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956A -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956A
KR20170012956A KR1020150105661A KR20150105661A KR20170012956A KR 20170012956 A KR20170012956 A KR 20170012956A KR 1020150105661 A KR1020150105661 A KR 1020150105661A KR 20150105661 A KR20150105661 A KR 20150105661A KR 20170012956 A KR20170012956 A KR 2017001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guide
trigger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131B1 (ko
Inventor
박영호
박화련
Original Assignee
박영호
박화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박화련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5010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1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08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감속장치(D)는 직육면체형태로 반분(半分)되는 분할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도어의 전진과 후진 동작으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푸시풀로드의 선단에서 슬라이드 연동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트리거를 홀딩하여 연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홀더, 상기 하우징의 전후측에서 구동롤러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롤러가이더, 상기 트리거 홀더에 홀딩되어져 도어의 전후진 동작과 연동가능하게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상기 감속장치가 설치된 댐퍼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댐퍼도어, 콘트롤 도어 들이 슬라이딩 동작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콘트롤도어 그리고 이들 도어의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레일 그리고 이들에 의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Power absorption device for sliding door, power absorption device, guide rail and sliding door system}
본 발명은 다중 구조의 슬라이딩 도어(현장에서는 주로 연동도어로 통칭함)에 있어서 도어의 열림의 동작후 열려진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오토리턴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중 슬라이드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상기 내장형 감속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댐퍼도어 그리고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가이드레일 및 이들 장치를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단독주택, 펜션, 사무실 등에서 현관에 설치하는 중문을 다중의 도어들이 서로 중첩되어지면서 여닫는 동작을 하는 다중 연동 도어가 다양하게 설치 운영되고있다.
이들 슬라이딩 도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닫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한 자동도어가 설치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으로 여닫는 기능을 갖는, 즉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장치를 문틀과 여닫는 도어에 설치하며, 오토리턴장치는 도어상부 혹은 하부를 일부 절개하거나 도어의 상하부 트랙부를 절개하여야만 설치가능하다. 또한 오토리턴을 위한 동작이 주로 전동모터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전원선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전동모터가 변형 혹은 손상된 경우 작동불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도어의 열고 닫음 동작을 방해한다. 그리고 오동작 발생하는 오토리턴 장치를 수리하는 것도 기존의 문틀과 도어의 분해조립이 필요하며, 전기와 설비에 대한 종합적인 수리가 필요하여 고장 발생시 대단히 불편하였다.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자는 특허 등록 제 10-1517274 호 와 10- 1449549호에서 "중공형의 원통구조의 외주면에 아웃기어부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댐퍼축을 설치하되 에너지축적수단으로 하우징과 탄력적으로 연결한 하우징부, 상기한 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에너지축적수단의 일단이 체결되어지는 동시에, 상단부는 동력콘트롤장치와 연결하여 텐션부에 의한 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갖는 댐퍼부, 상기한 댐퍼부의 중앙축의 상단과 동일한 축으로 연결하면서, 양측에 유성기어를 자유회동가능하도록 공간부를 갖도록 타원구조의 격벽을 조절구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토록 설치한 동력콘트롤부로 구성한 슬라이드도어용 무동력 오토리턴 댐퍼장치."와 "정방향안내홈, 역방향안내홈, 스톱홈 그리고 역방향시작홈을 형성한 가이드보디부, 상기 가이드보디부의 입구에서 스톱홈까지 안내하는 정방향 안내홈과, 역방향시작홈에서 가이드보디부의 출구까지 안내하는 역방향 안내홈을 따라 자유롭게 입출할 수 있는 가이드핀을 설치한 핀보디부, 상기 핀보디부와 체결되는 동시에, 벨트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벨트와도 체결되어지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도어용 오토리턴장치." 를 개발하였다.
상기한 발명들에 의하여 도어의 닫힘 혹은 열림의 동작시 문틀이 열림과 닫힘의 동작시 별도의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의 도움이 없이 슬라이딩에 의한 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급격한 닫힘과 열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림과 닫힘 동작을 완화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상기한 개발된 발명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작동시켜보면서 도어의 급격한 닫힘시에 오토리턴과 급격한 여닫음의 방지 동작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도어가 선틀에 도달하여 완전한 담힘 동작을 완료하기 직전에는 일정한 속도로 닫힘 동작이 되는 것 뿐 아니라 닫히기 직전에 완만한 닫힘 동작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즉, 상기 발명의 오토리턴장치에 의한 오토리턴동작은 도어가 비교적 중량이 있어, 이것을 오토리턴하기 위하여 상당히 큰 힘으로 오토리턴 동작을 하게 될수 밖에 없으며, 이것을 도어와 문틀이 충돌하기 5 내지 30 ㎝ 의 거리에서 보다 급격한 리턴동작의 감속이 필요하다는 소비자의 요구를 접하게 되었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 상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도어의 여닫음 동작시 심한 충격음에 대하여도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도어의 닫힘이나 열림 동작시 도어의 좌우 선틀에 도어가 충돌하기 직전 가능한 닫힘 속도를 최대한 억제하여 충격을 덜 받게 하기 위한 다양한 완충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도 1a에 도시한 등록 특허 제 10 - 1174852호는 "문틀에 결합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측면문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샤시; 하부문틀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하부샤시; 상부문틀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상부샤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샤시 및 상부샤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도어; 및 상기 한 쌍의 측면샤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폐쇄부와, 상기 걸림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이동시 상기 도어의 상기 측면샤시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작동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갖는 자동폐쇄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개발하였다.
상기 등록 특허는 도어의 슬라이딩(미닫이) 도어의 여닫음 동작시 도어가 좌우측 선틀에 접근할 경우 상부에 설치한 걸림구에 의하여 이동하는 도어를 걸어주며, 걸어준 상태에서 전진동작에 대한 에너지를 시계태엽과 같은 스프링으로 흡수토록 하였다.
상기한 특허는 태엽과 같은 권취 스프링의 케이싱과 그 케이싱 외주면을 감싸는 타이밍 벨트의 감김과 풀림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아파트나 개인 주택의 도어는 상부에 설치한 상틀이 높이 200mm 정도의 공간적 여유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작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타이밍벨트가 적어도 600 mm 이상의 길이을 갖추어야 하고, 이것에 의하여 감거나 풀어지는 스프링도 적어도 600 mm 이상의 길이를 갖추어야 하므로 도어의 상부 선틀에 있는 200 mm 정도의 공간에는 사실상 설치가 불가능하다.
또 다른 문제로는 도 1b 에 도시하듯이 상기한 타이밍벨트(421)가 태엽스프링(422)를 권취하고 케이싱(410)의 외주면에 감아주는 구조로 구성되어져 있어서, 불과 200 mm 정도의 공간밖에 없는 협소한 곳에서 권취와 해제 동작이 충분히 동작하기 위한 공간확보는 거의 불가능하여, 현재의 아파트나 일반 주택의 몬틀에는 설치할 수 없는 것이다. 현장에서 상기한 구조의 설치를 위해 천정의 일부를 파괴하여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비용의 증가는 물론 작업후에도 기존의 문틀에 대한 손상으로 동작이상의 문제들도 종종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한 단점으로 인하여 현재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연동도어의 문틀내부에는 설치공간이 부족함으로 인하여, 문틀 외부에 별도의 완충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연동도어의 오토 리턴 동작에 있어서, 닫힘 동작시 도어가 문의 선틀에 접하기 직전 일정거리에서 오토리턴에 의하여 닫힘 동작하는 도어의 닫힘 속도를 완화시켜, 급격한 닫힘동작에 의하여 도어와 선틀간의 충돌에 따른 소음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기능을 부여한 오토리턴 슬라이드 도어장치로서 특히 문틀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상기 감속장치를 설치한 댐퍼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상기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룰 포함하여 콘트롤도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상기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콘트롤도어 그리고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동작하는 다중 구조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감속장치(D)는 직육면체형태로 반분(半分)되는 분할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도어의 전진과 후진 동작으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푸시풀로드의 선단에서 슬라이드 연동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트리거를 홀딩하여 연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홀더, 상기 하우징의 전후측에서 구동롤러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롤러가이더, 상기 트리거 홀더에 홀딩되어져 도어의 전후진 동작과 연동가능하게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를 개발하여, 상기한 급속한 닫힘의 문제를 해소하였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이루어진 감속장치, 상기 감속장치와 체결되는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의 전후측에 설치되어져 도어측의 가이드틀(300)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딩 연동 도어용 댐퍼도어를 개발하여 기존의 연동 도어에 독자적으로 채용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좌우대칭되는 구조의 수직부와 상면과 하면으로 사각형태로 구성하면서, 하면에는 슬라이딩롤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하면과 상면에는 감속장치에 설치한 롤러(r)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롤러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의 주행홈을 상하부에 형성한 콘트롤도어를 가이드하는 콘트롤가이드레일, 상기 콘트롤가이드레일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하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콘트롤도어의 전후에 설치한 가이드핀를 도어의 슬라이딩 동작시 가이드하도록 하는 오토리턴가이드레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기존의 도어구조에 연동기능과 함께 댐퍼기능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도어의 상측 프레임에 설치한 오토리턴 장치, 상기 오토리턴 장치 설치한 중앙도어와 전후도어간에 연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링커, 상기 링커와 연결되어져, 상기 전후도어의 여닫음 동작시 전후도어의 여닫음 동작속도를 감속시키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를 포함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오토리턴, 감속기능 그리고 3중에서 부터 4,5,6 중의 다중 연속식 슬라이딩 도어를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현장에서 조립 운용가능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오토리턴 장치에 의하여 일정하게 닫힘 혹은 열림 동작시 공급된 에너지를 감속장치에 의하여 더욱 감속시켜, 선틀에 대한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은 물론 사용자의 손이 끼워지거나 충돌에 따른 소음의 현상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은 특히 콘트롤도어를 중심으로 측도어를 링커로 연결하고, 선틀과 접하는 도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를 설치하는 숫자에 제한을 받지 않고 3연동, 4, 5, 등의 다연동 도어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설치의 편리성은 본 발명의 감속장치가 기존의 좁은 문틀의 상틀과 도어의 상틀 사이에 별도의 공간확보가 필요없이 다중설치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도어에 적용가능하게 된 것이다.
도 1a 는 종래 감속장치를 설치한 연동도어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1b 는 상기 연동도어의 내부에 내장되는 태엽형 감속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의 사시도,
도 3a 와 3b 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상틀과 문틀의 상틀에대한 측단면도,
도 6a 와 6b 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 도어의 조립 및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6c 와 6d 는 상기 댐퍼도어와 가이드레일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7a 는 가이드레일의 사시도,
도 7b 는 가이드레일의 정면도,
도 8a 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콘트롤도어, 가이드레일들이 문틀에 설치조립된 연동도어시스템의 사시도
도 8b 는 연동도어 시스템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8c 는 도어시스템의 정면도,
도 8d 와 8e 는 도어시스템의 여닫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임.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대표적 실시예로서 예시한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문틀은 상하틀과 좌우선틀이 조립된 구조이고, 이 문틀내에서 2이상의 슬라이딩도어가 슬라이딩에 의하여 여닫는 구조를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예시는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들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장치,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연동 도어 시스템은 댐퍼도어와 일반 슬라이딩 도어 그리고 이들을 동작시키기위한 가이드레일, 댐펴 등의 독립된 발명 들이 집합된 것을 의미하며,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은 생략하고 발명의 목적과 구성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감속장치에 대하여 도 2 에서 발명의 감속장치의 사시도, 도 3a 와 3b의 감속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4 의 감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의 감속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상틀과 문틀의 상틀에 대한 측단면도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감속장치(D)는 직육면체형태로 반분(半分)되는 분할형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도어의 전진과 후진 동작으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 하는 실린더(20),
상기 실린더의 푸시풀로드의 선단에서 슬라이드 연동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트리거를 홀딩하여 연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홀더(30),
상기 하우징의 전후측에서 구동롤러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롤러가이더(40),
상기 트리거 홀더에 홀딩되어져 도어의 전후진 동작과 연동가능하게하는 트리거(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의 분할형 하우징은 내부가 빈 박스형태의 좌측하우징(10a)과 우측하우징(10b)이 좌측체결구(11)와 우측체결구(12)에 의하여 분할과 조립이 자유롭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좌측과 우측의 체결구는 도 3a 와 3b에서는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이 되며, 체결구는 3개를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체결구의 설치는 설치할 슬라이딩 도어의 크기와 여닫음 동작시의 동작속도나 힘과 같은 변수에 따라 2, 3 , 4 이상 증감하여 설치가능하며 특별히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또한 양자의 체결방식은 현재 억지끼움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나사체결, 리벳팅, 용접 등의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며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상기 본 발명의 우측하우징(10b)의 하부에는 걸림연결구(17)을 수직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였다. 걸림연결구는 감속기능이 필요로하는 연동도어의 상측에 설치한 연결수단(501)과 끼워맞추어진다. 우측하우징의 전방과 후방에는 연동도어의 정확한 전진과 후진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r)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롤러가이더(40)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롤러가이드에 설치하는 롤러(r)는 중앙이 첨예한 엣지형 롤러의 안정적 주행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에도 상기 엣지롤러에 대응하는 주행홈을 형성하였다. 도어의 형태가 크거나 무게가 하나의 롤러로서 동작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롤러를 2 이상 다중 엣지 구조의 설치도 가능하며, 롤러의 다중 엣지 설치시에는 이에 대응하여 주행홈도 다중으로 설치하여 주며, 이러한 다중 구조의 롤러와 다중 주행홈의 설치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우측하우징의 롤러가이더와 연결수단는 좌측하우징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며, 도어의 여닫는 형태에 따라 좌측하우징과 우측하우징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측하우징 과 우측하우징의 내측에는 실린더 보디부(21)를 고정하는 실린더보디고정부(15)(15a)에 의하여 실린더 보디부(21)를 핀고정한다. 핀고정된 실린더 보디부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어, 푸시풀 로드(22)의 신축 동작에 따라 위치변동하면서 신축 동작에 따른 변이를 흡수토록 하였다. 또한 상기 좌측하우징 과 우측하우징에는 피스톤가이드부(14)(14a)가 설치되어지며, 이 피스톤가이드부에는 실린더 보디부의 선단에 설치한 트리거홀더(30)의 왕복동 행정운동시의 행정거리와 방향을 안내한다. 좌측하우징과 우측하우징이 일체로 되면, 상기 트리거홀더의 상측일부가 외부 노출된 형태로 배치되어져, 문틀의 상틀에 설치한 트리거를 홀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하듯이, 실린더 보디부가 실린더보디고정부(15)(15a)에 핀고정되고, 푸시풀 로드(22)는 트리거홀더(30)와 체결되어져, 상기 피스톤가이드부(15)(15a)를 중심으로 실린더 보디부 전체가 상하 회전한다. 실린더 보디부의 회전과 함께 푸시풀 로드도 실린더 보디부내로 왕복동하도록 구성하였다. 트리거 홀더는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어져 진행하다, 피스톤가이드부(14)(14a)의 꺽임부에서 하강하여 상기 트리거와 분리되어진다.
트리거홀더는 홀더핀(31a)으로 푸시풀로드(21)의 선단과 핀고정되며, 트리거안내면(31b)이 경사진 형태로 안내헤드(31c)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개방된 형태로 구성하여, 이 개방부에 트리거핀이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안내면은 내측이 빈 ㄱ 자형태로서, 누름동작에 의하여 탄성을 갖도록 하였다.
상기 트리거 홀더의 트리거가 실제 도어시스템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 설치상태를 도 5에 도시한다.
트리거(50)는 도어의 상틀(300)에 고정되어진다. 트리거 고정위치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의 동작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며, 통상적으로 도어가 좌측 혹은 우측의 선틀에 접하기 전, 일정거리(예, 약 5 내지 10 ㎝)에서 감속동작이 가능하도록 현장상황에 맞추어 설치한다. 고정 설치된 트리거(50)의 트리거핀(51)이 트리거홀더에 걸린 채로 댐퍼도어의 닫힘(혹은 열림) 동작이 계속 진행되면서 가이드핀과 체결된 연결수단(17)에 의하여 감속장치 전체가 콘트롤 도어 혹은 댐퍼 도어와 함께 이동한다. 상기 트리거핀이 계속 이동하면, 최종적으로 안내헤드와 만나면서 더 이상의 이동이 중단하며, 트리거홀더가 홀더핀의 걸린채 화살표와 같이 전진 및 후진한다. 이러한 전진과 후진의 동작으로 실린더(20)로 푸시풀로드(22)가 실린더내부로 수축과 확장의 동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수축과 확장의 동작은 실린더의 오리피스를 통한 공기압 혹은 오일압력의 출입이 제한되면서 슬라이딩 도어의 여닫는 동작에너지를 흡수하여 급격한 도어에 의한 문틀의 선틀에 대한 충격을 가능한 적게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리거핀(51)은 T 자형, ㄱ 자형과 같이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어서 트리거 동작이 가능한 것은 모두 포함한다.
상기 동작중 실린더보디부는 고정된 구조가 아니라 실린더보디고정부(15)(15a)에 핀고정되어져 있어 실린더고정부를 중심으로 하우징내에서 회전동작을 이루게 하였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실린더의 푸시풀로드의 행정거리가 직선운동에 비하여 광범위하면서도 많은 힘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실린더에 비하여 좁은 도어의 상부 상틀구조내에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높은 충격흡수효과를 발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피스톤가이드부(14)는 상기하듯이 실린더(20)의 푸시풀로드(22)의 행정방향과 거리를 안내하여준다. 피스톤가이드부의 길이와 방향은 설치할 슬라이딩 도어의 댐퍼동작 시작위치에 따라 증감가능하다.
본 발명은 푸시풀로드의 직선적인 전후진 동작만이 아니라 실린더보디(21)도 핀(1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비좁은 도어의 상틀과 연동도어의 상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도 강한 도어의 힘을 실린더의 회전동작과 푸시풀로드의 직선적인 전후진 동작이 겸비되면서 아파트나 주택 혹은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중문정도의 크기에서 발생하는 급속한 도어의 닫힘 혹은 열림에너지의 감속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감속장치(D)를 설치한 댐퍼도어(D1)에 관한 대표적인 예를 도 6a 에서부터 6d 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예시한 댐퍼도어는 4각 구조의 좌우선틀과 상하틀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구동롤러가 설치되는 하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좌우선틀과 상하틀로 이루어진 도어들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도어에 있어서,
직육면체형태로 반분(半分)되는 분할형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도어의 전진과 후진 동작으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 하는 실린더(20), 상기 실린더의 푸시풀로드의 선단에서 슬라이드 연동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트리거를 홀딩하여 연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홀더(30), 상기 하우징의 전후측에서 구동롤러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롤러가이더(40), 상기 트리거 홀더에 홀딩되어져 도어의 전후진 동작과 연동가능하게하는 트리거(50)로 이루어진 감속장치(D),
상기 감속장치와 체결되는 연결수단(501),
상기 연결수단의 전후측에 설치되어져 도어측의 가이드틀(300)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핀(5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댐퍼도어이다.
상기 연결수단(501)은 댐퍼도어의 상틀(350)과 본 발명의 감속장치(D)를 연결하여주면서, 동시에 도어와 필요시 손쉽게 감속장치와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에서 도시한 연결수단은 감속장치의 걸림연결구(17)의 형태가 2개의 돌출구를 돌출형성하고 중앙은 비워진 형태로 예시하였으며, 이 2개의 돌출구 사이에 암수 끼워맞추어지도록 하나의 돌출된 돌기를 갖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체결방식은 암수체결구조외에도 암나사 숫나사에 의한 나사체결방식, 극성이 다른 자석을 내장하여 자력선 범위내 근접시 자력흡착가능한 자석식들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돌기의 형태도 도어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1개 외에도 2개,3개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균등한 기술범위에 속한다.
상기 가이드핀(502)은 댐퍼도어의 상틀에 하측이 매설되며,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주축(502a)의 상측으로 가이드레일의 댐퍼레일홈(520a)에 슬라이딩롤(502b)이 부분 삽입되어지며, 상기 주축은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슬라이딩하면서 가이딩하는 동시에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롤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감속장치설치된 댐퍼도어와 오토리턴장치 설치된 콘트롤도어를 가이드하는 문틀의 상부에 설치하는 가이드레일(500)에 관하여 도 7a 와 7b 에 예시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가이드레일은 3 연동(連動)도어, 즉, 중앙에 콘트롤 도어를 배치하고 양측으로 댐퍼도어를 설치하기 적합한 가이드레일 구조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시는 가장 범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3 연동도어이므로 대표적으로 예시한 것으로, 예를들면, 상기 3 연동 도어의 콘트롤도어와 댐퍼도어의 사이에 댐퍼 혹은 오토콘트롤기능이 없는 일반 연동도어를 배치한 5 연동의 설치도 가능하다. 그외에도 오토리턴장치설치된 콘트롤도어를 2 개 설치하고, 그 양측에 일반도어 그리고 최외측에 댐퍼도어의 설치와 같은 방식으로 6, 7, 8 연동 등으로 증가시켜 설치가능하며, 콘트롤 도어와 연동도어의 적절한 배치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며 모두 본 발명의 3연동 도어의 응용예에 포함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으로 균등한 기술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500)은 상기 본 발명의 콘트롤도어를 가이드하는 콘트롤가이드레일(520)과 오토리턴가이드레일(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트롤가이드레일은 좌우대칭되는 구조의 수직부(520b)와 상면과 하면으로 사각형태로 구성하면서, 하면에는 슬라이딩롤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홈(520a)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면과 상면에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에 설치한 롤러(r)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롤러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의 주행홈(520c)을 상하부에 형성하였다.
상기 콘트롤가이드레일의 또 다른 특징은 상면 내측에 본 발명의 트리거(5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측의 주행홈의 내측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하였다.
오토리턴가이드레일(530)은 상기 콘트롤가이드레일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본 발명의 오토리턴장치(A)가 설치되어진다. 오토리턴가이드레일에도 하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콘트롤도어의 전후에 설치한 가이드핀(502)를 도어의 슬라이딩 동작시 가이드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수단(501)은 상기 감속장치의 하우징하부에 설치한 가이드핀과 체결을 하되, 볼트너트 혹은 핀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수단과 끼워맞추는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도어는 종래 오토리턴과 댐퍼를 위한 연동도어와 달리 필요시에 도어와 본 발명의 감속장치를 함께 문틀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분리의 손쉬움은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롤러의 마모시 교체작업, 감속장치의 노후에 따른 교체, 선틀등의 문틀의 보수 유지가 용이하게 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그리고 콘트롤도어에 의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은 도 8a 에서 8e 에 도시한 3연동 도어시스템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은 문틀, 상기 문틀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여닫는 구조의 중앙도어와 중앙도어의 전후에 설치한 전후연동도어 그리고 상기 중앙도어와 전후연동도어간의 연동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오토리턴 및 충격흡수장치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연동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도어의 상측 프레임에 설치한 오토리턴 장치(A),
상기 오토리턴 장치 설치한 중앙도어와 전후도어간에 연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링커(L),
상기 링커와 연결되어져, 상기 전후도어의 여닫음 동작시 전후도어의 여닫음 동작속도를 감속시키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D)를 포함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이다.
상기 오토리턴 장치(A)는 타이밍벨트와 같은 연결벨트(261)를 무한궤도형태로 양측의 오토리턴댐퍼(262)의 외부하우징을 감싸면서 연결벨트의 기어와 외부하우징의 기어가 맞물리도록 설치한다. 상기 연결벨트는 콘트롤도어와 인접한 측도어(P)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연결벨트가 측도어와 함께 이동하고, 이 연결벨트의 이동동작은 맞물린 오토리턴댐퍼의 아웃기어부의 회전을 유도하며, 이 회전동력은 외부하우징 자체의 회전을 유도한다. 외부하우징의 회전은 상기 오토리턴댐퍼장치의 내부에 설치한 콘트롤하우징의 내측면의 인너기어부와 텐션조절부의 단층부에 대한 유성기어의 걸림동작의 발생여부에 따라 전진과 후진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오토리턴댐퍼는 내부에 측도어의 전진과 후진 동작에 따른 에너지를 태엽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동작시 오토리턴 에너지 원으로 이용한다. 오토리턴장치(A)는 콘트롤도어(C)의 가이드핀(502)와 결합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3연동 도어를 예시함에 따라 중앙에 1개의 콘트롤도어만을 예시하였으나, 연동도어의 숫자, 즉, 연동도어의 숫자에 따라 콘트롤도어의 숫자는 가감한다. 예를 들면, 5연동 도어의 경우에는 첫번째도어와 마지막 도어에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D)를 설치하고, 도어의 중량이나 크기에 맞추어 2,4 번째 도어만 오토리턴장치를 설치하던가 혹은 중앙의 3번째 도어에만 오토리턴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숫자와 위치는 현장의 도어의 크기, 여닫는 방향, 속도와 같은 변수에 맞추어 적절히 가감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링커(L)는 상기한 오토리턴장치(A)가 설치된 콘트롤도어(C)와 도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도어(P)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측도어의 가이드핀(502)과 체결이 되기 위한 중앙체결공(251)을 중심으로 전후에 2 이상의 부체결공(251a)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체결공의 설치는 설치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최적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연동 도어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문틀의 선틀(600)과 상틀(300)만을 도시하며, 나머지 문틀의 하틀, 레일 등의 구조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3연동 도어를 기본으로 설명한다.
도어를 개방할 때는 측도어(P)가 콘트롤도어(C)를 향하여 전진하며, 이 전진동작은 링커(L)로 연결된 오토리턴장치(A)의 연결벨트(261)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동력은 오토리턴장치에 설치한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반대로 측도어를 선틀(600)을 향하여 닫는 동작을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오토리턴장치는 저장된 에너지에 의하여 댐퍼도어를 선틀을 향하여 전진하도록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공급된 동력으로 댐퍼도어가 전진하게 되면 도 4에 도시하듯이 도어의 상틀(300)에 설치한 트리거(50)의 트리거핀(51)에 트리거홀더가 걸리게 된다. 이 걸림동작은 오토리턴 장치에 의하여 힘을 받아 도어의 선틀을 향하여 전진하는 에너지를 실린더(20)에서 흡수하여 전진속도의 감속동작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이러한 감속동작으로 인하여 오토리턴장치에 의한 일정한 속도로 닫힘(혹은 열림) 동작에 대하여 보다 세밀한 감속조절이 이루어져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도어의 급격한 여닫음에 따른 충돌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하였다.
10:하우징 20:실린더 22:푸시풀로드 30:트리거 홀더 31a:홀더핀 31b:트리거안내면 31c:안내헤드 40:롤러가이더 50:트리거 A:오토리턴 장치, L:링커, D:감속장치 D1:댐퍼도어 C:콘트롤도어 P:측도어 r:롤러 261:연결벨트 300:가이드틀 350:상틀 500:가이드레일 501:연결수단 502:가이드핀 600:선틀

Claims (16)

  1.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감속장치(D)는 직육면체형태로 반분(半分)되는 분할형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도어의 전진과 후진 동작으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하는 실린더(20),
    상기 실린더의 푸시풀로드의 선단에서 슬라이드 연동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트리거를 홀딩하여 연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홀더(30),
    상기 하우징의 전후측에서 구동롤러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롤러가이더(40),
    상기 트리거 홀더에 홀딩되어져 도어의 전후진 동작과 연동가능하게하는 트리거(50)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형 하우징은 좌측하우징(10a)와 우측하우징(10b)이 좌측체결구(11)와 우측체결구(12)의 억지끼워맞춤에 의하여 분할과 조립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형 하우징의 우측하우징(10b)의 하부에는 걸림연결구(17)를 수직으로 돌출설치하며,
    상기 걸림연결구는 연결수단(501)과 끼워맞추어지며,
    상기 우측하우징의 전방과 후방에는 연동도어의 정확한 전진과 후진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r)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롤러가이더(40)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롤러가이드에 설치하는 롤러(r)는 중앙이 첨예한 엣지형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형 하우징의 좌측하우징 과 우측하우징의 내측에는 실린더 보디부(21)를 고정하는 실린더보디고정부(15)(15a)에 의하여 실린더 보디부(21)를 핀고정하며,
    상기 핀고정된 실린더 보디부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피봇동작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실린더의 푸시풀 로드(22)의 선단에는 트리거홀더(30)와 체결되어져, 상기 피스톤가이드부(15)(15a)를 중심으로 실린더 보디부 전체가 상하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트리거홀더는 홀더핀(31a)으로 푸시풀로드(21)의 선단과 핀고정되며, 트리거안내면(31b)이 경사진 형태로 안내헤드(31c)와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트리거안내면은 내측이 빈 ㄱ 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트리거(50)는 도어의 상틀(300)에 고정되며,
    트리거핀(51)이 트리거홀더를 향하여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형 하우징의 피스톤가이드부(14)는 실린더(20)의 푸시풀로드(22)의 선단에 설치한 트리거 홀더의 홀더핀(31a)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하여행정방향과 거리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9. 좌우선틀과 상하틀로 이루어진 도어들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도어에 있어서,
    직육면체형태로 반분(半分)되는 분할형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도어의 전진과 후진 동작으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 하는 실린더(20), 상기 실린더의 푸시풀로드의 선단에서 슬라이드 연동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트리거를 홀딩하여 연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홀더(30), 상기 하우징의 전후측에서 구동롤러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롤러가이더(40), 상기 트리거 홀더에 홀딩되어져 도어의 전후진 동작과 연동가능하게하는 트리거(50)로 이루어진 감속장치(D1),
    상기 감속장치와 체결되는 연결수단(501),
    상기 연결수단의 전후측에 설치되어져 도어측의 가이드틀(300)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핀(5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딩 연동 도어용 댐퍼도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501)은 댐퍼도어의 상틀(350)에 하부 고정되어지며, 상부는 감속장치(D)의 하우징 하부의 걸림연결구(17)와 분리조립이 자유롭게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 도어용 댐퍼도어.
  11. 제 9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다중 구조이며,
    나사체결방식, 자력흡착식, 핀고정식 중의 어느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 도어용 댐퍼도어.
  12. 좌우대칭되는 구조의 수직부(520b)와 상면과 하면으로 사각형태로 구성하면서, 하면에는 슬라이딩롤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홈(520a)을 형성하며, 상기 하면과 상면에는 감속장치에 설치한 롤러(r)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롤러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의 주행홈(520c)을 상하부에 형성한 콘트롤도어를 가이드하는 콘트롤가이드레일(520),
    상기 콘트롤가이드레일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하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콘트롤도어의 전후에 설치한 가이드핀(502)를 도어의 슬라이딩 동작시 가이드하도록 하는 오토리턴가이드레일(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콘트롤가이드레일은 좌우대칭되는 구조의 수직부(520b)와 상면과 하면으로 사각형태로서, 하면은 슬라이딩롤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홈(520a)을 형성하며,
    상기 하면과 상면에는 감속장치에 설치한 롤러(r)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롤러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의 주행홈(520c)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가이드레일.
  14.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은 문틀, 상기 문틀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여닫는 구조의 중앙도어와 중앙도어의 전후에 설치한 전후연동도어 그리고 상기 중앙도어와 전후연동도어간의 연동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오토리턴 및 충격흡수장치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연동 도어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도어의 상측 프레임에 설치한 오토리턴 장치(A),
    상기 오토리턴 장치 설치한 중앙도어와 전후도어간에 연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링커(L),
    상기 링커와 연결되어져, 상기 전후도어의 여닫음 동작시 전후도어의 여닫음 동작속도를 감속시키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D)를 포함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오토리턴 장치(A)는 연결벨트(261)를 무한궤도형태로 양측의 오토리턴댐퍼(262)의 외부하우징을 감싸면서 연결벨트의 기어와 외부하우징의 기어가 맞물리도록 설치하며,
    상기 연결벨트는 콘트롤도어와 인접한 댐퍼도어(D1)와 연결하여, 이 연결벨트의 이동동작은 맞물린 오토리턴댐퍼의 아웃기어부의 회전을 유도하며, 이 회전동력은 외부하우징 자체의 회전을 유도하며,
    상기 외부하우징의 회전은 상기 오토리턴댐퍼장치의 내부에 설치한 콘트롤하우징의 내측면의 인너기어부와 텐션조절부의 단층부에 대한 유성기어의 걸림동작의 발생여부에 따라 전진과 후진의 동하여여 동작 에너지를 저장하여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동작시 오토리턴 에너지 원으로 이용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링커(L)는 오토리턴장치(A)가 설치된 콘트롤도어(C)와 도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도어(P)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측도어의 가이드핀(501)과 체결이 되기 위한 중앙체결공(251)을 부체결공(251a)을 다중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 시스템.

KR1020150105661A 2015-07-27 2015-07-27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KR10176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61A KR101765131B1 (ko) 2015-07-27 2015-07-27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61A KR101765131B1 (ko) 2015-07-27 2015-07-27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56A true KR20170012956A (ko) 2017-02-06
KR101765131B1 KR101765131B1 (ko) 2017-08-04

Family

ID=5810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661A KR101765131B1 (ko) 2015-07-27 2015-07-27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1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9664A (zh) * 2017-03-16 2017-06-20 广东图特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挂趟门两内门对碰阻尼系统
CN109025706A (zh) * 2018-10-10 2018-12-18 佛山市华的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隐藏联动移门
KR20190061485A (ko) * 2017-11-28 2019-06-05 신정철 3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N113513355A (zh) * 2021-04-16 2021-10-19 大同煤矿集团衡安装备股份有限公司 全伺服安全联锁风门及控制方法
KR20220056441A (ko) * 2020-10-28 2022-05-06 남기덕 도어레일 구동장치
KR20220056437A (ko) * 2020-10-28 2022-05-06 남기덕 도어 시스템
CN114559963A (zh) * 2022-01-29 2022-05-31 扬州尚呈标识系统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站台的两段式全移动围栏小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822A (ko) 2018-02-21 2019-08-29 박성범 3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101985136B1 (ko) 2018-03-13 2019-06-03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KR101940147B1 (ko) 2018-03-21 2019-01-18 (주) 메탈프린스 댐퍼 노출형 슬라이딩 도어 설치구조
KR102168155B1 (ko) 2019-02-25 2020-10-20 남기덕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KR102133782B1 (ko) * 2019-03-19 2020-07-14 김솔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KR102193941B1 (ko) * 2019-03-19 2020-12-22 김솔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가이더 어셈블리
KR102206234B1 (ko) 2020-08-11 2021-01-22 이기현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도어연동장치
KR102351285B1 (ko) 2021-04-06 2022-01-14 (주)선흥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102295337B1 (ko) 2021-04-06 2021-08-30 이기현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20230045685A (ko) 2021-09-27 2023-04-05 이기현 도어용 댐퍼 고정 및 스토퍼 고정부
KR20230045686A (ko) 2021-09-27 2023-04-05 이기현 도어 연동장치 분리형 댐퍼걸이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213B1 (ko) * 2012-06-25 2014-01-03 안재옥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1449549B1 (ko) * 2013-04-24 2014-10-13 박영호 슬라이드도어용 무동력 오토리턴 댐퍼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9664A (zh) * 2017-03-16 2017-06-20 广东图特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挂趟门两内门对碰阻尼系统
CN106869664B (zh) * 2017-03-16 2024-03-22 广东图特精密五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挂趟门两内门对碰阻尼系统
KR20190061485A (ko) * 2017-11-28 2019-06-05 신정철 3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N109025706A (zh) * 2018-10-10 2018-12-18 佛山市华的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隐藏联动移门
CN109025706B (zh) * 2018-10-10 2023-12-01 佛山市华的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隐藏联动移门
KR20220056441A (ko) * 2020-10-28 2022-05-06 남기덕 도어레일 구동장치
KR20220056437A (ko) * 2020-10-28 2022-05-06 남기덕 도어 시스템
CN113513355A (zh) * 2021-04-16 2021-10-19 大同煤矿集团衡安装备股份有限公司 全伺服安全联锁风门及控制方法
CN113513355B (zh) * 2021-04-16 2023-09-19 大同煤矿集团衡安装备股份有限公司 全伺服安全联锁风门及控制方法
CN114559963A (zh) * 2022-01-29 2022-05-31 扬州尚呈标识系统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站台的两段式全移动围栏小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131B1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131B1 (ko)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RU256204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ользящей двери
JP4895318B2 (ja) 引込装置
JP4895317B2 (ja) 引込装置
US20170051548A1 (en) Two-way Soft 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and Soft Closing Activation Trigger Assembly Thereof
JP6815018B2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KR101520289B1 (ko) 연동 미닫이 장치
US8950116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US20120325414A1 (en) Movable partition systems and components thereof, methods of installing movable partition systems, and methods of moving a movable partition
KR20130041278A (ko) 인입 장치
WO2016147588A1 (ja) 走行補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引戸装置
KR102192808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JP2010260397A (ja) ホームドア装置
US20170342754A1 (en) Tensioners for movable partition systems, movable partition systems including such tensioners, and related methods
KR102306703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JP6546121B2 (ja) 吊下型建具および連動引き戸装置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102544824B1 (ko) 슬라이딩 도어
JP2007077580A (ja) 自閉式引き戸装置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JP2009019466A (ja) フラット引戸装置
KR20200121148A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스템
KR102600550B1 (ko) 욕실수납장용 슬라이딩장치
KR101322131B1 (ko) 슬라이드 개폐형 버티컬 루버 블라인드
KR200452538Y1 (ko)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고정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