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88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튠-어웨이 동작의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튠-어웨이 동작의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886A
KR20170013886A KR1020167033795A KR20167033795A KR20170013886A KR 20170013886 A KR20170013886 A KR 20170013886A KR 1020167033795 A KR1020167033795 A KR 1020167033795A KR 20167033795 A KR20167033795 A KR 20167033795A KR 20170013886 A KR20170013886 A KR 2017001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call
size
tune
packet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865B1 (ko
Inventor
메릭 엠레 우즈노글루
준 후
파반 씨 카이바람
케빈 에스 셀트먼
라빈드라 마헨드라쿠마르 가라치
암마르 타이예비 키타비
황 러우
라시드 아메드 아크바르 아타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1Real 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04W76/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양태들은 튠-어웨이 (tune-away) 동작들에서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은 액세스 단말에서 레거시 튠-어웨어 동작들을 개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그 호로부터 튠 어웨이 (tune-away) 하고, 그리고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한다.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액세스 단말기는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튠-어웨이 동작의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DATA THROUGHPUT OF A TUNE-AWA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 출원들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4년 6월 6일에 미국 특허청에 제출된 미국 정규출원 제14/297,979호의 우선권 및 이득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다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튠-어웨이 (tune-away) 동작 개선들 및 유사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의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널리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들은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응된 다양한 타입들의 액세스 단말기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고, 여기서 다수의 액세스 단말기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을 공유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액세스 단말기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국제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 및 액세스 단말기의 가입자를 식별 및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는,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일부 예들에서는,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SIM 애플리케이션) 을 포함할 수도 있다. SIM, UICC, 및/또는 UICC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본 개시에서 SIM 또는 SIM 카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멀티-SIM 액세스 단말기는 2개 이상의 SIM 카드들을 보유 (또는 2개 이상의 SIM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 하고, 동일한 액세스 단말기 상에서의 2개 이상의 서비스들 또는 가입들의 사용을 허용한다. 일 예에서, 액세스 단말기는 듀얼 SIM을 갖고 양 SIM은 동시에 액티브되어 액세스 단말기가 어떤 주어진 시간에 어느 하나의 SIM을 이용하여 호를 수행할 수 있다. 듀얼 SIM 액세스 단말기는, 양 SIM을 동시에 동작하지만 그들 사이에서 단 하나의 RF 체인 또는 트랜시버만을 공유하는 듀얼 SIM 듀얼 스탠바이 (DSDS) 액세스 단말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SIM을 이용하여, 액세스 단말기는 특정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통신 프로토콜들의 예들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롱 텀 에볼루션 (LTE (Long-Term Evolution), 또한 EPS (Evolved Packet system) 으로 알려짐) 을 포함하는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에 의해 정의된 것들 뿐만 아니라 CDMA2000 1x. EVDO (Evolution Data Optimized) 등을 포함하는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에 의해 정의된 것들을 포함한다. 물론, 당업자들은 상술한 그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이용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액세스 단말기는 제 1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EVDO) 을 이용하는 호에 참여하면서 튠-어웨이 동작들, 예를 들어, 모든 미리결정된 사이클 또는 기간 동안 제 2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GSM 또는 1x) 의 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프로토콜 상에서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액세스 단말기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계속하기 위해 튜닝 백 (tuning back) 한다.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동일한 SIM 또는 상이한 SIM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튠-어웨이 동작들을 수행하면서, 액세스 단말기는 통상 튠-어웨이 전후에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램프-다운 (ramp-down) 및 램프-업 (ramp-up) 절차들을 수행한다. 즉, 튠-어웨이 전에, 액세스 단말기는 그의 송신 패킷 사이즈들을 감소 (램프-다운) 하고, 튠-어웨이 후에, 패킷 사이즈들이 다시 증가 (램프-업) 된다. 램프-업 및 램프-다운 동작은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의 데이터 스루풋에 바람직하지 않게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있는 기술은 튠-어웨이 (tune-away) 동작들에서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기에서 레거시 튠-어웨이 동작들을 개선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간략화된 개요를, 이러한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한다. 이 개요는 본 개시의 고려된 모든 특징들의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고 본 개시의 모든 양태들의 주요한 또는 결정적인 엘리먼트를 식별하는 것으로도 본 개시의 임의의 또는 모든 양태들을 기술하는 것으로도 의도되지 않는다. 그 유일한 목적은 나중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부 개념들을 간략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양태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그 호로부터 튠 어웨이 (tune-away) 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한다.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액세스 단말기는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그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장치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장치는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기를 제공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통신 컴포넌트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통신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 강제 컴포넌트 및 제 1 및 제 2 통신 컴포넌트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튠-어웨이 제어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튠-어웨어 제어 컴포넌트는 제 1 통신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고, 그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고 제 2 통신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그리고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하도록 구성된다.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액세스 단말기는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도록 구성된 LoLat 패킷 강제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코드는,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게 하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그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게 하고, 그리고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하게 한다.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코드는 또한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더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의 검토시 당업자들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이하에서 소정의 실시형태들 및 도면들에 대하여 논의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은 여기에 논의된 유리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은 소정의 유리한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서 논의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여기에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이하에서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방법 실시형태들로서 논의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찾을 수도 있는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쳐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튠-어웨이 동작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EVDO 리버스 링크 트래픽 채널 프레임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LoLat (low latency) 송신 강제를 이용하는 튠-어웨이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LoLat 강제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프리-튠-어웨이 트래픽 채널 전력 부스트를 이용하는 튠-어웨이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프리-튠-어웨이 트래픽 채널 전력 부스트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 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포스트-튠-어웨이 트래픽 채널 전력 부스트를 이용하는 튠-어웨이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0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포스트-튠-어웨이 트래픽 채널 전력 부스트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1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리버스 링크 페이로드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2 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액세스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결합한 이하의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여기에 설명된 개념들 및 특징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잘 알려진 회로들, 구조들, 기법들 및 컴포넌트들은 설명된 개념들 및 특징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쳐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다. 논의의 소정의 양태들은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1x 및 EVDO 프로토콜들 및 시스템들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되고, 관련된 용어가 다음의 설명의 많은 곳에서 발견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및 시스템들에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채용되고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 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찾을 수도 있는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기들 (104),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 (BSC) (106), 및 (예를 들어, MSC/VLR (mobile switching center/visitor location register) 을 통해)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으로 및/또는 (예를 들어, PDSN (packet data switching node) 을 통해) IP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 (108) 를 포함한다. 시스템 (100) 은 다수의 캐리어들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 에 대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멀티-캐리어 송신기들은 다수의 캐리어들 상에서 변조된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CDMA 신호, TDMA 신호, OFDM 신호,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 등일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이한 캐리어 상에서 전송될 수도 있고 제어 정보 (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반송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기지국 안테나를 통해 액세스 단말기들 (104)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 (102) 은 각각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으로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기들 (104) 을 위한) 무선 접속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응된 디바이스로서 일반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2) 은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BSS (basic service set), ESS (extended service set), Node B, 펨토 셀, 피코 셀, 및/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다수의 캐리어들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 (106) 의 제어 하에서 액세스 단말기들 (104) 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들 (102) 의 각각은 소정의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 (102) 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 (110) 은 여기에 셀들 (110-a, 110-b 또는 110-c) 로서 식별된다. 기지국 (102) 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 (110) 은 (도시되지 않지만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만을 구성하는) 섹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섹터들로 분할되는 커버리지 영역 (110) 에서, 커버리지 영역 (110) 내의 다수의 섹터들은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각각의 안테나는 셀의 일부 내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기들 (104) 과의 통신을 담당한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기들 (104) 은 커버리지 영역 (110)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고 각 개별의 기지국 (102) 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셀들 또는 섹터들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 (AT) (104) 는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세스 단말기들 (104) 은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사용자 장비 (UE), 이동국 (MS),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들 (104) 은 모바일 단말기들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고정된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들 (104) 의 예들은 모바일 폰들, 스마트폰들, 페이저들, 무선 모뎀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 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들, 개인 미디어 플레이어들, 팜탑 (palmtop) 컴퓨터들, 랩탑 컴퓨터들, 태블릿 텀퓨터들, 텔레비전들, 어플라이언스들, 이-리더 (e-reader) 들, DVR (digital video recorder) 들, 머신-투-머신 (M2M) 디바이스들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다른 통신/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기 (104) 는 액세스 단말기 (104) 및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 (예를 들어, 기지국 (102)) 사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쳐를 채용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프로토콜 스택은 일반적으로 계층들이 그들의 수치 지정 순으로 표현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대한 계층화된 아키텍쳐의 개념 모델을 포함하고, 여기서 전송된 데이터는 그들의 표현의 순으로 각 계층에 의해 순차적으로 프로세싱된다. 도표로, "스택" 은 통상 수직으로 도시되고, 맨 아래에는 가장 낮은 수치 지정을 갖는 계층이 배치된다. 도 2 는 액세스 단말기 (104)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쳐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액세스 단말기 (104) 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쳐는 일반적으로 3개의 계층들: 계층 1 (L1), 계층 2 (L2) 및 계층 3 (L3) 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계층 1 (202) 은 최하위 계층이며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계층 1 (202) 은 여기에서 물리 계층 (202) 으로 또한 지칭된다. 이 물리 계층 (202) 은 액세스 단말기 (104) 와 기지국 (102) 간의 무선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제공한다.
계층 2 (또는 "L2 층") (204) 이라 불리는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 (202) 위에 있고 계층 3 에 의해 생성된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전달을 담당한다. L2 계층 (204) 은 물리 계층 (202) 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사용한다. L2 계층 (204) 은 2개의 부계층 (sublayer) 들: 매체 액세스 제어 (MAC) 부계층 (206) 및 링크 액세스 제어 (LAC) 부계층 (20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MAC 부계층 (206) 은 L2 계층 (204) 의 하위 부계층이다. MAC 부계층 (206) 은 매체 액세스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물리 계층 (202) 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들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전송을 담당한다. MAC 부계층 (206) 은 상위 계층들로부터 공유된 공중 인터페이스로의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할 수도 있다.
LAC 부계층 (208) 은 L2 계층 (204) 의 상위 부계층이다. LAC 부계층 (208) 은 계층 3 에서 생성된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정확한 전송 및 전달을 위해 제공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LAC 부계층은 하위 계층 (예를 들어, 계층 1 및 MAC 부계층) 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사용한다.
상위 계층 또는 L3 계층으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계층 3 (210) 은 기지국 (102) 과 액세스 단말기 (104) 간의 통신 프로토콜의 시맨틱스 (semantics) 및 타이밍에 따라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발신 및 착신한다. L3 계층 (210) 은 L2 계층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사용한다. 정보 (데이터 및 음성 양자) 메시지는 또한 L3 계층 (210) 을 통해 전달된다.
도 3 은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에 따라 튠-어웨이 동작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단말기 (302) 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기 (302) 는 도 1 의 AT (104) 또는 도 1, 도 12 및/또는 도 13 에 도시된 임의의 AT 와 동일할 수도 있다. AT (302) 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셀 (304) 및 제 2 셀 (306) 에 동시에 접속될 수도 있다. 셀들 (304 및 306) 은 동일한 가입 또는 상이한 가입들과 연관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있어서, AT (302) 는 EVDO 프로토콜에 의해 제 1 셀 (304) 과 통신하고 GSM 또는 CDMA2000 1x 프로토콜에 의해 제 2 셀 (306)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 1 셀 (304) 과의 EVDO 트래픽에 참여하는 동안에, AT (302) 는 페이지 사이클 마다 제 2 셀 (306) 로부터 GSM (또는 1x)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튠-어웨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GSM 페이징이 470 밀리초 (ms) 마다 발생하기 때문에, AT (302) 는 GSM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EVDO 호로부터 빈번히 튠 어웨이할 것이며, 이는 EVDO 호에 대한 빈번한 인터럽션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인터럽션은 바람직하지 않게 EVDO 데이터 스루풋을 저하시킬 수 있다.
물론, 당업자들은 도 3 에 도시되고 상술한 동작이 단지 본 개시에서 튠-어웨이 동작으로 지칭될 수도 있는 동작의 일 예일 뿐임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튠-어웨이는 새로운 주파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트랜시버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튜닝" 을 실제로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튠-어웨이 동작은 새로운 또는 상이한 주파수에 대한 그러한 튜닝을 지칭할 수도 있지만,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CDMA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는 제 1 통신 프로토콜로부터 상이한 CDMA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 2 통신 프로토콜로의 변화, 또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 간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변화를 지칭할 수도 있다.
도 4 는 EVDO 리버스 링크 (RL; reverse link) 트래픽 채널 프레임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EVDO 에서, RL 프레임 (400) 은 4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되는 16개의 슬롯들을 갖는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4개의 슬롯들을 차지하고 하나의 서브패킷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서브패킷 (402) 은 액세스 네트워크 (AN) 에 의해 물리 계층에서 확인응답될 수 있는 리버스 트래픽 채널 송신의 최소 단위이다. 서브패킷 (402) 은 4개의 연속 슬롯들을 통해 송신되어, 서브패킷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각각의 물리 계층 패킷은 4개까지의 서브패킷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은 RL 에서 다수의 채널을 동시에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채널들은 RRI (Reverse Rate Indicator) 채널 (404), 데이터 채널 (406), DRC (Data Rate Control) 채널 (408), ACK 채널 (410), DSC (Data Source Channel) (412), 보조 파일럿 채널 (414) 및 파일럿 채널 (416) 이다. ACK (410) 및 DSC (412) 는 함께 시간-멀티플렉싱된다. 보조 파일럿 채널 (414) 은 선택적이며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에서 사용된다.
RRI (404) 는 리버스 데이터 채널의 데이터 레이트를 나타낸다. 즉, RRI (404) 는, 1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을 수도 있는 소정 수의 페이로드 인덱스들 중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현재의 RL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레이트를 보고한다. 데이터 채널 (406) 은 사용자 데이터 (EVDO 트래픽) 를 반송한다. DRC 채널 (408) 은 각각의 슬롯에 4비트 워드를 포함하여 서빙 섹터에 대한 상이한 송신 레이트들의 선택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AT 가 선택된 기지국으로부터 요청할 수도 있는 12개의 가능한 포맷들이 존재하며, 이는 "DRC 인덱스들" 이라 불린다. 각각의 DRC 인덱스는 데이터 레이트, 패킷 길이, 슬롯들의 수, 코딩 레이트, 변조 타입, 프리앰블 길이 및 반복을 포함하는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 레이트 (또는 데이터 레이트) 는 페이로드 사이즈 및 레이턴시 타겟 (latency target) 의 함수이다. 레이턴시 타겟은 원하는 패킷 에러 레이트 (PER; packet error rate) 를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서브패킷들의 수이고, 1, 2, 3 또는 4개의 서브패킷들일 수 있다. DRC 채널 (408) 송신은 DRC 커버라 불리는 적절한 커버 코드를 이용하고, 이 커버 코드는 섹터 커버 또는 널 (null) 커버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DRC 커버는 AT의 액티브 세트 내의 특정 섹터와 연관된다 ("섹터 커버" 라 불린다). AT는 DRC 채널 (408) 을 이용하여 특정 섹터에게 특정 송신 레이트 또는 데이터 레이트를 이용하여 AT에 송신하라고 요청한다. ACK (410) 는 AT가 데이터의 수신인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프리앰블을 갖는 (포워드 링크로부터의) 프레임을 AT가 검출한 후에 송신된다.
DSC (412) 는 셀을 스위칭하려는 AT의 의도의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예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RNC가 데이터를 새로운 셀로 트랜지션하고 있는 동안, AT는 그 현재의 셀로부터 데이터를 계속 요청할 수 있다. DSC (412) 는 ACK (410) 와 시간-멀티플렉싱되고 항상 후반 (second half) 슬롯에서 송신된다. 데이터 채널 (406) 은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서브패킷들을 송신하고, 각각의 서브패킷은 4개의 슬롯을 차지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예를 들어 EVDO 트래픽과 GSM/1x 유휴 (idle) 트래픽 간의 튠-어웨이 동작 동안 더 나은 RL (업링크) EVDO 스루풋 성능을 유도할 목적으로 레거시 EVDO 관리 알고리즘 (예를 들어, EVDO 리버스 트래픽 채널 MAC (RTC-MAC) 프로토콜) 을 개선한다. 일반적으로, 튠-어웨이 동작 전후에, 되도록, 더 큰 RL 패킷 사이즈들이 이용된다. 그러므로, 튠-어웨이 전 및/또는 후에, RL 패킷 사이즈들의 램프-다운 (패킷 사이즈 감소) 및 램프-업 (패킷 사이즈 증가) 이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도 있다. 패킷 사이즈들의 램프-다운 및 램프-없 없이 튠-어웨이 동작이 적절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튠-어웨이 동작 전후에 RL 데이터 송신들에 대한 소정의 변화들이 이루어진다.
개선된 EVDO 관리 알고리즘은 AT (302) 또는 도 1, 도 3, 도 12 및/또는 도 13 에 도시된 임의의 AT에서 단독으로 또는 어떤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다수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들 특징들은 일부 비제한 예들로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AT (302) 는 2개의 송신 모드들: HiCap (high capacity) 및 낮은 레이턴시 (LoLat) 를 이용하여 패킷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LoLat 는 HiCap 의 것 미만의 종료 타겟 (termination target) 을 갖는다. EVDO에서, 예를 들면, HiCap 은 4개의 서브패킷들의 종료 타겟을 가질 수도 있지만, LoLat 는 2 내지 3개의 서브패킷들의 종료 타겟을 가질 수도 있다. 종료 타겟은 AT (302) 가 주어진 패킷 에러 레이트 (PER) 하에서 패킷을 송신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는 서브패킷들의 수를 제어한다. LoLat 송신을 이용함으로써, AT 는 송신 지연을 최소화하고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AT (302) 는 소정의 조건들에서 튠-어웨이 동작 후 LoLat 강제 (forcing) 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T (302) 는 튠-어웨이 직후 소정의 기간 동안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로 구성된 패킷들이 LoLat 패킷들이 되도록 강제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LoLat (low latency) 강제를 이용하는 튠-어웨이 절차 (500) 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튠-어웨이 절차 (500) 는 AT (302) 또는 도 1, 도 3, 도 12 및/또는 도 13에 도시된 AT들 중 임의의 AT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AT (302) 는 2개의 통신 프로토콜들 간의 튠-어웨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들 2개의 통신 프로토콜들은 동일 또는 상이한 가입들과 연관될 수도 있다. 블록 (502) 에서, AT (302) 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한다. 예를 들어, AT (302) 는 EVDO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 1 셀 (304) 과의 EVDO 호를 확립할 수도 있다. 블록 (504) 에서, AT (302) 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그 호로부터 튠 어웨이한다. 예를 들어, AT (302) 는 GSM 또는 1x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 2 셀 (306) 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제 2 셀 (306) 로 튠 어웨이할 수도 있다. 셀 시그널링은 페이징 메시지들 또는 다른 제어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AT (302) 는 GSM 페이징 사이클마다 GSM 페이징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튠 어웨이할 수도 있다.
블록 (506) 에서, AT (302) 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한다. 블록 (508) 에서,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업링크)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AT (302) 는 리버스 링크 패킷이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한다. 일 예에서, 도 6 을 참조하면, LoLat 강제 절차 (600) 가 상세히 도시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절차 (600) 는 AT (302) 에 의해 도 5 의 블록 (508) 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EVDO 호로 튜닝 백한 후, 여전히, 튜닝 백한 후 16개의 서브프레임들 미만의 기간 (예를 들어, 15개의 서브프레임들 이하와 같은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내에 있고, 현재의 RL 패킷 사이즈가 RRI 페이로드 인덱스 10 (제 1 패킷 사이즈) (예를 들어, 6144 비트, EVDO 패킷 사이즈 10) 의 것보다 작은 경우, 절차 (600) 는 블록 (602) 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절차 (600) 는 블록 (604) 으로 진행한다. 블록 (604) 에서, AT (302) 는 패킷이 LoLat 패킷들로서 송신되도록 강제하지 않는다. 블록 (602) 에서, 현재의 RL 패킷 사이즈가 RRI 페이로드 인덱스 6 (제 2 패킷 사이즈) (예를 들어, 1536 비트, EVDO 패킷 사이즈 6) 의 것보다 큰 경우, 절차 (600) 는 블록 (606) 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절차 (600) 는 블록 (604) 으로 진행한다. 블록 (606) 에서, AT (302) 는, 예를 들어, RRI 페이로드 인덱스 7 (EVDO 패킷 사이즈 7) 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패킷 사이즈를 갖는 RL 패킷에 대한 LoLat 송신을 강제한다.
EVDO RL 에서, 사용자 마다 총 6개의 채널들: 하나의 트래픽 채널 및 예를 들어, 파일럿 채널 (416), DRC 채널 (408), DSC 채널 (412), ACK 채널 (410) 및 RRI 채널 (404) 을 포함하는 5개의 오버헤드 채널들이 존재한다. 파일럿 채널 (406) 은 기지국과 AT 간의 공중 인터페이스의 채널 추정에 사용되고 전력 제어 목적들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채널들의 송신 전력은 파일럿 채널에 대한 채널 이득들에 의해 정의된다. RL 트래픽 채널에 대하여, 송신 전력은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이라 불리는 전력 이득에 의해 특정된다. 일반적으로, T2P 는 리버스 링크 송신 전력 레벨 세트포인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리버스 링크 송신 전력 레벨 세트포인트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커맨드들의 각각은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측정된 네트워크 조건들에 기초하여 세트포인트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AT에 명령한다. 세트포인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T2P 는 본 개시물에서 "원래의 T2P"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튠-어웨이의 시작에 의해 RL 패킷들의 조기 종료를 보장하기 위하여, AT (302) 는 튠-어웨이 전에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 트래픽 채널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원래의 T2P 를 부스팅 (boosting) 할 수도 있다. T2P를 부스팅하는 것은 그 원래의 T2P로부터 RL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AT (304) 는 패킷을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복수 회 시도한다 (예를 들어, 4번의 시도들 또는 서브패킷들까지). 각각의 송신 시도에 대해, 기지국은 ACK 또는 NACK 로 응답한다. ACK 는 성공적인 수신 및 디코딩을 나타내는 한편, NAK 는 서브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 및 디코딩하지 못한 것을 나타낸다. T2P를 부스팅하면, 서브패킷이 첫 번째 시도에서 기지국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 및 디코딩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AT (304) 가 주어진 패킷을 송신하려는 첫 번째 시도에 응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ACK 를 수신하는 경우, AT (304) 는 추가의 시도를 진행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ACK 의 수신 시 다수의 시도 사이클 (예를 들어, 4번의 시도들) 의 조기 종료는 전체 RL 스루풋을 증가시킨다.
도 7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프리-튠-어웨이 (pre-tune-away) 트래픽 채널 전력 부스트 (T2P 부스트) 를 이용하는 튠-어웨이 절차 (700) 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예를 들어, 절차 (700) 는 AT (302) 또는 도 1, 도 3, 도 12 및/또는 도 13에 도시된 AT들 중 임의의 AT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702) 에서, AT (302) 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한다. 예를 들어, AT (302) 는 EVDO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 1 셀 (304) 과의 EVDO 호에 참여할 수도 있다. 블록 (704) 에서, AT (302) 는 프리-튠-어웨이 T2P 부스트를 수행한다. 블록 (706) 에서, AT (302) 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그 호로부터 튠 어웨이한다. 예를 들어, AT (302) 는 GSM 또는 1x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 2 셀 (306) 로부터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제 2 셀 (306) 로 튠 어웨이할 수도 있다. 셀 시그널링은 페이징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708) 에서, AT (302) 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한다.
도 8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프리-튠-어웨이 T2P 부스트 알고리즘 (800) 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 (800) 은 블록 (704) 에서 AT (302) 또는 도 1, 도 3, 도 12 및/또는 도 13에 도시된 AT들 중 임의의 AT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802) 에서,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4개의 서브프레임들 미만의 기간 (예를 들어, 3개의 서브프레임들 이하와 같은 제 2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AT (302) 는 RL 패킷들이 LoLat 패킷들로서 송신되도록 강제한다. 예를 들어, AT (302) 는 모든 사이즈들의 RL 패킷들이 LoLat 패킷들이 되도록 강제할 수도 있다. 블록 (804) 에서, 현재의 RL 패킷 사이즈가 RRI 페이로드 인덱스 7 (EVDO 페이로드 사이즈 7) 의 것보다 크고 튠 어웨이까지의 기간이 현재 LoLat 강제 RL 패킷의 종료 타겟 미만인 경우, AT (302) 는 T2P 를 적절한 양 (예를 들어, 8dB 이상) 만큼 부스팅한다. 일 예에서, 현재의 LoLat 강제 RL 패킷은 3개의 서브패킷들의 종료 타겟을 가질 수도 있고, 튠-어웨이까지의 시간은 종료 타겟 미만인 2개의 서브패킷들 (또는 서브프레임들) 과 동일하다. 이 경우, AT (302) 는 RL 패킷이 제 1 시도에서 성공적으로 수신 및 종료될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해 T2P 를 부스팅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패킷 송신은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들에 대한 튠-어웨이 전에 마지막 서브프레임까지 계속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AT (302) 는 튠-어웨이 직후의 짧은 기간 동안 T2P 를 부스팅할 수 있다. 도 9 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포스트-튠-어웨이 트래픽 채널 전력 부스트를 이용하는 튠-어웨이 절차 (900) 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일 예에서, 절차 (900) 는 AT (302) 또는 도 1, 도 3, 도 12 및/또는 도 13 에 도시된 AT들 중 임의의 AT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902) 에서, AT (302) 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한다. 예를 들어, AT (302) 는 EVDO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 1 셀 (304) 과의 호에 참여할 수도 있다. 블록 (904) 에서, AT (302) 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그 호로부터 튠 어웨이한다. 예를 들어, AT (302) 는 GSM 또는 1x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 2 셀 (306) 로부터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제 2 셀 (306) 로 튠 어웨이할 수도 있다. 셀 시그널링은 페이징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906) 에서, AT (302) 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한다. 블록 (908) 에서, AT (302) 는 포스트-튠-어웨이 T2P 부스트를 수행한다.
도 10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포스트-튠-어웨이 T2P 부스트 알고리즘 (1000) 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 (1000) 은 블록 (908) 에서 AT (302) 또는 도 1, 도 3, 도 12 및/또는 도 13 에 도시된 AT들 중 임의의 AT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002) 에서, 튠-어웨이 후의 시간이, 예를 들어, 15개의 서브프레임들 또는 적절한 기간 이내이고 현재의 RL 패킷 사이즈가 RRI 인덱스 6 의 것보다 큰 경우, AT (302) 는 T2P 를 X dB (예를 들어, 8dB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양) 만큼 부스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블록 (1004) 에서 AT (302) 는 T2P 를 부스팅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RRI 인덱스 7 또는 그 이상의 사이즈를 갖는 RL 패킷이 4개의 서브패킷들까지의 HiCap 패킷으로서 송신될 것이다. T2P 를 부스팅함에 따라, RL 패킷은 제 1 시도에서 성공적으로 송신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EVDO 스루풋은 T2P 부스트에 의해 튠-어웨이 후에 증가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AT (302) 는 레거시 램프-다운 기간 및/또는 램프-업 기간이 회피되거나 감소될 수도 있도록 튠-어웨이 전 및/또는 후 더 큰 패킷 사이즈를 이용하는 새로운 페이로드 거동 (behavior) 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T (302) 는 RRI 레이트에 기초하여 이전에 송신된 RL 패킷 사이즈들에 일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튠-어웨이 후, RL 송신이 재시작될 때, AT (302) 는 레거시 램프-업 거동에서 허용될 것 보다 더 큰 패킷 사이즈들을 이용하여 시작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AT (302) 는 튠-어웨이 전에 레거시 램프-다운에서 사용될 것보다 더 큰 패킷 사이즈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1 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리버스 링크 페이로드 알고리즘 (1100) 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 (1100) 은 튠-어웨이 전 및/또는 후에 AT (302) 또는 도 1, 도 3, 도 12 및/또는 도 13에 도시된 AT들 중 임의의 AT 에 의해 수행되어 다음의 RL 패킷 송신을 위해 더 큰 패킷 사이즈를 허용할 수도 있다. 블록 (1102) 에서, AT (302) 는 다수의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의 다수의 허용된 페이로드 패킷 사이즈들 (예를 들어, 허용된 페이로드 패킷 사이즈 1, 허용된 페이로드 패킷 사이즈 2, 및 허용된 페이로드 패킷 사이즈 3) 로부터 최소 허용된 패킷 사이즈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AT (302) 는 마지막 3개의 송신된 패킷들의 허용된 페이로드 패킷 사이즈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블록 (1104) 에서, AT (302) 는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의 최대 이전에 송신된 패킷 사이즈를 결정한다. 일 예에서, 이전에 송신된 패킷 사이즈들은 마지막 3개의 송신된 패킷들의 사이즈들 (마지막 송신된 패킷 사이즈 1, 마지막 송신된 패킷 사이즈 2, 및 마지막 송신된 패킷 사이즈 3) 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은 임의의 적절한 기간 동안 송신된 패킷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106) 에서, AT (302) 는 다음의 RL 패킷 사이즈를 최소 허용된 패킷 사이즈 및 최대 마지막 송신된 패킷 사이즈 중 최대로 설정한다. 이 방식으로, AT (302) 는 더 큰 패킷 사이즈를 이용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고, 이는 튠-어웨이 전 및/또는 후에 EVDO 스루풋을 증가시킬 것이다.
도 5 내지 도 11 에 기재된 EVDO 스루풋을 개선하는 다양한 절차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된 기법들 및 진보적인 개념들은 EVDO 로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2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EVDO 스루풋을 개선하는 복수의 튠-어웨이 동작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AT (1200) 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예에서, AT (1200) 는 AT (302) 또는 도 1, 도 3 및/또는 도 13 에 도시된 AT들 중 임의의 AT 와 동일할 수도 있고, 도 5 내지 도 11 에 도시된 절차들 또는 알고리즘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AT (1200) 는 EVDO, GSM 및 1x 등의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AT 일 수도 있다. AT (1200) 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AT (1200) 의 컴포넌트들의 일부 예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프로토콜 통신 컴포넌트 (1202) 는 AT (1200) 가 제 1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EVDO, GSM 또는 1x) 을 이용하는 호 (예를 들어, 음성 또는 데이터 호) 를 확립할 수도 있도록 제공된다. 제 2 프로토콜 통신 컴포넌트 (1204) 는 AT (1200) 가 제 2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EVDO, GSM 또는 1x) 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거나 또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도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서, AT (1200) 는 도 5 의 블록들 (502 및 504), 도 7 의 블록들 (702 및 706), 및 도 9 의 블록들 (902 및 904) 과 관련하여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컴포넌트들 (1202 및 1204) 을 이용할 수도 있다.
튠-어웨이 제어 컴포넌트 (1206) 는 AT (1200) 가 도 5 내지 도 11 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튠-어웨이 절차들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AT (1200) 는 컴포넌트 (1206) 를 이용하여, GSM/1x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EVDO 호로부터 튠 어웨이할 수도 있다. 또한, AT (1200) 는 컴포넌트 (1206) 를 이용하여 EVDO 호로 튜닝 백할 수도 있다.
LoLat 강제 컴포넌트 (1208) 는 AT (1200) 가 튠-어웨이 동작 후에 소정의 RL 패킷들을 LoLat 패킷들로서 송신되도록 강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 (1208) 는 도 5 및 도 6 에 기재된 LoLat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리-튠-어웨이 T2P 부스팅 컴포넌트 (1210) 는 AT (1200) 가 튠-어웨이 전에 소정의 RL 패킷들의 T2P 를 부스팅할 수도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 (1210) 는 도 7 및 도 8 에 기재된 프리-튠-어웨이 T2P 부스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포스트-튠-어웨이 T2P 부스팅 컴포넌트 (1212) 는 AT (1200) 가 튠-어웨이 후에 소정의 RL 패킷들의 T2P 를 부스팅할 수도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 (1212) 는 도 9 및 도 10 에 기재된 포스트-튠-어웨이 T2P 부스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페이로드 제어 컴포넌트 (1214) 는 AT (1200) 가 튠-어웨이 전 및/또는 후에 EVDO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능한한 더 큰 RL 패킷 사이즈를 이용할 수도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 (1214) 는 튠-어웨이 전 및/또는 후에 레거시 허용된 페이로드 패킷 사이즈들보다 마지막 송신된 페이로드 패킷 사이즈들 (1216) (즉, RRI 레이트들) 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컴포넌트 (1214) 는 도 11 의 리버스 링크 페이로드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T (1200) 는 또한 도 5 내지 도 11 과 관련하여 기술한 것들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AT (1200) 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1220)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1220) 는 EVDO, GSM 및 1x 등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 간의 튠-어웨이 동작들을 수행하는 코드들 (1222) 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1220) 는 또한 도 5 내지 도 11 과 관련하여 기술한 튠-어웨이 동작들 전 및/또는 후에 EVDO 스루풋을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RTC-MAC 알고리즘 (1224) 을 포함한다.
도 13 은 프로세싱 시스템 (1314) 을 채용하는 장치 (1300)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엘리먼트,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4) 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1314)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 (1300) 는 AT (1200) 또는 도 1, 도 3 및/또는 도 12 에 도시된 AT들 중 임의의 AT 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AT (1300) 는 도 12에 도시되고 기재된 AT (1200) 의 컴포넌트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장치 (1300) 는 도 1 및/또는 도 2 에 도시된 기지국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 (1304) 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PLD) 들, 스테이트 머신들, 게이트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기재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즉, 장치 (1300) 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1304) 는 도 5 내지 도 11 에 기재되고 도시된 프로세스들, 절차들 또는 알고리즘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314) 은 일반적으로 버스 (1302) 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302) 는 프로세싱 시스템 (1314)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302) 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1304) 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1305), 및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06) 로 표현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302) 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 등의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고, 이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추가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 (1308) 는 버스 (1302) 및 트랜시버 (13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 (13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1310) 는 EVDO, GSM, 1x 등의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310) 는 또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 간의 튠-어웨이 동작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장치의 본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1312)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 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304) 는 버스 (1302) 의 관리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도 12 의 소프트웨어 (1220) 는, 프로세서 (13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 (13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1 에 기재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3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4) 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그 외의 것을 지칭하든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 (executable) 들, 실행 스레드 (thread of execution) 들,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06)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06) 는 비일시적 (non-ta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 디스크 (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 (CD) 또는 DVD (digital versatile disc)),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 전용 메모리 (ROM), 프로그래머블 ROM (PROM), 소거가능 P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레지스터, 착탈식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서, 캐리어파, 송신 회선,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06) 는 프로세싱 시스템 (1314) 에 상주하거나 프로세싱 시스템 (1314) 외부에 상주하거나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 (1314) 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06) 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패키징 재료들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당업자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제시되는 설명된 기능성을 가장 잘 구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전기통신 시스템의 몇 가지 양태들은 EVDO 시스템을 참조하여 제시되고 있다. 당업자들이 쉽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다양한 양태들은 다른 전기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쳐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예로서, 다양한 양태들은 W-CDMA, TD-SCDMA, TD-CDMA 등의 UMTS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은 또한, (FDD, TDD 또는 양 모드들의) LTE, (FDD, TDD 또는 양 모드들의) LTE-A (LTE-Advanced), CDMA2000,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UMB (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UWB (Ultra-Wideband),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시스템들을 채용하는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채용된 실제 전기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쳐 및/또는 통신 표준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할 것이다.
개시된 방법들, 절차들, 또는 알고리즘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의 예시임을 이해할 것이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방법들, 절차들 또는 알고리즘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재배열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제시하며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로 하여금, 여기에 기재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 도시된 양태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언어와 일치하는 전체 범위에 부합되며, 엘리먼트에 대한 단수의 언급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기재하지 않는다면 "하나 및 단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구체적으로 다르게 기재하지 않는다면, "일부 (some)" 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b 및 c 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거나 또는 추후에 알려지게 되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참고로 여기에 분명히 포함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어떤 것도 이러한 본 개시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대중에게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 하는 수단" 이라는 어구를 이용하여 엘리먼트가 분명히 인용되지 않는 한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 "~ 하는 단계" 라는 어구를 이용하여 엘리먼트가 인용되지 않는 한, 35 U.S.C. §112, 제 6 패러그래프의 프로비져닝들 하에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36)

  1.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는 단계;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 (tune-away) 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하는 단계; 및
    상기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reverse link)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상기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oLat 패킷은 2 내지 3개의 서브패킷들의 종료 타겟을 갖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EVDO 이고,
    상기 제 1 패킷 사이즈는 EVDO 패킷 사이즈 10이고, 상기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은 16개의 서브프레임들 미만이며, 상기 제 2 패킷 사이즈는 EVDO 패킷 사이즈 7인,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전에, 제 2 RL 패킷의 사이즈 및 상기 제 2 RL 패킷의 종료 타겟 양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L 패킷의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을 부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T2P 를 부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3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그리고 상기 제 2 RL 패킷의 종료 타겟의 기간 미만의 기간 동안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상기 제 2 RL 패킷의 T2P 를 부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패킷 사이즈는 상기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상기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제 2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상기 제 2 RL 패킷이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 튜닝 백한 후에, 상기 RL 패킷의 패킷 사이즈가 제 3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RL 패킷의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을 부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 튜닝 백한 후에,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전에 복수의 이전에 송신된 RL 패킷들의 최대 패킷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RL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
  1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는 수단;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는 수단;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하는 수단; 및
    상기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상기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LoLat 패킷은 2 내지 3개의 서브패킷들의 종료 타겟을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EVDO 이고,
    상기 제 1 패킷 사이즈는 EVDO 패킷 사이즈 10이고, 상기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은 16개의 서브프레임들 미만이며, 상기 제 2 패킷 사이즈는 EVDO 패킷 사이즈 7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전에, 제 2 RL 패킷의 사이즈 및 상기 제 2 RL패킷의 종료 타겟 양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L 패킷의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을 부스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T2P 를 부스팅하는 수단은,
    상기 제 2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3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그리고 상기 제 2 RL 패킷의 종료 타겟의 기간 미만의 기간 동안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상기 제 2 RL 패킷의 T2P 를 부스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패킷 사이즈는 상기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상기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제 2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상기 제 2 RL 패킷이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 튜닝 백한 후에, 상기 RL 패킷의 패킷 사이즈가 제 3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RL 패킷의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을 부스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 튜닝 백한 후에,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전에 복수의 이전에 송신된 RL 패킷들의 최대 패킷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RL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액세스 단말기로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통신 컴포넌트;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2 통신 컴포넌트;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 강제 컴포넌트;
    상기 제 1 통신 컴포넌트 및 상기 제 2 통신 컴포넌트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튠-어웨이 제어 컴포넌트로서, 상기 튠-어웨이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 1 통신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고,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고 상기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튠-어웨이 제어 컴포넌트; 및
    상기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상기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도록 구성된 LoLat 패킷 강제 컴포넌트
    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LoLat 패킷은 2 내지 3개의 서브패킷들의 종료 타겟을 갖는, 액세스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EVDO 이고,
    상기 제 1 패킷 사이즈는 EVDO 패킷 사이즈 10이고, 상기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은 16개의 서브프레임들 미만이며, 상기 제 2 패킷 사이즈는 EVDO 패킷 사이즈 7인, 액세스 단말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전에, 제 2 RL 패킷의 사이즈 및 상기 제 2 RL 패킷의 종료 타겟 양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L 패킷의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을 부스팅하도록 구성된 T2P 부스팅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T2P 부스팅 컴포넌트는 또한,
    상기 제 2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3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그리고 상기 제 2 RL 패킷의 종료 타겟의 기간 미만의 기간 동안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상기 제 2 RL 패킷의 T2P 를 부스팅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패킷 사이즈는 상기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상기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액세스 단말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LoLat 패킷 강제 컴포넌트는 또한,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제 2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상기 제 2 RL 패킷이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 튜닝 백한 후에, 상기 RL 패킷의 패킷 사이즈가 제 3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RL 패킷의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을 부스팅하도록 구성된 T2P 부스팅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 튜닝 백한 후에,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전에 복수의 이전에 송신된 RL 패킷들의 최대 패킷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RL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페이로드 제어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28.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를 확립하게 하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셀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게 하고;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호로 튜닝 백하게 하고;
    상기 튜닝 백하는 것에 후속하여,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그리고 리버스 링크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상기 RL 패킷이 낮은 레이턴시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LoLat 패킷은 2 내지 3개의 서브패킷들의 종료 타겟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EVDO 이고,
    상기 제 1 패킷 사이즈는 EVDO 패킷 사이즈 10이고, 상기 제 1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은 16개의 서브프레임들 미만이며, 상기 제 2 패킷 사이즈는 EVDO 패킷 사이즈 7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전에, 제 2 RL 패킷의 사이즈 및 상기 제 2 RL 패킷의 종료 타겟 양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L 패킷의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을 부스팅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T2P 를 부스팅하게 하는 코드는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 2 RL 패킷의 사이즈가 제 3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그리고 상기 제 2 RL 패킷의 종료 타겟의 기간 미만의 기간 동안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상기 제 2 RL 패킷의 T2P 를 부스팅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패킷 사이즈는 상기 제 1 패킷 사이즈보다 작고 상기 제 2 패킷 사이즈보다 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직전에, 제 2 미리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동안, 상기 제 2 RL 패킷이 LoLat 패킷이 되도록 강제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5.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호로 튜닝 백한 후에, 상기 RL 패킷의 패킷 사이즈가 제 3 패킷 사이즈보다 큰 경우,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RL 패킷의 트래픽-투-파일럿 전력 이득 (T2P) 을 부스팅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6.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호로 튜닝 백한 후에, 상기 호로부터 튠 어웨이하기 전에 복수의 이전에 송신된 RL 패킷들의 최대 패킷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RL 패킷의 패킷 사이즈를 선택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67033795A 2014-06-06 2015-05-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튠-어웨이 동작의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09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97,979 US9554360B2 (en) 2014-06-06 2014-06-06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data throughput of a tune-awa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297,979 2014-06-06
PCT/US2015/029287 WO2015187292A1 (en) 2014-06-06 2015-05-05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data throughput of a tune-awa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886A true KR20170013886A (ko) 2017-02-07
KR101809865B1 KR101809865B1 (ko) 2017-12-15

Family

ID=5326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795A KR101809865B1 (ko) 2014-06-06 2015-05-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튠-어웨이 동작의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54360B2 (ko)
EP (1) EP3152964B1 (ko)
JP (1) JP6162351B1 (ko)
KR (1) KR101809865B1 (ko)
CN (1) CN106465304B (ko)
BR (1) BR112016028558A2 (ko)
CA (1) CA2951042A1 (ko)
ES (1) ES2684619T3 (ko)
HU (1) HUE039976T2 (ko)
TW (1) TWI604708B (ko)
WO (1) WO201518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4360B2 (en) 2014-06-06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data throughput of a tune-awa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358859A1 (en) * 2014-06-06 2015-12-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round trip time delay of reverse link transmission
US9609598B2 (en) * 2014-07-31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performance for user equipment
US10051346B2 (en) * 2015-06-17 2018-08-14 Mueller International, Llc Data communication using a private preamble
KR20200081595A (ko) 2018-12-27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5686B2 (en) 2001-02-12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89556B2 (en) 2001-03-21 2012-05-29 Lg Electronics Inc. Packet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898193B2 (en) 2002-06-20 2005-05-24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gain adjustment control
US7069037B2 (en) 2003-04-11 2006-06-27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fluid power control of a reverse link communication
US7369501B2 (en) 2003-04-29 2008-05-0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verse-link data transmission rate during handoff
US7376209B2 (en) 2003-06-06 2008-05-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near-optimal scaling of log-likelihood ratio (LLR) computation in turbo decoding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KR101009861B1 (ko) 2003-08-19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전송률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516880B2 (ja) 2005-03-29 2010-08-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US9277455B2 (en) * 2005-05-04 2016-03-01 Alcatel Lucent Flow-based call admission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515927B2 (en) 2006-01-13 2009-04-07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reverse link dynami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per-flow quality feedback for multi-flow data traffic
US7782899B2 (en) * 2006-01-19 2010-08-24 Alcatel-Lucent Usa Inc. Multiple carrier resource management
US8638712B2 (en) * 2006-08-25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80207249A1 (en) * 2007-02-23 200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203005B (zh) * 2007-12-13 2010-12-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解决单芯片双卡双待手机主副卡载波冲突的方法
US8238455B2 (en) 2008-01-07 2012-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ownlink PDSCH power setting
US8355336B2 (en) * 2008-02-13 2013-01-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headers in a communication frame
US8725190B2 (en) 2008-12-0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Load-adaptive uplink transmit power
US8369853B1 (en) * 2009-02-10 2013-02-05 Sprint Spectrum L.P. Enhanced simultaneous hybrid dual receive switching
CN102484510A (zh) 2009-04-24 2012-05-30 新加坡科技研究局 基站、蜂窝通信系统、基站的控制方法以及蜂窝通信系统的控制方法
US8437292B1 (en) * 2009-06-09 2013-05-07 Sprint Spectrum L.P. Method of controlling reverse link packet transmission latency based on air-interface loading
US9007907B1 (en) 2009-08-26 2015-04-1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of reverse-link transmission
US8238931B1 (en) * 2009-12-10 2012-08-07 Sprint Spectrum L.P. Auxiliary pilot triggering based on latency
US8515434B1 (en) 2010-04-08 2013-08-20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devices for limiting access to femtocell radio access networks
EP2556704B1 (en) 2010-04-09 2017-06-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network for determining an uplink received power target value
EP2710857B1 (en) * 2011-05-20 2021-07-07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ient server interaction in hybrid network environments
US9220126B2 (en) 2011-08-30 2015-12-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control in a cellular network
US8774074B2 (en) 2011-11-02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enabl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14433A1 (en) * 2011-11-07 2013-05-09 Qualcomm Incorporated Scaling for fractional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130114571A1 (en) 2011-11-07 2013-05-09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forward link blanking and power boosting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US9370043B2 (en) 2012-02-03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Voice/data hybrid mode
US20130210484A1 (en) 2012-02-14 2013-08-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une-away in dual-sim dual-standby mobile devices
US20130235843A1 (en) 2012-03-08 2013-09-12 Qualcomm Incorporated Alleviation of tcp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carrier suspension or ue tune-away
US20130260761A1 (en) 2012-03-30 2013-10-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une away in dual-sim dual standby mobile devices
US8761788B2 (en) 2012-05-11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hroughput optimization in DSDS scenarios
US8958847B2 (en) 2012-05-11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timization of multiple subscription device performance
US9451497B2 (en) 2012-08-13 2016-09-20 Apple Inc. Reducing packet loss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e to a connection interruption
US8570951B1 (en) 2013-07-03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tune-away operations in (C+G) DSDS devices
US9554360B2 (en) 2014-06-06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data throughput of a tune-awa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358859A1 (en) 2014-06-06 2015-12-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round trip time delay of reverse link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5304B (zh) 2018-12-07
CN106465304A (zh) 2017-02-22
ES2684619T3 (es) 2018-10-03
HUE039976T2 (hu) 2019-02-28
CA2951042A1 (en) 2015-12-10
TWI604708B (zh) 2017-11-01
WO2015187292A1 (en) 2015-12-10
US20150358942A1 (en) 2015-12-10
KR101809865B1 (ko) 2017-12-15
EP3152964B1 (en) 2018-06-13
EP3152964A1 (en) 2017-04-12
BR112016028558A2 (pt) 2017-08-22
US9554360B2 (en) 2017-01-24
JP2017521912A (ja) 2017-08-03
TW201547236A (zh) 2015-12-16
JP6162351B1 (ja)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331B1 (ko) 복수의 채널들과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 튠 어웨이 동작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827444B2 (ja) Dsdsシナリオにおけるデータスループットの最適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84901B1 (ko) 페이지 사이클 학습 모드를 채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098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튠-어웨이 동작의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122246A (ko) 다수의 가입 통신들에서 시그널링 절차 동안의 향상된 튠-어웨이 메커니즘
US20140038666A1 (en) Receiving multiple voice calls in a multi-sim device
JP2015516124A (ja) セルブロードキャストメッセージをスケジュール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5709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tune-away operations in (C+G) DSDS devices
US8874111B2 (en) Uplink synchronization of TD-SCDMA multiple USIM mobile terminal during handover
JP2014529946A (ja) Cell_fachにおけるセル内のhs−dpcchでのdlトリガーcqiフィードバックのサポート
US20130183965A1 (en)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user equipment camping procedures in circuit-switched fallback
JP6434041B2 (ja) Umtsにおけるユーザ機器のdchから非dchへの状態切替え
JP2015534787A (ja) ユーザ機器からのセル更新メッセージを遅延させ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902905B2 (en) Area update procedures for a multiple USIM mobile terminal
US20140135011A1 (en) Efficient recovery from call setup failures
WO201518729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round trip time delay of reverse link transmission
WO201420473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ignal-to-interference ratio estimates for closed-loop transmission diversity communications
WO201516889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validating a reconfiguration message
WO201420473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deconstructive impacts of default weight factors for closed-loop transmission diversity communications
WO201513131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over in td-scd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