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951A -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951A
KR20170015951A KR1020170013844A KR20170013844A KR20170015951A KR 20170015951 A KR20170015951 A KR 20170015951A KR 1020170013844 A KR1020170013844 A KR 1020170013844A KR 20170013844 A KR20170013844 A KR 20170013844A KR 20170015951 A KR20170015951 A KR 2017001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needles
high frequency
handpiec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614B1 (ko
Inventor
고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7001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6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 일측에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복수개의 니들 및 상기 복수개의 니들의 출몰 방향 상에 배치되며, 피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는 복수개의 니들이 환자의 피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니들이 삽입되기 전 피부의 장력을 조절하여 기존 복수개의 니들을 삽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HIGH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USING IT}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고주파전류가 체내에서 통전되도록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전류가 체내에서 통전되면, 인체조직에는 심부열이 발생된다. 심부열은 고주파의 전기에너지에 의해 인체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회전운동, 뒤틀림, 충돌운동 등에 의해 발생되는 생체열이다.
최근에는 여드름 치료, 모공 축소, 주름 제거, 흉터 제거 등의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이크로니들을 전극으로 사용하는 고주파 치료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장치는 마이크로니들이 표피층의 일부, 또는 전체를 통과하여 진피층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고주파 치료장치는 진피층에서도 고주파전류가 원활하게 통전되도록 하여 치료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하는 고주파 치료장치는 수많은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동시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니들의 직경이 아무리 미세하다 하더라도 수많은 마이크로니들이 동시에 피부에 삽입되면, 피부의 표면저항에 따라 마이크로니들이 원활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많은 마이크로니들이 동시에 피부에 삽입될 때, 그에 따른 통증이 배가되어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치료 중에 유발되는 통증은 고주파 치료장치의 뛰어난 치료 효과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치료받기를 꺼려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192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피부 장력을 일정치 값까지 도달하도록 하여, 복수개의 니들 삽입시 통증이 완화되도록 한 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 일측에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복수개의 니들; 및 상기 복수개의 니들의 출몰 방향 상에 배치되며, 피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기 전, 피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생성되도록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피부에 가압하는 힘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따른 상기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에 도달하는 경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따른 상기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을 가지면,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피부에 삽입되도록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핸드피스 단부면 및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출몰하는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거나,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관통하는 관통홀 외부 테두리 면에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면은 소정의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가압부를 형성하는 테두리 면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생성되도록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피부에 가압하는 힘은 1N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피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부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복수개의 니들로 상기 고주파전류가 공급하도록 전류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개의 니들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가압하는 가압량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변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삽입된 니들의 변위를 센싱하는 변위 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 측정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니들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판의 구동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 상기 복수개의 니들의 이동 변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피스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부가 필요한 장력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피부를 흡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착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흡입된 피부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착홀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과 나란한 방향 또는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안착된 피부가 편평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피부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는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진기; 상기 고주파발진기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핸드피스; 상기 공급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복수개의 니들; 및 상기 복수개의 니들의 출몰 방향 상에 배치되며, 피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부의 장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방법은 핸드피스의 가압부가 피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 상기 가해진 압력에 따라 피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을 가지면, 복수개의 니들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피부에 삽입되도록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해진 압력에 따라 피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생성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피부에 가압하는 힘을 센싱부가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피부에 가압하는 힘을 센싱부가 센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센싱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에 도달하는 경우 사용자가 인실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피스의 가압부가 피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핸드피스 단부에 배치된 흡착홀이 상기 피부가 필요한 장력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피부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피부에 삽입시, 상기 복수개의 니들의 이동 변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는 복수개의 니들이 환자의 피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니들이 삽입되기 전 피부의 장력을 조절하여 기존 복수개의 니들이 동시에 삽입될 때에 비해 복수개의 니들을 삽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상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상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상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 중 니들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 및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 및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10)는 고주파발진기(100), 핸드피스(200), 복수개의 니들(300), 가압부(400) 및 공급라인(900)을 포함한다.
고주파발진기(100)는 치료에 필요한 주파수의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킨다. 고주파발진기(100)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전류는 환자의 체질,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그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치료에 사용되는 고주파전류는 주파수가 0.1 내지 0.8MHz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발진기(100)에는 전원의 온/오프 스위치(110)와, 고주파전류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주파수조절레버(120)와, 고주파 치료장치(10)에 대한 전반적인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130)이 설치될 수 있다.
핸드피스(200)의 내부에는 니들조절부재(210)가 설치된다. 니들조절부재(210)는 출력단(230)을 선형 이송시켜 가압부(400)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니들(300)이 환자의 피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니들조절부재(210)는 출력단(230)을 선형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유/공압실린더 등과 같은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핸드피스(200)의 외벽에는 변위조절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다. 변위조절부재(220)는 출력단(230)의 이송거리가 조절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핸드피스(200)는 고주파발진기(100)로부터 인출되는 공급라인(900)에 연결된다. 공급라인(900)은 고주파발진기(100)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전류를 복수개의 니들(300)로 공급하며, 복수개의 니들(300)을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전원을 니들조절부재(210) 및 복수개의 니들(300)이 삽입되기 전 덮개부 외측 또는 단턱에 형성된 가압부(400)에 각각 공급한다. 고주파전류는 금속선의 표면파 형태로 도체를 따라 전파된다.
따라서 공급라인(130)은 절연피복으로 금속선을 감싼 도선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240)는 핸드피스(200) 하단으로부터 탈착가능하다. 즉, 베이스(240)의 외벽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탈착돌기(241)가 형성된다. 핸드피스(200) 하단에는 탈착돌기(241)를 안내하는 가이드홈(243)과, 가이드홈(243)에 연통되어 가이드홈(243)을 따라 안내되는 탈착돌기(241)가 핸드피스(20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244)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상부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상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드피스 상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주파 치료장치(10)는 핸드피스(200), 상기 핸드피스(200) 일측에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복수개의 니들(300) 및 복수개의 니들(300)의 출몰 방향 상에 배치되며,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피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가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되기 전, 피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생성되도록 가압부(400)가 피부에 가압하는 힘을 센싱하는 센싱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400)는 피부와 핸드피스(200)가 접촉되는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핸드피스(200)의 단부면 및 복수개의 니들(300)이 출몰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400)는 편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피부를 접촉하고 일정 이상의 힘을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400)에서 피부에 가압하는 힘은 환자의 피부상태마다 다르게 적용가능하고, 피부에 일정 이상의 크기의 장력이 생성되기 위하여 적어도 1N 이상의 힘을 가할 수 있다.
가압부(400)는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피부에 접촉하며 피부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바로 삽입되기 위해선 많은 힘이 요구되며, 이러한 힘이 피부에 가해지면 환자에게 많은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1차적으로 피부를 눌러주면서 피부의 장력을 높여 환자의 통증을 줄여줄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가압부(400)는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면서 복수개의 니들(300)이 수월하게 피부에 삽입되어 치료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피부를 가압하여 피부의 장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압부(400) 상단부는 코킹 접합 등에 의하여 핸드피스(200) 상단부와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0)는 탄성력 있는 피부가 기울어지거나 굴곡을 형성함에 따라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 될 수 있도록, 경사를 형성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는 실리콘 고무 블록,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면, 가압부(400)는 복수개의 니들(300)이 관통하는 관통홀(310) 외부 테두리 면에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면은 소정의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압부(400)는 핸드피스(200)의 피부와 접촉하는 단부 외측에 원형의 고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가압부(400)는 상기 테두리면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510)는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설치되거나, 가압부(400)가 투명한 재질인 경우, 가압부(4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510)라고 명명하고 있으나, 그 외에 피부의 장력을 측정 하거나 피부에 가압하는 압력 및 감압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압력센서(510)는 신호검출원리에 따라 변위변환형, 물리변환형, 힘평형형, 진동식 또는 자이로식의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 및 4에서 가압부(400)의 형상을 두 개의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피부를 접촉하면서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500)는 가압부(400) 하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며, 피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생성되도록 가압부(400)가 피부에 가압하는 힘을 센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400)의 가압에 따라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신호를 표시부(600) 또는 제어부(700)에 전달한다.
표시부(600)는 가압부(400)의 가압에 따른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도 도달하는 경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600)는 핸드피스(200) 외면에 배치되거나 고주파발진기(100) 외면에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600)에 나타난 수치를 확인한 사용자는 가압부(400)를 통해 추가적으로 피부에 대한 가압 또는 감압 여부를 결정한 이후에 니들(300)을 피부에 삽입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가압부(400)가 피부에 가하는 힘 또는 피부에서 측정되는 장력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시 표시부(600)의 표시하는 것과 더불어 제어부(700)에 신호가 전달되고 복수개의 니들(300)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피부에 삽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니들(300)은 지지판(320)에 결합되어 지지판(3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지지판(320) 및 센싱부(500)는 제어부(7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700)는 센싱부(500)의 신호에 따라 지지판(320)이 상승 또는 하강 여부의 작동을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핸드피스(200) 내부 혹은 고주파발진기(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싱부(500)에 따른 복수개의 니들(300)의 동작 및 이하 설명되는 흡착홀(800)의 진공 흡착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 중 니들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니들(300)로는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각 니들(300)은 지름이 대략 20㎛ 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각 니들(300)은 선단으로부터 대략 0.3mm의 구간이 고주파전류가 피부에서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전극(311)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각 니들(300)은 전극으로부터 대략 200㎛의 구간은 실리콘과 같은 절연재료로 코팅되는 절연부(312)가 형성된다. 절연부(312)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부위 이외의 부위로 고주파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 니들(300)의 내부에는 냉매순환로(313)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순환로(313)는 각 니들(300)의 내부에서 냉각수와 같은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여 각 니들(300) 및 치료부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3내지 5를 참조하면, 지지판(320)의 이면에는 전류커넥터(330)가 설치될 수 있다. 전류커넥터(330)는 고주파발진기(100)로부터 인출되는 공급라인(9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류커넥터(330)는 공급라인(900)의 양극선이 접속되는 양극 커넥터와 공급라인(130)의 음극선이 접속되는 음극 커넥터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320)에는 전기회로가 인쇄될 수 있다. 전기회로(미도시)는 전류커넥터(330)에 공급라인이 접속됨에 따라 복수개의 니들(300)로 고주파전류가 전달되도록 한다. 전기회로는 양극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양극 전기회로와 음극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음극 전기회로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니들(300)은 복수개의 양극 니들과 복수개의 음극 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양극니들과 음극 니들은 피부조직을 통해 통전됨에 따라 심부열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주파 치료장치(10)는 가압부(400)의 일측에 배치되고, 피부가 필요한 장력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피부를 흡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홀(80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홀(800)은 상기 가압부(400)와 동시에 또는 따로 작동할 수 있으며, 피부에 복수개의 니들(300)이 삽입될 경우 피부에 가하는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치료가 필요한 피부의 일정 영역을 끌어당겨 일정 이상의 장력에 해당하는 값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치료가 필요한 피부 영역이 흡착홀(800)에 의하여 흡입으로 편평하게 형성한 상태가 되면, 복수개의 니들(300)은 적은 힘으로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홀(8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면, 흡입된 피부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리세스부(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부(810)는 피부가 직접적으로 안착할 수 있으면서 복수개의 니들(300)이 큰 저항없이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편평한 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착홀(800)은 복수개의 관통홀(31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핸드피스(200) 상단 테두리에 소정 높이의 단턱을 형성하고 관통홀(310)의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흡착홀(800)은 각각의 니들(300)이 삽입될 수 있는 피부 영역을 고르게 흡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흡착홀(800)에 의하여 흡입된 피부의 장력 또는 피부의 가압정도는 흡착홀(800)과 연결되어 배치된 센싱부(500)를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센싱부(500)는 흡착홀(800)이 피부를 흡입함에 따라 피부의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을 가질 경우에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어부(70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센싱부(500)는 흡착홀(800)이 피부를 흡착하는 일정한 값을 감지하고,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어부(70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지지판(320)과 결합된 복수개의 니들(300)의 삽입에 의한 고주파 전류 발생단계는 상기 설명된바 생략한다.
다시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고주파 치료장치(10)는 지지판(320)을 가압하는 가압량에 따라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 즉 니들의 삽입 변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된 니들(300)의 변위를 센싱하는 변위 측정센서(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위 측정센서(340)는 니들(30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측정하도록 지지판(320) 외측에 설치되면, 순차적으로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300)의 깊이를 측정하고,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변위 측정센서(340)에 따른 복수개의 니들(300)조절여부는 제어부(700)로 인하여 자동 설정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핸드피스(200) 외벽에 장착된 변위조절부재(22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 및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첨부되는 도면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핸드피스의 일부만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후에 참조되는 도면에서 참조부호가 기재되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핸드피스(200)를 손에 쥐고, 핸드피스(200) 단부에 설치된 가압부(400)를 환자의 피부(S)에 접촉시킨다.(S10)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111)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한다. 사용자가 환자의 피부(S)를 향하여 힘을 가하게 되면, 가해진 힘과 피부(S)의 탄성력에 의하여 피부(S)에는 일정한 장력이 생성될 수 있다.(S20)
그리고 상기 가압부(400)가 피부(S)에 가압하는 힘을 센싱부(500)가 센싱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가압부(400)에서 가압하는 힘은 적어도 1N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S30) 상기 가압부(400)와 연결된 센싱부(500)는 피부(S)의 장력 값 또는 피부에 가압하는 수치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400)가 피부(S)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센싱부(500)는 지속적인 가압 여부 및 피부 장력 값을 센싱할 수 있다.
이후, 표시부(600)는 상기 센싱부(500)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에 도달하는 경우,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핸드피스(200) 외부면 또는 고주파 발진기(100) 상에 수치 값 또는 램프 등으로 표시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40) 그리고 표시부(600)에서 인식한 값에 따라 복수개의 니들(300)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피부에 삽입되어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S50) 또한, 센싱된 신호에 따라 니들(300)의 삽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700)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600)에서 확인된 표시에 따라 고주파 치료를 실시하도록 니들(300)을 삽입하거나, 상기 센싱값에 따라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되도록 기설정한 경우 제어부(700)에서 자동적으로 니들(300)을 이용한 치료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피부에 삽입시, 상기 이동하는 니들의 변위를 변위 측정센서(340)에서 지속적으로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값에 따라 피부에 삽입되는 상기 복수개의 니들의 이동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S)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피부(S) 또는 가압부(400)의 압력센서가 일정한 수치 값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변위조절부재(220)를 조작하여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되어야 할 깊이를 선택하거나, 기 설정된 값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조절부재(210)로부터 출력단(230)이 전진되며, 출력단(230)은 지지판(320)을 가압한다. 지지판(320)은 가압부(400)를 향해 일정거리만큼 전진되며, 복수개의 니들(300)은 각 관통홀(310)을 관통하여 환자의 피부를 향해 전진된다.
상기 가압부(400)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피부(S)의 장력으로 증가한 상태인바,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되는 힘은 기존에 비하여 상당부분 감소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니들(300)은 환자의 피부(S)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시 기존 복수개의 니들(300)이 동시에 피부(S)로 삽입될 때에 비해 환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므로, 본 발명을 통한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환자의 통증은 완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핸드피스(200)를 손에 쥐고, 핸드피스(200) 단부에 설치된 흡착홀(800)을 환자의 피부(S)에 접촉시킨다.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111)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한다. 사용자는 흡착홀(800)을 작동시키고, 상기 흡착홀(800)에 의하여 상기 피부(S)의 일정 영역이 흡착홀(800)로 흡입되게 되면, 상기 피부(S)는 일정 값의 장력을 형성하면서 흡입된 피부(S)가 안착될 수 있는 리세스부(810)에 편평한 상태, 즉 니들(300)이 삽입되기에 최소한의 힘을 필요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500)는 본 리세스부(810)에 놓인 피부(S)의 장력 값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표시부(600)는 상기 센싱부(500)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피부의 장력이 일정 이상의 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핸드피스(200) 외부면 또는 고주파 발진기(100) 상에 표시되는 단계가 진행된다. 그리고 표시부(600)에서 인식한 값에 따라 복수개의 니들(300)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피부에 삽입되어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S50) 또한, 센싱된 신호에 따라 니들(300)의 삽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700)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600)에서 확인된 표시에 따라 고주파 치료를 실시하도록 니들(300)을 삽입하거나, 상기 센싱값에 따라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되도록 기설정한 경우 제어부(700)에서 자동적으로 니들(300)을 이용한 치료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흡착홀(800)에 의하여 환자의 피부(S)가 흡입되어 일정한 장력을 형성하면서 리세스부(810)에 안착하게 되면, 사용자는 변위조절부재(220)를 조작하여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되어야 할 깊이를 선택하거나, 기 설정된 값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조절부재(210)으로부터 출력단(230)이 전진되며, 출력단(230)은 지지판(320)을 가압한다. 지지판(320)은 가압부(400)를 향해 일정거리만큼 전진하고, 복수개의 니들(300)은 각 관통홀(310)을 관통하여 환자의 피부(S)를 향해 전진된다.
따라서 상기 일실시예처럼 흡착홀(800)을 이용한 실시예에 따라서도, 피부의 장력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되는 힘을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니들(300)은 환자의 피부(S)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니들(300)이 피부(S)에 삽입시 기존 복수개의 니들(300)이 동시에 피부(S)로 삽입될 때에 비해 환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므로, 복수개의 니들(300)이 피부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고주파 치료장치 : 10 고주파발진기 : 100
온/오프 스위치 : 110 주파수조절레버 : 120
터치스크린 : 130 핸드피스 : 200
니들 : 300 가압부 : 400
센싱부 : 500 압력센서 : 510
표시부 : 600 제어부 : 700
관통홀 : 310 흡착홀 : 800
지지판 : 320 전류커넥터 : 330
변위 측정센서 : 340 리세스부 : 810
공급라인 : 900 니들조절부재 : 210
변위조절부재 : 220 출력단 : 230
베이스 : 240 전극 : 311
절연부 : 312 냉매순환로 : 313

Claims (1)

  1.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 일측에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복수개의 니들;
    상기 복수개의 니들의 출몰 방향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및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기 전, 피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생성되도록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피부에 가압하는 힘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KR1020170013844A 2017-01-31 2017-01-31 고주파 치료장치 KR102192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44A KR102192614B1 (ko) 2017-01-31 2017-01-31 고주파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44A KR102192614B1 (ko) 2017-01-31 2017-01-31 고주파 치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662A Division KR101703290B1 (ko) 2015-02-12 2015-02-12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951A true KR20170015951A (ko) 2017-02-10
KR102192614B1 KR102192614B1 (ko) 2020-12-17

Family

ID=5812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44A KR102192614B1 (ko) 2017-01-31 2017-01-31 고주파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439A3 (ko) * 2018-12-20 2020-08-06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치료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25B1 (ko) * 2023-08-02 2024-01-25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냉매 분사 기능이 겸비된 rf 고주파 기기의 핸드피스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5039A1 (en) * 2005-08-04 2008-09-04 Inolase 2002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hibiting Pain Signals During Vacuum-Assisted Medical Treatments of the Skin
KR20120119249A (ko)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KR20130012805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30137409A (ko) * 2012-06-07 2013-12-17 라종주 피부처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5039A1 (en) * 2005-08-04 2008-09-04 Inolase 2002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hibiting Pain Signals During Vacuum-Assisted Medical Treatments of the Skin
KR20120119249A (ko)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KR20130012805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30137409A (ko) * 2012-06-07 2013-12-17 라종주 피부처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439A3 (ko) * 2018-12-20 2020-08-06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치료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614B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290B1 (ko)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US20180369062A1 (en) Apparatus, tip and method for treating tissue
CN105848589B (zh) 用于处理皮肤的方法和装置
KR101300123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00122B1 (ko)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2118679B1 (ko) 미세전류 및 저주파를 이용한 기능성 마스크팩 장치
KR101188710B1 (ko)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2066046B1 (ko) Rf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치료 방법
AU2019250096B2 (en) Direct stimulation device with improved drive
KR102168547B1 (ko) 미용 기구
KR20170027263A (ko) 피부 미용을 위한 초음파와 미세전류 복합장치
US11439459B2 (e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using same
JP2015039538A (ja) 顔マッサージ機
KR102192614B1 (ko) 고주파 치료장치
KR102151923B1 (ko) 니들 레이저 치료 시스템
JP2002233560A (ja) マッサージ機
KR20190139434A (ko)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20190107955A (ko) 다층 피부 치료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치료기
KR102195322B1 (ko) 미용 기구
KR101304423B1 (ko) 전극침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심부 국소 치료 장치
JP6826272B2 (ja) マッサージプローブ及びマッサージ機
CN108144182B (zh) 电刺激装置和电刺激单元
EP4110260A2 (en) Massage device with negative pressure cavity
JP2006325835A (ja) 干渉波型刺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047364A (ja) 電気刺激装置用電極および電気刺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