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197A -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197A
KR20200142197A KR1020190069110A KR20190069110A KR20200142197A KR 20200142197 A KR20200142197 A KR 20200142197A KR 1020190069110 A KR1020190069110 A KR 1020190069110A KR 20190069110 A KR20190069110 A KR 20190069110A KR 20200142197 A KR20200142197 A KR 2020014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frame
frame body
finishing material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195B1 (ko
Inventor
김한을
Original Assignee
김한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을 filed Critical 김한을
Priority to KR102019006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1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2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a closed frame around the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6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구조체의 조립에 의해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등의 구조물에 대한 마감 처리는 물론 조명장치와 소방장치를 함께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물 커버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 둘레에 장착되는 조명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단 둘레에 장착되어 조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투과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부 틀체 및 하부 틀체로 분할되어 결속클립(18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속클립의 일측은 상부 틀체에 장착된 제1고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결속클립의 타측은 하부 틀체에 장착된 제2고정편)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각형상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블록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마감재를 어셈블리 형태로 간단하게 조립함으로써 천장 또는 벽면의 구조물을 간편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고, 실내 인테리어적 장식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조명장치와 소방장치를 간편하게 함께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ASSEMBLY TYPE FINISHING BLOCK STRUCTURE FOR INTERIOR}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등의 구조물을 마감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인테리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형 구조체의 조립에 의한 마감 처리는 물론 조명장치와 소방장치를 함께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이나 벽면 등의 마감 시공시에는 각종 배선이나 덕트 등을 비롯한 기타 건축설비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기능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심미감 및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한 실내 인테리어 측면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구조물은 기존에 행거, 캐링채널 및 엠바 등과 같은 설비를 배치한 상태에 석고보드나 기타 천장 마감재를 부착하는 순서로 시공하게 되며, 이어서 배선공사를 비롯한 조명장치의 설치는 물론 스프링클러 및 화재감지기 등의 소방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마무리하게 된다.
기존의 단계별 시공방식에 있어서는 실내 천장이나 벽체 등의 마감 작업시에 시공이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전문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공사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 방식은 석고보드 등의 천장 마감재를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조명장치나 소방장치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검구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점검구를 갖추지 않는 경우에는 천장 마감재의 고정상태를 일일이 해체하고 점검한 후 다시 천장 마감재를 원상태로 복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실내 인테리어와 관련한 일부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 제0803051호에는 직물천 전,후면의 다른 패턴 및 색상이나 손쉬운 교환에 따른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벽면 마감시공을 조립식으로 간편하면서 빠르게 행할 수 있어 시공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실내 공기의 탈취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자유로운 시공과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어렵다.
또, 등록특허 제1155880호의 경우 설치가 간편한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 있어서의 인테리어용 블럭 구조물은 설치가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가 쉽게 시공할 수 없는 기술임은 물론 시공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그 외에도 상당수의 선행기술에 대한 문헌이 존재하지만, 이들 역시 다양한 분위기 연출을 기대할 수 없는 것임은 물론 별도의 조명장치를 천장에 설치해야 하고, 천장 마감 후에는 조명장치가 스크린 루바의 하단부보다 천장에 더 가깝게 설치되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빛이 가려지면서 그림자가 생겨 내부를 어둡게 만든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17-0092843호(2017.08.14 공개) - 실내 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럭 및 그 시공방법. 등록특허 제1608200호(2016.03.28 등록) - 건축물 실내 벽면 마감재. 등록특허 제1703982호(2017.02.01 등록) - 조립식 천장구조물. 등록특허 제1376822호(2014.03.14 등록) -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마감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들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겸용의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블록형 구조체의 조립에 의한 시공을 통해 천장 또는 벽면 등의 구조물을 간편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천장 측으로는 블록형 구조체의 조립만으로 조명장치와 소방장치를 함께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블록형 구조체 내에 슬라이드형 커버판을 장착함에 따라 별도의 점검구가 필요없는 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암,수형 접속소켓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 간의 전기적 통전이 가능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어 전원선만 연결하면 배선을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기공사 없이 조명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전산볼트를 이용하여 구조물 상에 고정 배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화성을 갖는 광커버재에 의해 조명장치의 간접 조명을 구현하도록 하면서 화재에 대비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에 비해 마감 시공에 따른 공사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 요소를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는, 사각형상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물 커버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 둘레에 장착되는 조명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단 둘레에 장착되어 조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투과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부 틀체 및 하부 틀체로 분할되어 결속클립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속클립의 일측은 상부 틀체에 장착된 제1고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결속클립의 타측은 하부 틀체에 장착된 제2고정편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접속소켓이 장착되어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속소켓은 콘센트 및 단자의 형태로 통전을 가능하도록 하여 베이스 프레임의 연결 조립시에 조명바 측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 가장자리 측에는 요홈 구조의 측방 끼움결합부를 형성하여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소방용 패널을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 소방용 패널에는 스프링클러와 화재감지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틀체의 하단부 및 하부 틀체의 상단부에 각각 자석이 매립되어 상호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클립형 접속부재 혹은 요철형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 얇은 고무판이나 연질 PVC 소재가 개재하여 상호 결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틀체의 하단부 및 하부 틀체의 상단부 4면에 와이어 및 와이어 고리가 거치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 틀체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광투과재의 뼈대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하부 틀체의 선단에 장착된 지지편에 의해 걸림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블록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마감재를 어셈블리 형태로 간단하게 조립함으로써 천장 또는 벽면의 구조물을 간편하게 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적 장식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블럭형 구조체로 이루어져 조명장치와 소방장치를 간편하게 함께 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커버판의 전환 배치를 통해 용이하게 점검을 행할 수 있어 별도의 점검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암,수형 접속소켓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상호 전기적 통전이 가능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고, 전원선만 연결하면 간단하게 배선을 마감할 수 있어 별도의 전기공사 없이 조명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산볼트를 이용하여 구조물 상에 간편하게 고정 배치할 수 있고, 내화성을 갖는 광투과재를 이용하여 간접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화재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을 상,하부 틀체로 분할 구성하여 자석 및 결속클립을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마감 시공에 따른 공사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마감재를 저면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마감재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마감재를 구성하는 LED 장착클립 및 LED 조명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스프링클러와 화재감지기를 갖는 소방용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마감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마감재 및 소방용 패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마감재의 결속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도 8b는 베이스 프레임이 분할 구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베이스 프레임이 분할 구성된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도 10b는 베이스 프레임이 분할 구성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a, 도 11b는 광투과재가 지지편에 의해 유지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베이스 프레임이 접속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마감재를 연결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14는 마감재를 천장에 연결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15는 마감재를 벽면에 연결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구조물 커버판(120), 조명바(130), 광투과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사각형상의 구조체로 구비되어 마감재(100)의 기본적인 틀을 형성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면과 측면을 갖는 단면 구조의 절곡형 구조틀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접속소켓(101,102)이 장착된다. 이 접속소켓(101,102)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대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대응하는 숫형과 암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을 서로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을 연결 조립하여 천장이나 벽면 등의 구조물을 마감하기 위한 베이스 틀부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소켓(101,102)은 상호 대응하는 구조의 암,수형으로 구비하되, 암형 구조의 콘센트와 숫형 구조의 단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상호 결합에 의한 전기적인 통전이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10) 간을 연결 조립할 때 조명장치인 조명바(130) 측의 광원(132)으로 동작전원을 공급 가능한 형태로 된다.
상기 접속소켓(101,102)은 베이스 프레임(110) 측의 연결 조립에 따른 간격 배치상태에 따라 길이가 길거나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면에 레일홈(111)이 형성되어 너트부재(104)가 일체로 결합된 전산볼트(103)를 레일홈(111)에 삽입 배치하여 슬라이딩에 의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의 레일홈(111)에 끼워진 전산볼트(103)를 구조물에 체결 고정되어 있는 앵커의 하측에 전산볼트(103)가 위치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위치 조정을 행한 후 앵커 측에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프레임(110)을 천장이나 벽면의 구조물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산볼트(103)는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서 위치를 조정하여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커버판(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하여 배치하되, 2장을 상하로 위치하여 각각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천장 또는 벽면의 구조물을 커버하여 구조물이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물 커버판(12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면 내측부 둘레에 요홈 형태의 2층 구조를 갖는 커버판 끼움결합부(112)를 구비하여 2장의 구조물 커버판(120)을 상하로 끼워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조물 커버판(120)은 베이스 프레임(110) 측의 커버판 끼움결합부(112)에 상하로 위치하되, 상대방향으로 편심 위치시켜 천장이나 벽면 구조물을 커버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물 커버판(120)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서 2장의 구조물 커버판(120) 각각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폐쇄 구조를 갖게 하여 천장이나 벽면의 구조물을 커버하는 형태를 갖게 하면서 설치 기구물인 조명장치나 소방장치 등의 점검이 요구되는 경우 2장의 상하 구조물 커버판(120)의 위치를 일측 방향에서 중첩시킴에 의해 개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점검구를 형성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마감재 자체에서 개폐가 가능함으로써 기존에서와 같이 별도의 점검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조명바(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면 둘레에 고정 장착됨과 동시에 광원(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조명바(130)는 일자형 구조의 막대형 바(131)에 광원(132)으로서의 LED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한 LED 구조체로 구성한다. 상기 광원(132)으로 사용되는 LED는 직광형이 바람직하며, 때로는 광을 제어하여 조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광학계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바(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탄성구조를 갖는 고정클립(160)을 장착하여 배치한 후 이 고정클립(160)에 조명바(130)를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간단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바(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연결 조립시 필요에 따라 전기배선을 조정함으로써 광원(132)에 대하여 전부를 ON/OFF 처리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ON/OFF 처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바(130)는 광원(132)으로 사용되는 LED에 대해 색상 LED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광투과재(14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을 커버함과 더불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조명바(13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단 둘레에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투과재(14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장착된 조명바(130) 측의 광원(132)에서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조명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상기 광투과재(140)는 조명 투과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화재를 방지하도록 방염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투과재(140)는 방염천으로 구비하되, 이 방염천의 테두리에 뼈대(141)를 끼워넣은 후 봉제하여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방염천의 테두리에 뼈대(141)를 덧댄 후 융착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뼈대(141)를 테두리에 일체로 갖는 방염천으로 이루어지는 광투과재(140)는 뼈대를 갖는 방염천의 테두리 부위를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110) 측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단 둘레에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끼움홈부(113)를 형성하고, 이 끼움홈부(113)에 뼈대를 갖는 방염천의 테두리 부위를 삽입하여 끼워넣음으로써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투과재(14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단에 형성하는 끼움홈부(113)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재(140)에는 뼈대(141)를 갖는 방염천의 테두리 부위 일측에 위치하여 일체로 배치되는 손잡이부(142)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손잡이부(142)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에 광투과재(140)의 뼈대(141)를 갖는 테두리가 결합되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광투과재(140)의 손잡이부(142)를 당겨냄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10)으로부터 광투과재(140)의 고정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켜 분리해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투과재(140)는 방염천에 대해 방염파라폼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흡음재로서 역할을 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의 사이에 소방용 패널(150)을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단 가장자리 측에 요홈 구조의 측방 끼움결합부(114)를 형성하고, 양측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의 사이에서 측방 끼움결합부(114)에 삽입 끼움하는 형태로 간단하게 고정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소방용 패널(150)에는 화재시 물을 분사하기 위한 스프링클러(151)와 불꽃에 의한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하기 위한 화재감지기(152)를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방용 패널(150)은 베이스 프레임(110) 간의 사이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 장착한 다음에 소방배관 측과 스프링클러(151)를 연결하고, 화재감지기(152) 측과 전기배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한다.
여기에서, 상기 소방용 패널(150)은 벽면 구조물보다는 천장 구조물에 더욱 유용한 구성이라 할 것이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장착된 접속소켓(101,102)에 의해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예로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을 분할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 선단부를 요홈 구조의 상부 틀체(115) 및 하부 틀체(116)로 분할 형성하여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틀체(116)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117)을 이용하여 광투과재(140)의 뼈대(141)를 먼저 조립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틀체(115)에 간단하게 조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광투과재(140)를 곧 바로 베이스 프레임(110)에 조립하는 과정에 비해 광투과재(140)를 하부 틀체(116)에 먼저 조립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에 간편하게 끼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판(120)이 중량적으로 무거울 경우나 반사광을 줄여야 할 경우 커버판(120)을 제거한 상태에서 광투과재(140)와 유사한 소재나 원단으로 제작된 뒤면마감재(170)를 조립시킴으로써 중량이나 반사광을 줄일 수 있으며, 색상 소재의 뒤면마감재(170)를 사용하여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뒤면마감재(170)의 가장자리에 끼움부(171)를 형성하여 광투과재(140)와 마찬가지로 홈에 간편히 끼워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별도의 점검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제거한 후에도 재 부착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틀체(115) 및 하부 틀체(116)는 결속클립(180)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클립(180)의 일측은 상부 틀체(115)에 장착된 제1고정핀(181a)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결속클립(180)의 타측은 하부 틀체(116)에 장착된 제2고정편(181b)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틀체(115)의 하단부 및 하부 틀체(116)의 상단부에 각각 자석(182a,182b)을 매립하여 상호 자력에 의해 상부 틀체(115)와 하부 틀체(116)의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때 상,하부 틀체(15,16) 사이에 얇은 고무판(183)이나 연질 PVC 소재를 개재하여 광원(132)으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 틀체(115,116)의 경우, 소정 길이의 와이어(W)를 이용하여 1면이 분리되어도 하부틀체(116)가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하부 틀체(116)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117)으로 광투과재(140)의 뼈대(141)를 조립시킨 상태에서 하부 틀체(116)의 선단에 탄력있게 장착된 지지편(185)을 이용하여 걸림 유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예에서는 상부 틀체(115) 및 하부 틀체(116)의 사이에 각각 자석(182a,182b)을 매립하여 상호 자력에 의해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틀체(115)의 하단부 및 하부 틀체(116)의 상단부에 똑딱단추 등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클립형 접속부재(184a,184b) 혹은 요철형 접속부재(186a,186b)를 장착하여 상호 결속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결속클립(180)이나 지지편(185), 접속부재 등의 경우에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기구물을 적절히 응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테리어 마감재(100)를 통해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겸용의 실내 인테리어 마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의한 블록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마감재(100)를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천장 또는 벽면의 구조물을 마감할 수 있고 실내 인테리어적 장식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셈블리형 마감재를 조립하여 연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조명장치와 소방장치를 함께 시공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별도의 점검구가 필요없는 형태로 시공하면서도 점검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간단한 전환 배치가 가능한 조립식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마감재 101,102: 접속소켓
103: 전산볼트 104: 너트부재
110: 베이스 프레임 111: 레일홈
112: 커버판 끼움결합부 113: 끼움홈부
114: 소방패널 끼움결합부 115: 상부 틀체
116: 하부 틀체 117: 삽입홈
120: 구조물 커버판 130: 조명바
131: 막대형 바 132: 광원
140: 광투과재 141: 뼈대
142: 손잡이부 150: 소방용 패널
151: 스프링클러 152: 화재감지기
160: 고정클립 170: 뒤면마감재
171: 끼움부 180: 결속클립
181a,181b: 고정핀 182a,182b: 자석
183: 고무판 184a,184b: 클립형 접속부재
185: 지지편 186a,186b: 요철형 접속부재

Claims (7)

  1. 사각형상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물 커버판(1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 둘레에 장착되는 조명바(13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단 둘레에 장착되어 조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투과재(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부 틀체(115) 및 하부 틀체(116)로 분할되어 결속클립(18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속클립(180)의 일측은 상부 틀체에 장착된 제1고정핀(181a)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결속클립(180)의 타측은 하부 틀체에 장착된 제2고정편(181b)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면에 접속소켓(101,102)이 장착되어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속소켓(101,102)은 콘센트 및 단자의 형태로 통전을 가능하도록 하여 베이스 프레임의 연결 조립시에 조명바(130) 측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단 가장자리 측에는 요홈 구조의 측방 끼움결합부(114)를 형성하여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소방용 패널(150)을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 소방용 패널에는 스프링클러(151)와 화재감지기(15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인테리어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체(115)의 하단부 및 하부 틀체(116)의 상단부에 각각 자석(182a,182b)이 매립되어 상호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얇은 고무판(183)이나 연질 PVC 소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체(115)의 하단부 및 하부 틀체(116)의 상단부에 각각 클립형 접속부재(184a,184b)나 요철형 접속부재(186a,186b)가 장착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얇은 고무판(183)이나 연질 PVC 소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체(115)의 하단부 및 하부 틀체(116)의 상단부 4면에 와이어(W) 및 와이어 고리가 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틀체(116)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117)으로 광투과재(140)의 뼈대(141)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하부 틀체의 선단에 장착된 지지편(185)에 의해 걸림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1020190069110A 2019-06-12 2019-06-12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10230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10A KR102307195B1 (ko) 2019-06-12 2019-06-12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10A KR102307195B1 (ko) 2019-06-12 2019-06-12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197A true KR20200142197A (ko) 2020-12-22
KR102307195B1 KR102307195B1 (ko) 2021-09-29

Family

ID=7408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10A KR102307195B1 (ko) 2019-06-12 2019-06-12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1102704U1 (de) 2020-10-29 2021-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flexibler Anzeige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386A1 (ja) * 2007-12-06 2009-06-11 Konica Minolta Holkings, Inc. 照明ユニットパネル
KR100980264B1 (ko) * 2010-04-19 2010-09-06 고충훈 조명장치의 시트박스 개폐구조
KR20110136426A (ko) * 2010-06-15 2011-12-21 서울메트로 미닫이 천정판 구조
CN202580989U (zh) * 2012-05-21 2012-12-05 广州嘉庆电子有限公司 一种平板灯
KR101376822B1 (ko) 2012-12-19 2014-03-20 김진호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마감재
KR20140082548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019709A (ko) * 2013-08-14 2015-02-25 (주)대성엘이디 엘이디 조명기구
KR101608200B1 (ko) 2015-11-10 2016-04-11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물 실내 벽면 마감재
KR101703982B1 (ko) 2015-07-24 2017-02-07 송우용 조립식 천장구조물
KR20170092843A (ko) 2016-02-04 2017-08-14 성진용 실내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930326B1 (ko) * 2018-04-02 2018-12-19 기민전자주식회사 세이프티 가이드가 장착된 낙하 방지 안전 주거조명등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386A1 (ja) * 2007-12-06 2009-06-11 Konica Minolta Holkings, Inc. 照明ユニットパネル
KR100980264B1 (ko) * 2010-04-19 2010-09-06 고충훈 조명장치의 시트박스 개폐구조
KR20110136426A (ko) * 2010-06-15 2011-12-21 서울메트로 미닫이 천정판 구조
CN202580989U (zh) * 2012-05-21 2012-12-05 广州嘉庆电子有限公司 一种平板灯
KR101376822B1 (ko) 2012-12-19 2014-03-20 김진호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마감재
KR20140082548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019709A (ko) * 2013-08-14 2015-02-25 (주)대성엘이디 엘이디 조명기구
KR101703982B1 (ko) 2015-07-24 2017-02-07 송우용 조립식 천장구조물
KR101608200B1 (ko) 2015-11-10 2016-04-11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물 실내 벽면 마감재
KR20170092843A (ko) 2016-02-04 2017-08-14 성진용 실내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930326B1 (ko) * 2018-04-02 2018-12-19 기민전자주식회사 세이프티 가이드가 장착된 낙하 방지 안전 주거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1102704U1 (de) 2020-10-29 2021-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flexibler Anzei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195B1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6004B (zh) 用于环境照明的踢脚板照明器
WO2013149679A1 (en) Structural member of suspended ceiling and suspended ceiling containing such member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KR102244278B1 (ko)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20200142197A (ko)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US3094285A (en) Ceiling illuminating system
US3636340A (en) Air-handling ceiling channel structure
JP6032477B2 (ja) 天井システム
KR20230053366A (ko) 실내 천장 마감재
KR100573574B1 (ko) 직,간접 형광등기구
CN110499860A (zh) 一种天花吊顶水电分离系统
KR200405952Y1 (ko)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KR102465739B1 (ko)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US20230097409A1 (en) Wire distributor-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JP7286911B2 (ja) 照明装置および建築物を建設する方法
JPH05171732A (ja) システム天井
USRE25628E (en) Ceiling illuminating system
JPH04161639A (ja) 天井枠の構造
JP2017179908A (ja) 設備パネル及び間仕切りシステム
KR20230170204A (ko) 환기구를 겸한 원터치 설치용 등기구
JPH05182508A (ja) 天井に於ける照明装置
JPH0735224Y2 (ja) ユニットバスルームの照明構造
KR101553197B1 (ko) 각도 조절 가능한 천장 마감재의 설치 구조
JP2020107599A (ja) 灯具の取付方法、灯具、および建築物を建設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