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533A -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533A
KR20170011533A KR1020150104303A KR20150104303A KR20170011533A KR 20170011533 A KR20170011533 A KR 20170011533A KR 1020150104303 A KR1020150104303 A KR 1020150104303A KR 20150104303 A KR20150104303 A KR 20150104303A KR 20170011533 A KR20170011533 A KR 20170011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emperature
thermoelectric element
region
targ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정상
이정엄
홍기범
주시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533A/ko
Publication of KR2017001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의 표면 온도를 목표 온도로 변경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INPUT DEVICE FOR VEHICLE, VEHICLE INCLUDING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는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승객에 편의증진을 위하여,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장치가 마련되고 있다. 다양한 편의 기능이 제공되므로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나, 각종 편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하가 증가한다. 조작 부하의 증가는 운전자의 집중도를 저하시켜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최근 차량에는 터치 인터페이스가 마련되고 있다. 사용자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잡하고 다양한 편의 장치를 더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터치 인터페이스로의 운전자 시선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른 차량용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터치 영역;과 터치 영역의 표면 온도를 목표 온도로 변경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른 차량은 열전 소자에 의해 터치 영역의 온도가 변경되는 입력 장치;와 터치 영역이 차량 실내 온도와 다른 온도를 가지도록 열전 소자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터치 영역의 입력으로 실행될 기능에 따라 터치 영역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터치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수렴하도록 열전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터치 영역의 온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영역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온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온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모듈", "유닛" 등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300)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을 포함한다.
차체(10)는 엔진 등과 같이 차량(1)에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프런트 휀더(11d)와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의 측면에는 차체와 흰지 결합된 복수 개의 도어(15)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9a)가 마련되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9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15,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16,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6)의 점멸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램프(17)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램프(17)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 내부에는 승객이 착석하기 위한 복수 개의 좌석(S1, S2)이 마련되고, 좌석(S1, S2)의 정면에는 운전에 필요한 각종 계기들이 마련되는 대시보드(50)가 위치한다.
대시보드(50)에는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40)이 마련된다. 스티어링 휠(40)은 조향을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41)과 림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을 연결하는 스포크(42)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스티어링 휠(40)에는 편의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50)는 차량(1)의 주행 상태와 각 구성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계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계기판의 위치는 그 제한이 없으나, 운전자의 시인성을 고려하여 스티어링 휠(40)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대시보드(50)는 디스플레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대시보드(50)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으나, 대시보드(5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400)는 차량(1)의 구동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1)에 마련된 각종 편의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400)는 사용자가 차량(1)의 각종 편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술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4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패널 등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인식 수단이 더 포함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가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00)를 터치하여 각종 편의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대시보드(50) 중앙에는 차량(1)에 마련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센터페시아(30)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와 암레스트(60) 사이에는 센터 콘솔(70)이 마련된다. 센터 콘솔(70)에는 차량(1)의 기어를 조작하기 위한 기어장치(71)와 차량(1)의 각종 편의시설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장치(20)가 마련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400),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입력장치(20), 차량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입력장치(2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면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차량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장치(20)의 온도는 차량의 실내 온도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입력장치(20)의 온도를 주변과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촉감을 통해 터치 입력장치(20)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 입력장치(20)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2)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전 소자(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2)는 터치 입력장치(20)의 온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22)는 터치 입력장치(2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22)의 센싱 값은 이하에서 설명할 프로세서(300)로 전달될 수 있다.
온도 센서(22)는 터치 입력장치(20)의 하우징 내측, 구체적으로는 터치 영역(21)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온도 센서(2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 센서(22)는 비접촉식 온도 센서(22) 또는 접촉식 온도 센서(22)로 구현되어, 터치 입력장치(20)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표면 온도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2)는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측온 저항체 온도 센서, 온도 변화에 따른 반도체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서미스터 온도 센서, 재질이 다른 두 가지 종류의 금속선의 접합점 양단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면 열전대 온도 센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트렌지스터의 양단전압 또는 P-N 접합부의 전류전압 특성을 이용하는 IC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열전 소자(23)는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의 변환을 수행하는 소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열전 소자(23)는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열 또는 흡열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열전 소자(23)는 두 개의 도체가 결합된 펠티에 소자(Peltier Effec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펠티에 소자는 전류가 공급되면 소자 한쪽 면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한쪽 면은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소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펠티에 소자의 흡열과 발열은 펠티에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펠티에 소자에 의해 발열 또는 흡열되는 열 에너지의 크기는 펠티에 소자에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펠티에 소자에 의해 발열 또는 흡열되는 열 에너지의 크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의해 전류의 듀티를 가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열전 소자(23)의 발열 또는 흡열에 의해 터치 입력장치(20)의 온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열전 소자(23)가 발열 동작을 수행하면 열전 소자(23)에 의해 터치 영역(21)의 온도가 차량의 실내보다 높아지고, 열전 소자(23)가 흡열 동작을 수행하면 열전 소자(23)에 의해 터치 영역(21)의 온도가 차량의 실내보다 낮아진다.
열전 소자(23)에 의해 생성되는 열 에너지는 전도, 대류, 복사 등의 방법으로 터치 영역(21)에 전달될 수 있으며, 터치 영역(21)은 열전 소자(23)에 의해 생성되는 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그래핀,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영역(21)의 온도를 터치 입력장치(20) 주위의 온도와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영역(21)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터치 영역(21)의 온도가 주변의 온도와 다르므로,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20)로의 시선 분산 없이 터치 영역(21)에 접근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차량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300)는 다수개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300)에서 실행될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CPU 또는 GPU와 같은 범용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차량(1)에 마련된 편의 장치, 예를 들어, 라디오, 음악,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장치의 조작을 위해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터치 입력장치(20)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각 기능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터치 입력장치(20)를 통해 입력된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거나, 인식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00)는 플리킹(Flicking), 스와이핑(Swiping), 및 탭(Tap) 등과 같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는 싱글 제스처뿐만 아니라, 핀치-인(Pinch-In), 핀치-아웃(Pinch-Out)등과 같은 여러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는 멀티 제스처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은 터치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터치 좌표를 이동 후 터치를 해제하는 입력을, 탭은 두드리는 입력을, 핀치-인은 터치된 손가락을 오므리는 입력을, 핀치-아웃은 터치된 손가락을 벌리는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열전 소자(23)를 제어하여 터치 입력장치(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입력장치(20)가 도달해야 할 온도를 목표 온도로 정의한다.
목표 온도는 터치 입력장치(20)의 주변 온도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온도는 터치 입력장치(20)의 주변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거나, 터치 입력장치(20)의 주변 온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목표 온도는 터치 입력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될 기능 또는 차량의 상태 변화에 따라 재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온도를 통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차량 내부의 공조 온도가 변경되면, 변경된 공조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온도는 터치 입력장치(20)의 터치 영역(21)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터치 영역(21)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터치 제스처가 어느 터치 영역(21)에서 입력되는지에 따라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영역(21) 별로 다른 기능이 맵핑된 경우에는 각 영역 별로 목표 온도가 다르게 설정되어 사용자에게 어느 영역을 터치하고 있는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의 목표 온도 설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앞서, 요입된 터치 영역(21)이 마련된 터치 입력장치(20)의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20a)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영역(21)이 형성된 터치부(110)와, 터치부(110)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120)를 포함한다.
터치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 받고, 입력된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손가락 및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부(110)는 터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식 기술(capacitive technology), 저항식 기술(resistive), 적외선 기술(infrared technology) 및 표면 음파 기술(surface acoustic wave technology)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미 공지되었거나 추후 개발될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 터치 필름, 및 터치 시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21)에 직접적인 접촉으로 발생하는 "접촉 터치(Contact touch)"뿐만 아니라, 터치 영역(21)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의 터치 영역(21)은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오목한 곡면 영역을 형성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촉감으로 원형 터치부(110)의 터치 영역(21)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는 테두리부(120)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부(110)의 터치 영역(21)은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에서부터 아래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거나, 테두리부(120)의 경계선과 단차를 두고 위치하여, 테두리부(120)의 경계선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부(110)의 터치 영역(21)이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영역 및 경계를 촉감에 의해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촉감을 통해 직관적으로 터치부(110)의 중앙과 외곽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정확한 위치에 터치를 입력할 수 있고, 그 결과 터치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의 터치 영역(21)은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이란 요입(凹入) 또는 함몰된 형상을 의미하며, 도 6과 같이 둥그스름하게 들어가는 형상뿐만 아니라 경사지거나 단차지도록 들어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영역(21)에서 가장 오목한 영역이 터치 영역(21)의 중심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터치부(110)의 곡면의 곡률은 터치부(110)의 부위별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의 곡률은 작고(곡률반경이 큰 것을 의미), 외곽의 곡률은 크게(곡률반경이 작은 것을 의미)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영역(21)이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 영역(21)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 영역(21)이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터치부(110)의 각 지점에서의 기울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해 느껴지는 기울기 감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터치부(110) 이외의 곳에 시선을 고정한 상태에서 터치부(11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손가락이 터치부(110)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가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터치를 입력할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감(또는 조작감)이 상승할 수 있다. 터치부(110)의 곡면은 사람이 손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핀 채로 손목을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등의 동작을 할 때 손가락 끝의 움직임이 그리는 궤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120)는 터치부(11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터치부(11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120)에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버튼(121a 내지 121e)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치 버튼(121a 내지 121e)에는 제어 명령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121a)은 홈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고, 제 5버튼(121e)은 이전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고, 제2 버튼 내지 제 4 버튼(121b 내지 121d)은 미리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부(110)를 터치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테두리부(120)에 마련되는 버튼(121)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20a)는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손목 지지수단(130)은 터치부(11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목 지지수단(130)에 손목을 지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부(110)를 터치할 때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근곤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20a)에는 열전 소자(23)가 마련될 수 있다. 열전 소자(23)는 터치 영역(21)이 마련된 터치부(110) 또는 터치부 주위의 돌출부(1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열전 소자(23)는 터치부(110)에 마련된 터치 영역(21)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 있으나, 터치 영역(21)의 일부에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열전 소자(23)는 터치 영역(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열전 소자(23)가 마련된 터치 영역(21)은 그래핀,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20a)에는 복수 개의 열전 소자(23)가 마련되어, 터치 영역(21)의 온도를 서로 다르게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영역(21)은 복수의 영역(21a, 21b)으로 가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영역(21)은 터치 영역(21)의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1 영역(21a)과 제1 영역(21a)을 둘러싼 링 형상의 제2 영역(21b)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영역(21)이 복수의 영역(21a, 21b)으로 분할되는 경우 각 터치 영역(21a, 21b)의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기 위해, 터치 영역(21a, 21b)에는 복수의 열전 소자(23a, 23b)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열전 소자(23a)는 제1 영역(21a)에 마련되고, 제2 열전 소자(2b)는 제2 영역(21b)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열전 소자(23a)와 제2 열전 소자(23b)의 온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제1 영역(21a)과 제2 영역(21b)의 표면 온도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b-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20b)는 터치 영역(21)을 형성하는 터치부(210, 220)와,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2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터치부(210, 2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20b)의 터치부(110)와 동일한 구조 또는 구성을 가진다.
터치부(210, 220)는 제1 터치부(210)와 제1 터치부(210)의 외곽을 따라 마련된 제2 터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의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가 형성하는 영역(터치 영역(21))의 직경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성인의 평균적인 손가락 길이를 고려할 때, 손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한 번에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80mm이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터치부(210, 220)의 직경이 80mm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서 원을 그리는 경우 손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고, 필요 이상으로 손목을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터치부(210, 220)의 직경이 50mm 보다 작아지는 경우 터치 영역(21)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의 다양성이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좁은 영역에서 제스처가 그려지게 되어 제스처의 입력 오류가 증가한다. 이에, 터치부(210, 220)의 직경은 50mm 내지 80mm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터치부(220)의 형상은 제1 터치부(21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부(21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2 입력부(220)는 제1 터치부(210)와 테두리부(230)사이에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터치부(220)를 따라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제2 터치부(220)는 제1 터치부(210)의 원주를 따라 마련되므로,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는 제1 터치부(210)의 중심(P)을 기준으로 원호를 그리는 롤링 제스처, 또는 제2 터치부(220)의 중심(P)을 기준으로 원을 그리는 서클링 제스처로 인식될 수 있다.
제2 터치부(220)는 눈금(221)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221)은 제2 터치부(220)를 따라 음각 또는 양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눈금(221)으로 인해 제공되는 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터치가 이루어진 거리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역시 눈금단위로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가 이루어지는 눈금(221)의 개수에 따라 디스플레이(400)에 표시되는 커서가 이동하거나, 선택되는 문자가 변경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의 오목한 정도(굽은 정도)는 터치부(210, 220)의 깊이를 직경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 값이 0.1 보다 커지는 경우, 오목한 형상의 곡률이 커지게 되어 곡면을 따라 손가락을 움직였을 때 손가락에 필요이상의 힘이 들어가게 되어 인위적인 조작감이 느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터치감이 불편해진다. 반대로,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값이 0.04 보다 작아지면 사용자가 평면에서 제스처를 그리는 것과 비교하여 조작감의 차이를 느끼기 힘들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손가락 움직임에서 손가락 끝이 그리는 곡선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값은 0.04 내지 0.1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부(220)의 경사도는 제1 터치부(210)의 경사도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터치부(220)는 제1 터치부(210)보다 더 큰 경사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터치부(220)와 제1 터치부(210)의 경사도가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는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는 하나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별도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가 하나의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에는 터치가 발생한 좌표에 따라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의 터치가 구별될 수 있다.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에는 서로 다른 기능이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치부(220)는 메뉴와 맵핑되고, 제1 터치부(210)는 선택된 메뉴의 하위 기능과 맵핑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터치부(220)를 터치하여 상위 메뉴를 선택하고, 제1 터치부(210)를 터치하여 하위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터치부(210) 또는 제2 터치부(220)에 의해 형성하는 터치 영역(21)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소자(23)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열전 소자(23)는 제2 터치부(2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2 터치부(2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터치부(220)에만 열전 소자(23)가 마련된 경우, 제2 터치부(220)는 그래핀,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열전 소자(23)는 제1 터치부(210)에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터치부는 그래핀,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열전 소자(23)는 제1 터치부(210)의 터치 영역(21)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전 소자(23)는 제1 터치부(210)의 외곽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부(210)에는 복수의 열전 소자(23)가 마련되어 제1 터치부(210)의 터치 영역(21) 별로 다른 목표 온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열전 소자(23)는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에 각각 마련되어,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의 온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의 온도가 달라지면 사용자는 촉감을 통해 제1 터치부(210)와 제2 터치부(220)를 인식할 수 있다.
테두리부(230)는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터치부(210, 22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230)에는 터치부(210, 220)를 둘러싸는 키 버튼(232a, 232b) 또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부(210, 220)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부(210, 220) 주위의 테두리부(230)에 마련되는 버튼(231, 232)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20b)는 제스처 입력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제1 터치부(210)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터치부(21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평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온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은 현재 온도를 검출한다(601). 프로세서(300)는 터치 입력장치(20)에 마련된 온도 센서(22)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온도를 검출한다.
차량은 목표 온도를 설정한다(603). 프로세서(300)는 미리 설정된 온도로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터치 입력장치(20)의 주위 온도와 다른 온도로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목표 온도를 터치 입력장치(20)를 주위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하거나, 주위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하여, 주위와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2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장치(20)의 주위 온도는 열전 소자(23)가 동작하기 이전에 터치 입력장치(20)에 마련된 온도 센서(22)에서 검출된 값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300)는 차량 외부의 온도에 따라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외부 온도가 낮은 겨울에는 비교적 높은 온도로 목표 온도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손이 많이 접촉되는 터치 입력장치(20)를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하고, 차량의 외부 온도가 높은 여름에는 비교적 낮은 온도로 목표 온도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손이 많이 접촉되는 터치 입력장치(20)를 비교적 시원하게 유지하여, 터치 입력장치(20)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300)는 터치 입력장치(20)의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 또는 차량의 설정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20)를 통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차량 내부의 공조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목표 온도는 현재의 공조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사용자에게 현재 설정된 공조 온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설정된 공조 온도가 변경되는 경우 목표 온도 역시 동적으로 재설정하여 사용자에게 변경될 공조 온도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목표 온도에 수렴하도록 열전 소자(23)를 제어한다(605). 프로세서(300)는 온도 센서(22)에 검출되는 현재 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열전 소자(23)에 인가할 전압의 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열전 소자(23)는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발열 동작을 수행하거나, 흡열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프로세서(300)는 현재 온도와 목표 온도를 비교하여 발열이 필요한지 흡열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열전 소자(23)에 인가될 전압의 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현재 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열전 소자(23)에 인가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열전 소자(23)에 인가되는 전력은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더 큰 전력이 인가되고,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더 작은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온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은 복수 영역 각각의 목표 온도를 설정한다(701). 프로세서(300)는 터치 입력장치(20)의 터치 영역(21)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때, 터치 영역(21)은 열전 소자(23)의 배치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영역(21)은 제1 열전 소자(23)가 마련된 제1 영역과 제2 열전 소자(23)가 마련된 제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각 터치 영역(21)의 목표 온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제1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제2 영역은 제2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목표 온도와 제2 목표 온도는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온도와 다른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차량의 내부 온도 23ㅀC 보다 낮은 제1 목표 온도 18ㅀC 로 설정되고, 제2 영역은 차량의 내부 온도 23ㅀC 보다 높은 제2 목표 온도 28ㅀC 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역 별로 목표 온도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터치할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명확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목표 온도는 제1 영역에 대한 터치로 실행된 기능에 따라 설정되고, 제2 목표 온도는 제2 영역에 대한 터치로 실행된 기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역의 터치로 실행될 기능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각 영역의 현재 온도를 검출한다(703). 이를 위해, 터치 입력장치(20)에는 복수의 온도 센서(2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에는 제1 온도센서가 마련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온도 센서(22)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은 각 영역이 목표 온도에 수렴하도록 열전 소자(23)를 제어한다(705).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각 터치 영역(21)의 현재 온도와 각 터치 영역(21)의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각 열전 소자(23)에 인가할 전압의 극성 및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의 목표 온도가 현재 온도 23ㅀC보다 낮은 18ㅀC로 설정되고, 제2 영역의 목표 온도가 현재 온도 23ㅀC 보다 높은 28ㅀC로 설정된 경우, 제1 흡열 소자에서는 흡열 동작이 수행되고, 제2 흡열 소자에서는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흡열 소자에 인가될 전압의 극성이 결정된다.
20: 터치 입력장치
21: 터치 영역
22: 온도 센서
23: 열전 소자
300: 프로세서
400: 디스플레이

Claims (25)

  1.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의 표면 온도를 목표 온도로 변경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차량의 실내 온도와 상이하게 설정된 목표 온도로 상기 터치 영역의 표면 온도를 변경하는 차량용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중심에 위치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차량용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의 목표 온도는 상기 제1 영역의 온도와 다른 온도로 설정되는 차량용 입력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제2 영역에 마련된 제2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의 목표 온도와 상기 제2 열전 소자의 목표 온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차량용 입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 소자의 목표 온도는 상기 제1 영역의 터치로 실행될 기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2 열전 소자의 목표 온도는 상기 제2 영역의 터치로 실행될 기능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의 목표 온도는 상기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설정의 변경에 의해 변경되는 차량용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의 목표 온도는 차량의 공조기 설정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입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내부로 요입되어 마련된 차량용 입력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열전 소자에 의해 터치 영역의 온도가 변경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터치 영역이 차량 실내 온도와 다른 온도를 가지도록 열전 소자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터치로 실행될 기능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의 온도를 결정하는 차량.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원형으로 요입되어 마련되고,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터치 영역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차량.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원형의 제1 터치 영역과 상기 제1 터치 영역의 외곽에 마련된 제2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터치 영역의 표면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열전 소자와 상기 제2 터치 영역의 표면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2열전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터치 영역의 표면 온도와 상기 제2 터치 영역의 표면 온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차량.
  19. 열전 소자에 의해 터치 영역의 온도가 변경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터치 영역의 입력으로 실행될 기능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터치 영역의 목표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로 수렴하도록 상기 열전 소자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차량.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영역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될 전압의 극성을 결정하는 차량.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영역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될 전력을 결정하는 차량.
  22. 터치 영역의 온도를 변경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의 입력으로 실행될 기능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영역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로 수렴하도록 상기 열전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와 다른 온도로 설정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될 전압의 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의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소자에 인가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50104303A 2015-07-23 2015-07-23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1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03A KR20170011533A (ko) 2015-07-23 2015-07-23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03A KR20170011533A (ko) 2015-07-23 2015-07-23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533A true KR20170011533A (ko) 2017-02-02

Family

ID=5815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303A KR20170011533A (ko) 2015-07-23 2015-07-23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5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887A (ko) * 2017-09-13 2019-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중앙 집중키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70914B1 (ko) * 2020-12-18 2022-03-08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23124489A1 (zh) * 2021-12-27 2023-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边框的控制方法、终端、计算机可读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887A (ko) * 2017-09-13 2019-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중앙 집중키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70914B1 (ko) * 2020-12-18 2022-03-08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23124489A1 (zh) * 2021-12-27 2023-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边框的控制方法、终端、计算机可读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205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 display device
KR10157565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133357B2 (en)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gesture recognition
US9701201B2 (en)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7193398B (zh) 触摸输入设备及包括该触摸输入设备的交通工具
US9811200B2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uch input device
US9665269B2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0126938B2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0268675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vehicle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7002918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9659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1533A (ko) 차량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37064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06741452U (zh) 一种车载触摸显示装置和车辆
Meschtscherjakov The steering wheel: A design space exploration
US20180081452A1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8241450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10437465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7012448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25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1020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EP3125099B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20181279A (ja) 車両用メニュー表示制御装置、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gui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