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744A - 클래스프-러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래스프-러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744A
KR20170010744A KR1020167022209A KR20167022209A KR20170010744A KR 20170010744 A KR20170010744 A KR 20170010744A KR 1020167022209 A KR1020167022209 A KR 1020167022209A KR 20167022209 A KR20167022209 A KR 20167022209A KR 20170010744 A KR20170010744 A KR 20170010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component
lever
gate mechanism
lif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맥스웰 씨. 시몬스
로버트 제이. 시몬스
Original Assignee
콘스테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스테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콘스테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1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5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 situ prefabricated building elements to be tilted up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들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스템은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 및 클래스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래스프는 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래스프는 게이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은 클래스프가 리프팅 기계장치에 의해 지지될 때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본체에 대해 (a)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하지 않을 때 러그를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해 주는 개방 위치와 (b)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할 때에는 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닫힌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래스프-러그 시스템{CLASP-AND-LUG SYSTEM}
본 특허출원은 2014년 1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번호 61/926,815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는데, 상기 미국 특허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통합된다.
본 특허출원은 2014년 7월 31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공보번호 US2014/0208666 A1를 참조하여 기술되며, 상기 미국 특허출원도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통합된다.
건설 현장에서, 종종, 수직 칼럼(vertical column)과 수평 빔(horizontal beam)으로 형성된 대형 골조(large framework)가 발견된다. 이러한 골조들은 종종 금속, 가령, 스틸(steel)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빌딩(building)의 내측 지지부(internal support)를 제공할 수 있거나, 혹은 추가된 벽(added wall)이 없을 때, 가령, 파이프(pipe) 또는 그 외의 다른 구조물의 길이를 지지하고 올리기(elevate) 위하여, 개방 지지부(open support)로서 기능할 수 있다.
골조는, 개별의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structural frame component)를 집어서(picking) 성장 골조(growing framework)에 이동시키고,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자리에 결부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constructed). 예를 들어, 각각의 구성요소는, 지면(ground)에 있는 작업자(worker)에 의해 크레인(crane)에 연결될 수 있으며, 크레인의 작동에 의해 여러 위치들로 이동될 수 있고, 그 뒤, 구성요소가 결부될 때 크레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를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크레인에 연결하고, 그 뒤, 배열 후에는, 크레인으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시키는 작업은 시간이 많이 소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요소, 가령, 건설 현장에 있는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보다 향상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리프팅 기계장치(lifting machinery)로 구성요소(component)들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스템은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lug), 및 클래스프(clasp)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래스프는 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bod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래스프는 게이트 메커니즘(gate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은 클래스프가 리프팅 기계장치에 의해 지지될 때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본체에 대해 (a)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하지 않을 때 러그를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해 주는 개방 위치와 (b)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할 때에는 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닫힌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라, 골조의 제작 동안, 구성요소, 가령,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고, 러그와 짝을 이룬 클래스프를 통해 리프팅 기계장치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칼럼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클래스프-러그 시스템의 단편도.
도 2는 서로에 대한 클래스프 및 러그의 횡단 운동(transverse motion)에 의해 서로 짝을 이루도록 배열된 도 1의 클래스프 및 러그의 등축도.
도 3은 도 2의 클래스프의 등축 분해도.
도 4-7은 도 1의 클래스프-러그 시스템의 일련의 대표적인 형상의 단편 측면도로서,
(a) 클래스프와 러그가 서로 짝을 이루면서, 칼럼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고 리프팅 힘(lifting force)이 클래스프의 게이트 메커니즘(gate mechanism)에 제공되기 전에 형성되며(도 4),
(b) 리프팅 기계장치를 가진 클래스프의 게이트 메커니즘에 리프팅 힘이 제공될 때, 게이트 메커니즘은 올라가기 시작되기 전에 러그-캡쳐 위치로 이동되고(도 5),
(c) 칼럼이 직립(수직) 위치로 올라가고, 인장력은 리프팅 기계장치를 가진 게이트 메커니즘에 여전히 제공되어, 게이트 메커니즘은 러그-캡쳐 위치에 유지되며(도 6),
(d) 칼럼이 수직 위치에 있을 때 클래스프의 게이트 메커니즘에서 인장력을 릴리스한 후에, 중력이 작용되어 게이트 메커니즘이 러그-릴리스 위치로 복귀된다(도 7).
도 8은 도 6의 라인 8-8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라, 도 1의 칼럼을 또 다른 칼럼에 배치하여, 상부에 놓인 칼럼의 하측 단부에서 리시버가 하부에 놓인 칼럼의 상측 단부에 고정된 러그를 수용하도록 사용되는 도 1의 클래스프-러그 시스템의 단편 등축도.
도 10은, 상부에 높인 칼럼의 하측 단부에서 리시버에 러그를 배치한 후에, 도 9의 라인 10-10을 따라 절단한 도 9의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라, 도 1의 칼럼을 지면-지지된 받침대에 배치하여, 칼럼의 하측 단부에서 리시버가 받침대의 상측 단부에 고정된 러그를 수용하도록 사용되는 도 1의 클래스프-러그 시스템의 단편 등축도이다.
본 발명은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들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스템은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 및 클래스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래스프는 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래스프는 게이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은 클래스프가 리프팅 기계장치에 의해 지지될 때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본체에 대해 (a)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하지 않을 때 러그를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해 주는 개방 위치와 (b)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할 때에는 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닫힌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기계식 피킹(mechanical picking) 및 이동 분야에 관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스템은, 제공된 인장력(tension)을 사용하여 캡쳐-프로파일 러그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공된 인장력을 제거하여 러그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나면, 러그를 릴리스할 수 있는 필요성을 충족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러그는 정렬(alignment) 및/또는 장착(mounting)을 제공하는 리시버와 짝을 이룰 수 있다(mated).
본 시스템의 클래스프는 (1) 러그-수용 구조(lug-receiving structure) 및 (2) 리프팅 기계장치-결부식 러그-캡쳐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러그-수용 구조 및 러그-캡쳐 메커니즘은 러그-캡쳐 메커니즘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령, 러그-수용 구조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operatively connected). 사용자-선택된 러그가 러그-수용 구조에 의해 수용되고 나면, 러그를 제자리에 캡쳐하기 위해, 가령, 붙들거나 및/또는 고정하기 위해 힘(인장력 및/또는 토크)이 리프팅 기계장치를 거쳐 러그-캡쳐 메커니즘에 제공된다. 러그가 캡쳐되면, 사용자는 결부된 리프팅 기계장치를 작동시켜, 러그가 수평 위치에서 시작하여, 러그 및 러그가 결부되는 임의의 구성요소를 예를 들어,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고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러그-수용 구조는 전구형 러그를 수용하도록 형태가 구성된 입구부(entry side)를 가진다. 러그-수용 구조는 수용 영역의 중심을 향해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립(lip) 또는 선반(shelf)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 수용 영역을 가진다. 립 또는 선반은 러그의 직경이 작은 영역에서 러그의 상측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립 또는 선반은 전구형 러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수용 영역은 입구 및 내측 단부들을 가지며, 이 단부들 사이에서, 수용 영역은 러그의 한 부분의 형태로 형성된 배치 영역(seating region)을 형성한다. 상기 배치 영역은, 수용 영역이 지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고정되면, 러그의 임의의 가로 운동(lateral movement)을 제한할 수 있다.
기계장치-결부식 러그-고정 메커니즘은 회전식 레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인장력-작동식(tension-operated) 레버로서 기술될 것이다. 상기 레버는 두 단부를 가질 수 있는데, 각각의 단부는 각각의 단부에서 원-형태의 홀(hole)로 둥글게 구성된다. 레버의 한 단부는 레버의 홀을 통해 샤프트를 삽입하고 상기 레버를 일련의 와셔(washer) 및 스페이서(spacer)로 고정시킴으로써 러그-수용 구조에 결부될 수 있으며, 일단 결부되고 나면, 레버는 러그-수용 영역과 똑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레버에 제공된 힘(또는 힘 없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이, 러그-수용 구조에 대한 각도에 따라, 러그를 제자리에 고정시키거나 혹은 러그가 러그-수용 구조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한다.
클래스프의 러그-수용 구조에 결부된 레버의 단부는 상이한 반경 길이(radius length)를 가진 둥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인장력이 제공되면, 레버는 레버의 커다란 반경 길이가 러그가 러그-수용 구조의 입구부를 향해 이동되는 차단하도록(block) 배열된다. 이와 반대로, 인장력이 릴리스되면, 레버는 레버의 단부의 작은 반경 길이가 러그가 러그-수용 구조의 입구를 향해 이동되어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도록 재배열된다(reoriented).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다란(elongate) 구조 칼럼(structural column)을 수평 배열로부터 수직 배열로, 들어올리고 조절하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골조(또는, 프레임으로도 지칭됨)의 제작 동안, 프레임 구성요소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요소, 가령,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대표적인 클래스프-러그 시스템(50)을 도시한다. 여기서,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는 제작된 골조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칼럼(52)이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는 투영 골조(prospective framework)의 그 밖의 임의의 구조 구성요소, 가령, 지면 지지부(ground support) 또는 받침대, 빔, 트러스, 2개 또는 그 이상의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예컨대, 가령, 2개 또는 그 이상의 칼럼)의 사전-제작 조립체, 또는 풀 프레임(full frame)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클래스프는, "스틱 빌딩(stick building)"에서 즉 골조를 서서히 제작할 때, 개별 구성요소(가령, 칼럼)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는 벽을 가진 빌딩을 위해 내측 지지부(internal support)를 형성하는 골조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5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구성요소 또는 구조물의 피킹, 이동, 정렬, 및/또는 장착에 적합할 수 있다. 시스템(50)에 의해 기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대표적인 구성요소는 구조적인 프레임 구성요소(위에 기술된 것과 같이), 액세서리, 보관 컨테이너, 차량(예컨대, 트럭, 자동차 등), 항공기, 선박 등을 포함한다.
칼럼(52)이 러그(58)(노브(knob)를 포함할 수 있거나 및/또는 전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에 연결된 클래스프(56)를 통해 시스템(50)의 리프팅 기계장치(54)에 연결된다. 리프팅 기계장치는 클래스프(56), 러그(58), 및 이들에 연결된 구성요소(가령, 칼럼(52))를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것 외에도, 리프팅 기계장치는 연결된 구성요소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리프팅 기계장치는 3개의 서로 수직인 축(60, 62, 및 64)에 대한 구성요소의 위치배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즉 구성요소의 경사 및 지면에 따른 구성요소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리프팅 기계장치(54)는 기다란 가요성의 지지 요소, 가령, 케이블(66), 체인, 로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필요 시에 선택적으로 인장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기계장치는 케이블(66)(또는 또 다른 지지 요소)을 클래스프(56)에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링크(68, 7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기계장치는, 이동하고, 인장력을 케이블(또는 그 외의 다른 지지 요소)에 제공하거나 및/또는 클래스프에 제공되어야 하는 지지/리프팅 힘(인장력 및/또는 토크)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리프팅 기계장치는 크레인, 포크 리프트(fork lift) 등을 포함한다.
러그(58)는 칼럼(52)의 단부, 가령, 칼럼의 투영 상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그(58)는 캡 플레이트(72)에 용접될 수 있으며, 상기 캡 플레이트(72)는 칼럼의 샤프트(74)의 상측 단부에 용접되거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6)가 샤프트(74)의 투영 하측 단부에 용접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샤프트(74)는 중실(solid), 중공(hollow), 또는 채워질(filled) 수 있다(가령, 콘크리트로).
러그(58)는 장축(long axis)에 대해 동축구성되거나 및/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는 중심축(78)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칼럼(52)(및/또는 그 밖의 구성요소)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러그는 중심축(78) 주위로 회전 대칭을 가지거나 및/또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반사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적절한 대표적인 러그의 추가적인 양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통합되고 2014년 7월 31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공보번호 US2014/0208666 A1에 기술되어 있다.
클래스프(56)와 러그(58)는, 중심축(78)과 칼럼(52)이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 적어도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될 때, 서로 짝을 이룰 수 있다(예컨대, 러그가 정지 상태(stationary)를 유지하는 동안 클래스프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로, 클래스프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러그를 이동시킴으로써). 리프팅 기계장치(54)는 화살표(80)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 가령, 지면(82)에 정지된 방향으로부터 직립 배열 방향(도면부호(84)로 가상으로 표시됨)으로 칼럼(52)을 들어 올리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기계장치는 들어올려진 칼럼(또는 그 외의 다른 상부에 놓인 구성요소)를 하부에 놓인 구성요소로, 가령, 하부에 놓인 구성요소에 고정된 로그의 카피(copy)로 내리도록 작동될 수 있다(하기 내용 참조).
도 2는 짝축(mating axis)(86)(또한, 수용축(receiving axis)으로도 지칭됨)을 따라 서로에 대해 러그와 클래스프의 횡단 운동에 의해 서로 짝을 이루도록 위치된 러그(58)와 클래스프(56)를 도시한다. 짝축은 중심축(78)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배열되고, 중심축(78)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거나 또는 수직일 아닐 수도 있다.
러그(58)는 헤드(90), 넥크(neck)(92), 및 베이스(94)를 형성하기 위해 중심축(78)을 따라 직경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헤드와 베이스는 각각 넥크(92)보다 더 큰 최대 직경을 가져서, 넥크(92)가 허리부(waist)가 될 수 있다. 또한, 헤드의 최대 직경은 베이스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또는 더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베이스(94)는 러그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헤드(90), 넥크(92), 및 베이스(94)는, 각각,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헤드(90)는 구형, 원뿔형, 원통형, 또는 포물면형(paraboloid)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는 중심축(78)을 따라 결부된 구성요소(가령, 칼럼(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또는 결부된 구성요소(가령, 칼럼(52))을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구성될 수 있거나 혹은 테이퍼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넥크(92)는 중심축(78)을 따라 변경되거나 또는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넥크의 직경이 변하면, 넥크는, 예를 들어, 헤드(90)와 베이스(94)로부터 수렴 방향으로 테이퍼구성되어(taper convergently) 오목한 프로파일(concave profile)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래스프(56)는 본체(96)(또한, 러그-수용 구조로 지칭됨)와 게이트 메커니즘(98), 가령,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100)를 포함한다. 본체(96)는, 러그가 측면에서 클래스프에 장착될 때(즉 짝축(86)을 따라 러그와 클래스프의 상대 운동에 의해 클래스프에 삽입될 때), 러그의 적어도 일부분, 가령, 헤드(90) 및 적어도, 넥크(92)의 상측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공간 또는 속이 빈 공동(void)(101)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96)는 개구(104)를 형성하는 브래킷 또는 선반(102)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개구는 내측 단부의 맞은편에 있는 입구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러그(58)(가령, 러그의 넥크(92))는 입구 단부에서 개구(104)에 삽입될 수 있으며 내측 단부 가까이에 있는 위치로 전진될 수 있다(advanced). 브래킷(102)의 립(106a, 106b)은 넥크(92) 주위에서 러그(58)에 의해 형성된 환형 오목부(108)(도 2 참조)에 수용될 수 있으며, 러그의 축방향 운동(axial motion)(즉 중심축(78)에 대해 평행한 운동)을 제한하고, 이에 따라 중심축(78)에 대해 서로 평행한 러그와 클래스프의 운동에 의해 클래스프로부터 러그가 축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브래킷(102)은 브래킷의 상측부 위에서, 개구(104)의 내측 단부 가까이에 있는 오목한 배치 영역(110)을 형성한다. 상기 오목한 배치 영역은 입구 단부로부터 공간이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spaced) 러그의 헤드(90)의 하측 부분(하측면)에 대해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complementary). 이에 따라, 러그는 배치 영역(110)에 삽입될 때 축방향으로 이동되어(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래스프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 영역과 접촉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러그가 클래스프와 짝을 이루게 되면, 클래스프와 러그가 서로에 대해 짝축(86)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선택적으로는, 중심축(7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게이트 메커니즘(98)은 클래스프의 본체(96)와 리프팅 기계장치(54) 사이의 링크연결(linkage)을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게이트 메커니즘 (및/또는 레버(100))는, 리프팅 기계장치에 의해 칼럼(52)의 이동 동안, 본체(96), 러그(58), 및 칼럼(5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메커니즘은 서로 맞은편에 있는 단부 영역(120 및 122)을 가질 수 있는데, 단부 영역(120)은 리프팅 기계장치에 연결되고 단부 영역(122)은 본체(96)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2 및 3 참조). 몇몇 실시예들에서, 단부 영역(120)은 링크, 가령, 링크(70)를 수용하기 위한 홀(124)을 형성할 수 있다(도 1 참조).
게이트 메커니즘(98)은, 도 2에서 화살표(126)로 표시된 것과 같이, 게이트 메커니즘에 상부 방향을 향하는 힘(토크 및/또는 인장력)을 제공하고 제거하는데 대응하여, 러그-캡쳐 위치(또한, 닫힌 위치로도 지칭됨)와 러그-릴리스 위치(또한, 개방 위치로도 지칭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메커니즘은 리프팅 기계장치가 게이트 메커니즘에 상부 방향을 향하는 힘(upward force)을 제공할 때 캡쳐 위치 또는 닫힌 위치로 이동되며, 상부 방향을 향하는 힘이 제거될 때에는 릴리스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게이트 메커니즘은 레버(1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데, 레버(100)는 피벗축(128) 주위로 본체(96)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방 위치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피벗축(128)은 짝축(86)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게이트 메커니즘은 개방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병진운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move translationally).
레버(100)는 피벗축(128)으로부터 측정되는 것과 같이 단부 영역(122)에서 가변 반경을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실시예에서, 레버는 커다란 반경을 가진 원형 영역(130)(또한, 캡쳐 영역(capturing region) 또는 차단 영역(obstructing region)으로도 지칭됨), 및 반경이 원형 영역(130)에 대해 줄어든 한 쌍의 좁은 영역(132a 및 132b)(또한, 릴리스 영역(releasing regions)으로도 지칭됨)을 가진다. 원형 영역(130)의 임의의 부분과 러그(58)가 정렬되면, 레버의 닫힌 위치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차단된다. 좁은 영역(132a 또는 132b)이 러그와 정렬되면, 레버의 개방 위치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96)에 대한 레버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는 레버가 닫힌 위치에 있는지 또는 개방 위치에 있는 지를 결정하며, 레버가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차단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결정한다. 또한, 레버의 각각의 닫힌 위치는, 러그(58)가 클래스프의 외부에 있는 위치로부터 클래스프의 오목한 배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레버(100)는 러그가 클래스프와 짝을 이루고 클래스프에 배열될 수 있기 전에, 도 2의 닫힌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되어야 한다.
도 2 및 3은 클래스프의 추가적인 양태를 보여준다. 본체(96)는 베이스(134)(브래킷(102)을 형성하는), 전방 부재(136), 후방 부재(138), 및 한 쌍의 측면 부재(140 및 1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은 서로 용접, 파스너(fastener), 등에 의해 서로에 결부될 수 있다. 레버(100)의 하측 단부 영역(122)은 파스너(145)와 와셔(washer)들로 후방 부재(138)와 전방 부재(136)에 결부된 액슬(axle) 또는 샤프트(144) 상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pivotably mounted). 레버(100)의 하측 단부 영역(122)은 샤프트(144)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14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칼라(148a, 148b)는 샤프트(144) 주위에 배열될 수 있으며, 레버(100) 및 전방 부재(136)와 후방 부재(138) 사이에서 스페이서(spacer)로 제공된다. 각각의 칼라는 서로에 대해 클래스프의 부분들을 이동시키는 움직임을 촉진시키기 위해 윤활제(lubricant)가 삽입될 수 있는 니플(nipple)(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핸들(152a, 152b)이 본체(9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예컨대, 클래스프와 러그가 서로 짝을 이루는 지면에 있는 작업자)가 클래스프를 쥐고(grasp)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핸들은 베이스(134)의 맞은편 에지(opposite edge)에 장착되며, 개구(104)는 핸들 사이에 위치된다.
도 4-7은 구성요소(예컨대, 칼럼(52))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을 실행하는 동안 제작되는 도 1의 클래스프-러그 시스템의 일련의 대표적인 형상들을 도시한다. 칼럼(52)은 도 4와 5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며, 도 4와 5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칼럼을 들어올리고 난 뒤에, 도 6 및 7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4 및 7에서는 리프팅 기계장치로 클래스프의 레버(100)에는 어떠한 상부 방향을 향하는 힘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레버는 인장력 하에 있지 않으며, 도 4 및 7에서는 직립 상태에 있지 않지만, 그 대신, 개방 위치에 있고, 좁은 영역(132a 또는 132b)은 러그의 중심축(78)과 정렬된다. 각각의 개방 위치에서, 레버는 수용된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달리 말하면, 러그는 클래스프에 결부되거나 또는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러그의 헤드(90)의 하측면은 클래스프의 오목한 배치 영역(11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거리가 떨어져 있으며(중심축(78)에 대해 평행하게)(도 3 참조), 짝축을 따라 클래스프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즉 상기 실시예에 관해 도 4 및 7의 관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클래스프가 러그와 짝을 이룰 때(러그가 클래스프에 의해 적절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그리고, 구성요소가 기계적으로 처리되는 과정이 종료되고 난 뒤에(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레버는 개방 위치에 있다. 레버의 개방 위치는, 중력 요인이 제일 클 때(예컨대, 리프팅 기계장치가 인장력을 레버(100)에 더 이상 제공하지 않거나 및/또는 레버(100), 클래스프(58)의 본체, 및 구성요소를 더 이상 지지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방향을 향하는 힘(158)이 도 5 및 6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리프팅 기계장치로 인장력으로서 레버(100)에 제공된다. 상기 인장력은, 클래스프의 본체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지(도 5)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지(도 6) 간에, 레버가 직립 상태로 오게 한다. 각각의 도 5 및 6에서, 레버는 원형 영역(130)의 별개 부분(distinct part)이 러그의 중심축(78)과 정렬되는 닫힌 위치에 있다. 중심축(78)은 도 5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도 6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레버(100)는 레버의 약 1/4 회전만큼 서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오프셋배열된(rotationally offset) 2개 이상 또는 3개 이상의 닫힌 위치를 가질 수 있거나 및/또는 레버의 약 1/2 회전(180°)만큼 서로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오프셋배열된 한 쌍의 닫힌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레버의 원형 영역 및/또는 러그-캡쳐 영역은 적어도 약 90°만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버는 구성요소가 수평배열 방향으로부터 수직배열 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때 닫힌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레버의 원형 영역 및/또는 러그-캡쳐 영역은 적어도 약 180°만큼 레버의 회전축 주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버는, 회전 방향으로 중앙의 닫힌 위치로부터 반대 회전 방향으로 적어도 약 90°만큼 회전될 때, 닫힌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레버는 하나 이상의 닫힌 위치(및/또는 레버의 적어도 약 1/2 회전 또는 1/4 회전만큼 형성된 한 세트의 닫힌 위치)에 의해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는 한 쌍의 개방 위치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개방 위치는 레버의 1/2 회전보다 더 많이 서로로부터 떨어져 배열될 수 있다. 한 쌍의 개방 위치를 가지도록 구성된 클래스프로 인해, 레버에 작용되는 인장력이 릴리스될 때 레버가 개방 위치에 대해 반대 회전 방향으로 떨어지게 할 수 있으며, 클래스프가 러그의 맞은편 가로면(lateral side)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러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도 5 및 6에서, 오목한 배치 영역(110)에 의해, 그리고, 개구(104)의 입구 단부로부터 오목한 배치 영역(110)을 분리하는 브래킷(102)의 오목하지 않은(non-recessed) 섹션(160a, 160b)에 의해, 러그(58)의 헤드(90)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차단된다(도 3 참조). 헤드(90)는, 상기 실시예에서,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벽과 오목하지 않은 영역들을 비우기 위해(clear), 축방향으로(즉 중심축(78)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되어야 한다. 하지만, 레버(100)의 원형 영역(130)은 러그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에 필요한 헤드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헤드(90)는 레버(100)가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도 7에서와 같이).
도 8은 도 6의 닫힌 위치에 있는 레버(100)를 가진 러그와 클래스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레버의 차단 부분(obstructing portion)(영역(130))은 러그(58)의 상측 단부와 접촉될 수 있거나, 혹은, 도시된 것과 같이, 닫힌 위치에 있는 러그의 상측 단부로부터 약간 떨어져 위치되어 틈(162)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틈(162)은 브래킷의 오목하지 않은 섹션(160a)을 비우기 위해 러그를 충분히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지 않는다. 임의의 경우에서, 레버의 각각의 닫힌 위치는 레버의 각각의 개방 위치에 비해 러그가 축방향으로(중심축(78)에 대해 평행하게) 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레버(100)의 차단 부분은 중심축(78)에서가 아니라 짝축(86)에서 러그와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차단 부분은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측 단부 밑에 있는 헤드(90)와 접촉된다.
또한, 도 8은 클래스프의 본체(96)의 후방면(back side)으로부터 돌출된 탭(164)를 도시한다. 상기 탭은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테더(tether)(168)를 위한 결부 구조(attachment structure)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66)를 형성한다. 상기 테더는 작업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끌어 당겨질 수 있으며, 레버(1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릴리스되고 난 뒤, 수평힘(horizontal force)이 클래스프에 제공되어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되게 할 수 있다(예컨대, 러그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클래스프의 운동에 의해). 이에 따라, 작업자는, 가령, 작업자가 러그와 클래스프 밑에 위치될 때(가령, 예컨대, 작업자가 지면에 있거나 혹은 지면보다 높은 플랫폼 위에 있을 때), 테더(168)를 통해 클래스프와 러그를 서로 떨어지도록 분리할 수 있다(disconnect).
도 9 및 10은 도 1의 클래스프-러그 시스템(50)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부에 놓인 칼럼(52a)을 하부에 놓인 칼럼(52b) 위에 배열하기 전 도면(도 9)과 상부에 놓인 칼럼(52a)을 하부에 놓인 칼럼(52b) 위에 배열하고 난 뒤의 도면(도 10)이다. 칼럼(52a)의 하측 단부는 칼럼(52b)의 상측 단부에 고정된 러그(58)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시버(180)(예컨대, 개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리시버(180)는 베이스 플레이트(7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블라인드 홀(blind hole) 또는 관통-홀(182)일 수 있다. 상기 리시버와 러그는 칼럼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협력하여(cooperate), 작업자가 베이스 플레이트 홀(184)들 및 상응하는 캡 플레이트 홀(186)들 사이를 정렬되게 할 수 있으며(예컨대, 필요 시에, 칼럼(52a)을 장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파스너를 정렬된 홀(184 및 185) 쌍들에 배열시켜 칼럼들이 서로 결부되게 할 수 있다.
러그(58)의 바닥 단부 부분은 러그 베이스(94)의 최대 직경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테이퍼구성되어(도 10 참조) 언더컷 영역(undercut region)(190)을 형성할 수 있다. 용접 필러 재료(welding filler material)(192)가 러그가 캡 플레이트에 용접될 때 언더컷 영역에 주입될 수 있다.
도 11은 받침대의 플레이트에 장착된 도 9의 상부에 놓인 칼럼(52a)을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러그(58)를 수용하는(carrying) 지면-지지된 받침대(200)에 배열하도록 사용되는 도 1의 클래스프-러그 시스템(50)을 도시한다. 또한, 받침대(200)는, 지면 조립체(ground assembly)로서 기술되는 것과 같이, 러그(58)가 3개의 서로 수직인 축들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위치되고 배열될 수 있게 할 수 있다(예컨대, 각각의 축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병진운동 가능하게(translationally) 조절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받침대는 지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거나 혹은 수직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혹은 그 외에도, 받침대는 상측 지지 조립체(204)를 지지하고 베이스를 형성하는 하측 지지 조립체(20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립체(202 및 204)들은 러그의 수직 배열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한 세트의 레벨링 메커니즘(leveling mechanism)(206)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조절 가능하게 거리가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클래스프-러그 시스템은 한 구성요소를 또 다른 구성요소 위에 쌓고(stack), 정렬하며(align), 장착하도록(mount) 사용될 수 있다. 투영의 상부에 놓인 구성요소는 제1 러그 및 상기 제1 러그에 상응하는 리시버(예컨대, 제1 러그의 카피(copy)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제1 러그 및 리시버는, 가령, 상부에 놓인 구성요소의 상부 및 하부 영역(가령, 상측 및 바닥 단부/면)과 같이, 서로 맞은편에 배열된다. 제1 러그는, 위에 기술된 것과 같이, 클래스프와 짝을 이룰 수 있으며, 그러면, 리프팅 기계장치는 상부에 놓인 구성요소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되어 상부에 놓인 구성요소의 리시버를 위에 배열하고, 일반적으로는, 제2 러그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게 배열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러그는 투영의 하부에 놓인 구성요소의 상부 영역(가령, 상측 단부/면)에 장착된다. 리프팅 기계장치는, 추가로, 상부에 놓인 구성요소를 하부에 놓인 구성요소 위로 내리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에 놓인 구성요소에 장착된 제2 러그는 상부에 놓인 구성요소의 리시버에 의해 수용된다. 러그의 카피가 수용되면, 제2 러그와 리시버 사이에는 상호작용(interaction)이 발생되고, 구성요소들이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에 놓인 구성요소가 하부에 놓인 구성요소 위의 중간이 위치될 수 있다(center). 그러면, 구성요소들은, 가령, 파스너, 용접, 접착제, 결합제 등에 의해 서로 결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래스프-러그 시스템을 위해 적절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 리프팅 기계장치, 골조 형상, 러그, 클래스프, 지면 조립체, 및 러그 및 리시버를 쌓고 정렬하기 위한 러그 및 상응하는 리시버의 사용 방법들의 추가적인 양태들은, 2014년 7월 31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공보번호 US2014/0208666 A1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미국 특허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통합된다.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들은 밑에 기술된다.
본 발명은 전구형 러그를 쥐고, 추가로, 러그를 또 다른 위치에 들어올릴 수 있도록 안전하게 고정시키게끔 작동 가능한 기계식 피킹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1) 러그-수용 구조 및 (2) 기계장치 또는 케이블-결부식 러그-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러그-고정 메커니즘은 러그-수용 구조와 러그-고정 메커니즘 사이에서 상대 운동을 위해 제공되고, 인장력이 러그-고정 메커니즘에 제공될 때 러그를 고정하며, 인용발명이 제거될 때에는 러그를 릴리스하도록 상기 러그-수용 구조에 결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구형 캡쳐-프로파일 러그를 사용하고, 수용하며, 리버시블 방식으로 고정하기(reversibly holding) 위한 시스템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클래스프, 러그, 및 임의의 러그-결부식 구조를 들어 올리거나/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기계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래스프를 포함한다. 클래스프는 레버-구동식 차단 메커니즘으로 러그를 리버시블 방식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클래스프는 캐널(canal)로서 기술될 수 있는 수용 영역을 형성하는데, 이는 러그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크기가 형성된 닫힌 단부, 및 개방 수용 단부를 가진다. 수용 영역은 러그의 넥크 부분에 끼워지는(fit) 선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러그가 수용 영역에 삽입되고 나면, 선반이 러그를 수용 단부의 맞은편에 있는 단부에 있는 수용 영역에 고정시킨다. 선반은 오목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러그는 선반의 오목한 영역에 중력-배열될 수(gravity-seat) 있고 수용 영역의 개방 단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클래스프는 2개의 단부를 가진 리프팅 기계장치-결부식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는 수용 영역에 의해 형성된 수용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레버의 단부의 반경은, 러그가 중력-배열된 위치에 고정되고 난 뒤, 러그가 수용 영역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에 충분히 클 수 있다. 레버는 러그가 수용 영역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품(article)에 결부된 러그가 집어지고 조작될 수 있도록 사용하기 위한 고정식의 릴리스가능한 기계식 피킹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러그-수용 공간인 공동(void)을 가진 러그-수용 구조, 및 속이 빈 공동 내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상대 운동이 가능한 게이트 구조(gate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속이 빈 공동에 대해 러그가, 선택적으로, 자유로이 들어가고(ingress) 나올 수 있게(egress) 하고, 고정된 상태에서는 수용된 러그의 포지티브 캡쳐(positive capture)를 구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속이 빈 공동에 대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구현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개별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들은 각각이 바람직한 형태들로 기술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하는 것을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다숟의 변형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주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요소, 특징, 기능, 및/또는 성질들의 모든 신규한 조합 및 하위 조합들을 포함한다. 특히, 하기 청구항들은 신규한 것으로 간주되는 특정의 조합 및 하위 조합들을 다루고 있다. 그 외의 다른 특징, 기능, 요소, 및/또는 성질들의 조합 및 하위 조합들로 실시된 발명은 본 특허출원 및 관련 출원으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는 특허출원에서 청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청구항들은, 상이한 발명에 관한 것이든지, 혹은 동일한 발명에 관한 것이든지 간에, 그리고, 원래 청구항들에 대해 범위가 더 넓거나, 더 좁거나,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하던지 간에 본 발명에 따른 발명들의 주된 주제에 포함되는 것을 간주되어야 한다. 추가로, 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한 서수 표시, 가령, "제1", "제2", 또는 "제3"은 요소들을 구분짓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그 외에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들의 특정 위치 또는 순서를 지시하도록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1)

  1.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 및
    - 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와 게이트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클래스프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메커니즘은 클래스프가 리프팅 기계장치에 의해 지지될 때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본체에 대해 (a)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하지 않을 때 러그를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해 주는 개방 위치와 (b)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할 때에는 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닫힌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러그는 중심축을 형성하고, 본체는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러그가 본체로부터 축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중심축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러그는 넥크로부터 돌출된 헤드를 가지며, 상기 헤드는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들 중 한 방향으로 러그가 축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게이트 메커니즘은 리프팅 기계장치에 의해 제공된 힘에 대응하여 개방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이동하도록 회전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레버는 피벗축 주위로 회전되며, 작은 반경을 가진 레버의 한 영역이 개방 위치에서 러그와 정렬되며, 커다란 반경을 가진 레버의 한 영역이 닫힌 위치에서 러그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러그는 중심축을 형성하며, 러그는, 만약 존재한다면, 개방 위치에 대해 닫힌 위치에서 중심축에 평행한 작은 축방향 이동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게이트 메커니즘은 적어도 약 90°만큼 서로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오프셋배열된 한 쌍의 닫힌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게이트 메커니즘은 게이트 메커니즘의 하나 이상의 닫힌 위치에 의해 서로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떨어져 위치된(rotationally separated) 한 쌍의 개방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구성요소는 러그의 맞은편에 위치되며 러그에 상응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10.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 구성요소;
    - 구성요소에 장착되고 구성요소를 통해 연장되는 중심축을 형성하는 러그; 및
    - 본체를 포함하며 리프팅 기계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클래스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러그가 본체로부터 축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중심축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본체와 러그의 횡단 운동에 의해 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래스프는 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러그-릴리스 위치와 러그가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러그-캡쳐 위치 사이에서 본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레버에 의해 클래스프의 본체에 연결된 리프팅 기계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레버는 레버가 인장력 하에 있을 때에는 러그-캡쳐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인장력이 릴리스되면 러그-릴리스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레버는 레버가 적어도 약 90° 회전될 때 러그-캡쳐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레버는 러그-캡쳐 위치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떨어져 위치된 한 쌍의 러그-릴리스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레버는 구성요소가 수평 배열 방향으로부터 수직 배열 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때 수직 배열 방향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구성요소가 클래스프에 의해 더 이상 지지되지 않을 때에는 수직 배열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피벗회전 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구성요소는 러그의 카피(copy)를 수용하기 위한 리시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기계장치로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17.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에 의해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러그와 클래스프를 서로 짝을 이루는 단계를 포함하되, 클래스프는 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게이트 메커니즘을 가지고;
    - 게이트 메커니즘이 본체를 지지할 때 구성요소가 들어 올려지고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리프팅 기계장치로 게이트 메커니즘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및
    - 게이트 메커니즘이 더 이상 본체를 지지하지 못하도록 인장력을 릴리스하여, 게이트 메커니즘이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에 의해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짝을 이루는 단계는 구성요소가 적어도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때 수행되며, 인장력을 제공하는 단계는 구성요소를 적어도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부터 적어도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에 의해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게이트 메커니즘은 인장력을 게이트 메커니즘에 제공하는 단계 동안 적어도 약 1/4 회전만큼 회전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에 의해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구성요소는 러그의 맞은편에 있는 리시버를 가지며, 또 다른 러그가 리시버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요소를 또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된 또 다른 러그에 내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에 의해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인장력을 릴리스하여 러그가 클래스프로부터 제거되고 난 뒤, 클래스프에 수평힘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에 장착된 러그에 의해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167022209A 2014-01-13 2015-01-13 클래스프-러그 시스템 KR20170010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26815P 2014-01-13 2014-01-13
US61/926,815 2014-01-13
PCT/US2015/011270 WO2015106291A1 (en) 2014-01-13 2015-01-13 Clasp-and-lu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744A true KR20170010744A (ko) 2017-02-01

Family

ID=5352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209A KR20170010744A (ko) 2014-01-13 2015-01-13 클래스프-러그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93326B2 (ko)
EP (1) EP3094588B1 (ko)
KR (1) KR20170010744A (ko)
CN (1) CN106163965B (ko)
AU (1) AU2015204447B2 (ko)
CA (1) CA2936689C (ko)
MX (1) MX2016009109A (ko)
SA (1) SA516371479B1 (ko)
WO (1) WO20151062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191A (ko) * 2019-06-10 2020-12-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터널을 수중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6231B (zh) * 2017-06-28 2019-11-08 合肥凯石投资咨询有限公司 气控式薄膜太阳能帆板及其收纳方法
WO2019157394A2 (en) 2018-02-09 2019-08-15 Conxtech, Inc. Moment connection component clamping tool
WO2019157393A1 (en) 2018-02-09 2019-08-15 Conxtech, Inc. Moment connection component lifting tool assembly
US10703611B2 (en) * 2018-05-17 2020-07-07 Gearench Division Of Orbix Corporation Shackle assembly for use in lifting an object
RU2724003C1 (ru) * 2019-10-14 2020-06-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335"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спуска и подъема

Family Cites Families (1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059A (en) 1906-05-25 1906-11-06 George Curley Scaffold.
US925677A (en) 1908-04-27 1909-06-22 Ralph Roy Belcher Building and shelving construction.
US1110185A (en) 1913-03-12 1914-09-08 Willlis Brown Release safety-hook.
US1400066A (en) 1914-07-18 1921-12-13 Huck Adolf Construction toy set
US1367044A (en) 1920-01-03 1921-02-01 Hausler John Crane-hook
US1471094A (en) 1922-04-10 1923-10-16 Walter R Bloss Crane hook
US1729743A (en) 1927-05-10 1929-10-01 Jorgensen Aage Kjarsgaard Library-stack-supporting structure
US2008087A (en) 1932-02-23 1935-07-16 Associated Engineers Company Metallic structure
US2569653A (en) 1947-05-26 1951-10-02 Fred R Boedecker Vertically adjustable scaffold carriage
US2673700A (en) 1951-10-22 1954-03-30 Daniel A Eberhardt Pallet
US3148477A (en) 1960-02-05 1964-09-15 Irma Fabrikerne As Building block having flexible ribs to engage a similar block
US3071205A (en) 1961-05-22 1963-01-01 Bil Jax Inc Adjustable scaffolding
US3270997A (en) 1964-03-19 1966-09-06 Kenneth W Gethmann Scaffold device
US3410044A (en) 1965-07-23 1968-11-12 Contemporary Walls Ltd Foamed plastic based construction elements
US3396499A (en) 1965-10-05 1968-08-13 Biffani Raffaele Structural members for building construction
GB1166093A (en) 1965-12-22 1969-10-01 Chepos Zd Y Chemickeho A Potra Hydraulic Ingot Stripper
GB1204327A (en) 1966-12-15 1970-09-03 Sterling Foundry Specialties Scaffolding
US3533592A (en) 1967-05-03 1970-10-13 Economy Forms Corp Shoring structure for concrete forms
DE1684278A1 (de) * 1967-06-13 1970-07-09 Haeussler Ernst Vorrichtung zum Manipulieren von Betonfertigteilen
US3829999A (en) 1969-06-06 1974-08-20 Dart Ind Inc Illuminated modular type sign
DE1929175A1 (de) 1969-06-09 1970-12-17 Rensch Eberhard Wand,insbesondere Trennwandsystem
US3562988A (en) 1969-06-24 1971-02-16 Lock Block Co Z Building blocks, bricks, tile, panels and the like
FR2054723A5 (ko) * 1969-07-24 1971-05-07 Loire Atel Forges
US3664011A (en) 1969-08-08 1972-05-23 Jacques Guillon Designers Inc Method of making a joinery joint
US3685866A (en) 1970-04-15 1972-08-22 Wilfrid J Patenaude Connector for structural steel
GB1386966A (en) 1971-04-28 1975-03-12 Kwikform Ltd Supporting structure for shuttering
US4019298A (en) 1973-07-18 1977-04-26 Johnson Iv John J Beam suspension system
US3977801A (en) 1974-11-22 1976-08-31 Thomas Philip Murphy Connector for structural members
US4014151A (en) * 1975-06-02 1977-03-29 Mannesmann Leichtbau, Gmbh Coupling structure with anchoring in stone parts
US4059931A (en) 1976-01-29 1977-11-29 Mongan William T Building framing system for post-tensioned modular building structures
US4058339A (en) * 1976-03-17 1977-11-15 Burchard Jr William Boyd Pivotal latch for a sucker rod puller
US4079983A (en) * 1977-02-04 1978-03-21 W. C. Dillon And Company, Inc. Weight lifting eye and socket
SE435369B (sv) * 1977-03-01 1984-09-24 Ernst Haeussler Lyftorgan for betongelement med forankringsbult.
US4108485A (en) * 1977-03-22 1978-08-22 Stearns-Roger Corporation Redundant lift beam assembly
DE2758992A1 (de) 1977-12-30 1979-07-12 Holzhueter Kg Tragwerk zum heben und transportieren von insbesondere betonplatten durch ein hub- bzw. transportgeraet
CH633648A5 (de) 1978-08-22 1982-12-15 Sulzer Ag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zur aufnahme von brennelement-buendeln dienenden lagerkaesten am boden eines wasserbeckens.
FR2471461A1 (fr) 1979-12-10 1981-06-19 Nolle Herve Elements de constructions : poteaux porteurs et assises
NL179573C (nl) 1980-03-29 1986-10-01 Haeussler Ernst Inrichting voor het ophangen van een betonvormstuk aan een hijswerktuig.
US4360230A (en) * 1980-09-12 1982-11-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elf locking coupling mechanism for engaging and moving a load
US4438607A (en) 1982-03-29 1984-03-27 A. O. Smith Harvestore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ling a storage structure
US4522001A (en) 1982-04-01 1985-06-11 Anton Meyer Set of bricks with plugging connections
US4540210A (en) * 1983-08-12 1985-09-10 Smith Gregory L Cable release mechanism
US4577449A (en) 1983-11-16 1986-03-25 Aldo Celli Prefabricated structural connector for steel-frame buildings
US4754712A (en) 1984-05-17 1988-07-05 Amco Corporation Adjustable rack of shelves
DE3430612A1 (de) 1984-08-20 1986-02-27 Baierl & Demmelhuber GmbH & Co Akustik & Trockenbau KG, 8121 Pähl Metall-raumfachwerk aus einzelelementen zum errichten von gebaeuden
US4736554A (en) 1984-10-22 1988-04-12 Tyler Kent W Bolt system
CH668250A5 (de) * 1984-11-30 1988-12-15 Deha Ankersysteme Vorrichtung zum anhaengen eines betonfertigteils an ein hebezeug.
FR2576981B1 (fr) 1985-01-31 1988-02-26 Europ Agence Spatiale Dispositif de liaison demontable a tetraedre
US4671554A (en) * 1985-08-07 1987-06-09 Richmond Screw Anchor Co. Inc. Hoist coupling
US4701131A (en) 1985-11-20 1987-10-20 Hildebrandt Paul R Geometric modeling ki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852501A (en) 1986-05-16 1989-08-01 Amco Corporation Adjustable rack of shelves
FR2613403A1 (fr) 1987-04-03 1988-10-07 Bretzner Michel Pilier, notamment pour constructions a ossature bois et constructions faisant usage de tels piliers
US4830144A (en) 1988-01-25 1989-05-16 Saf-T-Gre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caffold
US4905436A (en) 1988-03-28 1990-03-06 Hitachi Metals, Ltd. Column/beam joint structure
US4821844A (en) 1988-04-11 1989-04-18 Huffman Cary A Outrigger for scaffolding
US5061111A (en) 1991-01-02 1991-10-29 Kiyoshi Hosokawa Metal connector for wooden building and jointing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using the same
US5244300A (en) 1991-02-28 1993-09-14 Lehigh University Structural connector approximating a cone of elliptical cross-section
US5240089A (en) 1991-07-17 1993-08-31 Speral Aluminum Inc. Modular scaffolding assembly
US5289665A (en) 1991-09-26 1994-03-01 Higgins Gregory J Orthogonal framework for modular building systems
GB2261650A (en) 1991-11-21 1993-05-26 Lanesfield Engineering Seals L Lifting pin
US5342138A (en) 1991-12-27 1994-08-30 Nitto Mokuzai Sangyo Kabushiki Kaisha Connectors for structural members
FI923118A0 (fi) 1992-07-07 1992-07-07 Tuomo Juola Byggnadsstomme.
CA2101577C (en) 1992-07-31 2005-06-07 Dale L. Taipale Modular portable stage system
US5244243A (en) * 1992-08-24 1993-09-14 Mmi Products, Inc. Apparatus for attaching a lifting mechanism to a load
US5617931A (en) 1994-08-11 1997-04-08 L. E. Zygmun And Company, Inc. Modular scaffolding system
CA2139051A1 (en) 1994-12-23 1996-06-24 George Pantev Connecting mechanism for tubular frame elements
US5590974A (en) 1995-05-30 1997-01-07 Yang; Tian-Show Assembling connector structure
US5615529A (en) 1996-03-12 1997-04-01 Johnson; Jan C. Border blocks for tree and shrub decoration
DE19633092A1 (de) 1996-08-16 1998-02-19 Peri Gmbh Zerlegbares Fassadengerüst
WO1998036134A1 (fr) 1997-02-13 1998-08-20 Tanaka Steel Workshop Joint pour structure acier, et structure combinee utilisant les memes joints pour structure acier
JPH1122001A (ja) 1997-07-03 1999-01-26 Artes:Kk 閉鎖形断面柱と梁の接合部構造
US6758020B2 (en) 1997-09-08 2004-07-06 Cercorp Initiatives Incorporated Flexible interlocking wall system
JP3080911B2 (ja) 1997-09-29 2000-08-28 ゼンテリア株式会社 重量鉄骨構造による建物構造体における柱型・梁材の接合工法
JP3386702B2 (ja) * 1997-10-24 2003-03-17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吊り具
US6092347A (en) 1998-08-11 2000-07-25 Hou; Chung-Chu Skeleton of a greenhouse
JP2000110236A (ja) 1998-10-02 2000-04-18 Kozo Gijutsu Research:Kk 梁フランジ接合用金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柱梁接合部構造、および柱梁接合部施工法
US6082070A (en) 1998-10-30 2000-07-04 Jen; Michael T. Easy-to-assembly patio construction
US6378265B1 (en) 1999-03-01 2002-04-30 Matias Konstandt Space frame construction assembly
US6390719B1 (en) 2000-02-29 2002-05-21 Chun Jin Co., Ltd. Joint of a supporting frame
DE10108784A1 (de) 2001-02-23 2002-09-05 Peri Gmbh Gerüst mit Vertikalstützen und Horizontalträgern
US6651393B2 (en) 2001-05-15 2003-11-25 Lorwood Properties, Inc. Construction system for manufactured housing units
US6837016B2 (en) 2001-08-30 2005-01-04 Simmons Robert J Moment-resistant building frame structure componentry and method
ES2320110T3 (es) * 2001-09-05 2009-05-19 Austrim National Radiators Limited T/A Reid Engineering Systems Aparato de orientacion.
US20050055969A1 (en) 2002-03-18 2005-03-17 Simmons Robert J. Building frame structure
US6802169B2 (en) 2002-03-18 2004-10-12 Robert J. Simmons Building frame structure
US20030178253A1 (en) 2002-03-21 2003-09-25 Tatge Robert J. Portable aircraft maintenance platform
CN100532748C (zh) 2003-05-02 2009-08-26 D·W·鲍威尔 预制建筑的结构及方法
CA2436339A1 (en) 2003-07-30 2005-01-30 Aluma Enterprises Inc. Shoring leg with node connectors
JP4446794B2 (ja) 2004-05-10 2010-04-07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部材の結合構造
US8011150B2 (en) 2004-08-30 2011-09-06 Conxtech, Inc. Modular building roof-rim parapet structure
US8191332B1 (en) 2004-09-25 2012-06-05 American Tower Corporation Reinforcement system for poles
US7082694B2 (en) 2004-11-12 2006-08-01 Lyman Jr Hugh Marion Center point locator device
US7894920B2 (en) 2006-04-14 2011-02-22 Genesis TP, Inc. Information technology process for prefabricated building panel assembly
US8132774B1 (en) 2006-04-17 2012-03-13 Douglas Whatcott Concrete forming screed aids
ES2303457B1 (es) 2006-12-01 2009-08-03 Habidite, S.A. Sistema constructivo.
ITMI20062512A1 (it) 2006-12-27 2008-06-28 Claudio Vicentelli Dispositivo di giunzione per assiemi magnetici strutturali
US8161698B2 (en) 2007-02-08 2012-04-24 Anemergonics, Llc Foundation for monopole wind turbine tower
US8056299B2 (en) 2007-03-12 2011-11-15 Mack Industries, Inc. Foundation construction for superstructures
US7469485B1 (en) 2007-05-10 2008-12-30 Joab Jay Perdue Apparatus for replicating quadrilateral shapes
EP3162976B1 (en) 2007-05-30 2020-07-08 ConXtech, Inc. A full-moment connection betweeen a column and a beam
US20090052980A1 (en) 2007-06-01 2009-02-26 Williams Joe W Scaffold connection with concave engagement and gravity lock
US8297887B2 (en) 2007-10-11 2012-10-30 Ness Inventions, Inc. Masonry block with leveling pads
DE102008019912A1 (de) * 2008-04-21 2009-10-29 Carl Stahl Gmbh Anschlagmittel sowie Lasthebesystem für die Benutzung mit einem solchen Anschlagmittel
US7677522B2 (en) 2008-05-07 2010-03-16 Bakos Stephen M Support bracket for a column
US8136460B2 (en) 2008-06-09 2012-03-20 Tait Towers, Inc. Portable locking support and platform system
US8522694B2 (en) 2008-06-20 2013-09-03 Oria Collapsibles, Llc Structural supporting pallet construction with improved perimeter impact absorbing capabilities
USD611166S1 (en) 2009-06-19 2010-03-02 Westblock Systems, Inc. Retaining block
JP5594987B2 (ja) 2009-06-24 2014-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架台の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製架台、および、繋ぎ材
DE102010021264A1 (de) * 2009-08-06 2011-02-10 Dorma Gmbh + Co. Kg Montageplatte, Montagesystem und -verfahren für Türbetätigeranordnungen
DE102009050139A1 (de) * 2009-10-20 2011-04-21 Carl Stahl Gmbh Anschlagmittel sowie Lasthebesystem für die Benutzung mit einem solchen Anschlagmittel
US20120292131A1 (en) 2011-05-20 2012-11-22 Gary Lovas Scaffold, releasable support and method
CN202186838U (zh) * 2011-06-20 2012-04-11 青岛北海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移动式吊耳
CN102358563B (zh) * 2011-10-19 2013-12-18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吊具
US8627615B2 (en) 2012-01-10 2014-01-14 DRF, Inc. Bracket assembly and forming system for structural foundation footings
US9259639B2 (en) 2012-06-01 2016-02-16 Tait Towers Manufacturing, LLC Self-leveling platform system, self-leveling supports, and method of assembling a self-leveling platform system
US9109874B2 (en) 2012-12-29 2015-08-18 Conxtech, Inc. Modular, six-axis-adjustable, concrete-pour form-structure system
WO2014116648A1 (en) 2013-01-24 2014-07-31 Conxtech, Inc. Plural-story, pipe-support frame system with modular, removably attachable, lateral-worker-support scaffolding
WO2014116993A1 (en) 2013-01-27 2014-07-31 Conxtech, Inc. Dual-function, sequential-task, lug-registry, pick and stack-align building-component handl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191A (ko) * 2019-06-10 2020-12-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터널을 수중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3965A (zh) 2016-11-23
WO2015106291A1 (en) 2015-07-16
AU2015204447A1 (en) 2016-07-28
MX2016009109A (es) 2017-01-23
EP3094588A4 (en) 2017-07-19
CN106163965B (zh) 2018-06-08
US20150197411A1 (en) 2015-07-16
EP3094588A1 (en) 2016-11-23
AU2015204447B2 (en) 2019-11-07
US9493326B2 (en) 2016-11-15
CA2936689C (en) 2022-08-23
EP3094588B1 (en) 2022-05-04
SA516371479B1 (ar) 2020-12-20
CA2936689A1 (en)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0744A (ko) 클래스프-러그 시스템
US9758983B2 (en) Dual-function, sequential-task, lug-registry, pick and stack-align building-component handling system
US8608143B2 (en) Pipe clamp device and a method for its use
US8303006B2 (en) Apparatus for gripping and lifting construction castings
KR101607652B1 (ko)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CH711979A2 (fr)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la fixation d'élingues aux surfaces de coffrage.
US7537428B2 (en) Adjustably pivotable grapple with fixed heel
FR3035134A1 (fr) Coffrage, procede de decoffr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ortion de batiment
JPH0977364A (ja) ケーブル巻枠ドラム支持装置
JPH0885497A (ja) 重量物の位置決め装置
AU2012344261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a crane
KR200466981Y1 (ko) 원통형 중량물 운반 장치
KR102262253B1 (ko) 고층비계용 안전로프 설치기구
FR3055642A1 (fr) Dispositif d'ajustement du panneau d'une banche
JP2021017780A (ja) マンホール蓋の開閉移動装置
EP3342574B1 (fr) Dispositif pour la manutention d'un moule
KR20120107320A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
JP6833595B2 (ja) 吊上げ装置およびその吊上げ方法
EP2432726B1 (fr) Dispositif d'accrochage et de decrochage automatique de structures lourdes
FR3021337A1 (fr) Portique de coffrage et coffrage muni d'un tel portique, procede de decoffrage, procede de fabrication de portion de mur ou de batiment, portion de mur et batiment.
EP3351704B1 (fr) Dispositif porte plaque de matériau pour appareil de levage et de manutention permettant la pose de plaque à l'horizontale, sous rampant et à la verticale
FR2884508A1 (fr) Dispositif pour hisser la partie exterieure d'un climatiseur (compresseur) sur des supports deja fixes au mur
WO2022269188A1 (fr) Dispositif de manutention, ensemble, support, systeme et procede de manutention correspondants
KR101252660B1 (ko) 낚싯대 받침 장치
JPH08225287A (ja) ブロック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