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409A - 피부처치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409A
KR20130137409A KR1020120060995A KR20120060995A KR20130137409A KR 20130137409 A KR20130137409 A KR 20130137409A KR 1020120060995 A KR1020120060995 A KR 1020120060995A KR 20120060995 A KR20120060995 A KR 20120060995A KR 20130137409 A KR20130137409 A KR 20130137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ousing
adsorption
air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734B1 (ko
Inventor
라종주
Original Assignee
라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종주 filed Critical 라종주
Priority to KR102012006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73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피부처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는 피부의 표피층을 흡착하는 피부흡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내피나 눈꺼풀, 입술 등과 같이 연한 조직의 피부에도 복수의 침이 표피층을 용이하게 관통하여 진피층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피부의 표피층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켜 진피층에 대한 처치의 효과가 표피층까지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 관통에 의한 출혈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처치장치{APPARATUS FOR TREAT SKIN}
본 발명은 피부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부의 진피에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가하여 피부를 처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표면을 덮고 있는 매우 중요한 보호기관이다. 인체의 피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피층(epidermis, 11), 진피층(dermis, 12) 및 지방조직층(fat layer, 13)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피부(10) 아래에는 근육(20)이나 도시되지 않은 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피부(10)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진피층(12)에는 수분을 비롯하여 단백질, 당질, 뮤코다당류, 무기질, 무기염류 등이 젤리상태로 포함되어 있다. 진피층(12)은 모세혈관 및 림프관 등이 배치된 유두층과, 피부의 주름과 관련된 교원섬유인 콜라겐, 피부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탄력섬유인 엘라스틴 및 기질을 포함하는 망상층으로 구성된다.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1-0057691호 및 제10-2011-0057692호에서, 복수의 침이 진피층(12)에 도달되도록 하고 이 복수의 침을 통하여 진피층(12)에 에너지가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피부의 상태가 개선되도록 하는 라-효과 및 라플러스-효과에 대하여 설명했던 바가 있다.
라-효과 및 라플러스-효과를 진피층(12)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침이 진피층까지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내피(內皮)나 눈꺼풀, 입술 등과 같이 연한 조직의 피부는 복수의 침을 관통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과정에서 그 표면이 변형되기만 하고 복수의 침이 관통하여 들어가지 못하거나, 충분히 관통되지 못하여 복수의 침이 라-효과 또는 라플러스-효과를 부여할 진피층까지 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복수의 침이 진피층까지 충분히 도달되지 못할 경우에는 복수의 침을 통하여 가해지는 에너지가 표피층(11)에 작용되어 표피층(11)이 변성되는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내피'는 소화기, 혈관이나 심장 등과 같은 내강(內腔) 벽을 싸고 있는 조직을 지칭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내피를 포함한 연한 조직의 피부는 표피층(11)의 두께가 얇으므로 복수의 침이 진피층(12)에 충분히 도달된 경우에도 복수의 침을 통하여 전달되는 에너지가 표피층(11)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으며, 복수의 침에 의해 관통된 부분을 통해 출혈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표피층(11)에 가해지는 영향이나 출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표피층(11)의 온도를 낮게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출혈이 발생될 경우 혈액에 의한 감염 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57691호(출원일: 2011.06.14)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57692호(출원일: 2011.06.14)
본 발명은 내피나 눈꺼풀, 입술 등과 같이 연한 조직의 피부에도 복수의 침이 진피층까지 용이하게 도달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피층에 대한 처치가 표피층까지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 관통에 의한 출혈이 감소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혈에 의한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첨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침이 나란하게 분산 결합된 침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침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상기 침모듈을 구동시키는 침 구동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침에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수단과, 일측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급기관과, 일측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관, 상기 공기유동공간 및 상기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동수단을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환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가 상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첨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침이 나란하게 분산 결합된 침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침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상기 침모듈을 구동시키는 침 구동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침에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수단과, 상기 공기유동공간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기관과, 상기 급기관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연결된 공기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은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급기관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급기관, 상기 공기유동공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배기관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급기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상기 공기유동공간 및 상기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공기가 유동되는 피부처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팁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첨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침이 나란하게 분산 결합된 침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침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상기 침모듈을 구동시키는 침 구동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침에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수단과, 일측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 배치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연결된 공기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흡착수단에는 피부와 접하는 방향으로 흡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에는 상기 공기유동공간과 상통하는 하나 이상의 흡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공기가 상기 흡착공, 상기 공기유동공간 및 상기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동수단을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은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상을 갖고, 상기 흡착공은 상기 흡착부의 측면 중 상기 다각형 또는 상기 폐곡선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공은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흡착공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입된 형상을 갖거나,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침모듈과 가까운 부분일수록 상기 피부와 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일측은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지 않는 부분으로 개방되고 타측은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상기 흡착공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공은 상기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침모듈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착공을 거쳐 상기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침모듈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배기관으로 유동되며,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침모듈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처치장치에는 상기 피부흡착수단의 상기 흡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피부와 접하여 표피의 온도를 조절하는 표피온도조절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피온도조절수단은 열전반도체소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부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흡착수단은 상기 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부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흡착수단의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피부에 접촉되는 평판 형상의 흡착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 것들은 상기 흡착판부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 것들을 제외한 것들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절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부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의 타측 및 상기 배기관의 타측이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침은 금속, 세라믹,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부처치장치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거르는 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처치장치에는 상기 배기관에 설치된 여과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여과수단은 물 또는 소독액이 충전된 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물 또는 상기 소독액을 거쳐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부처치장치에는 상기 급기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급기관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부흡착수단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침 중 하나 이상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침모듈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결된 약물용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부의 표피층을 흡착하는 피부흡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내피나 눈꺼풀, 입술 등과 같이 연한 조직의 피부에도 복수의 침이 표피층을 용이하게 관통하여 진피층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부의 표피층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켜 진피층에 대한 처치의 효과가 표피층까지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 관통에 의한 출혈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부에서 출혈이 발생될 경우에도 이로 인한 감염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피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부처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피부처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부처치장치의 저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피부흡착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9는 도 8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피부흡착수단의 종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흡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피부흡착수단의 변형예의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D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0)에는 하우징(110), 침모듈(120), 온도조절수단(131), 급기관(132), 배기관(133), 공기유동수단(134), 전원(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동력전달부재(161), 침 구동수단(165), 피부흡착수단(170),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본체부(111) 및 팁부(112)가 포함될 수 있다.
본체부(111)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장된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여러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팁부(112) 또한 본체부(111)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팁부(112)에는 피부흡착수단(170)이 설치될 수 있다. 피부흡착수단(170)은 일부분이 팁부(1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피부흡착수단(17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침모듈(120)에는 복수의 침(121), 침 고정부재(122) 및 연결부재(123)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침(121)에는 첨단부(尖端部), 즉 첨예하고 날카로운 단부가 각각 형성되고, 침 고정부재(122)에는 복수의 침(121)이 나란하게 분산 결합된다. 이때, 복수의 침(121)은 첨단부가 모두 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가 하우징(110)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침 고정부재(122)의 복수의 침(121)이 결합된 부분의 반대 부분에는 연결부재(123)가 결합 또는 형성된다.
침모듈(120)은 하우징(110)의 일측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침모듈(120)은 복수의 침(121)이 피부흡착수단(170)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피부흡착수단(17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침 고정부재(122)는 피부흡착수단(170)보다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침(121)은 관통공들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도 1에 A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부흡착수단(170)에는 흡착수단본체(171)가 포함된다. 흡착수단본체(171)의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172) 및 복수의 관통공(174)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수단본체(171)에는 평판 형상의 흡착판부(173)가 형성되는데, 이 흡착판부(173)는 하우징(110)의 팁부(112) 외부로 노출되며, 피부(10)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복수의 관통공(174) 중 일부는 흡착판부(173)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흡착수단본체(171) 중 침 고정부재(122)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들 복수의 관통공(174)은 복수의 침(121)의 위치 및 수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침(121)이 복수의 관통공(174)을 각각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174)은 공기유동공간(172)과 상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침 구동수단(165)은 하우징(110)의 본체부(111) 내에 배치된다. 침 구동수단(165) 및 연결부재(123) 사이에는 동력전달부재(161)가 연결된다.
침 구동수단(165)은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161)의 길이방향, 즉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복수의 침(1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동력전달부재(16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61)가 구동되면, 이 구동력은 침모듈(120)의 연결부재(123) 및 침 고정부재(122)를 통하여 복수의 침(121)에 전달되므로, 복수의 침(121)이 관통공(도 6의 174)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하우징(110)의 타측 방향으로 후퇴되는 형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침 구동수단(165)은, 흡착판부(도 6의 173)가 우선 피부(10)에 접하도록 한 후 하우징(110)의 일측 방향으로 복수의 침(121)이 돌출되도록 구동시켜 피부(10) 내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복수의 침(121)을 그 반대로 후퇴시켜 피부(10)에 삽입되어 있던 복수의 침(121)이 피부(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하우징(110)의 본체부(111)를 파지하고 하우징(110)의 일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하우징(11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침(121)이 피부(10)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침 구동수단(165)으로는 모터, 리니어 모터, 전자석, 압전소자 등 동력전달부재(16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고주파 발생수단(160)은 하우징(110)의 본체부(111) 내에 배치된다. 고주파 발생수단(160)은 전력을 공급받아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동력전달부재(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생수단(160)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기에너지는 동력전달부재(161), 연결부재(123) 및 침 고정부재(122)를 거쳐 복수의 침(12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동력전달부재(161), 연결부재(123) 및 복수의 침(121)이 전기에 대한 양도체로 제조되어야 한다.
참고로, 고주파 발생수단(160)은 코일, 진공관,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소자를 이용하여 발진을 하는 것으로, 전력을 공급 받아 고주파의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장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급기관(132)의 일측은 피부흡착수단(17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급기관(132)의 일측은 피부흡착수단(170)의 공기유동공간(도6의 172)과 상통되도록 연결된다. 참고로, 팁부(도 2의 112)가 하우징(도 2의 11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급기관(132)은 피부흡착수단(17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된 급기관(132)의 타측에는 온도조절수단(1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급기관(132)의 타단부에는 흡기구(136)가 형성될 수 있다. 온도조절수단(131)은 흡기구(136)로 유입되는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인데,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배기관(133)의 일측은 피부흡착수단(17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피부흡착수단(170)의 배기관(133)이 연결되는 부분은, 급기관(132)을 통하여 공기유동공간(도 6의 172)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유동공간(도 6의 172) 내부를 고루 순환한 후 배기관(133)으로 유동될 수 있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은 피부흡착수단(170)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팁부(도 2의 112)가 하우징(도 2의 11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배기관(133)은 피부흡착수단(17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110) 외부로 연장된 배기관(133)의 타측에는 공기유동수단(134)이 설치되고, 배기관(133)의 타단부에는 배기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수단(134)은 배기관(133) 내의 공기를 배기구(135)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공기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결관계에 의해, 공기유동수단(134)이 작동되면 하우징 외부(110)의 공기는 흡기구(136)를 통하여 유입되어 온도조절수단(131)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후 급기관(132), 공기유동공간(도 6의 172), 배기관(133)을 거쳐 배기구(135)를 통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기유동수단(134)에 의해 공기유동공간(도 6의 172) 내의 공기가 강제로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고, 그만큼의 공기가 흡기구(136)를 통하여 유입되므로, 피부흡착수단(170) 내의 공기유동공간(도 6의 172) 내의 압력은 하우징(110) 외부의 압력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공기유동수단(134)에 의한 공기의 유동속도가 빨라질수록 공기유동공간(도 6의 172) 및 하우징(110)의 압력차는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본체부(111)에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하우징(110)의 외부가 상통되도록 하는 환기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환기공(113)은 고주파 발생수단(160) 및 침 구동수단(165)에서 발생되는 열이 환기공(113)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10) 내에 열이 누적되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환기공(113)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온도센서는 하우징(110)의 팁부(112)에 설치될 수 있는데, 피부흡착수단(17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피부흡착수단(170)의 온도가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피부흡착수단(170)에 접하도록 배치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피부흡착수단(170)과 열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50)는 온도조절수단(131), 공기유동수단(134), 전원(140), 고주파 발생수단(160), 침 구동수단(165)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에 의해 피부의 진피에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가해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팁부(112)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침(121)이 표피층(11)을 관통하여 진피층(12)에 도달된 후 고주파 발생수단(160)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진피층(12)으로 전달되면 진피층(12)에 포함된 콜라겐 성분이 응고(coagulation)될 수 있다.
이때, 진피층(12) 중 응고되는 부분은 첨단부(129)를 중심으로 하는 전구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57691호(출원일: 2011.06.14)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57692호(출원일: 2011.06.14)에서 설명한 라-효과 및 라플러스-효과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전기에너지에 의한 영향이 진피층(12) 외에도 침(121)과 인접한 영역의 표피층(11)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표피층(11)에 가해지는 영향은 목적하는 바가 아니므로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도 1의 100)에는 앞에서 설명한 침모듈(120), 전원(140), 제어부(150) 및 고주파 발생수단(160) 외에 입력부(191) 및 표시부(19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입력부(191) 및 표시부(192)는 하우징(도 2의 110)의 본체부(111)에 설치될 수 있는데, 표시부(192)에는 복수의 침(121)으로 출력되는 고주파 전기에너지의 전압 및 전류의 크기, 주파수, 피부흡착수단(도 2의 170)의 온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91)는 제어부(150)에 작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들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150)가 온도조절수단(131), 공기유동수단(134), 고주파 발생수단(160) 및 침 구동수단(165)을 제어하여 피부처치장치(도 1의 1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발생수단(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50)로 연결되어 제어부(150)가 고주파 발생수단(160)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도 1의 100)의 저면, 즉 하우징(110)의 일측 방향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침(121)이 팁부(112)로 첨단부(129)가 돌출되도록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침(121) 사이의 간격은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간격을 가질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흡착판부(173)의 중심부 또는 가장자리부 또는 특정 부분에 밀도가 높게 배치될 수도 있다.
피부흡착수단(17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74) 중 흡착판부(173)에 형성된 것들의 직경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침(121)의 직경보다 각각 크게 형성되어, 복수의 관통공(174) 및 복수의 핀(12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복수의 핀(121)의 첨단부(129)가 표피층(도 3의 11)을 관통하여 진피층(도 3의 12)까지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피부흡착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피부(10)가 내피 또는 눈꺼풀이나 입술과 같이 연한 조직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침(121)을 이용한 처치를 위해 복수의 침(121)에 의해 피부(10)가 가압되도록 하였을 때, 피부(10)가 연한 조직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침(121)이 표피층(11)을 관통하지 못하고 압입 되기만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전달되면 표피층(11)에만 영향을 주게 되므로, 진피층(도 3의 12 참조)의 피부 개선효과는 얻을 수 없고 표피층(11)이 변성되는 부작용만이 초래될 수 있다.
도 7 또한 피부(10)가 연한 조직일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침(121)이 연한 조직의 피부(10) 중 표피층(11)만을 관통하여 첨단부(129)가 진피층(도 3의 12 참조)까지 충분히 도달되지 못하였다. 이럴 경우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전달되면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대하는 진피층(도 3의 12)의 피부 개선효과는 미미하고 표피층(11)에는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도 8은 피부(10)가 연한 조직일 때 피부흡착수단(170)이 작동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유동공간(172) 내로 공기가 유동됨에 따라 복수의 핀(121) 및 관통공(174)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하우징(도 2의 110) 외부의 공기, 즉 흡착판부(173)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동공간(172)으로 유입된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수단(134)의 작동에 의하여 공기유동공간(172) 내에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면, 공기유동공간(172) 내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부(10)의 표피층(11)은 관통공(174)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흡착판부(173)로 밀착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침(121)은 피부(10)를 충분히 관통하여 첨단부(129)가 진피층(도 3의 12 참조)에 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 전기에너지에 의한 피부 개선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유동공간(17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온도조절수단(131)에 의해 냉각되도록 하면, 흡착판부(173)의 온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진피층(도 3의 12 참조)에 도달되면 온도가 상승되는데, 흡착판부(173)의 낮은 온도를 이용하여 표피층(11)의 온도가 함께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면, 고주파 전기에너지에 의한 표피층(11)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피층(도 3의 12 참조)이 복수의 침(121)에 의해 관통되는 과정에서 진피층(도 3의 12 참조)에 분포된 모세혈관이 파괴되어 출혈이 일어날 수 있는데, 흡착판부(173)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진피층(도 3의 12 참조)의 상층의 온도 또한 낮아지게 되면, 파괴된 모세혈관을 통한 혈행이 저하되어 지혈이 되는 효과 또는 출혈량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도 2의 150)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되는 피부흡착수단(170)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피부흡착수단(170)이 소정의 온도 범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표피층(11)의 변성 방지 효과 및 출혈 억제 효과는 섭씨 10도 내지 25도 정도로, 제어부(도 2의 150)에 미리 이 온도범위를 입력하여 공기유동수단(도 2의 134) 및 온도조절수단(13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피부흡착수단(170) 중 흡착판부(173)가 이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체결부(124)는 동력전달부재(161) 및 연결부재(123)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이다. 이는 위생상 한 번 사용된 복수의 침(121)은 새 것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으므로, 본체부(도 2의 111)로부터 팁부(도 2의 112)를 분리한 후 동력전달부재(161)로부터 연결부재(123)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모듈(도 2의 120)만을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9에는 도 8에 B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흡착수단본체(171)에 형성된 관통공(174, 175) 중 흡착판부(173)에 배치된 것들을 제외한 것들(175), 즉 하우징(도 2의 110)의 일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것들(175)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절연부재(179)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침(121)을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흡착수단본체(17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흡착수단본체(171)는 열의 양도체로 제조될 수 있는데, 열의 양도체는 통상적으로 전기의 양도체가 될 수 있으므로 흡착수단본체(171)에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전달될 경우 이를 통하여 표피층(도 8의 11)에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연부재(179)를 이용하여 복수의 침(121) 및 흡착수단본체(171) 사이에 전기 및 열이 절연되도록 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부작용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관통공(174) 및 침(121)의 직경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침(121)이 피부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침(121)의 외주면이 관통공(174)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절연부재(179)는 관통공(174)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관통공(174, 175) 및 침(121)의 직경 차이가 큰 경우와 같이 관통공(174, 175)의 내주면에 침(121)의 외주면이 접촉될 가능성이 낮을 때에는 관통공(174, 175)에 절연부재(179)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침(121) 중 하나 이상에는 주사바늘과 같이 중공부가 형성되고, 침모듈(120) 중 침(121)의 첨단부(129)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나 침 고정부재(122) 또는 연결부재(123)에는 중공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약물용기(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약물용기 내에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소형 액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액츄에이터의 단부에는 약물을 중공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용기(도시되지 않음) 내에 특정한 효과를 갖는 약물을 주입하여 침(121)이 피부(10)를 관통하였을 때 중공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약물이 피부(10) 내부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침(121)에 의한 피부처치 효과 외에 약물에 의한 효과를 함께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부(10)에 상처 또는 궤양이 빌생 된 경우 약물로써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사용할 경우, 상처 또는 궤양의 회복이 촉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침(121)은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침(121)이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그 가격은 상승되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표피(11) 및 진피(12) 상층부의 냉각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침(121)이 합성수지로 제조될 경우에는 금속이나 세라믹일 경우에 비하여 열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냉각효과는 낮아지는 반면 가격이 매우 저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침(121)은 용도에 맞는 소재를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1)에는 하우징(110), 침모듈(120), 온도조절수단(131), 급기관(132), 배기관(137), 공기유동수단(134), 전원(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동력전달부재(161), 침 구동수단(165), 피부흡착수단(170),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 침모듈(120), 온도조절수단(131), 급기관(132), 공기유동수단(134), 전원(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동력전달부재(161), 침 구동수단(165), 피부흡착수단(170)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1)에 포함된 피부흡착수단(170)에 형성된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 참조)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상통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흡착수단(170)의 일측은 팁부(112)에 형성된 배출구(114)를 통하여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배기관(137)의 일측은 하우징(110)의 타측 내부에 배치되고, 배기관(137)의 타측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된다. 배기관(137)의 일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본체부(111) 타측에 형성된 흡입구(115)에 배치되며, 배기관(137)의 타측에는 공기유동수단(134)이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유동수단(134)이 작동됨에 따라 하우징(110) 내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5)를 통하여 배기관(137)에 유입되고 배기구(135)를 통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된 공간 내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피부흡착수단(170)의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 참조) 내의 공기는 배출구(114)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동되며, 흡기구(136)로 유입되어 온도조절수단(131) 및 급기관(132)을 거친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 참조) 내로 유입된다.
즉, 공기유동수단(134)의 작동에 따라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가 유동되면 피부흡착수단(170) 내의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 참조) 내의 압력은 하우징(110)의 외부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1)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도 8의 10)를 흡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는 온도조절수단(131)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어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 참조) 내로 유동되므로 피부흡착수단(170)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 공기는 다시 배출구(114)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거쳐 흡입구(115)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고주파 발생수단(160) 및 침 구동수단(165)에서 발생된 열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 본체(111)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환기공(도 2의 11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이 기밀 또는 수밀 구조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으므로,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1)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이 부가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소독 등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1)를 이용하여 피부(10)를 처치하는 시술할 할 경우,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침(121)에 의한 피부(10)의 관통에 의해 출혈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혈액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피부흡착수단(170) 내로 흡입된 후 배출구(114)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에 형성된 공간이나 배기관(137)까지 유입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팁(112)을 교체할지라도 하우징(110) 내에 고여있던 혈액이 피부흡착수단(170)에 형성된 관통공(도 9의 174, 175)을 통하여 유출되거나 배기수단(134)을 거쳐 배기구(1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혈액을 통한 감염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기관(137) 또는 피부흡착수단(170)에는 필터가 결합될 수 있다.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흡입구(115)를 커버하는 형상으로 배기관(137)에 결합되면 배기관(137) 및 배기수단(134)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배출구(114)를 커버하는 형상으로 피부흡착수단(170)에 결합되면 팁부(112) 교체 시에 오염된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2)에 포함된 하우징(110), 침모듈(120), 온도조절수단(131), 공기유동수단(134), 전원(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동력전달부재(161), 침 구동수단(165), 피부흡착수단(170)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2)의 급기관(132) 일측은 하우징(110)의 본체부(111) 타측 내부에 배치되고, 급기관(132)의 타측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온도조절수단(13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리장치(102)에서,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며,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에 의해 형성된 폐회로 상에 여과수단(138), 공기유동수단(134) 및 온도조절수단(131)이 설치된다.
공기유동수단(134)이 작동되면, 배기관(133) 내의 공기가 이러한 폐회로 내를 유동하게 되는데, 공기는 온도조절수단(131)을 통과한 후 본체부(111)에 형성된 배출구(114a)를 거쳐 하우징(1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피부흡착수단(170)에 형성된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으로 유입되어 피부흡착수단(170)을 통과한 후 배기관(133)을 통하여 여과수단(138)으로 유입된다.
이때, 여과수단(138)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흡착수단(170) 내로 혈액이 유입되었을 경우, 이 혈액을 여과하여 배기관(133) 이외의 구성요소가 혈액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 및 오염 범위가 감소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과수단(138)으로는 공기에 혼입된 혈액을 흡착하는 다공성의 필터, 세균의 통과를 방지하는 제균필터, 습식여과장치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습식여과장치는 정화된 물 또는 소독액이 충전된 탱크를 포함하고, 이 탱크의 하측에 배기관(133)의 타측을 연결하여, 배기관(133)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정화된 물 또는 소독액을 통과하도록 한 후 수상치환(water substitution)과 같은 방법으로 공기를 포집하여 공기유동수단(134)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가 정화된 물 또는 소독액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혈액이나 피부흡착수단(170)의 관통공(도 8의 174 참조)을 통하여 유입된 미세 이물질 등이 걸러질 수 있다.
여과수단(138)을 거친 공기는 다시 공기유동수단(134)을 통하여 위와 같은 순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이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혈액이나 환자의 피부로부터 탈락된 조직 등이 배기관(133)으로 유입되더라도 폐회로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감염이 유발될 가능성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여과수단(138)을 부가함으로써 위생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이 형성하는 폐회로에 설치되는 여과수단(138), 공기유동수단(134) 및 온도조절수단(131)은 도시된 바와 달리 유동되는 공기가 거치는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피부흡착수단(170)을 거친 공기가 여과수단(138)을 우선 거치게 함으로써 공기유동수단(134) 및 온도조절수단(131)이 혈액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및 침 구동수단(165) 등에서 발생된 열은 공기의 유동에 따라 피부흡착수단(170)을 거쳐 배기관(133)을 통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고, 온도조절수단(131)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냉각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3)에 포함된 하우징(110), 침모듈(120), 온도조절수단(131), 급기관(132), 급기구(136), 전원(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동력전달부재(161), 침 구동수단(165), 피부흡착수단(170)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3)의 급기관(132) 일측은 피부흡착수단(17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급기관(132)의 타측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온도조절수단(131)에 연결되며, 급기관(132)의 타단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136)가 형성된다.
배기구(135)가 형성되고 공기유동수단(134)이 설치된 배기관(133)은 체결구(133b)에 의해 배기튜브(133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배기튜브(133a)의 일단부는 팁부(112)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와 상통되도록 연결되고, 배기튜브(133a)의 타단부는 체결구(133b)에 의해 배기관(133)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배기튜브(133a)의 일단부 및 피부흡착수단(170) 사이에는 필터(139)가 개재된다.
따라서, 공기유동수단(134)이 작동되어 배기튜브(133a)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135)를 통하여 배출되면, 하우징(110) 내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피부흡착수단(170)의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 참조)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며, 이에 따라 급기관(132)을 통하여 흡기구(13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를 처치하는 과정에서 침(121)에 의해 피부(10)가 관통되면 출혈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혈액이 피부흡착수단(170) 내의 공기유동공간(172)으로 유입될 수 있는데, 공기유동공간(172) 내로 유입된 혈액은 공기와 함께 배기튜브(133a)를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필터(139)에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배기튜브(133a) 및 배기관(133)을 통하여 배기구(135)로 배출될 수 있는 반면, 혈액은 필터(139)에 의해 배기관(133)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3)로 피부(10)를 처치한 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팁부(112)를 본체부(111)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혈액에 의해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필터(139) 또한 교체되므로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3)는 침모듈(120), 필터(139) 및 배기튜브(133a)가 팁부(112)에 결합되어 있어서 교체작업이 간편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가 될 뿐만 아니라, 배기관(133)이나 공기유동수단(134)은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4)에 포함된 하우징(110), 침모듈(120), 전원(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동력전달부재(161), 침 구동수단(165), 피부흡착수단(170)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4)의 피부흡착수단(170)에는 급기튜브(132a) 및 배기튜브(133a)가 각각 연결된다. 이때, 급기튜브(123a) 및 배기튜브(133a)는 피부흡착수단(170)의 공기유동공간(도 8의 172 참조)과 상통하게 연결된다.
급기튜브(132a)에는 체결구(132b)에 의해 급기관(132)의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배기뷰트(133a)에는 체결구(133b)에 의해 배기관(133)의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은 피부흡착수단(17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피부(10)를 처치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은 일정한 방향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침(121)이 수평방향을 향하거나 상방향을 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10) 처치과정에서 피부흡착수단(170)내로 혈액이 유입될 경우, 혈액은 배기튜브(133a) 뿐만 아니라 급기튜브(132a) 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5)는 피부(10)를 처치한 후 팁부(112)를 교체할 때, 급기관(132) 및 배기관(133)을 급기튜브(132a) 및 배기튜브(133a)로부터 각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급기관(132)에는 온도조절수단(도 2의 131 참조)이 설치되어 피부흡착수단(170)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배기관(도 2의 133 참조)에는 공기유동수단(도 2의 134 참조)이 설치되어 공기가 급기관(132), 피부흡착수단(170) 및 배기관(133)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흡착수단(170)에 혈액이 유입되었을 경우, 이 혈액이 공기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여 공기유동수단(도 2의 134 참조)을 오염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관(133)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필터 또는 여과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및 침 구동수단(165) 등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환기공(도 2의 11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피부흡착수단의 종단면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5)에 포함된 하우징(110), 침모듈(120), 전원(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동력전달부재(161), 침 구동수단(165)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배기튜브(133a)는 팁부(112)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팁부(112)의 단부에는 피부흡착수단(270)이 설치되는데, 피부흡착수단(270)의 일측에는 배기튜브(133a)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배기튜브(133a)의 타단부에는 체결구(133b)에 의해 배기관(133)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피부흡착수단(270)에는 흡착수단본체(271)가 포함되고, 흡착수단본체(271)는 침 고정부재(122)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흡착수단본체(271)에는 복수의 침(121)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275)이 형성되고, 흡착수단본체(271) 내에는 공기유동공간(272)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수단본체(271)에는 피부(10)와 접하는 방향으로 흡착부(273)가 돌출 형성되며, 흡착부(273)에는 흡착공(274)이 형성된다. 흡착수단본체(271)의 일측에는 연결부(279)가 형성된다.
공기유동공간(2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수단본체(271)의 가장자리부분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공간(272)은 흡착수단본체(271)의 연결부(279) 및 흡착공(274)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279)로부터 흡착공(274)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연결부(279)에는 배기튜브(133a)가 연결된다.
여기서,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흡착부(273)의 피부(10)에 접하는 부분은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착부(273)가 피부(10)에 접했을 때, 흡착부(273) 및 피부(10)가 접하는 부분을 가상으로 연결해 보면 다각형 또는 폐곡선과 같이 서로 연결된 선분 또는 곡선에 의해 내부와 외부가 차단된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침(121)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면 흡착부(273)가 피부에 접하는 부분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부(273) 및 피부(10)가 접하는 부분은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뿐만 아니라 원이나 타원의 원주와 같은 폐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피부(10)에 흡착수단본체(271)가 접하게 되면, 그 부분은 흡착수단본체(271)의 관통공(275)이 형성된 부분 및 이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흡착부(273)에 의해 커버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흡착공(2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273) 중 피부(10)에 직접 접하지 않는 부분 중 앞에서 설명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133)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면, 공기는 흡기구(274)로부터 공기유동공간(272)을 거쳐 연결부(279)를 통해 배기튜브(133a)로 유동된다. 이때, 관통공(275)으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침(121)이 삽입되므로, 공기는 주로 흡기구(274)를 통하여 유출되기 때문에, 피부(10) 중 흡착수단본체(271)에 의해 커버된 부분에는 음압이 작용된다.
그러므로 표피(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75)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침(121)이 표피(1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침(121)이 표피(11)를 관통하여 피부(10)를 처치하는 과정에서 출혈이 발생될 경우, 혈액이 관통공(275) 및 흡착공(274)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팁부(112) 내에 필터(139a)를 구비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39a)가 침모듈(120)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면, 관통공(275)을 통하여 유입된 혈액은 필터(139a)에 의해 차단되어 하우징(110) 내부공간까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흡착공(274)을 통하여 유입된 혈액은 공기유동공간(272)을 통하여 배기관(133)까지 유동될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10)에 대한 처치가 완료된 후 팁부(112)를 교체할 때 배기튜브(133a)도 함께 교체되도록 하여 해결될 수 있으며, 배기관(133)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필터 또는 여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혈액에 의한 감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배기튜브(133a)로부터 여과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관(133) 또한 일회 사용한 후에는 폐기하도록 제조하면 위생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는 흡착부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피부흡착수단(270)의 C로 표시된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흡착공(274a)은 흡착부(273a) 및 피부(1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공(274a)은 피부흡착수단(270)의 공기유동공간(272)으로부터 표피(11)와 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기관(도 14의 133)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흡착공(274a)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11)가 흡착공(274a)에 직접 흡착되어 흡착부(273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흡착수단(270)이 피부(10)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흡착공(274b)은 흡착부(273b) 및 피부(1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흡착공(274b)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입된 형상을 갖는다. 즉, 흡착부(273b) 중 피부(10)가 접하는 부분은 흡착공(274b)에 가까워질수록 공기유동통로(272)의 내부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어 깔때기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도 14의 133)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흡착공(274b)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11)가 흡착공(274b)에 흡착되고, 표피(11)의 일부가 흡착부(273b)의 오목하게 함입된 부분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피부흡착수단(270)이 피부(10)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8에는 피부흡착수단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피부흡착수단(370)에는 흡착수단본체(371)가 포함되고, 흡착수단본체(371)에는 공기유동공간(372), 흡착부(373), 복수의 관통공(375) 및 연결부(379)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유동공간(372), 복수의 관통공(375) 및 연결부(379)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기유동공간(272), 복수의 관통공(275) 및 연결부(279)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피부흡착수단(370)의 흡착부(373) 또한 앞에서 설명한 흡착부(도 15의 273)와 마찬가지로 피부(10)와 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흡착수단본체(37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부(373)의 피부(10)에 접하는 부분이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착공(374)은 흡착부(373) 및 피부(1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공(374)은 피부흡착수단(370)의 공기유동공간(372)으로부터 표피(11)와 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공간(372) 내에 음압이 작용되어 흡착공(374)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11)가 흡착공(374)에 직접 흡착되어 흡착부(37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흡착부(373)의 피부(10)와 접하는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사면은 통공(375)이 배치된 방향, 즉 침모듈(도 14의 120 참조)이 배치된 방향을 향할수록 흡착수단본체(371)로부터 피부(10) 방향으로 흡착부(373)가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11)가 흡착부(373)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흡착부(373)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흡착수단본체(371)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표피(11)가 융기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표피(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75)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침(도 14의 121 참조)이 표피(1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는 도 19에 D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6)에 포함된 하우징(110), 침모듈(120), 전원(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생수단(160), 동력전달부재(161), 침 구동수단(165) 및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공기유동수단(134), 배기구(135) 및 배기관(137)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팁부(112)에는 피부흡착수단(470)이 설치된다. 피부흡착수단(470)은 일부분이 팁부(1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피부흡착수단(47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피부흡착수단(470)에는 흡착수단본체(471)가 포함된다. 흡착수단본체(471)의 중간 부분에는 침 고정부재(122) 및 복수의 침(121)이 관통하는 부분이 형성된다. 즉, 흡착수단본체(471)는 침 고정부재(122)의 가장자리 부분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흡착수단본체(471)의 중간부분, 즉 복수의 침(121)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침(121) 사이에 표피온도조절수단(499)이 배치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피온도조절수단(499)은 흡착수단본체(471)에 고정되며, 흡착수단본체(471)가 피부(10)의 표피(11)에 접할 때 표피온도조절수단(499) 또한 함께 접하도록 배치된다. 표피온도조절수단(499)으로는 열전반도체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제어부(150) 또는 전원(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이 제어되어 표피(1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흡착수단본체(471)에는 공기유동공간(472)이 형성될 수 잇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공간(472)의 일측은 흡착부(473)의 측면으로 개방되고, 타측은 흡착부(473)의 피부(1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흡착공(474)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공기유동공간(472)을 통과하여 흡착공(474)을 거친 공기는 흡착수단본체(271)와 침모듈(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거친 후 흡입구(115)를 통해 배기관(137)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동공간(472)의 일측이 개방된 흡착부(473)의 측면은, 흡착부(473)의 측면 중 침모듈(120)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따라서, 공기유동공간(472)의 일측으로는, 흡착수단본체(471)가 피부(10)에 접했을 때 흡착부(473), 침(121) 및 표피온도조절수단(49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공기유동수단(134)이 작동하여 배기관(137)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기 시작하면 하우징(110) 내부에는 음압이 작용되므로, 공기가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공간(472) 내를 유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공간(472)의 단면적보다 흡착수단본체(471)와 침모듈(1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의 유동통로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가 공기유동공간(472) 내를 유동하는 속도(V1)가 흡착수단본체(471) 및 침 고정부재(122) 사이를 유동하는 속도(V2)보다 높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속 차이에 의해 베르누이의 효과가 발생되어 공기유동공간(472)의 타측 부분의 기압이 흡착수단본체(471) 및 침 고정부재(122) 사이 공간의 기압보다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473)에 접하고 있는 피부(10)의 표피(11)는 공기유동공간(472)의 타측 부분으로 흡착된다. 그러므로, 피부(10)는 피부흡착수단(4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피부(10)를 처치하는 과정에서 출혈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도 흡착수단본체(471) 및 침 고정부재(122) 사이의 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동에 따라 혈액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혈액으로 인해 하우징(11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팁부(112) 내에는 필터(139a)가 구비될 수 있는데, 필터(139a)는 피부흡착수단(470) 및 침 고정부재(122)를 커버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체의 표면에 드러나있는 피부뿐만 아니라, 눈꺼풀, 입술 등과 같은 연한 피부조직 및 내피(內皮), 즉 구강에서 항문에 이르는 소화기, 비강점막, 관절강, 척수강, 두개강 등의 벽을 형성하는 점막의 처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매우 연약하거나 얇은 조직의 경우, 피부(10)를 흡착하는 힘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조직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는 공기유동수단(도 2의 134 참조)에 의해 피부에 가해지는 음압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부가하고, 이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공기유동수단(134)의 작동 세기가 제어부(도 2의 150 참조)에 의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피부처치장치(106)가 내피를 처치하기 위한 내시경 또는 복강경 등으로 활용되거나, 앞에서 언급한 각종 강(cavity)의 점막을 처치하는 데 사용되는 등 주변에 공기가 적은 곳에 활용될 경우에는, 공기유동공간(472)의 일측이 폐쇄되도록 구성하여 내피 또는 점막이 흡착공(474)에 직접 흡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처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들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내지 106: 피부처치장치 110: 하우징
120: 침모듈 121: 침
131: 온도조절수단 132: 급기관
133, 137: 배기관 134: 공기유동수단
140: 전원 150: 제어부
160: 고주파 발생수단 165: 침 구동수단
170, 270, 370, 470: 피부흡착수단

Claims (2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첨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침이 나란하게 분산 결합된 침모듈;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피부흡착수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침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상기 침모듈을 구동시키는 침 구동수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침에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수단;
    일측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급기관;
    일측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관, 상기 공기유동공간 및 상기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동수단을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
  2.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첨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침이 나란하게 분산 결합된 침모듈;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피부흡착수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침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상기 침모듈을 구동시키는 침 구동수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침에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수단;
    상기 공기유동공간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기관;
    상기 급기관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된 공기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은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 중 다른 하나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급기관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급기관, 상기 공기유동공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배기관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급기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상기 공기유동공간 및 상기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공기가 유동되는 피부처치장치.
  3.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첨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침이 나란하게 분산 결합된 침모듈;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피부흡착수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침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상기 침모듈을 구동시키는 침 구동수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침에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고주파 발생수단;
    일측이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 배치된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된 공기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흡착수단에는 피부와 접하는 방향으로 흡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에는 상기 공기유동공간과 상통하는 하나 이상의 흡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공기가 상기 흡착공, 상기 공기유동공간 및 상기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동수단을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환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가 상통되는 피부처치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흡착수단은 상기 팁부에 결합된 피부처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 및 상기 배기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팁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연결된 피부처치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흡착수단의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피부에 접촉되는 평판 형상의 흡착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 것들은 상기 흡착판부에 분산 배치된 피부처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 것들을 제외한 것들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의 타측 및 상기 배기관의 타측이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가 형성된 피부처치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은 금속, 세라믹,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피부처치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거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에 설치된 여과수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수단은 물 또는 소독액이 충전된 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물 또는 상기 소독액을 거쳐 유동되도록 하는 피부처치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급기관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흡착수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부흡착수단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침 중 하나 이상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침모듈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결된 약물용기가 구비된 피부처치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은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상을 갖고, 상기 흡착공은 상기 흡착부의 측면 중 상기 다각형 또는 상기 폐곡선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피부처치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공은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피부처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흡착공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입된 형상을 갖는 피부처치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침모듈과 가까운 부분일수록 상기 피부와 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피부처치장치.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일측은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지 않는 부분으로 개방되고, 타측은 상기 흡착부의 상기 피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상기 흡착공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공은 상기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침모듈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착공을 거쳐 상기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침모듈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배기관으로 유동되며,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피부흡착수단과 상기 침모듈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단면적보다 작은 피부처치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흡착수단의 상기 흡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피부와 접하여 표피의 온도를 조절하는 표피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피부처치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온도조절수단은 열전반도체소자인 피부처치장치.
KR1020120060995A 2012-06-07 2012-06-07 조직 처치장치 KR10142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995A KR101427734B1 (ko) 2012-06-07 2012-06-07 조직 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995A KR101427734B1 (ko) 2012-06-07 2012-06-07 조직 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09A true KR20130137409A (ko) 2013-12-17
KR101427734B1 KR101427734B1 (ko) 2014-08-07

Family

ID=4998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995A KR101427734B1 (ko) 2012-06-07 2012-06-07 조직 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73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332A (ko) *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KR20170015951A (ko) * 2017-01-31 2017-02-10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WO2018030561A1 (ko) * 2016-08-12 2018-02-15 (주)루트로닉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WO2018093190A1 (ko) * 2016-11-17 2018-05-24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20036957A (ja) * 2017-01-11 2020-03-12 正典 佐伯 穿刺装置及び穿刺装置用カートリッジ
US11123498B2 (en) 2016-11-17 2021-09-21 Lutronic Corporatio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470744B1 (ko) * 2022-03-02 2022-11-28 주식회사 대종메디텍 피부흡수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540B1 (ko) * 2019-03-11 2021-09-27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분자 공진형 고주파와 석션 방식 니들 전극을 가진 치료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206U (ko) * 2008-04-29 2009-11-03 박대수 미세바늘 피부자극기구
KR100943089B1 (ko) 2009-01-23 2010-02-18 강동환 피부처치 장치
KR101124675B1 (ko) * 2009-08-31 2012-03-19 김근식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 시술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332A (ko) *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WO2018030561A1 (ko) * 2016-08-12 2018-02-15 (주)루트로닉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US11439459B2 (en) 2016-08-12 2022-09-13 Lutronic Corporatio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using same
WO2018093190A1 (ko) * 2016-11-17 2018-05-24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55389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123498B2 (en) 2016-11-17 2021-09-21 Lutronic Corporatio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20036957A (ja) * 2017-01-11 2020-03-12 正典 佐伯 穿刺装置及び穿刺装置用カートリッジ
KR20170015951A (ko) * 2017-01-31 2017-02-10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KR102470744B1 (ko) * 2022-03-02 2022-11-28 주식회사 대종메디텍 피부흡수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734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734B1 (ko) 조직 처치장치
JP6174148B2 (ja) 体内施術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内視鏡装置
KR101814109B1 (ko) 피부 치료용 복합기
KR101686783B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 미용기
KR101622374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178337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US201502167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 eye cleaner
JP2011516168A (ja) 生物学的組織を冷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129165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재생장치
JP2021530278A (ja) 薬物注入用チップ、ハンドピース及び皮膚処置装置
JP6391651B2 (ja) 陰圧光線療法および熱的に促進される酸素化の一方または両方を用いた創傷ケア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733460B1 (ko) 피부세정 기능을 갖는 초음파 치료기
JP2006187668A (ja) 手術装置
KR101907107B1 (ko) 지방 분해 장치
US20180021599A1 (en) Apparatus for removing fat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ell
KR101869893B1 (ko) 여드름질환 치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BRPI0808596A2 (pt)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para a remoção de pigmentações da pele"
KR102370845B1 (ko) 다기능 피부 미용 기기
KR20190011972A (ko) 양극성 수술기구의 유해가스 배출장치
KR200395159Y1 (ko) 물과 공기를 이용한 마사지기
KR101436131B1 (ko) 고주파 지방 흡입 수술용 캐뉼러
KR101514389B1 (ko) 지방 분해용 핸드피스
KR20140133786A (ko) 지방 분해용 핸드피스
CN208741751U (zh) 痤疮疾病治疗系统
US20230039796A1 (en) Apparatus for removing fat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