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703B1 -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703B1
KR102306703B1 KR1020200070898A KR20200070898A KR102306703B1 KR 102306703 B1 KR102306703 B1 KR 102306703B1 KR 1020200070898 A KR1020200070898 A KR 1020200070898A KR 20200070898 A KR20200070898 A KR 20200070898A KR 102306703 B1 KR102306703 B1 KR 10230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ving board
case
spee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우
Original Assignee
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우 filed Critical 정정우
Priority to KR102020007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나서 도어를 다시 닫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이고,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과정에서 닫히는 속도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격방지 및 재 열림현상을 방지하고, 도어를 완전히 열였을 때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상기 도어의 상부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막대케이스와, 상기 브라켓에 하부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막대케이스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이동보드와, 상기 막대케이스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이 내장되어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속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댐퍼장치와, 상기 이동보드와 실린더 댐퍼장치를 연결하여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실린더의 로드가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와이어와, 상기 이동보드 및 막대케이스에는 도어의 이동속도를 일정속도로 제어하는 감속제어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Closer Of The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나서 도어를 다시 닫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이고,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과정에서 닫히는 속도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격방지 및 재 열림현상을 방지하고, 도어를 완전히 열였을 때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는 일측에서 힘을 가하여 타측으로 개폐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레일을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일 측에 레일을 설치한 후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롤러를 도어에 고정하여 도어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는 아파트 현관 앞의 중문이나 건물의 복도 또는 방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문 또는 가구의 전면 패널 등을 중첩되게 하여 롤러 바퀴가 있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다. 한편, 여닫을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할 때, 사용자가 문을 빠르게 닫을 경우에 슬라이딩 도어 상에 충격이 가해지는 일이 많고, 닫으려 의도했으나 덜 닫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안전하게 닫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자동으로 닫히게 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전기와 모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기배선등 설치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어를 열 때의 에너지를 응축하는 스프링의 팽창 에너지를 이용하여 닫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닫힘의 속도 조정이 어려우며 닫힘이 시작될 때는 스프링의 응축된 힘으로 속도가 빠르고, 닫힘 의 끝 과정은 스프링의 힘이 약해져서 안정적인 닫힘이 신뢰되지 못한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의 댐퍼와 관련한 기존의 다양한 선행기술이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양 끝에 댐퍼를 장착하여 약 10cm 정도의 짧은 거리에서만 자동 닫힘으로 속도를 제어하며 충격 완화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다는 점, 또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추었지만, 장치의 부피가 크고. 길어서 도어에 장착하거나 설치에 매우 제한적인 상태이다. 또한 기타 필요한 기능별로 별도 장치를 장착하거나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는 제작자나 설치자, 사용자에게 고비용을 지불하게 되는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KR 제10-1718659호 KR 제10-1802149호 KR 제10-11384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린더 댐퍼의 힘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하되,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강한 힘을 가했을 경우, 도어에 강한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닫히는 속도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서, 필요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설치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관리가 간편한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상기 도어의 상부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막대케이스와, 상기 브라켓에 하부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막대케이스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이동보드와, 상기 막대케이스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이 내장되어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속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댐퍼장치와, 상기 이동보드와 실린더 댐퍼장치를 연결하여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실린더의 로드가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와이어와, 상기 이동보드 및 막대케이스에는 도어의 이동속도를 일정속도로 제어하는 감속제어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댐퍼장치는 실린더 양단부에 제1롤러케이스와, 제2롤러케이스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롤러케이스는 실린더 몸체측에 결합되되 막대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에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한 롤러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롤러케이스는 실린더의 로드측에 결합되며 로드의 압축 및 팽창에 따라 막대케이스 내측에서 이동하며 제1롤러케이스에 권취된 와이어가 함께 권취될 수 있도록 롤러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제어부재는; 막대케이스의 내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어레일과, 상기 이동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레일을 따라 맞물린 기어가 회전하면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되, 일방향에만 회전저항을 두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로터리 댐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제어부재는; 막대케이스의 내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금속판과, 상기 이동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과 이격된 거리에서 자력의 힘으로 이동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자석부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보드 및 막대케이스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톱퍼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장치는; 막대케이스의 끝 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는 절곡된 판스프링이 결합되어 끼움홈을 형성하는 스프링 스톱퍼와, 상기 이동보드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도어 개방시 이동보드가 스프링 스톱퍼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판스프링의 끼움홈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장치는; 막대케이스의 끝 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는 제1고정자석이 설치되는 자력 스톱퍼와, 상기 이동보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도어 개방시 이동보드가 자력 스톱퍼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상호간의 자력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보드를 포함한 각각의 필요기능이 막대케이스 내에 모두 구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요구를 해결함에 있어 본 발명의 막대케이스 완성품만 있으면 도어 제작 시 자동 닫힘에 필요한 별도의 물품이 필요 없다. 그러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공정을 간편하게 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하게 한다. 아울러, 분리가 쉬워 수리나 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닫는 슬라이딩 도어에서 감소된 저항으로 에너지를 응축하여 자동 닫힘 기능을 실행하기까지 사용자와 도어가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을 원천 배제하여, 저비용과, 편리함 그리고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함과 소형화로 다양한 크기의 도어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막대케이스만의 길이 절단만으로 맞춤 제작이 용이하여 원 슬라이딩 , 투 슬라이딩, 3연동 중문 등등 모든 슬라이딩 도어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에서 실린더 댐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의 롤러에 와이어 연결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에서 감속제어부재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톱퍼장치를 통해 도어의 개방이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에서 감속제어부재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장치의 2가지 실시예를 (가),(나)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10)와 문틀(20)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문틀(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100)과,상기 도어(10)의 상부에 형성된 설치홈(11)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막대케이스(200)와, 상기 브라켓(100)에 하부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도어(10)의 움직임에 따라 막대케이스(200)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이동보드(300)와, 상기 막대케이스(200)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이 내장되어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속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댐퍼장치(400)와, 상기 이동보드(300)와 실린더 댐퍼장치(400)를 연결하여 도어(10)의 개폐방향에 따라 실린더의 로드가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와이어(500)와, 상기 이동보드(300) 및 막대케이스(200)에는 도어(10)의 이동속도를 일정속도로 제어하는 감속제어부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틀(20)에 고정설치되는 구성과 도어(10)에 설치되는 구성이 있으며, 문틀(20)에 설치되는 구성은 브라켓(100)과 이동보드(300)가 있으며, 도어(10)에 설치되는 구성은 실린더 댐퍼장치(400)가 설치되고, 이동보드(300)와 실린더 댐퍼장치(400)에 함께 설치되어 양쪽 구성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으로는 와이어(500)와 감속제어부재(600)가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문틀(20)의 상부에 마련된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동보드(300)를 문틀(20)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막대케이스(200)는 " ∪ " 형태의 단면구조로 되어 있으며 주요 구성들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10)의 상부 설치홈(11)에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의 이동보드(300)는 문틀(20) 브라켓(100)의 하부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부에 위치한 막대케이스(200)의 위치까지 연장설치되어 막대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보드(300)는 막대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기는 하지만 막대케이스(200)가 아닌 브라켓(100)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어(10)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이동보드(300)는 막대케이스(200) 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막대케이스(200) 기준으로 이동보드(300)가 이동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보드(300)는 막대케이스(200) 내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기 위해, 이동보드(300)의 양측부에 가이드홈(320)이 형성되고, 막대케이스(20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3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가이드돌출부(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보드(300)에는 와이어(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구멍(3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린더 댐퍼장치(400)는 막대케이스(200)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프링이 내장되어 압축시 팽창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팽창과정에서는 실린더 내부의 유체 압력에 의해 팽창속도가 제어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도어(10)가 닫히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주요 구성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500)는 이동보드(300)와 실린더 댐퍼장치(4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와이어(500)의 한쪽끝 부분에는 이동보드(300)에 고정되고 반대편 끝부분은 실린더 댐퍼장치(400)에 고정하여 와이어(500)가 동력전달의 매개체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500)를 매개로 하여 도어(10)의 개폐방향에 따라서 실린더 로드의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 댐퍼장치(40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양단부에 제1롤러케이스(410)와, 제2롤러케이스(420)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롤러케이스(410)는 실린더 몸체측에 결합되되 막대케이스(200)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에 와이어(500)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한 롤러(43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롤러케이스(420)는 실린더의 로드측에 결합되며 로드의 압축 및 팽창에 따라 막대케이스(200) 내측에서 이동하며 제1롤러케이스(410)에 권취된 와이어(500)가 함께 권취될 수 있도록 롤러(43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롤러케이스(4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막대케이스(200)의 양측에 실린더 가이드(220)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500)는 제1롤러케이스(410)에 있는 롤러(430)와 제2롤러케이스(420)에 롤러(430)에 감아지는 구성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끝이 제1롤러케이스(410)의 롤러(4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롤러케이스(420)의 롤러(430)와 양쪽을 오가면서 차례로 감기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어(500)가 감김으로써 하나의 와이어(500)로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실린더 댐퍼장치(400)의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 댐퍼장치(400)와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먼저 도어(10) 개방시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롤러케이스(410)와 이동보드(300)의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와이어(500)는 이동보드(300)와 제1롤러케이스(410)에 각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이동보드(300)와 제1롤러케이스(410)를 연결하는 와이어(5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체 와이어(500)의 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제2롤러케이스(420)와 연결되는 와이어(50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실린더 댐퍼장치(400)에 내장된 스프링은 압축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10)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10)를 닫는방향으로 살짝 이동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제2롤러케이스(420)가 이동하면서 이동보드(300)와 제1롤러케이스(410)를 연결하는 와이어(500)가 당겨지면서 도어(10)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감속제어부재(600)는 이동보드(300) 및 막대케이스(200)에 설치되어 도어(10)를 닫을 때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속도를 제어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물론 도어(10)의 닫는 속도는 실린더 댐퍼장치(400)에 의해 제어되지만 사용자의 강제로 도어(10)를 닫게 되면 상황은 달라지며 도어(10)가 닫히는 과정에서 충격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감속제어부재(60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강제로 실린더 로드의 팽창속도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도어(10)를 닫게 되면 이동보드(300)와 제1롤러케이스(410)를 연결하는 와이어(500)의 팽팽함이 유지되지 못하고 늘어지게 되면서 와이어(500)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도어(10)를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감속제어부재(600)는 2가지의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도 2 또는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케이스(200)의 내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어레일(610)과, 상기 이동보드(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레일(610)을 따라 맞물린 기어가 회전하면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되, 일방향에만 회전저항을 두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로터리 댐퍼(6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레일(610)은 막대케이스(200)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로터리 댐퍼(620)의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댐퍼(620)는 일방향에만 회전저항을 발생시키는 댐퍼로서, 도어(10)가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무저항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도어(10)가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회전저항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속제어부재(600)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도 9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케이스(200)의 내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금속판(630)과, 상기 이동보드(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630)과 이격된 거리에서 자력의 힘으로 이동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자석부재(6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제어부재(600)는 자력의 힘으로 도어(10) 이동의 저항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자석부재(640)와 금속판(630)은 거리가 서로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며, 자석부재(640)와 금속판(630) 사이에는 맴돌이 전류가 발생되어 금속판(630)이 설치된 구간 전체에 도어(10)의 이동저항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금속판(630)의 재질은 자력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도록 구리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동보드(300) 및 막대케이스(200)에 설치되어 도어(1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톱퍼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장치(700)는 도어(10)가 닫히려는 힘보다 강한 힘으로 도어(10)를 고정함으로써 도어(1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많은 사람이 통행하거나 물건을 옮길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 장치는 2가지의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먼저 첫 번째 실시예로는 도 8 또는 도 11의 (가)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케이스(200)의 끝 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는 절곡된 판스프링이 결합되어 끼움홈(711)을 형성하는 스프링 스톱퍼(710)와, 상기 이동보드(3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도어(10) 개방시 이동보드(300)가 스프링 스톱퍼(710)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판스프링의 끼움홈(711)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돌부(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 장치는 판스프링을 구부려서 형성된 끼움홈(711)에 이동보드(300)의 돌출부가 끼워지면서 개방된 도어(10)가 고정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감속제어부재(600)의 첫 번째 실시예와 함께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톱퍼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로는 도 11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케이스(200)의 끝 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는 제1고정자석(731)이 설치되는 자력 스톱퍼(730)와, 상기 이동보드(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도어(10) 개방시 이동보드(300)가 자력 스톱퍼(730)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상호간의 자력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자석(7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는 자력의 힘으로 도어(10)가 고정되는 방식으로서, N극과 S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감속제어부재(600)의 두 번째 실시예에 함께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문틀(20)에 설치되는 브라켓(100)과 이동보드(300)와 도어(10)에 설치되는 막대케이스(200)와 실린더 댐퍼장치(400)는 효율적인 설치방식으로 인해 채택된 것이며, 설치 조건에 따라 문틀(20)에 막대케이스(200)와 실린더 댐퍼장치(400)를 설치하고, 도어(10)에 브라켓(100)과 이동보드(300)를 설치하는 형태의 역방향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도어 11 : 설치홈
20 : 문틀 100 : 브라켓
200 : 막대케이스 210 : 가이드돌출부
220 : 실린더 가이드 300 : 이동보드
310 : 설치구멍 320 : 가이드홈
400 : 실린더 댐퍼장치 410 : 제1롤러케이스
420 : 제2롤러케이스 430 : 롤러
500 : 와이어 600 : 감속제어부재
610 : 기어레일 620 : 로터리 댐퍼
630 : 금속판 640 : 자석부재
700 : 스톱퍼장치 710 : 스프링 스톱퍼
711 : 끼움홈 720 : 고정돌부
730 : 자력 스톱퍼 731 : 제1고정자석
740 : 제2고정자석

Claims (7)

  1.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10)와 문틀(20)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100)과, 상기 도어(10)의 상부에 형성된 설치홈(11)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막대케이스(200)와, 상기 브라켓(100)에 하부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도어(10)의 움직임에 따라 막대케이스(200)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이동보드(300)와, 상기 막대케이스(200)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이 내장되어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속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댐퍼장치(400)와, 상기 이동보드(300)와 실린더 댐퍼장치(400)를 연결하여 도어(10)의 개폐방향에 따라 실린더의 로드가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와이어(500)와, 상기 이동보드(300) 및 막대케이스(200)에는 도어(10)의 이동속도를 일정속도로 제어하는 감속제어부재(600);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보드(300) 및 막대케이스(200)에 설치되어 도어(1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톱퍼장치(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톱퍼장치(700)는
    막대케이스(200)의 끝 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는 절곡된 판스프링이 결합되어 끼움홈(711)을 형성하는 스프링 스톱퍼(710)와;
    상기 이동보드(3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도어(10) 개방시 이동보드(300)가 스프링 스톱퍼(710)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판스프링의 끼움홈(711)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돌부(7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장치(700)는;
    막대케이스(200)의 끝 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는 제1고정자석(731)이 설치되는 자력 스톱퍼(730)와,
    상기 이동보드(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도어(10) 개방시 이동보드(300)가 자력 스톱퍼(730)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상호간의 자력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자석(7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KR1020200070898A 2020-06-11 2020-06-11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KR10230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98A KR102306703B1 (ko) 2020-06-11 2020-06-11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98A KR102306703B1 (ko) 2020-06-11 2020-06-11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703B1 true KR102306703B1 (ko) 2021-09-28

Family

ID=7792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898A KR102306703B1 (ko) 2020-06-11 2020-06-11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7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045B1 (ko) * 2021-12-16 2022-11-03 (주)삼인이에스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KR20230130422A (ko) 2022-03-03 2023-09-12 한상선 슬라이딩 도어 조정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554A (ja) * 2003-07-31 2005-02-24 Best:Kk 上吊り引戸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05171545A (ja) * 2003-12-09 2005-06-30 Hitoshi Nishitani 引戸用制動装置
JP2008057259A (ja) * 2006-08-31 2008-03-13 Shimodaira:Kk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2009013772A (ja) * 2007-06-05 2009-01-22 Skb:Kk 引戸の閉じ支援装置
KR101138426B1 (ko) 2011-09-19 2012-04-26 방성미 자동닫힘형 슬라이딩도어 제어용 실린더 장치
KR101710692B1 (ko) * 2015-11-19 2017-02-27 (주)세한프레시젼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101718659B1 (ko) 2016-01-11 2017-03-21 신정철 슬라이딩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101802149B1 (ko) 2017-06-19 2017-11-28 (주)도무스메탈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 닫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554A (ja) * 2003-07-31 2005-02-24 Best:Kk 上吊り引戸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05171545A (ja) * 2003-12-09 2005-06-30 Hitoshi Nishitani 引戸用制動装置
JP2008057259A (ja) * 2006-08-31 2008-03-13 Shimodaira:Kk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2009013772A (ja) * 2007-06-05 2009-01-22 Skb:Kk 引戸の閉じ支援装置
KR101138426B1 (ko) 2011-09-19 2012-04-26 방성미 자동닫힘형 슬라이딩도어 제어용 실린더 장치
KR101710692B1 (ko) * 2015-11-19 2017-02-27 (주)세한프레시젼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101718659B1 (ko) 2016-01-11 2017-03-21 신정철 슬라이딩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101802149B1 (ko) 2017-06-19 2017-11-28 (주)도무스메탈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 닫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045B1 (ko) * 2021-12-16 2022-11-03 (주)삼인이에스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KR20230130422A (ko) 2022-03-03 2023-09-12 한상선 슬라이딩 도어 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703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KR101542980B1 (ko)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CN105986722B (zh) 低噪音移动的加速和减速装置
RU2712413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ольжения и торможения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 ставней
CN104541011A (zh) 滑动门设备
CN102733708A (zh) 尤其用于滑动门且通常用于滑动门或窗关闭元件的线性致动器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EP3218565B1 (en) A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KR10180214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 닫힘장치
AU2017360021B2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101829872B1 (ko) 미닫이 도어 닫힘장치
US6499185B1 (en) Apparatus for holding a door open
KR20130038459A (ko) 창호용 호차
KR101086886B1 (ko)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KR100898194B1 (ko) 출입문 개폐장치
CN103314171A (zh) 用于回转门操作器的附连件
KR102183044B1 (ko)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KR101845844B1 (ko) 미닫이 도어 닫힘장치
KR101055680B1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KR20200121148A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스템
KR200379094Y1 (ko) 강화 유리문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
CN104653034B (zh) 一种具有垂直扇式开关门及开关锁功能的自动多扇门
KR102487797B1 (ko) 문폭을 최소화한 4중 연동도어
KR10264316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조절을 위한 링크모듈
EP3665353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f a door wing of a piece of furniture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