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670A -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 - Google Patents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670A
KR20170012670A KR1020150103579A KR20150103579A KR20170012670A KR 20170012670 A KR20170012670 A KR 20170012670A KR 1020150103579 A KR1020150103579 A KR 1020150103579A KR 20150103579 A KR20150103579 A KR 20150103579A KR 20170012670 A KR20170012670 A KR 2017001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filler
less
particle size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582B1 (ko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0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5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8Meltabl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강-연주공정에서 래들의 웰 블록 내부에 충진되는 래들필러이며, 0.25㎜ 이상 1.0㎜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가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80% 이상 85% 이하로 하부에 충진되고, 0.25㎜ 이하(0은 제외)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가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15% 이상 20% 이하로 상부에 충진된 래들필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LADLE FILLER AND OPE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강 래들(Ladle)(10)의 웰 블록(well block) 내부에는 충전재로써 크로마이트 실리카(Chromite Silica) 성분의 필러(Filler)(1)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래들(10)은 받침연와(11)에 필러(1)가 유입 충전된 상태에서 전로 또는 정련로로부터 용강이 유입되고, 2차 정련 및 성분, 온도 조정 후 연속주조를 위하여 주상으로 이동 후, 상부 플레이트(13)의 탑노즐(12) 및 하부 플레이트(14)의 콜렉터 노즐(15)을 통해 턴디쉬(미도시)로 용강을 배출하게 된다. 래들필러(1)는 전로 또는 정련로로부터 용강 유입 이후 상부층이 일부 소결됨으로써 용강의 침투를 방지하다가 연주조업을 위해 슬라이딩 게이트(Slidng gate)(13, 14)를 열었을 때 용강 하중에 의해 파괴됨으로써 래들(10)로부터 턴디쉬(Tundish)로의 용강 유입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일반적으로 래들이 자연 개공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필러가 과소결되거나, 소결 부족에 의해 필러 내부로 용강이 유입되어 응고될 때, 용강 정압 만으로는 개공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개공 불량이라고 하고 이런 경우에는 산소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필러를 녹이고 용강을 곧바로 턴디쉬에 주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용강이 콜렉터 노즐을 통하지 않고 곧바로 턴디쉬로 주입될 경우 대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주편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개공 불량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러 재료가 용강 정압에 의해서 소결층이 쉽게 파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래들필러의 입도 및 그 분포를 최적화하여, 래들의 자연 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자연 개공성을 향상시킨 래들 개공방법을 제공하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자연 개공성 확보가 되지 않을 경우에도 산소세척을 하지 않고 개공 유도가 가능한 래들 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강-연주공정에서 래들의 웰 블록 내부에 충진되는 래들필러이며,
0.25㎜ 이상 1.0㎜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가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80% 이상 85% 이하로 하부에 충진되고,
0.25㎜ 이하(0은 제외)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가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15% 이상 20% 이하로 상부에 충진된 래들필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제강-연주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래들필러를 래들의 웰 블록 내부에 충진하고,
래들에 스테인리스 용강을 투입하고 체류시킨 후 슬라이딩 게이트를 여는 래들 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로 또는 정련로(AOD) 공정, VOD 공정, 성분조정(LT) 공정 등을 통해 생산되는 스테인리스강의 제조공정에서, 래들필러의 입도 및 그 분포를 최적화하여, 래들의 우수한 자연 개공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개공이 안되는 경우에도 산소세척을 하지 않아 조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래들필러의 사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래들필러가 과소결시 나타나는 개공 불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래들필러의 소결 정도를 모사 실험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은 래들필러를 모사 실험 장치 내에 유지한 시간에 따른 래들필러의 기공률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래들필러가 소결 부족시 나타나는 개공 불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래들필러 충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래들 내 용강 체류시간과 자연 개공성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폭발수단을 사용하여 개공을 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제강-연주공정에서 래들의 웰 블록 내부에 충전되는 래들필러에 있어서, 필러 입자의 입도 및 그 분포를 특정 범위로 최적화하는 경우, 래들의 자연 개공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래들필러는 복수 개의 필러입자들을 충진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래들필러는 제강-연주공정에서 래들의 웰 블록 내부에 충진되는 래들필러이며, 0.25㎜ 이상 1.0㎜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가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80% 이상 85% 이하로 하부에 충진되고, 0.25㎜ 이하(0은 제외)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가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15% 이상 20% 이하로 상부에 충진되도록 하여 상부 래들필러와 하부 래들필러가 서로 다른 입도분포를 갖도록 한다.
상기 래들필러는 중량 %로, Cr2O3 28% 이상, SiO2 30% 이하, Al2O3 14% 이하, Fe2O3 30% 이하, MgO 10% 이하, 수분 0.5% 이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부 래들필러의 양을 전체 투입량의 15~20%로 한정하는 이유는 실제 조업 시 용강에 의해 소결이 이루어지는 래들필러의 적정 두께를 무게로 환산했을 때 그 값이 전체 투입량의 15~20% 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래들필러는 나아가 래들필러 중 하부에 충진된 하부 래들필러는 0.01㎜ 이상 0.25㎜ 미만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를 전체 하부 래들필러 중 중량 %로 0.1% 이상 3% 미만으로 포함하는 입도분포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래들필러 중 상부에 충진된 상부 래들필러는 0.25㎜ 초과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를 전체 상부 래들필러 중 중량 %로 5% 미만으로 포함하는 입도분포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래들필러의 입도가 래들의 개공 불량에 미치는 영향을 모식도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들필러의 입도가 작을 경우 과소결에 의해서 개공 불량이 발생한다.
래들필러의 입도가 과소결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 보기 위해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모사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입도 조건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키면서 소결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중량 %로, Cr2O3 35%, SiO2 21%, Al2O3 12%, Fe2O3 20%, MgO 6%, 수분 0.3%를 포함하는 래들필러를 준비하고, 이 래들필러를 담아 충진시킨 알루미나 재질의 도가니를 고온 로(Furnace) 내에 두고 1600℃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로에서 꺼내어 냉각시킨 다음 소결 정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재료가 소결이 되면 이에 비례하여 기공률이 감소하기 때문에, 소결의 정도는 시료의 기공률로 판단하였다.
하기 표 1에서, 래들필러 1의 입도 분포는 0.125㎜ 내지 1.0㎜ 영역이 95 중량% 이상이며, 래들필러 2는 래들필러 1에서 0.25㎜ 미만의 입자를 제거한 경우이고, 래들필러 3은 래들필러 1에서 0.125㎜ 미만의 입자를 제거한 경우이다.
한편, 도 4에서 기공률은, 예를 들면, 수은 포로시미터(mercury porosimeter)를 이용한 수은 압입법에 의한 측정, 중량법, 아르키메데스법,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에 의한 측정 등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수은 포로시미터(mercury porosimeter)를 사용하여 기공률을 측정하였다.
입도 분포 0.01㎜ 이상
~ 0.125㎜ 미만
0.125㎜ 이상
~ 0.25㎜ 미만
0.25㎜ 이상
~ 1.0㎜ 미만
1.0㎜ 이상
래들필러 1 0.5 중량% 75 중량% 23 중량% 1.5 중량%
래들필러 2 0.04 중량% 0.4 중량% 97.4 중량% 2.1 중량%
래들필러 3 0.01 중량% 72.6 중량% 25.7 중량% 1.7 중량%
소결 실험 전에 측정한 래들필러 1, 2, 3의 기공률은 30~35% 이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래들필러 1을 160분 동안 유지한 경우 기공률은 20% 정도로 감소하였고, 180분 동안 유지한 경우 기공률은 15%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220분까지 유지한 경우에는 기공률이 10%까지 감소하였다.
또한, 0.125㎜ 미만의 입자를 제거한 래들필러 3의 경우 래들필러 1보다 기공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지 시간을 180분 이상으로 하는 경우 기공율이 20% 이하로 감소하였다.
한편, 래들필러 2와 같이 0.25㎜ 이상 1.0㎜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를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97% 이상 99.9% 미만으로 포함하는 입도분포를 가지는 경우, 스테인리스 용강의 래들 내 체류시간이 200분 미만, 구체적으로는 160분 이상 200분 미만까지 기공률이 20% 이상으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기공률이 20% 미만으로 감소할 경우 후술하는 자연 개공성이 크게 나빠지는 바 (이는 도 4에서 래들필러 1을 사용한 경우 180분 시점에서 기공률이 20% 이하로 떨어지는 것과 도 7에서 래들필러 1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180분 시점에서 자연 개공성이 하락하는 것으로부터 유추 가능하다.), 래들필러 2와 같이 0.25㎜ 이상 1.0㎜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를 사용할 경우, 200분 미만으로 용강이 래들 내에 체류하는 경우에 있어서, 래들필러 1 및 3에 비하여 자연 개공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자연 개공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 연구 및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필러 입자의 입도가 커질 경우 과소결을 방지할 수 있으나 0.25㎜ 이상 1.0㎜ 이하의 입도 분포를 가지는 필러 입자를 충진하는 도중에 입자가 큰 필러 입자가 상부에 집중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와 같이 소결 부족에 의해서 용강이 래들필러층으로 침투하여 응고하는 현상이 일어나며 이에 의해 개공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부에 상기 래들필러 2와 같이 충진하고,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소결성이 좋은 0.25㎜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를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15% 이상 20% 이하로 상부에 충진하여 상부 래들필러와 하부 래들필러가 서로 다른 입도분포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상부 래들필러는 소결 부족에 의한 용강 침투를 방지하고, 하부 래들필러는 과소결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래들필러의 필러입자의 입도가 1.0㎜를 초과하면 소결이 잘 안되어 용강 유입 중에 모두 소실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상한은 1.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래들 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래들 개공방법은 상기한 래들필러를 래들의 웰 블록 내부에 충진하고, 래들에 스테인리스 용강을 투입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슬라이딩 게이트를 열어 래들을 개공시킨다.
한편, 본 발명 래들필러가 적용되는 래들에 담긴 스테인리스 용강의 무게는 70톤 이상 150톤 미만이며, 이때 스테인리스 용강의 온도는 1450℃ 이하인 경우 응고가 되기 때문에 그 이상이어야 하고, 래들 내화물 열화 측면에서 1780℃ 이상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들 내 스테인리스 용강 체류시간이 250분 이하인 경우, 자연 개공방식으로 개공시키고, 래들 내 스테인리스 용강 체류시간이 250분 초과인 경우, 래들 바닥 노즐 구멍으로 폭발수단을 삽입하여 소결된 래들필러를 파괴하여 개공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강 체류시간이 250분 초과인 경우에는 자연 개공성이 급격히 낮아져 개공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개공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수동 개공을 위해서 산소세척이 필요하고, 산소세척은 조업 위험도가 높기 때문이다.
통상, 자연 개공이란 래들필러가 전로 또는 정련로로부터 용강 유입 이후 상부층이 일부 소결됨으로써 용강의 침투를 방지하다가 연주조업을 위해 슬라이딩 게이트를 열었을 때 용강 하중에 의해 파괴됨으로써 래들로부터 턴디쉬(Tundish)로의 용강 유입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같이 슬라이딩 게이트를 열었을 때 용강 하중에 의해서 래들필러가 자연적으로 파괴될 경우를 의미한다.
도 8에는 래들 바닥 노즐 구멍으로 폭발수단(40)을 삽입하여 소결된 래들필러를 파괴하여 개공을 유도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폭발수단(40)은 탄두(41), 폭발력가이드(43), 발열재(45) 및 반응물(47)을 포함할 수 있다.
래들 바닥 노즐 구멍으로 삽입된 폭발수단에 포함된 발열재가 주변의 온도에 의해 스스로 반응하게 되고 반응열에 의해 반응물이 폭발하게 된다. 반응물이 폭발함에 따라, 폭발력 가이드가 탄두를 치게 되고, 탄두가 소결된 래들필러를 파괴하여 개공을 유도한다.
상기 반응물은 액체산소 또는 불활성 고압기체일 수 있다.
이는 화약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폭발 수단의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한 구성을 부가한 것이다. 액체산소는 부피 팽창에 의한 소결층 파괴 효과와 함께 연소에 의한 반응열로 인한 소결층 용해 효과를 동시에 얻게 되어 가장 바람직하지만 보다 안전을 고려한 측면에서 사용자가 액체산소 사용을 기피한다면 아르곤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자연 개공이 되지 않을 경우 소결층의 두께는 5 내지 10cm 로써 이를 파괴하기 위해 필요한 액체산소의 부피는 실험실에서 수행한 모사 시험 결과 20 내지 25cc가 적당하다. 또한 동일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 아르곤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기체는 상기 액체산소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에 50 내지 60 bar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재는 마그네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분말은 반응성이 크고 100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상기 탄두의 재질은 철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두가 용강에 혼입되어도 용강의 조성 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래들필러가 실제 스테인리스 제강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에 자연 개공성이 향상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발명예의 래들필러와 하기 표 3에 기재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래들필러를 준비하였다. 하기 표 3의 래들필러의 입도분포는 상,하부 동일하게 한 것이다.
단, 하기 표 2에서 하부의 필러가 전체 필러 중 82 중량%이고, 상부의 필러가 전체 필러 중 18 중량%이다.
입도 분포 0.01㎜ 이상
~ 0.125㎜ 미만
0.125㎜ 이상
~ 0.25㎜ 미만
0.25㎜ 이상
~ 1.0㎜ 미만
1.0㎜ 이상
발명예 상부 3.5 중량% 93.0 중량% 3.4 중량% 0.05 중량%
하부 0.04 중량% 0.4 중량% 97.4 중량% 2.1 중량%
입도 분포 0.01㎜ 이상
~ 0.125㎜ 미만
0.125㎜ 이상
~ 0.25㎜ 미만
0.25㎜ 이상
~ 1.0㎜ 미만
1.0㎜ 이상
비교예 1 0.5 중량% 75 중량% 23 중량% 1.5 중량%
비교예 2 0.04 중량% 0.4 중량% 97.4 중량% 2.1 중량%
상기 발명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래들필러를 실제 스테인리스 제강 공정에 적용한 후, 자연 개공성 결과를 측정하여 하기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때, 자연 개공성은 자연 개공률로부터 턴디쉬에서 채취한 용강 샘플의 절단면 1㎠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경우 래들필러가 발견되는 비율을 뺀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10회의 개공 조업 중에 자연 개공이 9회 되었고, 이때 턴디쉬에서 채취한 용강 샘플 10개 중에서 래들필러가 발견된 횟수가 1회라고 한다면, 자연 개공성은 0.8이 된다.
하기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 1에 비하여 비교예 2의 경우 용강의 래들 내 체류시간 200분까지 자연 개공성이 0.8 이상으로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발명예의 경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자연개공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용강의 래들 내 체류시간 250분까지 자연 개공성이 0.8 이상을 유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50분 초과에서는 자연 개공성이 0.8 미만으로 하락하여 용강 체류시간을 250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초과하거나 조업 이상 상황에서는 본 발명의 폭발 수단을 이용하여 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래들필러 10: 래들
11: 받침연와 12: 탑 노즐
13: 상부 플레이트 14: 하부 플레이트
15: 콜렉터 노즐
31: 소결된 래들필러 32: 소결되지 않은 래들필러
33: 상부 래들필러 34: 하부 래들필러
40: 폭발 수단 41: 탄두
43: 폭발력 가이드 45: 발열재
47: 반응물

Claims (14)

  1. 제강-연주공정에서 래들의 웰 블록 내부에 충진되는 래들필러이며,
    0.25㎜ 이상 1.0㎜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가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80% 이상 85% 이하로 하부에 충진되고,
    0.25㎜ 이하(0은 제외)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가 전체 필러 중 중량 %로 15% 이상 20% 이하로 상부에 충진된 래들필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필러 중 하부에 충진된 하부 래들필러는 0.01㎜ 이상 0.25㎜ 미만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를 전체 하부 래들필러 중 중량 %로 0.1% 이상 3% 미만으로 포함하는 입도분포를 가지는 것인 래들필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필러 중 상부에 충진된 상부 래들필러는 0.25㎜ 초과의 입도를 가지는 필러 입자를 전체 상부 래들필러 중 중량 %로 5% 미만으로 포함하는 입도 분포를 가지는 것인 래들필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필러는 중량 %로, Cr2O3 28% 이상(100% 제외), SiO2 30% 이하(0% 제외), Al2O3 14% 이하(0% 제외), Fe2O3 30% 이하(0% 제외), MgO 10% 이하(0% 제외), 물 0.5% 이하(0% 제외)를 포함하는 것인 래들필러.
  5. 제강-연주공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래들필러를 래들의 웰 블록 내부에 충진하고,
    래들에 스테인리스 용강을 투입하고 체류시킨 후 슬라이딩 게이트를 여는 래들 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시키는 시간은 250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용강의 무게가 70톤 이상 150톤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용강의 온도는 1450℃ 이상 17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시키는 시간이 250분 초과인 경우,
    래들 바닥 노즐 구멍으로 폭발수단을 삽입하여 소결된 래들필러를 파괴하여 개공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폭발수단은 탄두, 폭발력가이드, 발열재 및 반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은 액체산소 또는 불활성 고압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는 강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산소는 20~25cc이고,
    상기 불활성 고압기체는 20~25cc이며 50~60bar로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개공방법.

KR1020150103579A 2015-07-22 2015-07-22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 KR101736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579A KR101736582B1 (ko) 2015-07-22 2015-07-22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579A KR101736582B1 (ko) 2015-07-22 2015-07-22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670A true KR20170012670A (ko) 2017-02-03
KR101736582B1 KR101736582B1 (ko) 2017-05-17

Family

ID=5815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579A KR101736582B1 (ko) 2015-07-22 2015-07-22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5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03A (ko) * 2017-08-24 2019-03-06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KR20190075531A (ko)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필러의 소결 특성 평가 장치
KR20200006711A (ko)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이드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20200067543A (ko) * 2018-12-04 2020-06-12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개공부의 개공 장치
CN114918409A (zh) * 2022-05-19 2022-08-19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钢包引流砂的添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40B1 (ko) 2022-09-01 2023-01-13 주식회사 엠텍 제철용 래들의 모래투입장치
KR20240000471U (ko) 2022-09-01 2024-03-08 주식회사 엠텍 제철용 래들의 틸팅형 모래투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03A (ko) * 2017-08-24 2019-03-06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KR20190075531A (ko)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필러의 소결 특성 평가 장치
KR20200006711A (ko)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이드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20200067543A (ko) * 2018-12-04 2020-06-12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개공부의 개공 장치
CN114918409A (zh) * 2022-05-19 2022-08-19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钢包引流砂的添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582B1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582B1 (ko)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
Palmer et al. Pressure infiltrated syntactic foams—Process development and mechanical properties
CA2581860C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oxygen content of a powder
ES2751656T3 (es) Procedimientos para la producción de aleaciones basadas en níquel que contienen cromo y cromo más niobio de bajo contenido de nitrógeno y esencialmente libres de nitruro
WO2007072831A1 (ja) アルミニウム鋳塊の製造方法、アルミニウム鋳塊、およびアルミニウム鋳塊の製造用保護ガス
US20160184895A1 (en) Method of fabricating a steel part by powder metallurgy, and resulting steel part
WO2014156942A1 (ja) マルエージング鋼の製造方法および介在物の微細化方法
KR20160066094A (ko) 래들 필러
KR101462168B1 (ko) 용철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PL202712B1 (pl) Lista porowata ogniotrwała zatyczka albo cegła do wyłożenia zbiornika, do wdmuchiwania gazu do roztopionego metalu, oraz sposób jej wytwarzania
KR100779121B1 (ko) 수강 레이들용 필러
CN112760456B (zh) 一种使铋收得率不低于70%的含铋取向硅钢冶炼方法
KR101257253B1 (ko) 용강 보온재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형강
KR20150049421A (ko) 노즐 개공용 필러
KR101490187B1 (ko) 용강의 정련 방법
KR101665467B1 (ko) 산화-환원의 테르밋 반응에 의한 합금철의 제조 방법
JP6021788B2 (ja) 取鍋自然開孔率の向上方法
KR20200053870A (ko) 탈산제 및 용강 처리 방법
KR20220128143A (ko) 탕면 가열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KR101091931B1 (ko) 칼슘 처리강의 제조 방법
KR101370369B1 (ko) 레이들의 슬라이딩 노즐 개공용 필러
KR102326860B1 (ko) 몰드 플럭스 및 주조 방법
SU15358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шлаком под вакуумом
JP5455983B2 (ja) 冶金学的に改善された溶融金属を供給する方法
JP4497870B2 (ja) ノズル充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