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18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185A
KR20170016185A KR1020150109621A KR20150109621A KR20170016185A KR 20170016185 A KR20170016185 A KR 20170016185A KR 1020150109621 A KR1020150109621 A KR 1020150109621A KR 20150109621 A KR20150109621 A KR 20150109621A KR 20170016185 A KR20170016185 A KR 2017001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rum
housing
balanc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033B1 (ko
Inventor
채애경
김재현
김현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033B1/ko
Priority to PCT/KR2016/008398 priority patent/WO2017023046A1/ko
Priority to US15/749,958 priority patent/US10801152B2/en
Priority to EP16833282.3A priority patent/EP3333301B1/en
Publication of KR2017001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3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폐곡선을 형성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하는 밸런싱유닛과; 상기 밸런싱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런싱유닛에 연결된 링과; 상기 링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 밖에 구비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Tub)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Drum)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를 포함한다.
드럼은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의 위치에 따라 동적균형(Dynamic equribrium balance)를 유지하기 못하고 회전할 수 있다.
동적균형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드럼에 발생하는 관성모멘트가 0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관성모멘트는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한 경우에 0이 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드럼의 동적균형이란 드럼의 회전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로 세탁물이 저장된 드럼의 진동폭이 의류처리장치에서 수용 가능한 정도 이내인 것을 말한다.
반면, 의류처리장치에서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를 언밸런스 상태(Unbalance state)라 하고, 이는 드럼의 회전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허용범위를 벗어나 세착물이 저장된 드럼의 진동폭이 의류처리장치에서 수용 가능한 정도를 벗어난 경우를 말한다.
언밸런스 상태로 회전하는 드럼은 회전과 함께 진동하므로 드럼의 진동은 터브나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고 드럼이 파손되는 문제가 생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밸런서를 구비하고 있으나, 종래의 밸런서는 볼(ball) 밸런서 또는 액체(liquid) 밸런서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밸런서는 드럼의 진동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정상상태 진동(Steady state vibration)인 경우에는 유용하지만, 드럼의 진동이 정상상태에 도달하기 전인 과도상태 진동(Transient vibration)에서는 오히려 진동이 커지는 문제가 되었다.
또한, 종래의 밸런서의 볼이나 액체는 드럼의 회전에 의존하여 수동적으로 이동하여 언밸런스 상태를 해소하므로 밸런싱 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에 독립적으로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능동적으로 해소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구비된 밸런싱 유닛의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폐곡선을 형성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하는 밸런싱유닛과; 상기 밸런싱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런싱유닛에 연결된 링과; 상기 링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 밖에 구비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제1원면과; 상기 제1원면보다 직경이 작은 제2원면;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원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리세스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개구된 하우징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개구부에 상기 작동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작동부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려 상기 링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기어의 이빨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링은 상기 링의 내주면에 기어이빨을 구비한 내기어로 구비되며, 상기 내기어는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링은 제1링과 상기 제1링의 하부에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2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링에는 제1밸런싱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제2링에는 제2밸런싱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상기 링은 제1링과 상기 제1링의 다른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2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링에는 제1밸런싱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제2링에는 제2밸런싱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와 제1회전기어 및; 상기 제2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와 제2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회전기어와 상기 제2회전기어는 서로 다른 높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은 상기 회전기어의 이빨에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체인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의 무게에 의해 상기 드럼에 생기는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평형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평형추는 상기 작동부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구비된 축관통홀과; 상기 축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상기 작동부에 공급하는 축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연결선을 내부에 포함하고, 양단에서 상기 축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축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소켓은 상기 축관통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축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바디와; 전력원에 연결되며, 회전하는 상기 제2바디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에 독립적으로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능동적으로 해소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구비된 밸런싱 유닛의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드럼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밸런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밸런서의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밸런서의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밸런싱유닛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하우징에서 작동부가 구비된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투시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밸런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밸런서의 다른 예인 도 11의 밸런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스파이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스파이더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스파이더의 단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드럼의 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드럼의 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작동부연결선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더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더의 다른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더의 다른예의 설치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향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도어측으로 바라보았을 때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측을 전방, 의류처리장치의 모터 측을 후방으로 정의하며, 사용자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의류처리장치의 좌측과 우측으로 정의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와,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를 출입시킬 수 있는 제1투입구(122)를 일측에 구비하며, 제1투입구(122)를 개폐하는 도어(12)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세착수가 저장되는 터브(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2)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고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터브(2)를 캐비닛 내부에서 터브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터브지지부는 터브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24)과 터브의 하부에 구비된 댐퍼(26)에 의해 캐비닛(1)에 연결 및 지지되어 터브(2)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터브(2)와 드럼(4)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전방에 각각 제2투입구(22)와 제3투입구(442)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를 제1투입구(122), 제2투입구(22), 제3투입구(442)를 통해서 드럼(4) 내부로 출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투입구(122)와 제2투입구(22) 사이에는 터브(2) 내부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터브(2)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12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124)은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한편, 캐비닛(1)에는 터브(2)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31)을 포함하며, 캐비닛(1)에는 터브(2)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박스(32)를 포함하고, 세제박스(32)는 캐비닛(1)의 전방면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급수관(31)은 터브(2)로 바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급수관(31)은 세제박스(3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제박스(32)에 저장된 세제는 급수관(31)에서 공급된 세탁수와 섞여 세제박스(32)와 터브(2) 사이를 연결한 세제공급관(33)을 통해서 터브(2)에 공급된다.
한편,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배수관(36) 및 배수펌프(37)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드럼(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부(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5)는 터브(2)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52)와, 상기 스테이터(52)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로터(54)와, 상기 로터(54)에 연결되어 터브(2)의 후면을 관통하는 회전축(56)과, 상기 회전축(56)에 연결되고 드럼(4)의 후면에 고정되는 스파이더(58)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드럼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밸런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드럼(4)에 구비되어 드럼(4)의 언밸런스 상태를 해소하는 밸런서(6)를 포함한다.
상기 밸런서(6)는 드럼(4)의 전방면과 후방면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드럼(4)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전방밸런서(6a) 및 후방밸런서(6b)는 위치만 다를 뿐 내부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할 밸런서의 구조는 전방밸런서 및 후방밸런서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드럼(4)은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드럼통(42), 드럼통(42)의 전면 개구부에 구비되는 드럼전면(44), 드럼통의 후면 개구부에 구비되는 드럼후면(46)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통(42)은 내주면에 드럼(4)이 회전시 의류를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터(424)와, 드럼통(42)을 관통하여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가 드럼(4)의 내부로 유입/배출 될 수 있도록 다수의 드럼관통홀(422)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전면(44)은 상술한 제3투입구(442)가 구비되며, 둘레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비되어 전방밸런서(6a)가 안착되는 전방밸런서 안착부(4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후면(46)은 둘레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비되어 후방밸런서(6b)가 안착되는 후방밸런서 안착부(464)를 포함하고, 스파이더(58)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파이더(58)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스파이더 안착부(462)를 포함한다.
한편, 드럼통(42)의 전면 개구부를 통해서 드럼통(42)의 내주면으로 드럼전면(44)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드럼통(42)과 드럼전면(44)을 관통하는 제1드럼체결홀(480)이 드럼통(42)과 드럼전면(44)에 각각 구비한다. 또한, 드럼통(42)의 후면 개구부를 통해서 드럼통(42)의 내주면으로 드럼후면(46)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드럼통(42)과 드럼후면(46)을 관통하는 제1드럼체결홀(480)이 드럼통(42)과 드럼후면(46)에 각각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드럼체결홀(480)은 후술할 밸런서(6)의 하우징(62)에 구비된 하우징체결돌기(628)에 구비된 하우징체결홀(6282)에 고정부재 등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드럼통, 드럼전면 및 전방밸런서를 고정하고, 드럼통, 드럼후면 및 후방밸런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파이더(58)를 드럼에 고정하기 위하여 드럼후면(46)의 드럼통(42)의 후면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드럼후면(46)과 드럼통(42)을 관통하는 제2드럼체결홀(482)을 드럼통(42)과 드럼후면(46)에 각각 구비한다. 특히, 제2드럼체결홀(482)은 스파이더 안착부(462)에 구비된다.
상기 스파이더(58)는 회전축(56)이 연결되는 스파이더코어(582)와, 상기 스파이더코어(582)에서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분지되고, 드럼의 후면에 고정되는 스파이더다리(584)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스파이더다리(584)를 3개로 구비한다.(도 13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스파이더다리(584)는 스파이더코어(582)에 연결되어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분지된 제1스파이더다리(584a)와, 제1스파이더다리(584a)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절곡된 제2스파이더다리(584b)와, 제2스파이더다리(584b)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절곡된 제3스파이더다리(584c)를 포함한다.
상기 제3스파이더다리(584c)에는 전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스파이더체결홈(586)을 구비한다. 상기 스파이더체결홈(586)에는 밸런서의 하우징(62)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체결돌기(628)가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밸런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밸런서의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밸런서의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서는 드럼(4)에 고정된 하우징(62)과 , 상기 하우징(62)의 내부에 구비되며 폐곡선을 형성하는 수용공간(622)과, 상기 수용공간(622)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4)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하는 밸런싱유닛(64)과, 상기 밸런싱유닛(64)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런싱유닛(64)에 연결된 링(66)과, 상기 링(66)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작동부(68)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2)은 드럼(4)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바디(62a)와, 하우징바디(62a)의 개구된 일측을 덮는 커버인 하우징커버(62b)로 구비된다.
상기 수용공간(622)은 하우징(62) 내부에 원형궤도로 형성되며, 밸런싱유닛(64)이 이동하는 공간으로 원형의 폐곡선을 이룬다. 수용공간(622)의 형상은 반지름이 일정한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지름이 달라지는 타원 궤도로 이뤄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용공간(622)을 이루는 하우징(62)은 제1원면(622a)과, 제1원면(622a)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원면(622b)과, 드럼(4)에 접하고 제1원면(622a)과 제2원면(62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측면(622d)과, 제2측면(622d)의 맞은편으로 제1원면(622a)과 제2원면(622b) 사이를 연결하는 제1측면으로 이뤄진다. 다시 말해, 수용공간(622)은 제1원면(622a), 제2원면, 제1측면, 제2측면이 연결되어 내부에 이루는 공간을 의미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하우징(62)은 수용공간(622)에서 오목하게 구비된 리세스(6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626)는 작동부(68)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드럼(4)의 회전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비된다. 즉, 제2원면(622b)에서 드럼(4)의 회전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리세스(626)가 구비된다.
상기 리세스(626)에는 작동부(68)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작동부(68)가 수용공간(622)에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수용공간(622) 내에서 이동하는 밸런싱유닛(64)의 이동경로를 방해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형궤도를 이루는 수용공간(622)의 내부를 밸런싱유닛(64)은 360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밸런싱유닛(64)은 수용공간을 따라 360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2)은 수용공간(622)에 연통하도록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개구된 하우징개구부(627)를 가지며, 하우징개구부(627)에 작동부(68)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개구부(627)는 제2원면(622b)에 구비되며, 하우징개구부(627)를 이루는 제2원면(622b)의 양단에 작동부(68)가 체결된다. 이 경우, 작동부(68)를 제2원면(622b)에 체결하는 방법으로는 볼트(bolt)를 이용한 볼팅, 접작제를 이용한 접착, 후크(hook) 및 후크홀(hook holl)을 이용한 후크식 등이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리세스(626) 만큼의 부재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하우징에 구비된 작동부(68)의 교체도 용이해 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622)의 제1측면(622c) 및/또는 제2측면에는 상기 링(66)에 구비된 링체결돌기(668)를 가이드 하는 수용공간홈(624) 또는 수용공간돌기(625)가 구비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밸런싱유닛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하우징에서 작동부가 구비된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밸런싱유닛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밸런싱유닛(64)은 상기 수용공간(622) 내부에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수용공간(622)을 타고,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능하게 구비되어 드럼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한다.
밸런싱유닛(64)은 수용공간(622) 내에 1개로 구비될 수 있지만, 효과적으로 드럼(4)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2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밸런싱유닛은 제1밸런싱유닛(64a)과 제2밸런싱유닛(64b)으로 이뤄진다. 다만, 제1밸런싱유닛(64a)과 제2밸런싱유닛(64b)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밸런싱유닛(64)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밸런싱유닛(64)은 밸런싱유닛의 외관을 이루는 유닛바디(642)와, 유닛바디(642)의 양단에 구비된 롤러(644, 6442)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바디(642)의 형상은 즉, 밸런싱유닛의 형상은 수용공간(622)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드럼의 회전축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원호를 이룬다.
상기 유닛바디(642)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뤄진 상부유닛바디(642a)와 하부유닛바디(642b)로 이뤄지며, 나사와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된다.
유닛바디(642)에서는 상기 링(66)이 체결되는 유닛바디체결홀(6422)이 구비된다. 상기 유닛바디체결홀(6422)은 상부유닛바디(642a)와 하부유닛바디(642b)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동일한 형상의 밸런싱유닛(64)을 제1밸런싱유닛(64a)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부유닛바디(642a)에 구비된 유닛바디체결홀(6422)에 링(66)을 체결하고, 제2밸런싱유닛(64b)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하부유닛바디(642b)에 구비된 유닛바디체결홀(6422)에 링을 체결한다.
밸런싱유닛(64)은 링(66)의 외주면에 연결되는데, 링(66)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링체결돌기(668)가 상기 유닛바디체결홀(6422)에 끼워져 고정된다.(도 4 참조) 다만, 반대로 체결돌기를 밸런싱유닛에 구비하고 체결홀은 링에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유닛바디(642)의 내부에는 드럼(4)에 저장된 의류의 불균형한 질량분포을 보상할 수 있는 무게를 가지는 무게더미(646)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더미(646)의 무게를 달리 하여 제품에 따라 드럼(4)의 불균형한 질량분포를 달리 보상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무게더미(646)는 밸런싱유닛(64)의 중심부에 무게중심이 구비될 수 있도록 양쪽에 대칭하여 구비된다. 한편, 상기 무게더미(646)는 밸런싱유닛(64)의 양단보다는 중심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런싱유닛(64)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밸런싱유닛에 구비된 자성체(64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성체는 유닛바디(642)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648)는 일방향으로만 자기장이 분포하고, 외부 자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일측이 개구된 자성체박스(6482)를 구비하고, 자성체박스(6482) 내부에 구비되어 개구된 방향을 향해 N극 또는 S극을 가지도록 영구자석(6484)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1밸런싱유닛(64a) 및 제2밸런싱유닛(64b)의 자성의 방향을 달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밸런싱유닛(64a)의 자성체(648)가 N극의 자기장을 띄면, 제2밸런싱유닛(64b)의 자성체(648)는 S극의 자기장을 띄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상기 자성체(648)의 자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브(2) 또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센싱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7)는 자성의 N극과 S극을 구분할 수 있는 홀센서(Hall Sensor)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싱부(7)는 밸런싱유닛(64)이 이동하는 수용공간(622)과 비슷한/동일한 높이로 터브(2) 또는 캐비닛(1)에 구비하는게 바람직하다.(도 1 참조)
따라서, 제1밸런싱유닛(64a)과 제2밸런싱유닛(64b)이 수용공간(622) 내부를 회전할 때 각각의 밸런싱유닛(64)에 구비된 자성의 극성을 홀센서로 판단하여 제1밸런싱유닛(64a)과 제2밸런싱유닛(64b)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622)의 측면과 밸런싱유닛(64)을 이격시키기 위하여 밸런싱유닛(64) 또는 수용공간(622)의 측면에 간격유지부(649)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622)의 측면은 제1측면(622c)과 제2측면(622d)을 말한다. 도 7에서는 상기 간격유지부(649)가 유닛바디(642)에 구비된 보조휠(6492)로 이뤄지는 경우, 유닛바디(642)에 구비된 간격유지 띠(6496)로 이뤄지는 경우, 유닛바디(642)에 구비된 간격유지 돌기(6494)로 이뤄지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 간격유지 띠(6496)의 경우에는 원호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밸런싱유닛(64)은 제1측면(622c)과 제2측면(622d)에서 간격유지부(649)에 의해 이격되어 회전하게 된다. 특히 보조휠(6492)로 구비된 경우 밸런싱유닛(6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한편, 상기 밸런싱유닛(64)의 재질은 드럼(4)의 회전에 따라 수용공간(622)의 내부에서 회전해야 하므로 소정의 경도를 가져야 한다. 그래야만 드럼의 진동을 견디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644, 6442)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밸런싱유닛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밸런싱유닛의 양단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밸런싱유닛(64)은 하우징(62)의 제1원면(622a)에 접촉하면서 수용공간의 내부를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밸런싱유닛(64)은 드럼(4)의 회전이 소정속도 이하에서는 상기 밸런싱유닛(64)의 양단에 구비된 롤러(644, 6442)에 의해 수용공간(622) 내부를 회전하여 드럼(4)의 불균형한 질량분포를 보상하여 관성모멘트를 허용범위 내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밸런싱유닛(64)은 드럼(4)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에서는 밸런싱유닛(64)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밸런싱유닛(64)의 중심쪽이 하우징(62)의 제1원면(622a)에 접촉하게 되어 고정된다. 즉, 밸런싱유닛(64)이 원심력을 받는 경우 밸런싱유닛(64)과 수용공간의 일면이 면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드럼(4)의 진동이 과도상태 진동(드럼(4)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 이하인 상태)에서는 밸런싱유닛(64)을 이동시켜 언밸런스 상태를 해소하며, 드럼(4)의 진동이 정상상태 진동(드럼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인 상태)에서는 어느 정도 얼밸런스 상태가 해소된 상태이므로 밸런싱유닛(64)을 드럼(4)과 일체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하여 밸런싱유닛(64)의 무게중심은 밸런싱유닛(64)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또는, 이를 위하여 밸런싱유닛(64)의 길이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를 위하여 밸런싱유닛(64)은 휘어질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다시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링(66)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링(66)은 밸런싱유닛(64)에 연결되어 밸런싱유닛(64)을 이동시킨다. 상기 링(66)은 상기 수용공간(622)에 구비되며, 밸런싱유닛(64)과 함께 수용공간(622)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밸런싱유닛(64)은 동력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링(66)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링(66)을 회전시켜 밸런싱유닛(64)을 수용공간(622) 내부에서 이동시켜서 드럼(4)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한다.
상기 링(66)은 폐곡선(Closed curve)을 형성하는 원형으로 구비된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링(66)은 개방곡선(open curve)으로 형성된 원호의 일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링(66)은 O 또는 C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66)은 드럼(4)의 불균형한 질량분포를 해소하기 위하여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밸런싱유닛(64)을 고정하고, 작동부(68)에 의해 수용공간(622) 내부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수용공간(622) 내부에서 회전하는 링(66)이 강도가 약해 형상이 변화하면, 수용공간(622)을 이루는 하우징(62)의 내부면과 부딪혀 파손되거나 밸런싱유닛(64)이 이동 중 멈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밸런싱유닛(64)의 이동 및/또는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 strength)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링(66)의 재질은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링(66)은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1링(66a)과 , 제1링(66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링(66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링(66a)에는 제1밸런싱유닛(64a)이 연결되며, 제2링(66b)에는 제2밸런싱유닛(64b)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링(66a)에 구비된 링체결돌기(668)는 제1밸런싱유닛(64a)의 상부유닛바디(642a)에 구비된 유닛바디체결홀(642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2링(66b)에 구비된 링체결돌기(668)는 제2밸런싱유닛(64b)의 하부유닛바디(642b)에 구비된 유닛바디체결홀(642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밸런싱유닛(64)의 크기를 수용공간(622)에 모두 채울 수 있다.
한편, 상기 링(66)은 수용공간(622)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링(66)의 강도 보다 큰 외력이 밸런싱유닛(64)에 의해 발생하면 링(66)의 외형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링(66)의 형상이 변형되면 작동부(68)에 의해 회전이 원활하게 되지 않거나 밸런싱유닛(64)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상기 링(66)은 링가이드돌기(664) 및/또는 링가이드홈(666)을 구비하며, 상기 링가이드돌기(664) 및/또는 링가이드홈(66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수용공간(622)에 구비되는 수용공간홈(624) 및/또는 수용공간돌기(6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66a)의 상부에 링가이드돌기(664)를 구비하고, 제1링의 하부에 링가이드홈(666)을 구비하고, 제2링(66b)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하여 제2링(66b)의 링가이드돌기(664)가 제1링(66a)의 링가이드홈(666)에 맞물리게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링(66a)의 링가이드돌기(664)가 가이드되어 고정될 수 있게 수용공간(622), 즉 제1측면(622c)에 수용공간홈(624)을 구비하고, 상기 제2링(66b)의 링가이드홈(666)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수용공간(622), 즉 제2측면(622d)에 수용공간돌기(625)를 구비할 수 있다.
비록, 도 8에서는 링(66)의 상부 일측에 링가이드돌기(664)를 구비하였지만, 다른 예에서는 링(66)의 상부 중심에 링가이드돌기(66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링(66)의 하부 일측에 링가이드홈(666)을 구비하였지만, 다른 예에서는 링의 하부 중심에 링가이드홈(66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 참조)
한편, 상기 링(66)은 표면에 기어이빨(662)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68)에 구비된 회전기어(6842, 6862)에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작동부의 회전기어(6842, 6862)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기어이빨(662)을 구비한 링(66)도 회전하게 되며, 밸런싱유닛(64)도 수용공간(622)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링(66)의 내주면에 기어이빨(662)을 구비하며, 즉 링(66)은 내기어로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작동부(68)가 하우징(62)의 제2원면(622b)에 구비되고, 작동부(68)의 회전기어(6842, 6862)에 맞물려 회전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링(66)은 작동부(68)의 회전기어(6842, 6862)에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체인(미도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링(66)의 표면의 거칠기를 크게 하여 작동부(68)의 회전기어의 표면과 마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밸런싱유닛(64)의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링(66)을 내기어 또는 체인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투시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작동부(68)는 링(66)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용공간(622) 밖에 구비된다. 즉, 수용공간(622) 내부를 이동하는 밸런싱유닛(64)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용공간 외부에 구비된다. 그래야만, 상기 밸런싱유닛(64)은 수용공간(622) 내부에서 드럼(4)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수용공간(622)은 하우징(62)의 제1원면(622a), 제2원면(622b), 제1측면(622c), 제2측면(622d)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작동부(68)는 제2원면(622b)에 내주면(제2원면의 양면에서 드럼의 회전축을 바라보는 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68)를 제1원면(622a)이 아닌 제2원면에 구비하는 이유는 드럼의 회전축에서 가깝게 구비해야 작동부(68)가 설치되므로 생기는 드럼의 관성모멘트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하였지만, 작동부(68)는 하우징(62)에 구비된 리세스(626)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62)의 내부에 구비되며, 수용공간(622) 외부에 구비된다. 또는 상기 작동부(68)는 하우징(62)에 구비된 하우징개구부(627)에 작동부(68)의 양단을 하우징(62)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즉, 하우징(62)의 외부에 구비되며, 수용공간(622) 외부에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68)는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88a, 688b)와, 상기 모터(688a, 688b)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6842, 686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기어(6842, 6862)에 구비된 이빨에 상기 링(66)은 맞물려 이동하며, 이 경우, 링(66)은 내기어 또는 체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부(68)의 회전기어(6842, 6862)가 링(66)과 맞물려지기 위하여 상기 회전기어(6842, 6862)는 상기 수용공간(622)에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68)는 하우징(62)에 결합의 용이성을 위하여 모터(688a, 688b)와 회전기어(6842, 6862)가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부하우징(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하우징(62)은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직경이 다른 2개의 원에서 동일한 소정 각도의 원호가 연결된 모양을 말한다. 이는 드럼전면(44)에는 제3투입구(442)가 구비되야 하며, 드럼후면(46)에는 드럼의 회전축(56)이 구비되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하우징(62)에는 외주 전력이 공급될수 있는 전력공급소켓(6822)이 구비된다. 따라서 모터(688a, 688b)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작동부(68)는 제1링(66a)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1모터(688a)와, 제1회전기어(6842)를 포함하며, 제2링(66b)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2모터(688b)와 , 제2회전기어(686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모터(688a)와 제2모터(688b)를 각각 제어하여 제1밸런싱유닛(64a)과 제2밸런싱유닛(64b)의 이동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어(6842)는 제1모터(688a)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1모터기어(6846)에 1차적으로 맞물리는 제1a회전기어(6842a), 제1a회전기어(6842a)에 맞물리는 제1b회전기어, 제1b회전기어(6842b)에 맞물리는 제1c회전기어(6842c), 제1c회전기어(6842c)에 맞물리는 제1d회전기어(6842d)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4개의 회전기어로 구비되어 있지만 그 수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제1회전기어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기어와, 회전력을 전달하는 능동기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피동기어의 직경은 능동기어의 직경 보다 크게 구비된다. 다만, 제1링에 맞물리는 마지막 제1회전기어, 제1d회전기어(6842d)는 피동기어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고, 회전력을 제1링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1모터의 회전속도가 작더라도 마지막 제1회전기어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어(6862)에 대한 설명도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모터(688b)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모터기어(6866)가 구비되고, 제2회전기어(6862)는 제2a회전기어(6862a)와, 제2b회전기어(6862b)와, 제2c회전기어(6862c)와, 제2d회전기어(6862d)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회전기어(6842)와 제2회전기어(6862)의 높이는 다르게 구비된다. 왜냐하면, 제1링(66a)이 상부에 구비되고, 제2링이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즉 드럼(4)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비한다. 여기서 제1회전기어(6842)와 제2회전기어(6862)의 높이란 수용공간(622)에 돌출되는 마지막 회전기어의 이빨의 높이를 말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68)의 무게에 의해 드럼에 생기는 편심(작동부의 무게에 의해 드럼의 질량분포가 불균형될 수 있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형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형추(미도시)는 작동부(68)가 설치되는 하우징(62)의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의 제2원면(622b)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형추(미도시)는 작동부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는 본 발명의 밸런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밸런서의 다른 예인 도 11의 밸런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밸런서(6)의 다른 예에서 드럼(4)에 고정되는 하우징(62)은 내부에 제1격벽(622e)에 의해 제1수용공간(6222)과 제2수용공간(6223)으로 구획된다.
상기 제1수용공간(6222) 내부에는 드럼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하는 제1밸런싱유닛(64a) 및 제1밸런싱유닛(64a)에 연결되는 제1링(66a)이 구비된다. 또한, 제2수용공간(6223) 내부에는 드럼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하는 제2밸런싱유닛(64b) 및 제2밸런싱유닛(64b)이 연결되는 제2링(66b)이 구비된다.
상기 제2링(66b)의 직경은 제1링(66a)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된다. 제1링(66a)과 제2링(66b)은 모두 원형으로 구비되며, 동심원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1밸런싱유닛(64a)은 드럼의 회전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제2밸런싱유닛(64b)은 제1밸런싱유닛(64a)에 비하여 드럼의 회전축에 가깝게 구비된다.
제1밸런싱유닛(64a)과 제2밸런싱유닛(64b)은 서로 드럼의 회전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르므로 관성모멘트를 보상하여 주기 위하여 제1밸런싱유닛(64a)의 무게는 제2밸런싱유닛(64b)의 무게에 비하여 가볍게 구비된다.
상기 제1링(66a)과 제2링(66b)은 각각 작동부(68)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다. 상기 제2링(66b)의 경우는 밸런서(6)의 일 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제2모터(688b)에서 회전력을 생성하면, 제2회전기어(6862)가 제2링(66b)의 내기어에 맞물려 회전하고, 제2링(66b)은 제2수용공간(622) 내부에서 제2밸런싱유닛(64b)과 함께 이동한다.
한편, 제1링(66a)의 경우에는 작동부(68)로부터 회전력을 제1링(66a)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연동기어(687)를 구비한다. 이는 제1링(66a)이 작동부(68)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연동기어(687)는 작동부(68)의 제1회전기어(6842)에 맞물려 회전하며, 회전하는 연동기어(687)는 제1링(66a)의 내기어에 맞물려 제1링(66a)을 회전시키고, 제1밸런싱유닛(64a)도 회전시킨다.
상기 연동기어(687)은 하우징(62)의 내부에 구비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62)의 외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스파이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스파이더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스파이더의 단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드럼의 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드럼의 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작동부연결선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더의 분해사시도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전방밸런서 및 후방밸런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밸런서(6)의 작동부(6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8)를 더 포함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공급부(8)는 외부 전력원(824)에 연결된 제1공급부(82)와 상기 제1공급부(82)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되 작동부(6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공급부(8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부(82)는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바디(822)와, 상기 제1바디(822)에 구비되며,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전도체로 구비된 제1접촉부(826)를 포함하고, 제1접촉부(826)는 외부 전력원(824)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1바디(822)는 회전축(56)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접촉부(826)는 제1바디(822)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56)이 회전하더라도 회전축(56)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2접촉부(8422)에 지속적으로 전기적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공급부(84)는 회전축(56)에 구비되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바디(8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바디(842)는 전도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접촉부(826)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받으며, 자세히는 후술할 축관통홀(562) 내부에 구비된 축연결선(8442)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바디(842)는 회전축(56)의 외주면에서 제1접촉부(826)와 접촉하며, 제2바디(842)의 일부가 축관통홀(562)에 삽입되어 축연결선(8442)에 연결된다.
상기 제2바디(842)의 다른 예에서는 제2바디(842) 자체를 전도체로 구비하는 대신에 상기 제1접촉부(826)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전도체로 이뤄져 제2바디(842)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2접촉부(8422)와, 축관통홀(562)에 삽입되어 축연결선(8442)에 연결되는 전도체인 제3접촉부(8424)와, 제2접촉부(8422)와 제3접촉부(8424)를 연결하는 접촉부연결선(84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842)는 회전축(56)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2바디(842)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회전축(56)의 외주면에도 나사산을 구비하여 제2바디(842)를 회전축(56)의 외주면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56)은 내부에 중공으로 이뤄진 축관통홀(562)과, 상기 축관통홀(562) 내부에 구비된 축연결선(8442)을 포함하며, 상기 축연결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바디(842) 또는 제3접촉부(8424)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으며, 후술할 제1연결선(846)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제1연결선(846)은 후방밸런서(6b)의 작동부(68)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며, 전방밸런서(6a)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1연결선(846)은 제2연결선(866)에 연결되고, 제2연결선(866)은 전방밸런서(6a)의 작동부(68)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축연결선, 제1연결선, 제2연결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단락지었지만, 실제로는 후방밸런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제1선(미도시), 전방밸런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제2선(미도시)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축관통홀(562) 내부로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축관통홀(562)에 축연결선(844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축관통홀(562)의 내부에 축소켓(84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축소켓(844)의 내부에 축연결선(8442)을 구비하고, 양단에는 소켓 형태로 구비되어 조립의 용이성을 돕는다.
상기 축연결선(8442)은 전방밸런서(6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방축연결선(8442a)과 후방밸런서(6b)에 전력을 공급하는 후방축연결선(8442b)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 4가닥의 전선(여기서 전선은 전류가 일 방향으로 흐르는 전도체를 말한다.)으로 구비된다. 왜냐하면, 하나의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2가닥의 전선이 필요하고, 밸런서 하나에는 2개의 모터가 있으므로 전방밸런서 또는 후방밸런서에는 각가 4가닥의 전선이 필요하다.
상기 제1연결선(846)의 일단은 상기 축소켓(844)의 끝단에 구비된 소켓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a연결선단자(8462)를 포함하며, 타단은 후방밸런서(6b)와 전방밸런서(6a)로 분지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제1b연결선단자(8464)와 제1c연결선단자(8466)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선(846)은 상기 스파이더(58)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선(846)은 하나의 스파이더다리(584)의 일측에 고정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선(846)은 작동부(68)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작동부하우징(62)에 구비된 전력공급소켓(6822)에 연결된다.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제1연결선(846)의 타단에 구비된 제1b연결선단자(8464)와 작동부하우징(62)에 구비된 전력공급소켓(6822)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부연결선(8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연결선(848)는 총 4가닥의 전선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2가닥 전선은 2개의 모터에 각각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밸런서(6a)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1연결선(846)과 전방밸런서(6a)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선(86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선(866)은 상기 제1c연결선단자(8466)에 연결되고, 전방밸런서(6a)에 구비된 작동부(68)에 연결된다. 이 경우도 도 15(b)와 같이,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부연결선(848)으로 제2연결선(866)과 작동부하우징(62)에 구비된 전력공급소켓(682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연결선(866)은 드럼(4)의 외주면에 구비되므로 드럼의 회전으로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럼(4)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제2연결선(866)을 보호하는 와이어가이더(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어이가이더(86)는 드럼(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드럼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가이더바디(862)와, 가이더바디(862)의 내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고정리브(86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선(866)은 상기 고정리브(864)에 고정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2연결선이 드럼의 외주면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4)은, 즉 드럼통(42)과 드럼후면(46)(또는 드럼전면(44))을 관통하는 제3드럼관통홀(422)을 구비하고, 상기 제3드럼관통홀(422)에 연통하는 상기 하우징(62)의 하우징체결돌기(628)에 구비된 제2연결선관통홀(6281)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연결선(866)은 제3드럼관통홀(422), 제2연결선관통홀(6281)을 차례로 나서 드럼의 후면에서는 제1연결선(846)에 연결되고, 드럼의 전면에서는 전방밸런서(6a)의 작동부에 연결된다. 즉, 드럼의 드럼통의 외주면에 제2연결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의 전면이나 후면에서만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더의 다른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더의 다른예의 설치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더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전방밸런서(6a)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연결선(866)을 드럼의 외주면에 구비하여 회전하는 드럼(4)과 고정된 터브의 내주면 사이에서 제2연결선(866)이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럼(4)의 외주면에 전선과 같은 와이어(wire)의 소재를 사용하기 않은 와이어가이더(86)의 다른 예를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가이더(86)의 다른 예는 부도체이며, 드럼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가이더바디(862)와, 가이더바디(862) 내부에 구비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체로 구비된 전도체(미도시)와, 상기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이더바디(862)의 양단에 구비된 가이더단자(866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더 단자는 드럼(4) 또는 밸런서의 하우징(62)에 구비된 전력소켓홀(629)에 삽입된다. 상기 전력소켓홀(629)은 드럼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가이더(86)는 전력소켓홀(629)에 가이더단자(8666)가 삽입된 것만으로도 드럼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전력소켓홀(629)은 내부로 연결되어 가이더단자(866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제1c연결선단자에 연결되는 전력소켓전선(629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더단자(8666)가 전력소켓홀(629)에 삽입된 것만으로 제1c연결선단자, 와이어가이더, 전방밸런서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1 도어12 제1투입구122
가스켓124 터브2 제2투입구22
스프링24 댐퍼26 급배수부3
급수관31 배수관36 드럼4
드럼통42 드럼전면44 제3투입구442
드럼후면46 제1드럼체결홀480 제2드럼체결홀482
제3드럼관통홀484 구동부5 스테이터52
로터54 회전축56 축관통홀562
스파이더58 스파이더코어582 스파이더다리584
밸런서6 하우징62 수용공간622
제1원면622a 제2원면622b 제1측면622c
제2측면622d 제1격벽622e 리세스626
하우징개구부627 하우징체결돌기628 하우징체결홀6282
제2연결선관통홀6281전력소켓홀629 전력소켓전선6291
밸런싱유닛64 유닛바디642 유닛바디체결홀6422
롤러644, 6442 무게더미646 자성체648
간격유지부649 보조휠6492 링66
제1링66a 제2링66b 기어이빨662
작동부68 작동부하우징682 전력공급소켓6822
제1회전기어6842 제1모터기어6846 제2회전기어6862
제2모터기어6866 연동기어687 제1모터688a
제2모터688b 센싱부7 전력공급부8
제1공급부82 제1바디822 제1접촉부826
젼력원824 제2공급부84 제2바디842
제2접촉부8422 접촉부연결선8423 제3접촉부8424
축연결선8442 제1연결선846 작동부연결선848
와이어가이더86 가이더바디862 고정리브864
제2연결선866 가이더단자8666

Claims (18)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폐곡선을 형성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언밸런싱 상태를 해소하는 밸런싱유닛과;
    상기 밸런싱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런싱유닛에 연결된 링과;
    상기 링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 밖에 구비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원면과; 상기 제1원면보다 직경이 작은 제2원면;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원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리세스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개구된 하우징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개구부에 상기 작동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려 상기 링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의 이빨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링의 내주면에 기어이빨을 구비한 내기어로 구비되며, 상기 내기어는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제1링과 상기 제1링의 하부에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2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링에는 제1밸런싱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제2링에는 제2밸런싱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제1링과 상기 제1링의 다른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2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링에는 제1밸런싱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제2링에는 제2밸런싱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와 제1회전기어 및;
    상기 제2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와 제2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기어와 상기 제2회전기어는 서로 다른 높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회전기어의 이빨에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체인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무게에 의해 상기 드럼에 생기는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평형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는 상기 작동부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구비된 축관통홀과;
    상기 축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어 전력을상기 작동부에 공급하는 축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선을 내부에 포함하고, 양단에서 상기 축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축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소켓은 상기 축관통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축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바디와;
    전력원에 연결되며, 회전하는 상기 제2바디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109621A 2015-08-03 2015-08-03 의류처리장치 KR10239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21A KR102390033B1 (ko) 2015-08-03 2015-08-03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08398 WO2017023046A1 (ko) 2015-08-03 2016-07-29 의류처리장치
US15/749,958 US10801152B2 (en) 2015-08-03 2016-07-29 Clothes processing device
EP16833282.3A EP3333301B1 (en) 2015-08-03 2016-07-29 Clothes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21A KR102390033B1 (ko) 2015-08-03 2015-08-0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185A true KR20170016185A (ko) 2017-02-13
KR102390033B1 KR102390033B1 (ko) 2022-04-25

Family

ID=5815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21A KR102390033B1 (ko) 2015-08-03 2015-08-0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0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061A (ko) * 2011-07-27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그 밸런서
US20130133475A1 (en) * 2010-08-13 2013-05-30 Safedin Zelic Annular auto-balancing mechanism
KR20130137513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 밸런서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3475A1 (en) * 2010-08-13 2013-05-30 Safedin Zelic Annular auto-balancing mechanism
KR20130013061A (ko) * 2011-07-27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그 밸런서
KR20130137513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 밸런서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033B1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301B1 (en) Clothes processing device
EP295657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955263B1 (en) Laundry machine
RU2585711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JP6396509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10044537A (ko) 세탁기와 그 밸런서
KR102218909B1 (ko) 의류처리장치
CN114846194B (zh) 具有动态平衡组件的洗衣设备
KR20130114478A (ko) 세탁기
KR20130114482A (ko) 세탁기
KR20150052454A (ko) 밸런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2329421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80044836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700161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6184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305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78446B1 (ko) 세탁기
KR102218911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207310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N114846193B (zh) 无悬架式洗衣设备和平衡洗衣设备的方法
US11091869B2 (en)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KR20220031350A (ko) 의류처리장치
KR20070115288A (ko) 드럼세탁기
KR102218910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