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713A - 조립식 천장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천장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713A
KR20170011713A KR1020150104841A KR20150104841A KR20170011713A KR 20170011713 A KR20170011713 A KR 20170011713A KR 1020150104841 A KR1020150104841 A KR 1020150104841A KR 20150104841 A KR20150104841 A KR 20150104841A KR 20170011713 A KR20170011713 A KR 2017001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over panel
panel
fast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982B1 (ko
Inventor
송우용
송권용
Original Assignee
송우용
송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용, 송권용 filed Critical 송우용
Priority to KR102015010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9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천장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실내설비를 구비하여 천장에 설치되며 외주를 따라 수용부가 형성되어 마련되는 커버패널 및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기 커버패널 사이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천장구조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천장구조물 {ASSEMBLY CEI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천장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나사 및 볼트 등을 포함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시간 및 설치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천장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천장구조물이란 다양한 목적에 의하여 건축물의 실내 중 천장에 설치되는 건축설비로서, 천장에 설치된 각종 배선 및 덕트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미감 및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한 실내 인테리어 측면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천장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H, hanger), 캐링채널(C, carrying channel) 및 엠바(MB, M-bar 또는 W-bar) 등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통해 실내에 설치되어 왔다.
여기서, 행거(H)는 천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천장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일종의 기초부재(foundation member)로서, 앵커(anchor)등에 의해 천장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천장으로부터 연장된 행거(H)의 끝단에는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행거클립(HC)에 의해 캐링채널(C)이 행거(H)의 상기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캐링채널(C)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거클립(HC)에 의해 행거(H)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는 “사각형” 또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형강 및 홈형강(channel)로서, 천장으로부터 수평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엠바(MB)는 나사 및 볼팅 체결 또는 별도의 엠바클립(미도시) 등을 통해 앞서의 캐링채널(C)에 결합되며, 캐링채널(C)과 마찬가지로 천장으로부터 수평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홈형강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단면 형상이 “M” 또는 “W” 형태를 갖는 홈형강을 일컬었으나, 최근에는 “
Figure pat00001
”, “
Figure pat00002
”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홈형강 등을 포함하여 총칭한다.
이와 같은 엠바(MB)에는 마감재(CT, ceiling tile)들이 결합되어 천장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천장에 설치된 각종 배선 및 덕트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마감재(CT)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일이 나사 및 볼트(S)를 이용해 엠바(MB)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천장을 바라보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시공의 특성상 장시간 작업이 힘듦에도 작업의 난이도는 어려우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감재(CT)의 설치 후에는 조명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함으로, 별도로 조명기기가 설치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마감재(CT)를 절단하거나, 마감재(CT)의 설치 전 미리 조명기기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여 시공을 해야 하는 등, 시공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천장구조물은 마감재(CT)를 설치하기 위해 엠바(MB)를 포함하는 각종 채널들이 필요했으며, 캐링채널(C)과 엠바(MB)의 결합 및 엠바(MB)와 마감재(CT)의 고정 시 나사 및 볼트(S)를 이용하기 때문에, 각종 장비 및 부재의 소모로 인하여 시공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
아울러, 종래의 천장구조물은 앞서 기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천장구조물이 시공된 후 유지보수 등의 필요에 의한 해체 및 재시공 또한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추가적으로 존재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장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 나사 및 볼트 등을 포함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시간 및 설치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천장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조명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조명커버 자체가 천장구조물을 구성하는 마감재 중 하나로 마련됨으로써, 조명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필요 없는 조립식 천장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장구조물은, 실내설비를 구비하여 천장에 설치되며, 외주를 따라 수용부가 형성되어 마련되는 커버패널; 및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기 커버패널 사이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마감패널;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천장으로부터 아래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되어 연장된 후, 내측을 향해 상기 천장과 평행을 이루도록 2차 절곡되며, 상기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3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커버패널에 조립 가능하도록, 상기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1차 절곡되어 연장된 후, 내측을 향해 상기 천장과 평행을 이루도록 2차 절곡되며, 상기 천장으로부터 아래측을 향하도록 3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턱에는 상기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패널에 상기 마감패널이 조립될 때,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커버패널에 고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지지턱에 맞물려 조립될 시, 상기 지지턱과 접촉하는 상기 걸림턱의 2차 절곡된 내측면에 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패널은, 상기 천장에 기 설치된 캐링채널을 통해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천장에 배치되는 제1 커버패널 및 제 2 커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제1 커버패널의 수용부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체결부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커버패널의 수용부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제2 체결부가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 커버패널 및 상기 제2 커버패널 사이에 조립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장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천장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 나사 및 볼트 등을 포함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시간 및 설치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명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조명커버 자체가 천장구조물을 구성하는 마감재 중 하나로 마련됨으로써, 조명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필요 없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특징들로 인하여 천장구조물이 시공된 후 유지보수 등의 필요에 의한 해체 및 재시공이 용이하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실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천장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장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패널 및 마감패널의 조립을 통한 천장구조물의 설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 및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패널 및 마감패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돌기 및 체결공을 나타낸 각각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패널 및 마감패널에 설치될 수 있는 각종시설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커버패널(1000) 및 마감패널(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패널(1000)은, 조명기기(10)를 포함한 다양한 실내설비들을 구비하고 외주를 따라 수용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커버패널(1000)에 구비되는 실내설비를 조명기기(10)로 가정하여 설명을 기재하는 것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다.
즉, 도 11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패널(1000)에 구비되는 실내설비들은 조명기기(10) 이외에도 안내방송을 위한 스피커(310), 화재감지기(320) 및 스프링클러(330), 실내환기를 위한 덕트의 다양한 형태을 갖는 디퓨저(340), 보안을 위한 감시카메라(350) 등, 각종 실내설비 및 탐지기들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내설비 및 탐지기들은 앞서 기재한 설비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종류 및 형태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론으로 돌아와, 전술한 커버패널(1000)은 천장에 설치된 캐링채널(C)에 마련된 패널클립(PC)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캐링채널(C)은 천장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행거(H)에 행거클립(HC)을 통해 설치되며, 이러한 행거(H), 행거클립(HC) 및 캐링채널(C)은 전술했던 종래 천장구조물에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커버패널(1000)은 패널클립(PC)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 맞춰져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나사 및 볼트를 통한 결합이 필요 없이 간단하게 동작만으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패널클립(PC)은 커버패널(100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과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2000)은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커버패널(1000) 사이에 조립될 수 있도록, 수용부(100)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부(200)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체결부(200)가 수용부(100)에 체결됨으로써 마감패널(2000)은 복수의 커버패널(1000) 사이에 조립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통해 전술했던 바와 같이, 종래의 천장구조물의 경우 캐링채널(C)에 설치된 엠바(MB)에 마감재(CT)를 나사 및 볼트 등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천장구조물을 시공했던데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캐링채널에 설치된 커버패널(1000)의 수용부(100)와 마감패널(2000)의 체결부(200)를 이용해 조립하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천장구조물을 시공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천장구조물은 시공 시 엠바(MB) 및 마감재(CT)를 엠바(MB)에 고정시키기 위한 각종 부자재 등이 필요했을 뿐만 아니라, 마감재(CT)를 일일이 볼팅작업을 통해 엠바(MB)에 고정했기 때문에 작업에 소모되는 수고와 시간이 만만치 않았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장구조물의 경우, 커버패널(1000)에 곧바로 마감패널을(2000)을 조립하기 때문에 엠바(MB)의 구성 없이도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나사 및 볼트와 같은 부자재 없이 수용부(100)에 체결부(200)를 조립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천장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천장구조물은 마감재의 설치 전 또는 후, 조명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적인 시공이 필요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커버패널(1000) 자체에 조명기기(10)가 구비되며 조명커버의 역할도 함께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추가적인 시공이 불필요하므로 천장구조물의 설치가 더욱 간편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장구조물은 심미감 및 입체감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자인됨으로써 인테리어 측면으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장구조물은 수용부(100)가 형성된 커버패널(1000) 및 체결부(200)가 형성된 마감패널(200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효과의 현저함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100) 및 체결부(200)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패널(1000) 및 마감패널(2000)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커버패널(1000)은 조명기기(10) 및 수용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명기기(10)는, 광원(12)이 내장될 수 있도록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한 일체의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실내에 사용되는 각종 조명 등이 광원(12)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눈부심을 방지하고 간접조명을 통한 실내분위기 연출을 위한 투광판(14, 또는 루버)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12)의 종류 및 형태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기 때문에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수용부(100)는, 도면과 같이 천장으로부터 아래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되어 연장된 후(110a), 내측을 향해 상기 천장과 평행을 이루도록 2차 절곡되며(110b), 다시 상기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3차 절곡되어(110c) 형성됨으로써, "
Figure pat00003
" 또는 "
Figure pat00004
"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턱(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턱(110)을 포함한 수용부(100)는 커버패널(100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을 통해 도시된 수용부(100)가 커버패널(1000)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커버패널(1000) 및 수용부(100)의 형상을 규정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마감패널(2000)은 체결부(200) 및 스크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200)를 설명하기 앞서 스크린부(20)에 대해 먼저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2000)은 커버패널(1000)에 조립 시 심미감 및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크린부(2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간격에 의해 천장의 내부가 드러나거나, 냉난방 시 단열효과가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200)는 앞서 설명한 수용부(100)에 대응하여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1차 절곡되어 연장된 후(210a), 내측을 향해 상기 천장돠 평행을 이루도록 2차 절곡되며(210b), 다시 상기 천장으로부터 아래측을 향하도록 3차 절곡되어(210c) 형성됨으로써, "
Figure pat00005
" 또는 "
Figure pat00006
" 형상의 단면을 갖는 걸림턱(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턱(210)을 포함한 체결부(200)는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커버패널(1000)의 각각의 수용부(100)에 대응되도록 마감패널(20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의 경우 천장 전체에 걸쳐 시공되기 때문에 다수의 커버패널(1000) 및 마감패널(20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패널(1000)은 천장에 기 설치된 캐링채널(C)에 패널클립(PC)을 이용하여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천장에 배치되는데,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이러한 복수 개의 커버패널(1000) 중 서로 인접하여 설치된 어느 하나의 커버패널(1000)과 또 다른 하나의 커버패널(1000)을 각각 제1 커버패널(1000a) 및 제2 커버패널(1000b)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마감패널(2000)은, 제1 커버패널(1000a)의 수용부(100a)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체결부(200a)가 일측에 마련되고, 제2 커버패널(2000b)의 수용부(100b)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제2 체결부가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마련됨으로써, 제1 커버패널(1000a) 및 제2 커버패널(1000b) 사이에 조립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맞물려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턱(110)와 걸림턱(210)을 포함하는 수용부(100) 및 체결부(200)를 통해 커버패널(1000)과 마감패널(2000)은 별도의 나사 또는 볼트 등과 같은 부자재 없이도 간단한 조립만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은 커버패널(1000)과 마감패널(2000)의 상호 조립은 도면을 통해 도시되고 전술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캐링채널(C)에 고정된 커버패널(1000)에 마감패널(2000)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데, 이는 수용부(100)의 지지턱(110)과 체결부(200)의 걸림턱(210)에 의해 마련되는 스페어갭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어갭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0)의 1차 내지 3차 절곡과정을 통해 형성된 지지턱(210)은 1차 절곡면(110a)과 3차 절곡면(110c) 사이를 잇는 2차 절곡면(110b)이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절곡면(110a)과 3차 절곡면(110c)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며, 이때 1차 절곡면(110a)과 3차 절곡면(110c) 사이의 간격을 제1 스페어갭(G1)이라 지칭하겠다.
한편, 체결부(200) 역시 수용부(100)와 마찬가지로 걸림턱(210)의 1차 절곡면(210a)과 3차 절곡면(210c) 사이를 잇는 2차 절곡면(210b)이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마련됨으로써, 제2 스페어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스페어갭(G1) 및 제2 스페어갭(G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패널(1000)과 마감패널(2000)의 조립 과정에서 마감패널(2000)이 커버패널(1000)에 가고정 상태로 유동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마감패널(2000)의 체결부(200)는 커버패널(1000)의 수용부(100)에 순차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이때, 서로 끼워 맞춰지는 수용부(100) 및 체결부(200)에 의해 걸림턱(210)이 지지턱(110)에 맞물려 질 때, 지지턱(110)의 3차 절곡면(110c)과 접촉하는 걸림턱(210)의 2차 절곡면(210b)의 내측면에 완충부재(220)가 마련됨으로써, 커버패널(1000) 및 마감패널(2000)의 조립 시 사용자의 실수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턱(110)과 걸림턱(210)의 접촉면에 발생할 수 있는 마모나 부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 (100)의 지지턱(110)에는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1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00)의 걸림턱(210)에는 앞서의 지지턱(110)의 체결돌기(112)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212)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감패널(2000)이 커버패널(1000)에 조립될 때, 체결돌기(112)가 체결공(212)에 삽입됨으로써, 나사 및 볼트 등 별도의 부자재의 필요 없이도 마감패널(2000)이 커버패널(10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되어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종래 천장구조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조립식 천장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1000: 커버패널
100: 수용부
110: 지지턱
112: 체결돌기
2000: 마감패널
200: 체결부
210: 걸림턱
212: 체결공

Claims (6)

  1. 실내설비를 구비하여 천장에 설치되며, 외주를 따라 수용부가 형성되어 마련되는 커버패널; 및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기 커버패널 사이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마감패널; 을 포함하는,
    조립식 천장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천장으로부터 아래측을 향하도록 1차 절곡되어 연장된 후, 내측을 향해 상기 천장과 평행을 이루도록 2차 절곡되며, 상기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3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장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커버패널에 조립 가능하도록, 상기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1차 절곡되어 연장된 후, 내측을 향해 상기 천장과 평행을 이루도록 2차 절곡되며, 상기 천장으로부터 아래측을 향하도록 3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장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에는 상기 천장을 향해 위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패널에 상기 마감패널이 조립될 때,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커버패널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장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지지턱에 맞물려 조립될 시, 상기 지지턱과 접촉하는 상기 걸림턱의 2차 절곡된 내측면에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장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은,
    상기 천장에 기 설치된 캐링채널을 통해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천장에 배치되는 제1 커버패널 및 제 2 커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제1 커버패널의 수용부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체결부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커버패널의 수용부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제2 체결부가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 커버패널 및 상기 제2 커버패널 사이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장구조물.
KR1020150104841A 2015-07-24 2015-07-24 조립식 천장구조물 KR10170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841A KR101703982B1 (ko) 2015-07-24 2015-07-24 조립식 천장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841A KR101703982B1 (ko) 2015-07-24 2015-07-24 조립식 천장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713A true KR20170011713A (ko) 2017-02-02
KR101703982B1 KR101703982B1 (ko) 2017-02-07

Family

ID=5810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841A KR101703982B1 (ko) 2015-07-24 2015-07-24 조립식 천장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278B1 (ko) 2019-03-11 2021-04-23 김한을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102307195B1 (ko) 2019-06-12 2021-09-29 김한을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102310694B1 (ko) 2021-04-29 2021-10-08 주식회사 풍산물산 내진형 천장 구조물
KR102438010B1 (ko) 2022-02-08 2022-08-30 주식회사 풍산물산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13U (ja) * 1992-07-29 1994-02-22 コマニー株式会社 照明器具を取付けた天井補強材及びこの天井補強材を用いたユニットルーム天井
KR200400200Y1 (ko) * 2005-08-25 2005-11-02 장상철 기능성 도료가 코팅된 건축용 판넬 및 그 고정부재
KR200405166Y1 (ko) * 2005-10-24 2006-01-10 장상철 건축용 천장판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13U (ja) * 1992-07-29 1994-02-22 コマニー株式会社 照明器具を取付けた天井補強材及びこの天井補強材を用いたユニットルーム天井
KR200400200Y1 (ko) * 2005-08-25 2005-11-02 장상철 기능성 도료가 코팅된 건축용 판넬 및 그 고정부재
KR200405166Y1 (ko) * 2005-10-24 2006-01-10 장상철 건축용 천장판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982B1 (ko)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KR20120004980U (ko)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KR20150005983A (ko)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
KR20150101855A (ko) 천정 마감용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천정 마감장치
KR20170120773A (ko)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KR101278673B1 (ko) 천정 마감용 스크린 타입 루버 시공 방법 및 루버 시공 구조체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200502526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ighting and/or mechanical system
GB2490956A (en) Lighting unit with demountable lamp housing, fireproofing and removable waterproofing structure
KR101707559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20190015913A (ko) 건물의 벽체 마감재 설치용 고정 구조물
US10619349B2 (en)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lighting devices to a false ceiling
JP3557513B2 (ja) 建築用内装パネルの敷設施工構造
WO2021182112A1 (ja) 間仕切壁装置及び間仕切壁施工方法
KR20200142197A (ko)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200352245Y1 (ko) 실내 마감패널 고정구
RU2799859C1 (ru) Несущий профиль линейного щелевого диффузора скрытого типа, сменные профили для него и устройство линейного щелевого диффузора
KR101132593B1 (ko) 전기배선장치를 포함하는 전시패널 시스템
WO2023053832A1 (ja) パネル装置
WO2023054014A1 (ja) パネル装置及びこれの設置構造
KR101894281B1 (ko) 내진용 엘이디 조명등 설치구조
CN108603372B (zh) 悬挂式墙壁轨道系统
KR20200121628A (ko) 마감패널 고정 장치 및 파지 클립
KR102031114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