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574A -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 Google Patents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574A
KR20170015574A KR1020177002912A KR20177002912A KR20170015574A KR 20170015574 A KR20170015574 A KR 20170015574A KR 1020177002912 A KR1020177002912 A KR 1020177002912A KR 20177002912 A KR20177002912 A KR 20177002912A KR 20170015574 A KR20170015574 A KR 2017001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le
tensile strand
blade portion
strands
str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469B1 (ko
Inventor
리산드로스 폴레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1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04C1/12Cords, lines, or tow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가, 중앙 브래이드 부분 그리고 이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각각의 단부의 하나 이상의 인장 스트랜드 또는 작은 브래이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신발 갑피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BRAIDED TENSILE STRANDS}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인용되고 있는, 아래의 공동 소유의 동시 계류중인 출원들, 즉, "복수의 입구 및 출구 지점을 구비하는 인장 스트랜드를 갖는 스페이서 직물 재료(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Having Multiple Entry and Exit Points)"를 명칭으로 하고 2013년 1월 15일자로 출원된 베에(Beye) 등의 미국 특허출원 제13/741,428호(미국 특허 공개 공보 ______)(대리인 서류 번호 제51-2687 호); "비선형 배열의 인장 스트랜드를 갖는 스페이서 직물 재료(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in Non-Linear Arrangements)"를 명칭으로 하고 2013년 1월 15일자로 출원된 베에 등의 미국 특허출원 제13/741,433호(미국 특허 공개 공보 ______)(대리인 서류 번호 제51-2688 호); "서로 교차하는 스트랜드를 갖는 스페이서 직물 재료(Spacer Textile Material with Strands that intersect)"를 명칭으로 하고 2013년 1월 15일자로 출원된 베에 등의 미국 특허출원 제13/741,435 호(미국 특허 공개 공보 ______)(대리인 서류 번호 제51-2689 호); 및 "복수의 스트랜드를 구비하는 채널을 갖는 스페이서 직물 재료(Spacer Textile Material with Channels Having Multiple Strands)"를 명칭으로 하고 2013년 1월 15일자로 출원된 폴레트 등의 미국 특허출원 제13/741,440 호(미국 특허 공개 공보 ______)(대리인 서류 번호 제51-2690 호)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 물품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주요 요소: 갑피(upper) 및 밑창 구조물(sole structure)을 포함한다. 갑피는 흔히, 발을 편안하게 고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신발 내부에 빈 공간(void)을 형성하도록 함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거나 봉합되는 복수의 재료 요소들(예를 들어, 직물, 고분자 시트 층, 발포체 층, 가죽, 인조 가죽)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갑피는, 안쪽 측부(medial side)와 바깥쪽 측부(lateral side)를 따라 그리고 발의 뒤꿈치 영역의 둘레에서, 발의 발등(instep)과 발가락 영역 위에서 연장되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갑피는 또한, 신발의 맞음새(fit)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갑피 내부의 빈 공간 내외로의 발의 진입 및 진출을 허용하기 위한 끈(lacing)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갑피는 신발의 조절 능력 및 편안함을 증대시키기 위해 끈 시스템 아래에서 연장되는 텅(tongue)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갑피는 월형(heel counter)과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를 형성하는 다양한 재료 요소들은, 갑피의 서로 다른 영역들에 특정한 특성들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직물 요소들은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발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고, 발포체 층들은 편안함을 부여하기 위해 압축될 수 있을 것이며, 가죽은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 요소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신발의 총 질량이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 요소들의 운반, 저장, 절단 및 연결과 연관된 시간 및 비용이 또한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갑피로 통합되는 재료 요소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절단 및 봉합 공정으로부터의 폐기 재료가 더 큰 정도로 축적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많은 수의 재료 요소를 갖는 제품들은, 더 적은 수의 재료 요소로 형성되는 제품들보다 재활용이 더 어려울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재료 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 효율 및 재활용도를 증가시키는 가운데, 신발 및 폐기물의 질량이 감소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은 발과 지면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갑피의 하부에 고정된다. 운동화의 경우, 예를 들어, 밑창 구조물은, 중창(midsole)과 바닥창(outsole)을 포함한다. 중창은, 걷기, 달리기 및 그외 다른 보행 활동 도중에, 지면 반작용력을 감소시키는(즉, 완충력을 제공하는) 고분자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은 또한, 예를 들어, 힘을 추가로 감소시키며,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 충진형 챔버, 플레이트, 완충체(moderator), 또는 그외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은 신발류의 지면 접촉 요소를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정지 마찰(traction)을 부여하기 위한 특별한 질감(texturing)을 포함하는 내구성의 그리고 내마모성의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밑창 구조물은 또한, 갑피 내부에 그리고 신발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의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깔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이, 갑피 및 밑창 구조물 뿐만 아니라,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branched braid member)를 형성하는 일 군의 인장 스트랜드들(tensile strand)을 포함한다.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central braid portion)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상기 갑피에 통합된다.
다른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이, 갑피와 밑창 구조물, 그리고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일 군의 인장 스트랜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브래이드 부분을 더 포함한다. 제2 브래이드 부분이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브래이드 부분은 상기 제1 브래이드 부분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제2 브래이드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상기 갑피에 통합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일 군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을 더 포함한다. 제1 인장 스트랜드와 제2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1 인장 스트랜드의 부분이 갑피와 연관된 채널 내에 배치된다.
실시예의 다른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장점들이, 뒤따르는 도면들과 상세한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당 업계의 보통 수준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거나 명백해질 것이다. 모든 그러한 부가적인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본 설명 및 본 개요 내에 포함되며,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리고 뒤따르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시예들은 뒤따르는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들의 구성 요소들은 반드시 실척으로 도시되지 않으며, 오히려 실시예의 원리들을 예시하기 위해 강조되어 도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서, 상이한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상응하는 부품들을 지시한다.
도 1은, 제1 단부에서 실로 직조되고 제2 단부에서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되며, 브래이드 부분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제1 단부에서 실로 직조되고 제2 단부에서는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되며, 브래이드 부분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3은 양 단부에서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되는 브래이드 부분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양 단부에서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되는 브래이드 부분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인장 스트랜드들과 추가의 브래이드 부분들의 조합으로 분기되는 브래이드 부분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6은 양 단부에서 복수의 작은 브래이드로 분기되며, 작은 브래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추가로 분기되는, 브래이드 부분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7은 양 단부에서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되는 브래이드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8은, 나란하게 연결되며 그리고 복수의 위치에서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들로 떨어지게 분할되고 또한 하나로 합쳐질 수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9는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되는 브래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10은 갑피 상의 채널들이 투시도로 도시된 도 9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신발류 물품의 배면도;
도 12는,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에 장력이 작용하게 되는 상태의, 도 9의 물품의 개략도;
도 13은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되는 브래이드를 포함하는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14는 갑피 및 밑창 구조물이 투시도로 도시된 도 13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신발류 물품의 배면도.
도 1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는 하나 이상의 브래이드 부분으로 땋일 수 있는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 보다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다양한 상이한 실들(threads), 와이어들(wires), 또는 임의의 다른 실질적으로 세장형의 재료들을, 꼬기(twisting), 땋기(braiding) 또는 그외 다른 방식으로 연결함에 의해 형성되는 다양한 상이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는, 하나 이상의 인장 스트랜드로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실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장 스트랜드들은 이후, 하나 이상의 브래이드 부분을 형성하도록, 함께 꼬이거나, 땋이거나, 또는 그외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는, 제1 인장 스트랜드(130)와 제2 인장 스트랜드(1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130)와 제2 인장 스트랜드(140)는 브래이드 부분(120)을 형성하도록 함께 땋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인장 스트랜드(130)와 제2 인장 스트랜드(14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인장 스트랜드(130)는 제1 군의 실(110)을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인장 스트랜드(140)는 제2 군의 실(112)을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참조를 위해, 제1 군의 실(110)과 제2 군의 실(112)은 총괄하여 복수의 실(115)로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의 분기형 구성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의 하나의 구조로부터 하위 구조로의 재료 구성 요소들의 점진적인 분기(branching)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는, 브래이드 부분(120)을 포함한다. 브래이드 부분(120)은, 제1 인장 스트랜드(130)와 제2 인장 스트랜드(140)가 함께 땋인,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의 부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120)은, 제1 단부(150)와 제2 단부(15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의 제1 분기부(160)가 제2 단부(152)에 생긴다. 특히, 제1 분기부(160)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130)와 제2 인장 스트랜드(140)는 브래이드 부분(120)으로부터 멀어지게 별개로 연장된다. 균등하게, 제1 분기부(160)에서, 제1 스트랜드(130)와 제2 스트랜드(140)는 브래이드 부분(120)을 형성하기 시작하도록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는 추가의 분기 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130)와 제2 인장 스트랜드(140)는 각각,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 실들로 추가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130)는 제1 단부(170)와 제2 단부(172)를 포함한다. 제1 단부(170)는 브래이드 부분(120)의 제2 단부(152)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단부(172)는 제2 분기부(162)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군의 실(110)로부터의 실들이, 개별적인 실로서 제2 분기부(162)로부터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균등하게, 제2 분기부(162)에서, 제1 군의 실(110)은 제1 인장 스트랜드(130)를 형성하기 시작하도록 연결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인장 스트랜드(140)는 제1 단부(174)와 제2 단부(17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단부(174)는 브래이드 부분(120)의 제2 단부(152)와 연관될 수 있는 가운데, 제2 단부(176)는 제3 분기부(164)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군의 실(112)로부터의 개별적인 실들이 제3 분기부(164)로부터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균등하게, 제3 분기부(164)에서, 제2 군의 실(112)은 제2 인장 스트랜드(140)를 형성하기 시작하도록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이, 추가로 실로 분기되는 인장 스트랜드로 우선 분기되는 대신에, 직접 개별적인 실들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120)의 제1 단부(150)는 제4 분기부(16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분기부(166)는, 복수의 실(115)(제1 군의 실(110)과 제2 군의 실(112)로 이루어짐)이 개별적인 실들로 분리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120)은, 이상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인장 스트랜드(130)와 제2 인장 스트랜드(140)를 함께 땋아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120)은 직접 개별적인 실들로 땋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함께 땋일 수 있지만 제1 인장 스트랜드(130)나 제2 인장 스트랜드(140) 중 어느 것에도 직접적으로 대응하지는 않는, 다양한 하위 구조로 개별적인 실들을 배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인장 스트랜드들은 임의의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랜드들은 임의의 대체로 1차원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일차원적인 재료(one-dimensional material)" 또는 그 변형들은, 폭과 두께에 비해 상당히 더 큰 길이를 보이는 대체로 세장형의 재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는 하나 이상의 실 또는 유사한 대체로 일차원적인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인장 스트랜드를 위한 적당한 재료들은, 다양한 필라멘트들, 섬유들, 방적사들(yarns), 실들, 케이블들, 코드들, 또는 로프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인장 스트랜드를 위한 적당한 재료들은,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실크, 면, 카본, 유리, 아라미드들(예를 들어, 파라-아라미드 섬유들 및 메타-아라미드 섬유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액정 고분자, 구리, 알루미늄, 강,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재료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랜드들은 필라멘트들 및/또는 섬유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필라멘트들은 정해지지 않은 길이를 구비하며 개별적으로 인장 스트랜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섬유들은 비교적 길이를 구비하며 일반적으로 적당한 길이의 스트랜드를 생성하도록 방적(spinning) 또는 꼬기(twisting) 공정을 거친다. 인장 스트랜드에 사용되는 개별적인 필라멘트가 단일 재료로(예를 들어, 단일 성분 필라멘트), 또는 복수의 재료로(예를 들어, 2 성분 필라멘트)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상이한 필라멘트들이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서, 인장 스트랜드로서 사용되는 방적사들은, 공통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2 이상의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는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한 개념들이 또한, 실, 케이블 또는 로프에 적용된다.
본 개시의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2 이상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직물 재료가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때, 인장 스트랜드들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랜드들이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인장 스트랜드들이 상이한 재료들로 이루어질 때, 인장 스트랜드들은 상이한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인장 스트랜드는, 힘이 작용하게 될 때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인장 스트랜드가 제1 인장 스트랜드보다 덜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인장 스트랜드가 제1 인장 스트랜드보다 더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랜드의 두께가 또한 상당히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인장 스트랜드의 두께는 대략 0.03 mm 미만으로부터 5 mm 초과를 초과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비록 일차원적인 재료들이 흔히 폭과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예를 들어, 원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구비하지만, 일부 일차원적인 재료들은 두께보다 더 큰 폭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어,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그외 다른 세장형 단면). 더 큰 폭에도 불구하고, 재료의 길이가 재료의 폭과 두께보다 상당히 더 크다면, 재료가 일차원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를 구비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트랜드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2 이상의 인장 스트랜드의 상대적인 두께는, 요구되는 강도, 탄성, 제조 고려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들 뿐만 아니라 가능한 다른 인자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적당한 인장 스트랜드의 예들이, 각각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뒤따르는, "인장 스트랜드 요소들을 갖는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of Footwear With Tensile Strand Elements)"을 명칭으로 하며 2012년 2월 24일자로 출원된 도잔 등의 미국 특허출원 제13/404,483호(미국 특허 공개 공보 ______); "인장 스트랜드 요소들을 갖는 신발류 물품(Articles of Footwear With Tensile Strand Elements)"을 명칭으로 하며 2012년 2월 24일자로 출원된 도잔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3/404,448호(미국 특허 공개 공보 ______); 그리고 "기울어진 인장 스트랜드 요소들을 포함하는 신발(Footwear incorporating Angled Tensile Strand Elements)"을 명칭으로 하며 2010년 7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847,836호(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23778 호) 중 임의의 것에 개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인장 스트랜드를 이루는 개별적인 실들(또는 다른 대체로 일차원적인 요소들)은, 인장 스트랜드들을 형성하기 위한 전술한 재료 중 임의의 것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물성들이, 변화하는 재료 특성들을 구비하는 복합 구조들을 달성하기 위해 변화될 수 있음에 따라, 마찬가지로 단일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각각의 실의 물성들이 변화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실의 기하학적 형상, 크기, 재료 조성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특성들이, 복합 재료 특성들을 구비하는 인장 스트랜드를 형성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브래이드 부분의 기하학적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부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의 폭 및 길이가 브래이드 부분의 두께보다 상당히 클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는 기하학적 형상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변화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브래이드 부분을 갖는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예시적인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200)는, 도 1에 도시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00)와 유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200)는 제1 인장 스트랜드(230)와 제2 인장 스트랜드(240)로 분기되는 브래이드 부분(220)을 갖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브래이드 부분(220), 제1 인장 스트랜드(23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240)의 단부들은 각각, 본 명세서에서 총괄적으로 복수의 실(250)로 언급되는, 별개의 실로 추가로 분기된다.
도 1에는 대략 원형의 브래이드 부분(120)이 도시되어 있지만, 브래이드 부분(220)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보인다. 특히, 브래이드 부분(220)의 두께(T1)는, 브래이드 부분(220)의 폭(W1) 및 길이(L1)보다 상당히 작다. 이러한 평평한 기하학적 형상은, 브래이드 부분(220)이 신발류 및/또는 의류 물품의 부분에 대해 더 잘 체결되도록 또는 그렇지 않으면 신발류 및/또는 의류 물품의 부분과 연관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도면들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원형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각각의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브래이드 부분들을 도시하고 있는 가운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다양한 구조물이 임의의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구조물들은 임의의 적당한 크기일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구조물들 또는 부분들의 크기 및 형상은, 다른 인자들 중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용도,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요구되는 지지, 그리고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가 제조되는 방식에 의존할 수 있을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구조물들 또는 부분들에 대한 몇몇 적당한 형상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 평평한 형상,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정형(regular shape), 비정형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종류의 형상들을 포함한다.
도 3은, 브래이드 부분의 대향하는 단부들에서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로 분리되는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300)는 제1 단부(332)와 제2 단부(334)를 구비하는 브래이드 부분(33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가 브래이드 부분(330)의 양 단부로부터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인장 스트랜드(320), 제2 인장 스트랜드(332) 및 제3 인장 스트랜드(324)가 브래이드 부분(330)의 제1 단부(332)로부터 분리되고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제4 인장 스트랜드(340), 제5 인장 스트랜드(342) 및 제6 인장 스트랜드(344)가 브래이드 부분(330)의 제2 단부(334)로부터 분리되고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320), 제2 인장 스트랜드(322) 및 제3 인장 스트랜드(324)는, 제4 인장 스트랜드(340), 제5 인장 스트랜드(342) 및 제6 인장 스트랜드(344)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인장 스트랜드들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이드 부분(330)의 각각의 단부 상의 인장 스트랜드들은 동일한 인장 스트랜드들의 부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320)와 제4 인장 스트랜드(340)는 동일한 단일 인장 스트랜드의 상이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인장 스트랜드(322)와 제5 인장 스트랜드(342)는 동일한 인장 스트랜드의 상이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제3 인장 스트랜드(324)와 제6 인장 스트랜드(344)는 동일한 인장 스트랜드의 상이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인장 스트랜드가 제1 단부(332)에서 연결되고 브래이드 부분(330) 전체에 걸쳐 함께 땋이게 된다. 이러한 동일한 세 개의 인장 스트랜드는 이후, 브래이드 부분(330)의 제2 단부(334)에서 다시 세 개의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로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가 개별적인 실들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인장 스트랜드(320)는 제1 군의 실(310)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제2 인장 스트랜드(322)는 제2 군의 실(312)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제3 인장 스트랜드(324)는 제3 군의 실(314)로 분리될 수 있고, 제4 인장 스트랜드(340)는 제4 군의 실(350)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제5 인장 스트랜드(342)는 제5 군의 실(352)로 분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6 인장 스트랜드(344)는 제6 군의 실(354)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인장 스트랜드(320), 제2 인장 스트랜드(322), 제3 인장 스트랜드(324), 제4 인장 스트랜드(340), 제5 인장 스트랜드(342), 제6 인장 스트랜드(344)가 각각 구별되는 인장 스트랜드들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군들의 실들도 마찬가지로 구별되는 실들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1 인장 스트랜드(320)와 제4 인장 스트랜드(340)가 단일 인장 스트랜드의 상이한 부분들인 실시예에서, 제1 군의 실(310)과 제4 군의 실(350)은 마찬가지로 동일한 그룹의 실들의 상이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들은, 실들로 추가로 분기되는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들을 보여줄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들이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들은, 상기 단부들이 인장 스트랜드의 온전함(integrity)을 손상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도록, 매듭지어 지거나, 묶이거나, 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들은 개별적인 실들로 추가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개별적인 실들은 이후, 아래의 추가적인 세부 내용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및/또는 의류 물품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설명되는 분기형 브래이드는 대칭이거나 비대칭일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대칭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는, 브래이드 부분(330)의 각각의 측부에서 연장되는 세 개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가, 브래이드 부분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분기되는 동일한 수의 인장 스트랜드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브래이드 부분의 제1 단부가 2개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는 가운데, 제2 단부는 4개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비대칭 구성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브래이드 부분의 각각의 단부가, 임의의 수의 가지들(즉, 인장 스트랜드들, 작은 브래이드 부분들 또는 실들)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실들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실들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의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의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위해 선택된 재료들은, 신발류 물품 상에서의 의도된 용도 및/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랜드들 중 하나 이상이, 더 강하며 그리고 힘이 작용하게 될 때 신장에 더욱 저항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랜드 중 하나 이상이, 힘이 작용하게 될 때, 더 용이하게 신장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형성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들은 재료들의 조합일 수 있을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의 여러 부분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재료의 강도 및/또는 신장성은, 다른 인자들 중에서, 신발류 물품 상에서의 위치 및 요구되는 강도 또는 신장성에 의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능한 예로서, 도 3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320)는, 힘이 작용하게 될 때 적당한 신장성을 제공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운데, 제2 인장 스트랜드(322) 및 제3 인장 스트랜드(324)는 힘이 작용하게 될 때 제1 인장 스트랜드(320)의 재료보다 적게 신장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브래이드 부분(330)이 제1 인장 스트랜드(320), 제2 인장 스트랜드(322), 제3 인장 스트랜드(324), 제4 인장 스트랜드(340), 제5 인장 스트랜드(342), 및 제6 인장 스트랜드(344)의 재료들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브래이드 부분(330)의 신장성은, 상이한 인장 스트랜드들의 상이한 재료들의 신장 특성들의 합계일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브래이드 부분(330)은 제1 인장 스트랜드(320)보다 적게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브래이드 부분(330)은 제2 인장 스트랜드(322) 및 제3 인장 스트랜드(324)보다 많이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브래이드 부분(330)의 신장성은, 브래이드 부분(330)을 형성하는 인장 스트랜드들 또는 실들의 신장성의 합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에 대한 각종 상이한 구성들을 도시한다. 뒤따르는 구성들은 단지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4는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4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400)는, 제1 브래이드 부분(440)으로부터 분기되는 8개의 인장 스트랜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브래이드 부분(440)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브래이드 부분(440)의 제1 단부(442)는, 제1 인장 스트랜드(420), 제2 인장 스트랜드(422), 제3 인장 스트랜드(424) 및 제4 인장 스트랜드(426)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1 브래이드 부분(440)의 제2 단부(444)는, 제5 인장 스트랜드(450), 제6 인장 스트랜드(452), 제7 인장 스트랜드(454), 및 제8 인장 스트랜드(456)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420), 제2 인장 스트랜드(422), 제3 인장 스트랜드(424), 제4 인장 스트랜드(426), 제5 인장 스트랜드(450), 제6 인장 스트랜드(452), 제7 인장 스트랜드(454) 및 제8 인장 스트랜드(456)는 각각 복수의 실(470)로 추가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따르는 인장 강도를 조정하기 위한 준비 요소(provision)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가, 상이한 수의 인장 스트랜드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브래이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이, 제1 브래이드 부분 및 제1 브래이드 부분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는 제2 브래이드 부분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제2 브래이드 부분은 제1 브래이드 부분보다 적은 수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2 브래이드 부분의 인장 강도가 제1 브래이드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401)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4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을 것이다. 명료성을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 사용된다. 그러나, 도 5의 구성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401)는, 제1 브래이드 부분(440)으로부터 분기되는 부가적인 브래이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401)는, 제1 브래이드 부분(440)의 제1 단부(442)로부터 분기되는 제2 브래이드 부분(430) 그리고 제1 브래이드 부분(440)의 제2 단부(444)로부터 분기되는 제3 브래이드 부분(4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브래이드 부분(430)과 제3 브래이드 부분(460)은, 제1 브래이드 부분(440)보다 작은 브래이드들을 포함한다. 이는, 경우에 따라, 제1 브래이드 부분(44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보다 더 적은 수의 인장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제2 브래이드 부분(430)과 제3 브래이드 부분(440)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브래이드 부분(430)과 제3 브래이드 부분(440)은 각각, 함께 땋이게 되는 2개의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브래이드 부분(430)은, 도 4에 도시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400)의 제3 인장 스트랜드(424)와 제4 인장 스트랜드(426)를 땋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3 브래이드 부분(460)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400)의 제7 인장 스트랜드(454)와 제8 인장 스트랜드(456)를 땋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도 4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그러나, 제2 브래이드 부분(430)과 제3 브래이드 부분(460)은, 임의의 다른 수의 인장 스트랜드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하나 이상의 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420), 제2 인장 스트랜드(422), 제5 인장 스트랜드(450) 및 제6 인장 스트랜드(452)는 각각, 복수의 실(470)로 추가로 분기된다. 마찬가지로, 제2 브래이드 부분(430) 및 제3 브래이드 부분(460)은 또한 각각, 복수의 실(470)의 개별적인 실들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470) 중 하나 이상의 실이 신발류 및/또는 의류 물품의 부분과 일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브래이드 부분들이, 개별적인 실들로 직접 분기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일부 브래이드 부분들이 추가의 브래이드 부분들로 분기되는 가운데 다른 브래이드 부분들은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들로 분기되는,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500)의 가능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500)의 중앙 브래이드 부분(540)이 복수의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10)으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10)은, 제1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30), 제2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32), 제3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34), 제4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36), 제5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50), 제6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52), 제7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54) 및 제8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56)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10)은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브래이드 부분들은 직접 복수의 실(580)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1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30) 및 제5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50)을 포함하는 일부 브래이드 부분들은,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1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30)은, 제1 인장 스트랜드(520), 제2 인장 스트랜드(521) 및 제3 인장 스트랜드(522)로 추가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5 이차적 브래이드 부분(550)은, 제4 인장 스트랜드(560), 제5 인장 스트랜드(561) 및 제6 인장 스트랜드(562)로 추가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인장 스트랜드(520), 제2 인장 스트랜드(521), 제3 인장 스트랜드(522), 제4 인장 스트랜드(560), 제5 인장 스트랜드(561) 및 제6 인장 스트랜드(562)는 각각, 복수의 실(580)의 실들로 추가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을 사용하여,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500)의 상이한 부분들을 따르는 인장 강도는, 예를 들어, 상이한 크기의 브래이드들을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브래이드 부분은, 요구되는 인장 강도에 따라, 추가적인 브래이드 부분들,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들 및/또는 개별적인 실들로 분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상이한 부분들을 따라 사용되는 구조의 유형이, 신발류 및/또는 의류 물품에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500)를 부착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들을 수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양 단부에서 4개의 가지로 분기되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을 구비하는 분기형 브래이드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의 분기형 브래이드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각각의 단부에 4 초과의 가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기형 브래이드(700)의 중앙 브래이드 부분(730)의 각각의 단부가, 8개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앙 브래이드 부분(730)의 제1 단부(732)는, 제1 인장 스트랜드(720), 제2 인장 스트랜드(721), 제3 인장 스트랜드(722), 제4 인장 스트랜드(723), 제5 인장 스트랜드(724), 제6 인장 스트랜드(725), 제7 인장 스트랜드(726), 및 제8 인장 스트랜드(727)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중앙 브래이드 부분(730)의 제2 단부(734)는 제9 인장 스트랜드(740), 제10 인장 스트랜드(741), 제11 인장 스트랜드(742), 제12 인장 스트랜드(743), 제13 인장 스트랜드(744), 제14 인장 스트랜드(745), 제15 인장 스트랜드(746) 및 제16 인장 스트랜드(747)를 포함하는 다른 8개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형 브래이드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 임의의 수의 가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땋인 또는 꼬인 부분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장 스트랜드가 꼬기 또는 땋기 없이 함께 직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인장 스트랜드들은 나란한 방식으로 직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인장 스트랜드들이 분기형 인장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나란히 직조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형 인장 부재(800)가,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는, 특정 부분들에서 함께 형성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들일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는, 제1 연결 부분(826)에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연결 부분(826)은 제1 교차부(824)에서 시작되며 그리고 제2 교차부(830)까지 계속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는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제1 연결 부분(826)에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는, 인장 스트랜드들을 함께 융합함으로써 제1 연결 부분(826)에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는, 인장 스트랜드들을 함께 직조함으로써 제1 연결 부분(826)에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구성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인장 스트랜드들이 연결 부분들에서 함께 직조되는 실시예에서, 스트랜드들은 자카드(Jacquard) 직조 베틀 또는 기계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교차부(830)에서, 제1 연결 부분(826)이 개별적인 인장 스트랜드들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개별적인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는 빈 공간(832)을 형성하도록 상이한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빈 공간(832)은 제2 교차부(830)와 제3 교차부(834)의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차부(834)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는 다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인장 스트랜드(820) 및 제2 인장 스트랜드(822)를 다시 연결하는 것은, 예를 들어, 직조를 통해 제2 연결 부분(836)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인장 스트랜드들은 임의의 수의 연결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임의의 횟수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분기형 인장 부재에서의 연결 부분의 수는, 다른 인자들 중에서, 인장 부재의 용도, 신발류 및/또는 의류 물품 상에서의 분기형 인장 부재의 위치, 및 물품 상의 특정 위치를 위한 요구되는 지지에 의존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신발류 물품의 갑피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의 실시예의 연결 부분들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며 전술한 실시예의 브래이드 부분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갑피의 임의의 부분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들(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분기형 인장 부재들)은, 신발류 물품 및 의류 물품 모두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신발류 물품에 통합될 수 있는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면들은 신발류 물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지만,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들(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분기형 인장 부재들)이 다른 종류의 신발류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의류 및/또는 스포츠 장비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이킹 부츠, 축구화, 풋볼 슈즈, 스니커즈, 러닝화, 크로스-트레이닝 슈즈, 럭비화, 농구화, 야구화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신발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슬리퍼, 샌들, 하이힐 신발류, 로퍼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종류의 신발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비스포츠 관련 신발류, 의류 및/또는 스포츠 장비(예를 들어, 장갑, 헬멧 등)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932)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900)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들을 도시한다. 특히, 도 9 및 도 10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932)를 갖는 물품(900)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들을 도시하는 가운데, 도 11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932)를 갖는 물품(900)의 개략적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900)은, 밑창 구조물(920) 및 갑피(91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편의를 위해, 신발류 물품(900)은 또한, 단순히 물품(900)으로 언급된다.
일반적으로, 갑피(910)는 임의의 유형의 갑피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갑피(910)는 임의의 디자인, 형상, 크기 및/또는 색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물품(900)이 농구화인 실시예에서, 갑피(910)는, 발목에 높은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성형되는 상부가 높은 갑피일 수 있다. 물품(900)이 러닝화인 실시예에서는, 갑피(910)는 상부가 낮은 갑피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910)는, 임의의 다른 형상 및/또는 디자인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갑피와 함께 사용되는, 끈, 스트랩, 월형, 텅, 뿐만 아니라 다른 준비 요소들과 같은, 임의의 준비 요소들 및/또는 특징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920)은 물품(900)에 정지 마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정지 마찰 제공에 추가하여, 밑창 구조물(920)은,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도중에 발과 지면의 사이에서 압축될 때, 지면 반작용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920)의 구성은, 다양한 종래의 또는 비-종래의 구조를 포함하도록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상당히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밑창 구조물(920)의 구성은, 밑창 구조물(920)이 사용될 수 있는 지면들의 하나 이상의 유형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지면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잔디, 인조 잔디, 흙(dirt), 뿐만 아니라 다른 표면들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물(920)은 갑피(910)에 고정되며 그리고 물품(900) 착용 시에 발과 지면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이한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물(920)은 상이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밑창 구조물(920)은, 바닥창, 중창 및/또는 깔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선택 사양일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를 위해, 물품(900)은, 전족 부분(911: forefoot portion), 중족 부분(912: midfoot portion) 그리고 뒤꿈치 부분(930: heel portion)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전족 부분(911)은 일반적으로 발가락 및 중족골과 지골을 연결하는 관절과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중족 부분(912)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부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뒤꿈치 부분(930)은 일반적으로 중골뼈를 포함하는 발의 뒤꿈치와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물품(900)은 바깥쪽 측부(916) 및 안쪽 측부(91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도 11 참조). 특히, 바깥쪽 측부(916) 및 안쪽 측부(918)는 물품(900)의 대향하는 측부들일 수 있을 것이다.
전족 부분(911), 중족 부분(912) 및 뒤꿈치 부분(930)은 단지 설명을 위해 의도되며 그리고 물품(900)의 영역들의 경계를 명확하게 규정할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바깥쪽 측부(916) 및 안쪽 측부(918)는, 물품(900)을 정확히 두 개의 절반부로 경계를 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물품의 두 개의 측면을 일반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전족 부분(911), 중족 부분(912) 및 뒤꿈치 부분(930), 뿐만 아니라 바깥쪽 측부(916) 및 안쪽 측부(918)는 또한, 밑창 구조물 및/또는 갑피와 같은 물품의 개별적인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932)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인장 스트랜드(941) 및 제2 인장 스트랜드(942)가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의 제1 단부(990)로부터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인장 스트랜드(961) 및 제4 인장 스트랜드(962)가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의 제2 단부(992)로부터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물품의 임의의 부분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가 갑피에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가 밑창 구조물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가 갑피의 부분들 뿐만 아니라 밑창 구조물의 부분들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932)는 일반적으로, 밑창 구조물(920)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인장 스트랜드의 일부 부분들을 갖도록, 갑피(910)의 부분들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은, 물품(900)의 갑피(910)의 뒤꿈치 영역(93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인장 스트랜드(941) 및 제2 인장 스트랜드(942)는 또한, 갑피(910)의 바깥쪽 측부(916)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응하는 인장 스트랜드(961) 및 인장 스트랜드(962)(도 11 참조)는 갑피(910)의 안쪽 측부(918)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은, 뒤꿈치 영역이 아닌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중앙 브래이드 부분은, 갑피의 발등 부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중앙 브래이드 부분은 갑피의 발가락 부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의 중족 영역 또는 전족 영역에 배치되는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의 인장 스트랜드들은, 갑피의 안쪽 측부 및/또는 바깥쪽 측부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갑피(910)는, 인장 스트랜드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갑피(910)는, 제1 채널(980), 제2 채널(982), 제3 채널(984), 및 제4 채널(986), 뿐만 아니라 다른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채널(979)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와 제2 인장 스트랜드는 동일 채널 내에 통합된다.
갑피(910)의 채널들은 임의의 적당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들은, 아래에 상세하세 논의되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갑피(910)의 부품들 사이의 빈 공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들은, 두 층의 재료 부분들이 용접부들을 따라 연결되며, 그로 인해 용접부들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도록, 초음파 용접과 같은 고주파 용접(high frequency welding)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용접 방법들이 가능하며 그리고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용접(radio frequency welding )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용접은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핫 멜트 접착제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 신발류 물품에, 예를 들어, 이후 임의의 종류의 용접 방법을 사용하여 용접될 수 있는 외부 층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 더불어, 실시예들은,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합, 접착, 스태이플링,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 직물 재료의 대향하는 층들을 포함하는 재료들을 연결하기 위한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방법들과 같은, 임의의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초음파 용접 방법이, 본 명세서에 그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통합되는, "복수의 입구 및 출구 지점을 구비하는 인장 스트랜드들을 갖는 스페이서 직물 재료(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Having Multiple Entry and Exit Points)"를 명칭으로 하고 2013년 1월 15일자로 출원된 베에 등의 미국 특허출원 제13/741,428호(미국 특허 제_____)(대리인 문서 번호 제51-268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갑피(910)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은 갑피(910)에 부착되는 루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갑피(910)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은 봉합을 통해 갑피(910)에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은 갑피(910)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은 갑피(91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은 2 이상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1 인장 스트랜드(941) 및 제2 인장 스트랜드(942) 뿐만 아니라 제3 인장 스트랜드(961) 및 제4 인장 스트랜드(962)가 중앙 브래이드 부분(940)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는 갑피(910)에 추가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는 갑피(910) 상에 외부적으로 또는 갑피 내에 내부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941)의 일부 부분들이 갑피(910) 상의 하나 이상의 채널 내부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941)의 제1 부분(943)은 제3 채널(984)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인장 스트랜드(941)의 제3 부분(949)은 제4 채널(986)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인장 스트랜드(941)의 제2 부분(947)은 제3 채널(984)과 제4 채널(986) 사이의 갑피(910) 상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인장 스트랜드(942)의 일부 부분들이 갑피(910) 상의 하나 이상의 채널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인장 스트랜드(942)의 제1 부분(944)은 제1 채널(98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인장 스트랜드(942)의 제3 부분(946)은 제2 채널(982)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인장 스트랜드(942)의 제2 부분(945)은 제1 채널(980)과 제2 채널(982) 사이의 갑피(910) 상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941)의 제2 부분(947)과 제2 인장 스트랜드(942)의 제2 부분(945)은, 끈(lace)과 같은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갑피(910) 상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979)의 나머지 인장 스트랜드들의 부분들이, 제3 루프(950), 제4 루프(952) 및 제5 루프(953)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3 루프(950), 제4 루프(952) 및 제5 루프(953)는 또한, 물품(900)의 끈들을 수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9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들은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는, 예를 들어, 갑피(910)의 하부 부분 또는 가장자리를 따라 갑피(910)와 함께 마감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갑피(910) 및 복수의 인장 스트랜드(979)의 단부들은, 스트로벨 라스트(strobel last)에서 마감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910) 및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들이 슬립 또는 중심 봉합 라스트(slip or center-stitched last)에서 마감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910) 및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들은, 라스팅 보드(lasting board)에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의 단부들을 접합함으로써 마감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910) 및/또는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는, 밑창 구조물(920)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제1 인장 스트랜드(941) 및 제2 인장 스트랜드(942)에 장력이 인가된 상태(예를 들어, 끈에 의해)의 물품(900)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러한 상태는 제3 인장 스트랜드(961) 및 제4 인장 스트랜드(962)에 인가되고 있는 유사한 양의 장력과 연관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932)를 위해 이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제1 인장 스트랜드(941)의 제2 부분(947) 및 제2 인장 스트랜드(942)의 제2 부분(945)에 인가되는 장력은, 브래이드 부분(940)에 장력을 인가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장력은 일반적으로, 브래이드 부분(940)이 갑피(910)의 후방 단부(933)를 초기 설정 위치(995)로부터 내향으로 압박하도록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끈 또는 다른 수단으로 제1 인장 스트랜드(941) 및 제2 인장 스트랜드(942)(뿐만 아니라 제3 인장 스트랜드(961) 및 제4 인장 스트랜드(962))를 팽팽하게 함에 따라, 갑피(910)의 뒤꿈치 부분(930)이, 물품(900)을 발에 더 잘 고정시키도록, 발의 뒤꿈치에 대해 조여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형 브래이드의 부분들이 갑피의 채널들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들은, 갑피의 다양한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 또는 공간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신발의 갑피가m 스페이서 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서 직물 재료는 제1 층, 및 제1 층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께 연장되는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페이서 직물 재료는, 제1 층과 제2 층의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제1 층과 제2 층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서 직물 재료 및 스페이서 직물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예들이, 뒤따르는, 각각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통합되는, 차오 등의 "스페이서 직물 재료 및 스페이서 직물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Spacer Textile Materi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pacer Textile Materials)"을 명칭으로 하고 2012년 4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3/443,421호(미국 특허공개번호_____); 굿윈 등의 "신발류에 사용하기 위한 탄성 블래더(Resilient Bladder for Use in Footwear)"를 명칭으로 하는 2000년 9월 1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6,119,371호; 그리고 굿윈 등의 "신발류 물품을 위한 가요성 유체 충진 블래더(Flexible Fluid 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를 제목으로 하는 2006년 7월 1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7,076,89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신발류 물품(1100) 상의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140)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다. 우선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에 예시된 물품(1100)의 실시예는 갑피(111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갑피(1110)는 스페이서 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110)는, 스페이서 직물 재료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채널들 또는 빈 공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물품(1100)은 밑창 구조물(112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 요소들에 추가하여, 물품(1100)은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14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140)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 제1 인장 스트랜드(1142) 및 제2 인장 스트랜드(1144) 뿐만 아니라, 가능한 다른 인장 스트랜드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1140)는 물품(1100)의 갑피(1110)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은, 갑피(1110)의 안쪽 측부로부터, 뒤꿈치 영역(1130)을 지나, 갑피(1110)의 바깥쪽 측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갑피(1110)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는, 제1 루프(1180), 제2 루프(1182), 제3 루프(1184) 및 제4 루프(1186) 뿐만 아니라, 갑피(1110)의 안쪽 측부 상의 다른 가능한 루프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루프에 의해 물품(1100)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은 봉합을 통해 갑피(1110)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은 갑피(1110)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은 갑피(111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은 2 이상의 인장 스트랜드로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1142)와 제2 인장 스트랜드(1144)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는 갑피(1110)에 추가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1142)가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으로부터 분기된다. 경우에 따라, 제1 인장 스트랜드(1142)는 제1 루프(1180)를 관통하여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으로부터 끈(1160)을 향해 상방으로 그리고 이어서 밑창 구조물(1120)을 향해 다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 스트랜드(1142)의 대부분이 갑피(1110)에 대해 외부에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인장 스트랜드(1144)가,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으로부터 제1 루프(1180)를 관통하여 갑피(1110)의 외면 상의 제1 개구(1133) 내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개구(1133)로부터, 제2 인장 스트랜드(1144)의 부분(1146)이 갑피(1110)의 내부에서 제2 개구(1170)까지 연장되며, 제2 개구(1170)의 지점에서 제2 인장 스트랜드(1144)가 갑피(1110)의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다. 제2 개구(1170)에서, 제2 인장 스트랜드(1144)의 부분(1162)이 끈(1160)을 가로질러 루프를 형성하며 제3 개구(1172) 내로 다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제2 인장 스트랜드(1144)의 부분(1148)이 갑피(1110)의 내부에서 제3 개구(1172)에서부터 밑창 구조물(1120)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제3 인장 스트랜드(1164)가 갑피(1110)의 내부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3 인장 스트랜드(1164)는, 밑창 구조물(1120)에서부터, 제5 개구(1174)를 통해, 그리고 고리를 형성하도록 다시 제6 개구(1176)를 통해 갑피(1110) 내로 통과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제3 인장 스트랜드(1164)는 또한, 끈(1160)과 맞물리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1 인장 스트랜드(1142)와 제2 인장 스트랜드(1144)를 팽팽하게 함에 따라,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은 갑피(1110)의 뒤꿈치 부분(1130)에 대해 팽팽하게 잡아당겨지며, 그로 인해 갑피(1110)를 발 뒤꿈치에서 발에 대해 더욱 밀접하게 잡아당길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에 인가되는 장력의 방향 및 크기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1132) 뿐만 아니라 제1 인장 스트랜드(1142)와 제2 인장 스트랜드(1144)의 부분들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루프들(예를 들어, 제1 루프(1180), 제2 루프(1182), 제3 루프(1184) 및 제4 루프(1186))을 사용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원리들은, 착용될 수 있는 임의의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은,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절 부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경우에서, 물품은, 착용자의 부분들에 3차원적인 방식으로 맞춰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착용하도록 구성되는 물품들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발류, 장갑, 셔츠, 바지, 양말, 스카프, 모자, 자켓, 뿐만 아니라 다른 물품들을 포함한다. 물품들의 다른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강이 보호대, 무릎 패드, 팔꿈치 패드, 어깨 패드,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유형의 보호 장비와 같은, 보호 장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방, 지갑, 백팩, 뿐만 아니라 착용될 수도 또는 착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물품들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물품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물품은, 배트, 공(예를 들어, 골프공, 농구공, 야구공, 축구공, 테니스공 및 다른 종류의 공), 퍽, 하키 스틱, 라켓, 골프 클럽,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스포츠 장비와 같은, 스포츠 장비의 물품일 수 있다.
또한 도 8에 예로서 도시되고 이상에서 논의된, 분기형 인장 부재들이, 마찬가지로 신발류 및/또는 의류 물품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분기형 인장 부재는, 예를 들어, 신발류 물품의 갑피 상에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설명은 제한하는 대신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다수의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 업계의 숙련자에 게 명백할 것이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은,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을 고려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와 밑창 구조물;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일 군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상기 갑피에 통합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는 제1 인장 스트랜드 및 제2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장 스트랜드는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인장 스트랜드는 제1 인장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장 단부는 상기 밑창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은, 뒤꿈치 영역 주위에서 상기 갑피의 안쪽 측부로부터 상기 갑피의 바깥쪽 측부까지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는 상기 갑피의 바깥쪽 측부 상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 중 하나의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갑피의 채널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는 각각, 상기 갑피의 상응하는 채널들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와 밑창 구조물;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일 군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상기 갑피에 통합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는 제1 인장 스트랜드와 제2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장 스트랜드와 제2 인장 스트랜드는 상이한 재료 물성들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장 스트랜드는 상기 제2 인장 스트랜드의 신장성보다 더 큰 신장성을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트랜드의 부분이 상기 갑피의 외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루프를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와 밑창 구조물;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일 군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브래이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중앙 브래이드 부분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상기 갑피에 통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트랜드의 부분이 상기 갑피의 외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루프를 형성하고,
    신발 끈이 상기 루프를 통과하여 매어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1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와 밑창 구조물;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를 형성하는 일 군의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브래이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2 브래이드 부분이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브래이드 부분은 상기 제1 브래이드 부분보다 더 작고,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가 상기 제2 브래이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분기형 브래이드 부재는 상기 갑피에 통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이드 부분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를 함께 땋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이드 부분은, 상기 갑피의 외표면 상의 하나 이상의 루프에 의해 또는 상기 제1 브래이드 부분을 상기 갑피에 봉합함으로써, 상기 갑피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이드 부분은 제1 개수의 인장 스트랜드와 연관되고, 상기 제2 브래이드 부분은 제2 개수의 인장 스트랜드와 연관되며, 인장 스트랜드의 상기 제1 개수는 인장 스트랜드의 상기 제2 개수보다 큰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177002912A 2013-01-15 2014-01-14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KR101766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41,449 US9095186B2 (en) 2013-01-15 2013-01-15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braided tensile strands
US13/741,449 2013-01-15
PCT/US2014/011393 WO2014113356A1 (en) 2013-01-15 2014-01-14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braided tensile strand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197A Division KR20150104166A (ko) 2013-01-15 2014-01-14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574A true KR20170015574A (ko) 2017-02-08
KR101766469B1 KR101766469B1 (ko) 2017-08-08

Family

ID=501568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12A KR101766469B1 (ko) 2013-01-15 2014-01-14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KR1020157021197A KR20150104166A (ko) 2013-01-15 2014-01-14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197A KR20150104166A (ko) 2013-01-15 2014-01-14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9095186B2 (ko)
EP (1) EP2903469B1 (ko)
JP (1) JP6185083B2 (ko)
KR (2) KR101766469B1 (ko)
CN (1) CN104902772B (ko)
AU (2) AU2014207747B2 (ko)
BR (1) BR112015015303B1 (ko)
CA (1) CA2890390C (ko)
MX (1) MX359543B (ko)
WO (1) WO2014113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7359B2 (en) * 2008-05-02 2018-03-06 Nike, Inc. Lacing system with guide elements
US11723436B2 (en) 2008-05-02 2023-08-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charging system
US11206891B2 (en) 2008-05-02 2021-12-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assembly of the article of footwear
US8046937B2 (en) 2008-05-02 2011-11-01 Nike, Inc. Automatic lacing system
US8490299B2 (en) * 2008-12-18 2013-07-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498023B2 (en) 2012-11-20 2016-11-22 Nike, Inc.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sock and tongue portions
US9872535B2 (en) * 2012-12-20 2018-01-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harness and fluid-filled chamber arrangement
US9095186B2 (en) 2013-01-15 2015-08-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braided tensile strands
US10863794B2 (en) 2013-06-25 2020-12-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KR101838824B1 (ko) 2013-06-25 2018-03-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편조형 갑피를 지닌 신발류 물품
US8701232B1 (en) 2013-09-05 2014-04-22 Nike, Inc.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trimmed knitted upper
US10092058B2 (en) * 2013-09-05 2018-10-09 Nike, Inc.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upper with tensile strand
US9510637B2 (en) 2014-06-16 2016-12-06 Nike, Inc. Article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zonal stretch limiter
CN106136453B (zh) * 2014-09-30 2019-09-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结合具有抗拉元件的纺织部件的鞋类物品鞋面
US9192204B1 (en) * 2014-09-30 2015-11-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textile component with tensile elements
US9375046B2 (en) 2014-09-30 2016-06-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inlaid tensile elements and method of assembly
US9078488B1 (en) 2014-09-30 2015-07-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lenticular knit structure
US10822728B2 (en) 2014-09-30 2020-11-03 Nike, Inc. Knitted components exhibiting color shifting effects
US10674791B2 (en) 2014-12-10 2020-06-09 Nike, Inc. Braided article with internal midsole structure
US9668544B2 (en) 2014-12-10 2017-06-06 Nike, Inc. Last system for articles with braided components
JP6385961B2 (ja) * 2015-01-08 2018-09-05 株式会社Shindo 緩み止め紐
KR101981415B1 (ko) 2015-01-16 2019-05-2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전족 발가락 랩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US10555581B2 (en) 2015-05-26 2020-02-11 Nike, Inc. Braided upper with multiple materials
US20160345675A1 (en) * 2015-05-26 2016-12-01 Nike, Inc. Hybrid Braided Article
US11103028B2 (en) 2015-08-07 2021-08-31 Nike, Inc. Multi-layered braid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US10136701B2 (en) * 2015-10-19 2018-11-27 Nike, Inc. Tensile-strand enclosure system for footwear
WO2017091769A1 (en) * 2015-11-24 2017-06-01 Nike Innovate C.V. Lacing system with guide elements
EP3383213B1 (en) 2015-11-30 2021-03-03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and charging system
CN113180333B (zh) 2015-12-07 2022-08-26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管状结构的鞋类物品
USD781562S1 (en) * 2016-01-20 2017-03-21 Nike, Inc. Shoe upper
ITUA20161378A1 (it) * 2016-03-04 2017-09-04 Fashion Tex S R L Laccio tubolare tessuto 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US10201212B2 (en) * 2016-03-15 2019-02-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tensioning system including a guide assembly
CN109072507B (zh) 2016-04-01 2022-10-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针织部件的物品以及制造该物品的方法
US11026472B2 (en)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DE102016215263A1 (de) * 2016-08-16 2018-02-22 Adidas Ag Schuhoberteil für einen Schuh
US11166516B2 (en) * 2016-08-26 2021-1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that includes a knitted component with a cushioning region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USD818545S1 (en) * 2016-10-20 2018-05-22 Exemplar Design, Llc Jump rope
USD827059S1 (en) * 2016-10-20 2018-08-28 Exemplar Design, Llc Jump rope
US11224261B2 (en) 2017-02-10 2022-01-18 Nike, Inc. Knitted article with at least one scallop element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765173B2 (en) 2017-03-10 2020-09-08 Under Armour,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reconfigurable fastening system
US11457685B2 (en) 2017-05-30 2022-10-04 Nike, Inc. Double layer, single tube braid for footwear upper
US20180343958A1 (en) * 2017-05-30 2018-12-06 Nike, Inc. Braided upper for footwear with finished heel axis
US10905189B2 (en) 2017-05-31 2021-02-02 Nike, Inc. Braided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flat yarn
US11051573B2 (en) 2017-05-31 2021-07-06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0806210B2 (en) 2017-05-31 2020-10-20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202483B2 (en) 2017-05-31 2021-12-21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147328B2 (en) * 2017-07-19 2021-10-19 Amer Sports Canada Inc. Circumference closing system
US11992090B2 (en) * 2017-08-07 2024-05-28 Nike, Inc. Knitted components having self supportive heel
US10834998B2 (en) * 2018-04-13 2020-11-17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including a holding cage
KR20230066129A (ko) 2018-09-06 2023-05-1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피드백 메커니즘을 갖는 동적 끈 조절 시스템
EP3955765B1 (en) * 2019-04-17 2023-08-16 NIKE Innovate C.V. Footwear upper with branched forefoot straps
JPWO2021059450A1 (ko) * 2019-09-26 2021-04-01
AU2021257725B2 (en) * 2020-04-17 2023-05-25 Google Llc Textile assemblies for speakers, including textile assemblies with inlaid tensioning yarns, and associated apparatuses and methods
US11535960B2 (en) * 2020-04-17 2022-12-27 Jhih Huei Trading Co., Ltd. Textile for shoe upper and shoe body including the same
TWM602355U (zh) * 2020-06-03 2020-10-11 張芳春 高週波密封內套底部之透濕防水鞋
DE102020213682B3 (de) * 2020-10-30 2022-03-17 Adidas Ag Schnürsystem
US20220132997A1 (en) * 2020-11-03 2022-05-05 Nike, Inc. Securing mechanisms for articles of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7771A (en) 1934-01-16 1935-04-16 Mcgowan Joseph Textile yarn
GB473400A (en) 1936-10-21 1937-10-12 Willy Kuester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of shoe-portions wound from strip
US2412808A (en) 1945-01-03 1946-12-17 David D Goldstein Sandal
JPS462758Y1 (ko) * 1966-06-20 1971-01-30
FR2105444A5 (ko) 1970-09-02 1972-04-28 Keloglanian Girard
GB1339646A (en) 1970-10-19 1973-12-05 Fukuoka T Shoes
US3934346A (en) * 1974-12-12 1976-01-27 Kyozo Sasaki Sporting shoes
US4027406A (en) * 1976-05-13 1977-06-07 Michael Salvatore Method of lasting shoe uppers to a last and lasted shoe uppers and articles of footwear produced thereby
US4366631A (en) * 1979-03-16 1983-01-04 Colgate-Palmolive Company Athletic shoe
JPS5799404A (en) 1980-12-10 1982-06-21 Mitsubishi Steel Mfg Co Ltd Suspension system for car
JPS62485Y2 (ko) * 1980-12-11 1987-01-08
IT1230176B (it) 1988-12-06 1991-10-18 Superga Spa Scarpa ginnica con tomaia perfezionata
EP0746214B1 (en) * 1994-02-28 1999-12-08 Adam H. Oreck Shoe having lace tubes
FR2752686B1 (fr) * 1996-08-29 1998-11-06 Salomon Sa Lacet a section variable pour chaussure de sport et chaussure de sport munie d'un tel lacet
US5993585A (en) 1998-01-09 1999-11-30 Nike, Inc. Resilient bladder for use in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the bladder
JP3915340B2 (ja) 1998-10-26 2007-05-16 東レ株式会社 防護材料、防刃衣および防護具
ATE358200T1 (de) * 1999-04-14 2007-04-15 Quest Technologies Inc Kordelzugverschluss mit elastischem zugband
US7210251B1 (en) 2003-05-03 2007-05-01 Rolle Gwendolyn M W Shoe with interchangeable covers
US7076891B2 (en) 2003-11-12 2006-07-1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444768B2 (en) 2004-02-12 2008-11-04 Nike, Inc. Footwear and other systems including a flexible mesh or braided closure system
JP2005290628A (ja) 2004-04-01 2005-10-20 Alcare Co Ltd サポーター用ステー及びサポーター
US8312645B2 (en) * 2006-05-25 2012-11-20 Nike, Inc. Material elements incorporating tensile strands
TWI361919B (en) 2006-10-27 2012-04-11 Ind Tech Res Inst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8225530B2 (en) * 2006-11-10 2012-07-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at knit upper construction or other upper construction
US7743531B2 (en) * 2006-12-20 2010-06-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expandable heel portion
FR2913238A1 (fr) 2007-03-01 2008-09-05 J Rostaing Sa Sa Ets Procede de tressage de brins de cuir rembordes.
TWM335958U (en) * 2007-12-06 2008-07-11 dao-long Cai Structure of belt body
CN201356120Y (zh) 2009-03-05 2009-12-09 周志兵 编织鞋
TWM361919U (en) 2009-03-13 2009-08-01 Taiwan Paiho Ltd Structure of eyelets braid for shoes
US8132340B2 (en) 2009-04-07 2012-03-13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crossed tensile strand elements
US8973288B2 (en) 2010-07-30 2015-03-10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ngled tensile strand elements
US8875418B2 (en) * 2011-02-04 2014-11-04 Nike, Inc.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839532B2 (en) * 2011-03-15 2014-09-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CN202112427U (zh) * 2011-07-06 2012-01-18 吴荣照 系带鞋及其鞋带穿绕系统
US9095186B2 (en) * 2013-01-15 2015-08-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braided tensile strands
US20140202032A1 (en) * 2013-01-18 2014-07-24 Angelica Alas Shoe comfort strap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99905A1 (en) 2017-04-13
MX359543B (es) 2018-09-27
US9095186B2 (en) 2015-08-04
US20150342287A1 (en) 2015-12-03
JP6185083B2 (ja) 2017-08-23
AU2016219621B2 (en) 2017-09-14
JP2016503698A (ja) 2016-02-08
AU2014207747B2 (en) 2016-07-07
MX2015009044A (es) 2016-01-14
AU2014207747A1 (en) 2015-05-21
AU2016219621A1 (en) 2016-09-15
BR112015015303B1 (pt) 2021-11-23
CA2890390A1 (en) 2014-07-24
BR112015015303A2 (pt) 2017-07-11
CN104902772A (zh) 2015-09-09
US9554614B2 (en) 2017-01-31
KR20150104166A (ko) 2015-09-14
EP2903469A1 (en) 2015-08-12
CA2890390C (en) 2017-08-22
US9930922B2 (en) 2018-04-03
US20140196316A1 (en) 2014-07-17
EP2903469B1 (en) 2017-10-25
KR101766469B1 (ko) 2017-08-08
WO2014113356A1 (en) 2014-07-24
CN104902772B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469B1 (ko) 땋인 인장 스트랜드들을 통합한 신발류 물품
JP7007433B2 (ja) 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TWI643570B (zh) 含有具張力元件之織物部件的鞋類物件鞋幫、經構形以界定一鞋類物件之一鞋幫之編織部件、形成一鞋類物件之一鞋幫之方法及鞋幫
JP6012083B2 (ja) ポリマー層を備えたニットアッパーを有する履物製品
TWI601487B (zh) 包含一具有周圍編織部分之單絲編織元件的鞋類物件及其製造方法
TWI640262B (zh) 合併有柱狀透鏡狀編織結構的鞋類物件、用於合併至一物件中之編織部件及製造用於合併至一物件中之一編織部件之方法
TWI630881B (zh) 包含一具有一可熔線之單絲編織元件的鞋類物件及製造具有一鞋面及固定至該鞋面之一鞋底結構之一鞋類物件之方法
TWI660689B (zh) 用於包含一全單絲鞋面之鞋類物件之編織組件、及鞋類物件
TWI574642B (zh) 具有設置本體部及跟部之編織組件的鞋類物件
US9392836B2 (en)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bootie system
TWI651060B (zh) 用於一鞋類物件之鞋面及用來形成用於一鞋類物件之一鞋面之方法
CN205913005U (zh) 鞋类物品和鞋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