구비한 재료로 만드는데,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재료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아니하며, 단지 인체에 적용되고 또한 기억 형상 기능을 구비하는 재료이기만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2)는 니켈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며, 구체적으로는 중공의 니켈 티타늄 관이다. 구체적으로, 중공 니켈 티타늄 관 원재료를 레이저를 통해 일정한 그루브(204)를 조각한 후, 예정 형상으로 벤딩하고, 다시 열처리를 진행하여 정형하여 임플란트(2)를 획득한다.
임플란트(2)의 외경 및 내경은 그 자체 특성 및 가이드 와이어의 외경에 따라 결정한다. 즉 충분한 탄력으로 폐부 조직을 당길 수 있는 전제 하에, 가능한 폐부 바이패스 또는 일부 소직경 기관(氣管)의 말단에 삽입해야, 더욱 양호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2)의 내경은 가이드 와이어의 외경보다 커야 한다. 하나의 실시 방식으로, 임플란트(2)의 외경은 0.5-2.5mm, 벽 두께는 0.01-0.5mm일 수 있다.
임플란트(2)는 일단에서 다른 일단까지의 외경 및 내경이 동일한 크기의 균등 직경 관을 선택할 수 있으며, 외경 및 내경이 변화는 비균등 직경 관을 선택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2)가 미세한 기관지에 연신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임플란트(2)는 내강(207)의 직경은 변하지 아니하고 관벽은 원단에서 근단 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원추형 관이다. 즉 상기 임플란트(2)의 외경은 원단에서 근단 방향으로 점차 증가한다. 예를 들어, 내경이 0.8-1.0mm인 원추형 관을 선택하면, 원추형 관의 벽 두께는 임플란트 원단(202)의 0.01mm가 임플란트 근단(201)의 0.2mm로 변화된다.
그루브(204)의 존재는 탄성 변형부(205)가 곡율이 큰 벤딩을 실현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탄성 변형부(205)가 다양한 각도로 비틀림되는 것을 실현하여, 복잡한 예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발명에서, 그루브(204)의 배열 방식은 한정하지 아니하며, 각 그루브(204) 사이는 일반적으로 평형 및 나선 등 여러 방식으로 배열되며, 탄성 변형부(205)의 원주 방향에서 볼 때 그루브(204)는 국부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부(205)의 원주 방향 상 전체에 배열될 수도 있다. 그루브(204)의 형상은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루브(204)는 일반적으로 폭이 좁고 긴 구조이다. 축방향을 따라 절개한 탄성 변형부(205)의 전개 평면 상에서, 상기 그루브(204)와 탄성 변형부(205)의 축선의 협각 α는 10-90°이며; 즉 그루브(204)의 개구 방향과 탄성 변형부(205)의 축선의 협각 (α) 은 10-90° 이며, 그루브(204)의 이러한 설치 방식은 벤딩과 비틀림을 더욱 잘 진행하기 위함이며, 그루브(204)와 탄성 변형부(205)의 축선이 평행하지 아니한 것은 탄성 변형부(205)의 벤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며, 그 중 α 각이 90°인 경우, 탄성 변형부(205)의 동일 평면 내의 벤딩을 편리하게 하며, 90°보다 작은 협각 α는 벤딩과 비틀림을 동시에 실현하여 탄성 변형부(205)가 360° 범위 내에서 성형을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 그루브(204)와 탄성 변형부(205)의 축선의 협각 α는 바람직하게 45-90° 이다. 그루브(204)의 형상 및 수량, 배열의 밀도 및 그루브(204)의 위치는 탄성 변형부(205)가 여러 방향으로 벤딩 및 비틀림을 진행하는 것을 만족해야 하며, 그루브(204)의 설치 위치, 수량, 형상, 배열 밀도는 임플란트(2)가 폐조직에 삽입된 후 폐조직을 압출하기 위해 가하는 벤딩 응력 요구를 부합해야 한다. 즉, 임플란트(2)가 변형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폐기종 구역 조직을 당길 때 기관지를 상하게 해서는 아니된다. 그루브(204)는 구체적으로 실제 계산에 근거하여 설치를 진행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해야만 임플란트(2)가 폐부에 삽입될 때, 국부 응력 과다로 인해 기관지를 상하게 하지 아니하며, 임플란트(2)가 응력 과다로 인해 손상 및 단열이 출현하여, 인체에 대해 초래하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그루브(204)는 아령형이며, 도 7에 도시된 축방향을 따라 절개된 탄성 변형부(205)의 평면 전개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루브(204)와 탄성 변형부(205)의 축선이 형성하는 협각 α는 90° 이다. 다수의 그루브(204)는 연속적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모든 그루브(204)는 서로 평행하다. 아령형의 그루브(204)는 탄성 변형부(205)의 벤딩 및 비틀림을 만족할 수 있다. 각 그루브(204)의 사이에는 약 0.05-0.5mm의 간격(208)이 있다. 탄성 변형부(205)의 외경은 0.5-1.5mm이며, 벽 두께는 0.01-0.2mm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부(205)에는 다수 세트의 그루브(2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205)를 축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전개하면 알 수 있듯이, 각 세트의 그루브(204)는 탄성 변형부(205)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3개의 그루브(204a), 그루브(204b), 그루브(204c)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3개 그루브의 양단은 상기 원주 방향 상에서 상호 정렬된다. 그루브(204a), 그루브(204b), 그루브(204c)는 일정한 간격(209)을 구비하며, 상호 인접한 2개의 그루브(204) 사이에는 간격(208)이 있다. 그루브(204)는 폭이 가늘고 긴 구조이며, 이들 그루브(204)의 연신 방향과 탄성 변형부(205)의 축선은 일정한 협각 α를 형성한다. 각 세트의 평행한 그루브(204)의 개수 및 간격(209), 그루브(204) 및 탄성 변형부(205) 축선의 협각(α)의 각도 및 각 세트 그루브(204) 간의 간격(208)의 조정을 통해, 탄성 변형부(205)의 벤딩 응력을 조정하여, 삽입 요구를 부합하게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각 세트 그루브(204) 중의 그루브 개수는 2-6개일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한 그루브(204) 간의 간격(209)은 0.05-0.1mm일 수 있으며, 협각 α는 10-85° 일 수 있으며, 각 세트 간의 간격(208)은 0.1-1.0mm이다. 탄성 변형부(205)의 외경은 약 1.0-2.0mm이며, 벽 두께는 0.05-0.3mm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부(205)의 중간단을 다수 세트의 긴 타원 형상의 그루브(204)로 분할하며, 각 세트의 그루브(204)는 2개 이상의 나란히 배열된 타원 그루브(204)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각 세트 그루브(204)는 2개의 병렬된 그루브(204a) 및 그루브(204b)로 구성되고, 그루브(204a) 및 그루브(204b)는 반복 배열되고, 그루브(204a) 및 그루브(204b)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209)이 구비되고, 그루브(204)와 탄성 변형부(205) 축선의 협각 α는 90° 이며, 세트와 세트간의 배열의 연신 방향과 탄성 변형부(205)의 축선은 일정한 협각 β를 형성한다. 협각 β 는 60-90°일 수 있으며, 각 세트 그루브(204) 사이에는 약 0.3-5mm의 간격(208)이 있으며, 각 세트 그루브(204)는 계단 형상의 주기성 배열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5-20 세트의 그루브(204)가 1주기일 수 있으며, 계단 주기성의 그루브(204)는 탄성 변형부(205)가 특정의 형상으로 벤딩되는데 유리하다. 탄성 변형부(205)의 양단에는 약 1.5-10mm 길이의 임플란트 근단(201) 및 임플란트 원단(202)이 있으며, 임플란트 근단(201)에는 약 0.5-5mm의 길이의 나선 형상으로 절단된 그루브가 있어 커넥터(210)가 된다. 다시 다이를 사용하여 절단 후의 임플란트(2)를 도 14에 도시된 형상으로 벤딩하고, 열처리로 정형하면 상기의 임플란트(2)로 된다. 본 실시 방식에서 임플란트(2)의 외경은 1.2-2.5mm이며, 벽 두께는 0.1-0.4mm이다.
도 5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부(205)의 양단은 각각 임플란트 근단(201) 및 임플란트 원단(202)이며, 그 중 임플란트 근단(201)은 커넥터(210)를 설치하는데 사용하며, 임플란트 원단(202)은 먼저 기관(氣管)에 진입하는데 사용된다. 임플란트 근단(201)은 푸쉬 기구(예를 들면 중공 푸쉬 케이블)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210)와 연결되며, 본 발명에서 분리 가능한 연결 방식은 푸쉬 전 또는 푸쉬 과정에서, 커넥터(210)와 푸쉬 기구가 함께 고정되어, 위치까지 푸쉬된 후 커넥터(210)가 푸쉬 기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가리킨다. 커넥터(21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와의 연결 방식은 다양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연결을 채용하면, 임플란트 근단(201)에는 암나사산을 가진 커넥터(210)가 용접된다. 조립 시, 푸쉬 기구에 구비된 숫나사산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응 위치로 푸쉬된 후, 푸쉬 기구를 반대로 돌려 상기 커넥터(210)를 푸쉬 기구와 분리할 수 있다. 명백하게, 종래기술에 기초하여, 커넥터(210)는 예를 들면 자성 연결 장치, 탄성 버클, 올가미 등과 같은 고정 연결을 이탈할 수 있는 기타 부재일 수 있으며, 각각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근단(201) 및 푸쉬 기구 상에 설치되어 고정 연결을 이탈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직접 임플란트 근단(201)에 직접 암나사산을 만든다(즉 상기 임플란트 근단(201)이 상기 탄성 변형부(205)의 일부분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근단(201)에 설치되는 커넥터(210)는 나선 형상 커넥팅 후크이며, 동일하게 푸쉬 기구 상에도 나선 형상 커넥팅 후크를 설치하여, 앙자는 상호 회전하여 함께 후킹되어 임플란트(2)를 이탈 가능하게 푸쉬 기구의 원단에 고정되게 연결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2)가 순조롭게 기관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2) 원단을 개구하지 아니할 때, 상기 임플란트 원단(202)은 외측으로 연신되게 유연한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와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는 임플란트 원단(202)과 동축이고, 또한 상기 임플란트 원단(202)을 막으며, 상기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에는 현상 표지가 설치된다.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는 가이딩 및 통로 형성의 작용을 구비하며, 임플란트 원단(202)과 일체 구조일 수 있으며, 임플란트 원단(202) 상에 별도로 고정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는 상대적인 유연성을 구비하여, 기관에 진입한 후 기관 벽에 대한 찰과상을 방지할 수 있다. 현상 표지를 설치하는 목적은 푸쉬 과정 중 모니터링의 편의를 위해서며, 현상 표지는 형광 검사 시스템, 초음파 영상 시스템, MRI 시스템, 컴퓨터 X선 단층 촬영술(CT) 시스템 또는 기타 원격 영상을 통해 임플란트에 대해 디스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는 표지이며, 구체적인 구조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임플란트(2)에 대해 디스플레이와 가이딩을 진행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직경이 0.1-0.5mm인 X선 현상성이 강한 텅스텐, 탄탈 등 금속사를 감은 길이가 약 1-10mm의 스프링을 현상 표지로 한다. 본 실시예는 현상 표지와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를 하나의 부재로 합병하여, 2개의 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에 현상 링과 같은 별도로 현상 표지를 설치하며, 현상 링은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 상에 슬리브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종 실시 방식에서, 상기 탄성 변형부(205) 외측에는 탄성막(206)이 더 커버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방식으로, 탄성막(206)이 탄성 변형부(205), 임플란트 근단(201) 및 임플란트 원단(202) 전체를 커버하면, 전체 임플란트(2)가 삽입 과정에서 기관을 손상하지 아니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탄성막(206)은 또한 그루브(204)에 충전되어, 전체적으로 임플란트(2) 표면이 매끄러운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또한 그루브(204) 중에 탄성막(206)을 충전하여 탄성막(206)이 임플란트(2) 표면에 더욱 견고하게 커버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탄성 변형부(205)의 내강(207) 내의 원활한 통행을 보장하기 위해, 그루브(204) 중에 형성되는 탄성막(206)의 내벽과 탄성 변형부(205)의 내강(207)의 내벽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탄성막(206)의 두께는 0.01-0.03mm이다. 상기 탄성막(206)은 양호한 화학 안정성, 방수성, 내 기후 노화성, 양호한 저압축성, 양호한 생물 적합성, 고 기계 강도, 무독성, 무미 등 특성을 구비한 고분자 재료 채용하여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고분자 재료는 실리콘 고무 또는 폴리 우레탄 재료일 수 있다.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를 구비할 때, 탄성막(206)은 상기 탄성 변형부(205) 및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를 동시에 감싸, 하나의 일체 구조의 탄성막(206)을 형성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국부 탄성막(206)을 구비한 임플란트(2)의 해부도로서, 탄성 변형부(205)의 변형부는 다수 세트의 그루브(204)를 포함한다. 탄성 변형부(205), 임플란트 근단(201), 임플란트 원단(202),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의 표면은 한 층의 탄성막(206)이 커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폐 체적 감소 탄성체(2)의 양단은 개구임을 주의해야 한다. 즉, 임플란트 근단(201) 및 임플란트 원단(202)의 양단은 개구이고, 또한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211)를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폐 체적 감소 기계를 더 제공한다. 도 1 -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2) 및 수송 장치(1)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2)는 형상 기억 특징을 구비한 관 형상 구조이며, 그 주체는 탄성 변형부(205)이고, 상기 탄성 변형부(205)는 내강(207)을 구비하며; 상기 임플란트(2) 양단은 임플란트 근단(201) 및 임플란트 원단(202)이며, 상기 탄성 변형부(205)의 벽면 상에는 약간의 그루브(204)가 개설되어 있으며, 상기 그루브(204)는 탄성 변형부(205)의 내강(207)까지 관통하며; 상기 수송 장치(1)는 가이드 와이어(101)와 푸쉬 기구(110)를 포함하며(푸쉬 기구(110)는 통상 중공 푸쉬 부재 즉 중공 케이블(103) 및 중공 케이블(103) 과 서로 연결되는 조작 핸들(106)을 포함함), 상기 임플란트(2)는 커넥터(210)를 통해 상기 푸쉬 기구(110)의 원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2) 및 푸쉬 케이블(103)은 각각 상기 가이드 와이어(101) 외측에 슬리브되게 장착된다. 즉 상기 가이드 와이어(101)는 상기 임플란트(2) 및 상기 푸쉬 케이블(103) 중에 적재되며, 상기 임플란트(2)는 가이드 와이어(10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수송 장치(1)에서, 가이드 와이어(101)는 임플란트(2)를 적재하고, 가이딩 및 통로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며, 임플란트(2) 전체는 가이드 와이어(101)의 외측에 슬리브되게 장착되며, 임플란트(2)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101)가 제약하여 직선 형상을 형성한다. 즉, 임플란트(2)는 가이드 와이어(101)에의해 당겨져 가이드 와이어(101) 형상과 매칭되는 직선형 수송 상태를 형성하여, 기관에 진입하기가 편리하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근단(201)으로 가이드 와이어(101)를 삽입할 수 있으며, 가이드 와이어(101)는 일단의 직경이 0.1-1.1mm인 금속사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101)의 작용은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며, 또한 임플란트(2)를 병변 부위로 수송하므로, 수송 시드로 임플란트를 더 이상 구속할 필요가 없게 되고, 수송 과정에서 기관에 대한 수송 시드의 상해를 방지하여, 진일보하게 기흉의 발생율을 감소한다. 금속사는 일정한 강도 및 인성을 구비하여, 적당히 벤딩할 수 있고, 기관 형상에 부합하며, 또한 기관을 따라 점차 전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비해, 수송 시드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아니하여, 임플란트(2)가 폐부 바이패스 또는 일부 소직경 기관의 말단에 삽입될 수 있어, 더욱 양호한 치료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조작의 안전 및 편리를 위해, 가이드 와이어(101)의 원단에 가이드 와이어(101)와 동축이고 또한 현상 표지를 구비한 유연성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의 외경은 가이드 와이어(101)의 외경과 일치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는 가이드 칼럼(102a) 및 가이드 칼럼(102a) 외측에 슬리브되게 장착되어 고정되는 스프링(102b)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칼럼(102a)과 가이드 와이어(101)는 일체 구조이거나 또는 가이드 칼럼(102a)은 가이드 와이어(101)의 원단에 고정되게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102b)은 현상 표지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는 가이드 와이어(101)의 원단을 유연하게 처리하여, 기관에 삽입 시 기관에 대한 손상을 유효하게 피할 수 있다. 유연성의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는 유연성 특징을 구비한 스프링을 통해서 실현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와이어(101)와 일체 구조로 하거나 또는 가이드 와이어(101) 원단의 가이드 칼럼(102a) 상에 스프링(102b)을 슬리브되게 장착한다. 구체적인 제조는, 가이드 와이어(101)의 헤드단을 가늘게 하여 가이드 칼럼(102a)을 만들고, 가이드 칼럼(102a)의 외측에 길이가 5-150mm인 스프링(102b)을 고정한다. 스프링(102b)과 가이드 와이어(101)의 고정 방식은 고분자 열 수축 관 또는 박막 피복, 아교 본딩, 레이저 용접, 납땜 등방식일 수 있다. 유연한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의 가이딩 하에, 가이드 와이어(101)는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근단(201)을 통해 순조롭게 탄성 변형부(205)의 내강 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2)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형상에서 도 16에 도시된 직선형 수송 상태로 구속한다. 명백하게,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임플란트(2)를 적재하는 가이드 와이어(101)는 기관지 내에서 가이딩 및 통로를 형성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더 구비한다. 가이드 와이어(101)가 폐부에 진입하는 조작 상황에 대해 가이딩 및 모니터링을 진행해야 하므로,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 상에는 현상 표지를 설치한다. 현상 표지는 형광 검사 시스템, 초음파 영상 시스템, MRI 시스템, 컴퓨터 X선 단층 촬영술(CT) 시스템 또는 기타 원격 영상을 통해 임플란트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는 표지이며, 구체적인 구조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가이드 와이어(101)에 대해 디스플레이와 가이딩을 진행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직경이 0.01-0.3mm인 X선 현상성이 강한 텅스텐, 탄탈 등 금속사를 감은 스프링을 현상 표지로 한다. 본 실시예는 현상 표지와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를 하나의 부재로 합병하여, 2개의 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 상에 별도로 현상 표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당연히, 본 발명의 임플란트 표면이 탄성막으로 커버되지 아니하고 또한 니켈 티타늄 합금과 같이 자체로 현상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 지면, 상기 현상 표지를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101)의 수송 편의를 위해, 가이드 와이어(101)의 근단에는 가이드 와이어 핸들(105)이 설치되어, 가이드 와이어(101)를 앞으로 수송하는데 사용되며, 또는 임플란트(2)가 위치에 수송된 후 가이드 와이어(101)를 회수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푸쉬 기구(110)는 중공 푸쉬 케이블(103) 및 푸쉬 케이블(103)과 연결된 조작 핸들(106)을 포함하며, 푸쉬 케이블(103)과 임플란트(2)는 가이드 와이어(101) 상에 슬리브되게 장착되며, 푸쉬 케이블(103)의 원단은 임플란트(2) 근단에 설치된 커넥터(210)와 서로 연결된다. 연결의 방식은 각각 임플란트(2)에 설치된 커넥터(210)와 푸쉬 케이블(103) 원단의 연결 배합 부재(109)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커넥터(210)와 연결 배합 부재(109)의 구조 및 연결 방식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나사산 연결과 같이,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근단(201)에 암나사산을 구비한 커넥터(210)를 용접하거나, 또는 직접 임플란트 근단(201)에 암나사산을 직접 형성하여 커넥터(210)로 한다. 푸쉬 케이블(103) 원단에는 수나사산의 연결 배합 부재(109)를 설치하며. 조립 시, 커넥터(210)의 암나사산와 푸쉬 기구(110)가 구비한 수나사산를 연결하여, 임플란트(2)가 푸쉬 케이블(103)의 원단에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임플란트(2)가 상응하는 위치로 푸쉬된 후 푸쉬 케이블(103)의 조작 핸들(106)을 역회전하여, 임플란트(2)의 커넥터(210)와 푸쉬 케이블(103)의 연결 배합 부재(109)가 회전하여 분리된다. 커넥터(210)와 연결 배합 부재(109)는 자성 연결 장치, 탄성 버클, 올가미 등과 같은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타의 연결 부재일 수 있으며, 각각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근단(201) 및 푸쉬 케이블(103) 상에 설치되어, 분리 가능한 연결을 실현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근단(201)에 설치된 커넥터(210)는 나선 형상 연결 후크이며, 동일하게 푸쉬 케이블(103) 원단에도 나선 형상 연결 후크가 설치되며, 양자는 상호 회전하여 함께 후킹되어 임플란트(2)를 푸쉬 기구(110) 원단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연결하며, 임플란트(2)가 위치로 푸쉬된 후, 푸쉬 케이블(103)의 조작 핸들(106)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2개의 나선 형상 연결 후크는 상호 분리된다.
조립 생산 시, 임플란트(2)와 가이드 와이어(101)와 조립은 로더를 통해 완성할 수 있다. 먼저, 임플란트(2)를 로더에 넣고, 로더 공간의 제한을 이용하여, 자연 상태에서 컬링 형상의 임플란트(2)를 직선형 수송 상태의 관에 제한하고, 푸쉬 기구(110)와 조립된 가이드 와이어(101)를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근단(201)을 통해 삽입하고 또한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원단(202)으로 꺼내고, 가이드 와이어(101)의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를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원단(202)으로 꺼낸 다음 정지하며, 또는 임플란트 원단(202)이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에 의해 막힌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101)는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근단(201)을 통해 삽입하고 또한 임플란트(2)의 임플란트 원단(202)으로 삽입 장착한 다음 정지하며, 이 때 로더에서 내릴 수 있다. 임플란트(2)는 가이드 와이어(101)의 제약 하에 직선형의 수송 상태로 적재되며, 푸쉬 기구(110) 중의 푸쉬 케이블(103) 원단의 연결 배합 부재(109)와 임플란트(2)의 커넥터(210)를 연결한다.
도 18-21을 참조하면, 기관지경(901)의 작업 통로(902)를 통해 임플란트(2)의 가이드 와이어(101)를 폐부(903)의 기관지(904) 내로 보내고, X 선의 보조 하에, 가이드 와이어(101)롤 통해 통로를 형성한 후, 푸쉬 케이블(103)을 이용하여 가이드 와이어(101)를 따라 임플란트(2)를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102) 위치로 푸쉬한 후, 가이드 와이어(101)를 후퇴하며, 가이드 와이어(101)가 후퇴함과 동시에, 임플란트(2)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가이드 와이어(101)에 의해 제약된 직선형 수송 상태에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자연 형상으로 자동 회복하며, 회복 과정에서 기종 구역에 대해 압축과 당김을 진행하고, 동시에 주변의 상대적으로 건강한 조직이 더욱 호흡 생리 기능을 더욱 잘 발휘하도록 하여, 폐 체적 감소의 효과에 도달한다. 그런 다음 푸쉬 케이블(103)의 조작 핸들(106)의 회전을 통해 푸쉬 케이블(103) 원단의 연결 배합 부재와 임플란트(2)의 커넥터(210)의 나나산 연결을 분리하여, 임플란트(2)를 릴리스한다.

Claims (10)

  1.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관 형상이고 또한 임플란트 근단, 탄성 변형부 및 임플란트 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변형부는 임플란트 근단과 임플란트 원단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탄성 변형부는 기억 형상 특성을 구비하며, 상기 임플란트 중 적어도 임플란트 근단은 개구되며,상기 탄성 변형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약간의 그루브가 설치되며, 각 그루브와 상기 탄성 변형부의 내강은 서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임플란트가 축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전개 평면 상에서, 각 그루브의 절개 방향과 상기 탄성 변형부의 길이 방향의 협각 α 는 10-90° 이며; 또한 그루브 형상 및 배열은 탄성 변형부가 다방향으로 벤딩 및 비틀림을 진행하는 것을 만족하고, 또한 임플란트의 벤딩 응력 요구를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적어도 상기 탄성 변형부의 외벽을 커버하는 탄성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은 또한 상기 그루브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외경은 원단에서 근단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원단은 외측으로 연신되어 유연성의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와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는 임플란트 원단과 동축이고 또한 상기 임플란트 원단을 막으며, 상기 임플란트 가이드 헤드에는 현상 표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근단에는 분리 가능한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임플란트와 조립되는 수송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송 장치는 가이드 와이어와 중공 푸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근단을 통해 상기 푸쉬 부재의 원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임플란트의 내강과 상기 푸쉬 부재의 내강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기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원단에는 가이드 와이어와 동축인 유연성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의 외경은 가이드 와이어의 외경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기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가이딩 헤드는 가이드 칼럼 및 가이드 칼럼 외측에 슬리브되게 장착되어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칼럼과 가이드 와이어는 일체 구조이거나 또는 가이드 칼럼이 가이드 와이어의 원단에 고정되게 연결되며,상기 스프링은 현상 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체적 감소 기계.
KR1020177000646A 2014-06-11 2015-05-29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KR20170016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58067.5 2014-06-11
CN201410258067.5A CN105455930B (zh) 2014-06-11 2014-06-11 肺减容弹性植入体及器械
PCT/CN2015/080373 WO2015188705A1 (zh) 2014-06-11 2015-05-29 肺减容弹性植入体及器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333A Division KR101939039B1 (ko) 2014-06-11 2015-05-29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953A true KR20170016953A (ko) 2017-02-14

Family

ID=548328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646A KR20170016953A (ko) 2014-06-11 2015-05-29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KR1020187033333A KR101939039B1 (ko) 2014-06-11 2015-05-29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333A KR101939039B1 (ko) 2014-06-11 2015-05-29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42549B2 (ko)
JP (1) JP6732663B2 (ko)
KR (2) KR20170016953A (ko)
CN (1) CN105455930B (ko)
WO (1) WO2015188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0527B (zh) 2015-10-15 2019-02-12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肺减容弹性植入体及肺减容器械
CN106691626B (zh) * 2015-11-16 2019-03-08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肺减容弹性植入体及肺减容器械
CN108210133B (zh) * 2016-12-16 2020-09-04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植入体
CN108272538B (zh) 2016-12-30 2020-06-12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肺减容弹性植入体及肺减容器械
CN108618869B (zh) * 2017-03-17 2021-01-22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人工心脏瓣膜成形环
US11172933B2 (en) * 2017-08-29 2021-11-16 Covidien Lp Methods and devices for altering lung volume
CN109966011B (zh) * 2017-12-28 2021-08-17 深圳市先健呼吸科技有限公司 用于具有至少一个空腔的植入体的输送及回收装置和系统
CN109965923B (zh) * 2017-12-28 2021-07-06 深圳市先健呼吸科技有限公司 用于具有至少一个空腔的植入体的输送器
CN109984876B (zh) * 2017-12-29 2021-10-22 深圳市先健呼吸科技有限公司 用于肺减容植入体的回收系统和鞘管
EP4082481B1 (en) * 2021-04-30 2024-04-17 Evalve Inc. Fixation device having a flexure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419Y2 (ko) * 1990-06-19 1993-12-06
JP3736864B2 (ja) * 1994-06-16 2006-01-1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管状器官への挿入具
US6231551B1 (en) 1999-03-01 2001-05-15 Coaxia, Inc. Partial aortic occlusion devices and methods for cerebral perfusion augmentation
US20030127090A1 (en) 2001-11-14 2003-07-10 Emphasys Medical, Inc. Active pump bronchial implant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50103340A1 (en) * 2003-08-20 2005-05-19 Wondka Anthony D. Methods, systems & devices for endobronchial ventilation and drug delivery
CN2749468Y (zh) 2004-11-16 2006-01-04 张霄鹏 一种气管内单向活瓣装置
CN2857885Y (zh) 2005-11-27 2007-01-17 吴琦 单向活瓣肺减容支架
WO2007138578A2 (en) 2006-05-25 2007-12-06 Interventional Lung Therapeutics, Llc. Implantable dynamic pump device
US9173669B2 (en) * 2008-09-12 2015-11-03 Pneumrx, Inc. Enhanced efficacy lung volume reduc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CN104622599B (zh) * 2009-05-18 2017-04-12 纽姆克斯股份有限公司 细长的肺减容装置在部署过程中的横截面变化
CN202010169U (zh) * 2011-03-31 2011-10-19 王涛 新型肺减容记忆弹性线圈
JP5817181B2 (ja) * 2011-03-31 2015-11-1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7339A (ja) 2017-06-29
US20180132860A1 (en) 2018-05-17
US10342549B2 (en) 2019-07-09
KR101939039B1 (ko) 2019-01-15
CN105455930A (zh) 2016-04-06
CN105455930B (zh) 2019-08-16
KR20180125635A (ko) 2018-11-23
JP6732663B2 (ja) 2020-07-29
WO2015188705A1 (zh)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039B1 (ko) 폐 체적 감소 탄성 임플란트 및 기계
RU25003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обнаружения устья околоносовой пазухи
US20200337873A1 (en) Stent delivery system
US20070265595A1 (en) Treatment tool inserting/withdrawing auxiliary device and medical procedure through endoscope
CN103327881B (zh) 旋转前进导管插入系统
US20060253197A1 (en) Shape-memory port-access tube
JP2008538709A (ja) 外部作業チャネルを有する器具
US10687821B2 (en) Lung volume reduction elastic implant and lung volume reduction instrument
US201301441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liary access and stone retrieval
JP2014500082A (ja) 管状構造から物質を回収するための装置
US20080234662A1 (en) Constructive Disposal Placed in Artifon Catheter Applied in Perforations Above the Papillae in Fistula-Papillotomy
US10905538B2 (en) Lung-volume-reduction elastic implant and lung-volume reduction instrument
US20210213224A1 (en) Tracheal cannulation device
EP3991775A1 (en) Sheath device and endoscope assembly
US11291457B2 (en) Lung volume-reducing elastic implant and instrument
US11234705B2 (en) Implant
WO2022121642A1 (zh) 测量装置
US11266415B2 (en) Lung volume reduction elastic implant and lung volume reduction instrument
JPH1176182A (ja) 電極カテーテル
CN212016416U (zh) 一种医用导引导管
US20240023803A1 (en) Medical instrument s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24086178A1 (en) Expandable endotracheal tube and method for use of same
WO2023147188A1 (en) Launcher for introduction of a medical device
CN115068785A (zh) 一种导引鞘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