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188A - 의약품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의약품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188A
KR20170010188A KR1020150100774A KR20150100774A KR20170010188A KR 20170010188 A KR20170010188 A KR 20170010188A KR 1020150100774 A KR1020150100774 A KR 1020150100774A KR 20150100774 A KR20150100774 A KR 20150100774A KR 20170010188 A KR20170010188 A KR 20170010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edicament
space
medicines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354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5010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3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불출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의약품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해 낙하하는 의약품이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상태변화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불출 장치{Medicin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주사제 등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 또는 의사 등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 또는 의사 등에게 전달되어 환자가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거나 환자 또는 의사가 환자의 신체에 주입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자동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확성 및 효율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불출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불출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의약품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해 낙하하는 의약품이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상태변화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는, 상기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불출구를 향해 하단부가 회전 중심이 되도록 상기 상단부를 회전시켜 상기 불출구를 향해 낙하되도록 하며, 상기 상태변화유도부는, 상기 회전된 상기 상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상단부를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상태변화유도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와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상태변화유도부는, 상기 낙하하는 의약품의 상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불출구의 상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낙하하는 의약품의 하단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불출구와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단부를 지지하는 상태변화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상태변화지지부는, 경사 방향이 다른 복수의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상태변화지지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상태변화지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은, 경사의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지지면은, 상기 제2 지지면보다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에 따른 종방향 단면의 경사도가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상태변화유도부 및 상기 상태변화지지부는, 낙하하는 의약품의 하단부가 상기 상단부보다 먼저 상기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해 의약품이 낙하하는 경우, 차회에 낙하할 의약품의 낙하를 차단하는 낙하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낙하방지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해 의약품이 낙하하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영역과 상기 불출구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며, 상기 낙하한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통과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영역과 상기 불출구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영역과 상기 불출구가 연통되는 공간인 의약품진입공간을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영역에 위치한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향해 위치 이동시키는 진입공간규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진입공간규정부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기준진입공간규정부,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진입공간규정부 및 상기 영역에 위치한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으로 안내하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상태변화유도부는, 상기 의약품진입공간과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으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측벽 중 상기 의약품진입공간과 대응되는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에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향하여 유도되도록 하는 의약품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유도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향해 이동되는 의약품의 정렬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통과하는 의약품의 병목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벽 중 상기 의약품진입공간과 대응되는 측벽에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보다 경사도가 완만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통과하는 의약품의 병목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는 의약품의 수와 대응되게 상기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영역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의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높이를 규정하는 높이규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높이규정부는, 적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높이규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한 의약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불출 시 의약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다양한 의약품의 불출을 구현토록 하여 불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위치이동부 및 접촉회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낙하방지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진입공간규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상태변화유도부 및 상태변화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소정의 내부공간(S1)을 제공하고 불출구(S2)를 구비하는 본체부(110) 및 의약품(M)이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M)을 위치 이동시키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M)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Vial)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약품(앰플, 보틀, 정제, 산제, 파우치형 약제 등)이나 주사기 등의 의료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카트리지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가 의약품 불출 설비의 층별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 내에서 복수의 층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 내에서 의약품 불출 요청, 즉,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의약품(M)을 보관하고 있다가 불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 진입공간규정부(130) 및 낙하방지부(1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는 본체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S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의약품(M)이 직립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는 불출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영역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M)을 상기 불출구(S2)를 향하여 위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일종의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는 소정의 내부공간(S1)을 구비할 수 있으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를 외부로 노출시켜 의약품(M)을 보충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12)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2)는 상기 내부공간(S1)의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영역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M)이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내부공간(S1)의 높이를 규정하는 높이규정부(15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이란, 의약품위치이동부(120)의 영역 상에 위치한 의약품(M)이 높이 방향(H)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직립된 의약품(M)의 상면과 커버부(112)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1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규정부(150)로 인해 직립된 의약품(M)의 상면과 커버부(112) 사이에 간격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약품(M)의 높이 방향(H)으로의 위치 이동, 즉,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의 내부공간(S1)에 수용되는 의약품(M)은 다양한 종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립된 의약품(M)의 높이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112)에 장착되는 높이규정부(150)는 적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높이규정유닛(1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규정유닛(1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상이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의 영역에 위치하는 의약품(M)의 직립 높이에 기초하여 다양한 높이규정유닛(15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커버부(112)에 적층하고 최종적으로 보호부(154)를 적층한 후 너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부(154)는 상기 높이규정유닛(152)와 의약품(M)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의약품(M)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 상황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부(112)를 회전시켜 상기 내부공간(S1)을 폐쇄하는 경우 직립된 의약품(M)의 높이 방향(H)으로의 위치 이동이 미연에 방지되어 의약품(M)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낙하방지부(140)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영역에 위치한 의약품(M) 중 어느 하나가 불출구(S2)를 향해 낙하하는 경우, 차회에 낙하할 의약품(M)의 낙하를 차단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약품(M)이 단일개씩 상기 불출구(S2)를 향해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는 직립된 상태로 영역에 위치하는 의약품(M)이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과하여 불출구(S2)를 향해 낙하하면, 구동부(160, 도 9 및 도 10 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영역과 상기 불출구(S2) 사이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회에 낙하할 의약품(M)의 낙하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는 상기 불출구(S2)를 통해 의약품(M)의 불출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영역과 상기 불출구(S2) 사이의 연통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회 낙하될 의약품(M)은 상기 불출구(S2)를 향해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낙하방지부(140)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로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진입공간규정부(130)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위치한 의약품(M)이 불출구(S2)를 향해 낙하하는 의약품진입공간(S3)을 규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M)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진입공간규정부(130)는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는 의약품(M)이 위치하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의 영역과 불출구(S2)가 연통되는 공간인 의약품진입공간(S3)을 규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역에 위치한 의약품(M)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을 향해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입공간규정부(130)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위치한 의약품(M)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불출구(S2)로 낙하하기 위한 의약품진입공간(S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약품(M)의 크기가 달라진 경우에도 의약품진입공간(S3)의 크기를 달라진 의약품(M)의 크기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진입공간규정부(130)는 본체부(110)에 고정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 도 12 참조),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 도 12 참조) 및 상기 영역에 위치한 의약품(M)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으로 안내하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136, 도 11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가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 및 상기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는 각각 상기 접촉회전부(136)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축(X1, 도 12 참조) 및 가변축(X2, 도 12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가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에 장착되는 위치에 상기 기준축(X1)과 상기 가변축(X2)의 거리는 달라지게 되며, 상기 거리는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의 크기와 반비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1 및 도 12를 참조로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는 의약품(M)의 수와 대응되게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본체부(1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70)는 본체부(110)의 양측벽 내면에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홈(G)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위치하는 의약품(M)의 수에 따라 장착되는 홈(G)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위치하는 의약품(M)의 수가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공간이 남는 경우라도 의약품 불출 장치(100)의 이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의약품(M)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불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의약품(M) 간의 충돌 충격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170)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의약품(M)을 위치시키기 이전에 미리 상기 의약품(M)이 위치할 공간을 설정하는 경우, 원하는 홈(G)에 삽입한 후 의약품(M)을 위치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상기 본체부(110)의 측벽 중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과 대응되는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에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의약품(M)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을 향하여 유도되도록 하는 의약품유도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I) 및 내부공간(S1)의 외측 방향(O)(O)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본체부(110)의 측벽으로부터 내부공간(S1)을 향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유도부(190)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M)이 상기 불출구(S2)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유도부(19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다가 상기 내부공간(S1)의 외측 방향(O)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칭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을 향해 이동되는 의약품(M)의 정렬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과하는 의약품의 병목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측벽 중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과 대응되는 측벽에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돌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0)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M)이 상기 불출구(S2)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182) 및 상기 제1 돌출부(182)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S1)의 외측 방향(O)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8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돌출부(184)가 제1 돌출부(182)보다 경사도가 완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과하는 의약품의 병목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복수의 의약품(M)이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면, 외력인가부(F)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의약품위치이동부(120) 및 진입공간규정부(130)의 접촉회전부(136)는 연동되어 위치 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의약품(M)은 의약품위치이동부(120) 및 진입공간규정부(130)의 접촉회전부(136)의 회전에 의해 하나씩 진입공간규정부(130)의 일측단과 본체부(110)의 측벽 사이에 제공되는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과하게 되며, 낙하방지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과 상기 불출구(S2) 사이의 연통을 허용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은 상기 의약품(M)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진입공간규정부(1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에 진입한 의약품(M)을 상기 불출구(S2)를 향해 낙하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의약품(M)이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과하여 불출구(S2)를 향해 낙하하게 되면, 낙하방지부(140)는 차회 불출될 의약품(M)이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과 상기 불출구(S2)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의약품위치이동부(120)로부터 불출구(S2)를 향해 낙하된 의약품(M)은 본체부(110)의 상태변화유도부(114) 및 상태변화지지부(116)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불출구(S2)를 통과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의약품(M)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먼저 불출구(S2)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하기로 한다.
상기 의약품(M)이 불출구(S2)를 통과하면, 낙하방지부(140)는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원위치로 위치 이동하여 의약품진입공간(S3)과 불출구(S2)를 연통시켜 차회 낙하될 의약품(M)을 낙하시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의약품위치이동부 및 접촉회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의약품위치이동부(120) 및 진입공간규정부(130)의 접촉회전부(136)는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안착된 의약품(M)을 불출구(S2)를 향해 낙하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 및 상기 접촉회전부(136)의 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은 외력인가부(F)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F)는 제1 평기어(G1)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평기어(G1)어 맞물린 후 회전되어 상기 제1 평기어(G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평기어(G1)가 회전되면, 제2 평기어(G2), 제3 평기어(G3), 제4 평기어(G4), 제5 평기어(G5), 제6 평기어(G6) 및 제7 평기어(G7)도 회전되게 되며, 상기 제4 평기어(G4)의 회전에 의해 의약품위치이동부(120)는 무한궤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6 평기어(G6)가 회전되면, 상기 제6 평기어(G6)의 회전에 의해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피니언 기어(P)도 회전되게 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P)의 회전에 의해 링기어(R)도 기준축(X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P)와 상기 링기어(R)는 베벨기어일 수 있으며, 상기 링기어(R)의 회전에 의해 접촉회전부(245)은 기준축(X1) 및 가변축(X2)을 회전축으로 하여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 및 접촉회전부(136)는 외력인가부(F)에 의해 제공되는 동일한 구동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이동에 의해 의약품(M)은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과하여 불출구(S2)를 향해 낙하게 된다.
다만,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 및 접촉회전부(136)의 위치 이동은 반드시 앞서 언급한 기어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기어 또는 타이밍 벨트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낙하방지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위치 이동에 의해 직립된 상태의 의약품(M)이 불출구(S2)로 낙하하게 되면, 낙하방지부(140)는 구동부(160)의 구동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차회 수취될 의약품(M)의 위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6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부(160)와 연결되는 제1 링크부(16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링크부(164)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링크부(162)와 연결된 제2 링크부(164)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링크부(164)가 회전하면, 상기 제2 링크부(164)와 연결된 낙하방지부(140)는 폭 방향으로 이동되어 의약품진입공간(S3)과 불출구(S2) 사이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과한 의약품(M)이 상기 불출구(S2)를 통해 불출되면, 상기 제1 링크부(1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방지부(140)는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과 상기 불출구(S2)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여 차회 낙하할 의약품(M)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진입공간규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진입공간규정부(130)는 본체부(110)에 고정되는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 및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는 의약품(M)을 의약품진입공간(S3)으로 안내하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 및 상기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는 각각 상기 접촉회전부(136)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축(X1) 및 가변축(X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축(X1) 및 상기 가변축(X2)은 각각 기준롤러(R1) 및 가변롤러(R2)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접촉회전부(136)는 상기 기준롤러(R1) 및 상기 가변롤러(R2)와 접촉될 수 있으며, 링기어(R)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준축(X1) 및 상기 기준롤러(R1)가 회전되면, 연동되어 무한궤도롤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접촉회전부(136)는 탄성을 구비하는 벨트부(136a) 및 상기 벨트부(136a)에 접촉된 의약품(M)을 의약품진입공간(S3)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벨트부(136a)로부터 복수개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136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 및 상기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 중 어느 하나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Y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수용부(Y1)에 삽입되어 상기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를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Y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Y1) 및 상기 삽입부(Y2)는 각각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 및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Y1)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의약품진입공간(S3)의 크기 조절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상태의 진입공간규정부(130)에서 가변진입공간규정부(134)를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로부터 분리하여 도 12에 도시된 상태로 한 후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시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132)에 장착하는 과정을 통해 의약품진입공간(S3)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제공되는 상태변화유도부 및 상태변화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는 의약품(M)이 의약품진입공간(S3)을 통해 불출구(S2)를 향해 낙하하면, 낙하된 의약품(M)은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상태변화유도부(114)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불출구(S2)를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는 위치 이동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는 의약품(M)을 상기 불출구(S2)를 향해 하단부가 회전 중심이 되도록 상단부를 회전시켜 상기 불출구(S2)를 향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낙하되는 의약품(M)의 상기 상단부는 상기 상태변화유도부(114)에 접촉되어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변화유도부(114)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로부터 상기 불출구(S2)를 향해 낙하하는 의약품(M)의 상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낙하하는 의약품(M)이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불출구(S2)를 통과하도록 상기 불출구(S2)의 상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을 향하여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와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변화유도부(114)는 의약품진입공간(S3)과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의약품진입공간(S3)으로부터 상기 불출구(S2)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낙하하는 의약품(M)의 상단부가 상태변화유도부(114)에 접촉되어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유도되면, 상기 낙하하는 의약품(M)의 하단부는 상태변화지지부(116)에 의해 지지된 채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변화지지부(116)는 상기 불출구(S2)와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 방향이 다른 복수의 지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변화지지부(116)는 제1 지지면(116a) 내지 제5 지지면(116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지지면(116c), 제4 지지면(116d) 및 제5 지지면(116e)은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M)이 상기 불출구(S2)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지면(116c), 제4 지지면(116d) 및 제5 지지면(116e)의 경사의 정도는 동일할 수 있으나,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지지면(116a) 및 상기 제2 지지면(116b)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면(116a) 및 상기 제2 지지면(116b)은 경사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면(116a)은 상기 제2 지지면(116b)보다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M)이 상기 불출구(S2)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에 따른 종방향 단면의 경사도가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을 따라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의약품위치이동부(120)로부터 낙하하는 의약품(M)의 하단부는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지지면(116a) 및 제2 지지면(116b)으로 인해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결국, 직립된 상태로 의약품위치이동부(120)에 위치하는 의약품(M)은 눕혀진 상태로 불출구(S2)를 통과할 수 있다.
의약품위치이동부(120)로부터 낙하하는 의약품(M)의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유도되는 정도는 더 작을 수 있으며, 상단부보다 먼저 불출구(S2)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의약품(M)을 직립된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가 의약품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의약품위치이동부(120), 진입공간규정부(130) 및 낙하방지부(140)의 동작에 의해 의약품(M)이 불출구(S2)를 향해 낙하될 수 있다.
낙하된 의약품(M)은 별도의 장치 없이 상태변화유도부(114) 및 상태변화지지부(116)에 의해 상단부가 하단부를 기준으로 내부공간(S1)의 내측 방향(I)으로 회전되게 되어 눕혀진 상태로 불출구(S2)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의약품 불출 장치
110: 본체부
120: 의약품위치이동부
130: 진입공간규정부
140: 낙하방지부

Claims (23)

  1.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불출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의약품이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의약품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해 낙하하는 의약품이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 상태변화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는,
    상기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을 상기 불출구를 향해 하단부가 회전 중심이 되도록 상기 상단부를 회전시켜 상기 불출구를 향해 낙하되도록 하며,
    상기 상태변화유도부는,
    상기 회전된 상기 상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상단부를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유도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와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유도부는,
    상기 낙하하는 의약품의 상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불출구의 상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낙하하는 의약품의 하단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불출구와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단부를 지지하는 상태변화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지지부는,
    경사 방향이 다른 복수의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지지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지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은,
    경사의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은,
    상기 제2 지지면보다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에 따른 종방향 단면의 경사도가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유도부 및 상기 상태변화지지부는,
    낙하하는 의약품의 하단부가 상기 상단부보다 먼저 상기 불출구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해 의약품이 낙하하는 경우, 차회에 낙하할 의약품의 낙하를 차단하는 낙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해 의약품이 낙하하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영역과 상기 불출구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며, 상기 낙하한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통과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영역과 상기 불출구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과 상기 불출구가 연통되는 공간인 의약품진입공간을 규정하며, 상기 의약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영역에 위치한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향해 위치 이동시키는 진입공간규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공간규정부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기준진입공간규정부, 상기 기준진입공간규정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진입공간규정부 및 상기 영역에 위치한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으로 안내하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유도부는,
    상기 의약품진입공간과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으로부터 상기 불출구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벽 중 상기 의약품진입공간과 대응되는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에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의약품을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향하여 유도되도록 하는 의약품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유도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향해 이동되는 의약품의 정렬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통과하는 의약품의 병목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벽 중 상기 의약품진입공간과 대응되는 측벽에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의약품위치이동부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이 상기 불출구를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보다 경사도가 완만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의약품진입공간을 통과하는 의약품의 병목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된 상태로 위치하는 의약품의 수와 대응되게 상기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영역에 직립된 상태로 위치한 상기 의약품의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높이를 규정하는 높이규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규정부는,
    적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높이규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KR1020150100774A 2015-07-16 2015-07-16 의약품 불출 장치 KR10245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774A KR102458354B1 (ko) 2015-07-16 2015-07-16 의약품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774A KR102458354B1 (ko) 2015-07-16 2015-07-16 의약품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188A true KR20170010188A (ko) 2017-01-26
KR102458354B1 KR102458354B1 (ko) 2022-10-26

Family

ID=5799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774A KR102458354B1 (ko) 2015-07-16 2015-07-16 의약품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542A (ko) * 2020-11-16 2022-05-24 조병진 약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한약재 자동 토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8A (ja) * 1992-06-21 1994-01-11 Laurel Bank Mach Co Ltd 包装硬貨の搬送方向変換装置
JPH09147168A (ja) * 1995-11-24 1997-06-06 Laurel Bank Mach Co Ltd 釣銭作成装置
JP2010163263A (ja) * 2009-01-16 2010-07-29 Koyo Automatic Machine Co Ltd 不安定容器の供給装置
JP2011521344A (ja) * 2008-05-14 2011-07-21 エンネ エ ドッピオヴゥ グローバル ヴェンディング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製品自動販売機
JP2015073908A (ja) * 2013-10-11 2015-04-20 ジェイヴィエム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Jvm Co., Ltd. 薬品払出デバイス
KR20150042398A (ko) * 2013-10-11 2015-04-21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불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8A (ja) * 1992-06-21 1994-01-11 Laurel Bank Mach Co Ltd 包装硬貨の搬送方向変換装置
JPH09147168A (ja) * 1995-11-24 1997-06-06 Laurel Bank Mach Co Ltd 釣銭作成装置
JP2011521344A (ja) * 2008-05-14 2011-07-21 エンネ エ ドッピオヴゥ グローバル ヴェンディング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製品自動販売機
JP2010163263A (ja) * 2009-01-16 2010-07-29 Koyo Automatic Machine Co Ltd 不安定容器の供給装置
JP2015073908A (ja) * 2013-10-11 2015-04-20 ジェイヴィエム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Jvm Co., Ltd. 薬品払出デバイス
KR20150042398A (ko) * 2013-10-11 2015-04-21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불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542A (ko) * 2020-11-16 2022-05-24 조병진 약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한약재 자동 토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354B1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668B1 (ko) 정제분포기용 정제공급장치.
US9511000B2 (en) Medicine feeding device and a medicine counting device using the medicine feeding device
CN100415608C (zh) 药品供给装置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5819500A (en) Medication packaging apparatus
RU2700922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дач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в автоматическом устройстве дозирова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KR100787810B1 (ko) 카세트락킹부를 갖는 반자동 약제 포장기
KR20150014269A (ko)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CN105491989A (zh) 药品盒及药品包装装置
KR20170010188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80055584A (ko) 복용알람 및 알약 자동토출 약통
KR20160068769A (ko) 약제 충전 장치
KR2017013483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2017004978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101652172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JP6924463B1 (ja) 汎用錠剤放出装置、汎用錠剤放出装置を有する薬剤分包機
KR20140049432A (ko) 블리스터 포장 약제 불출 박스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101825733B1 (ko) 작은 입자 약제 이송기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KR200247470Y1 (ko) 정제및산제자동포장기용정제및산제분포장치
KR20150042397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60074041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60065376A (ko) 약제 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