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172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172A
KR20170010172A KR1020150100559A KR20150100559A KR20170010172A KR 20170010172 A KR20170010172 A KR 20170010172A KR 1020150100559 A KR1020150100559 A KR 1020150100559A KR 20150100559 A KR20150100559 A KR 20150100559A KR 20170010172 A KR20170010172 A KR 2017001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ixel reg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534B1 (ko
Inventor
강대일
배효대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5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6
    • H01L27/3211
    • H01L27/3246
    • H01L27/3248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층의 두께 균일성을 향상시켜 휘도 불균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 상의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제1전극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 상의 화소영역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와, 제1뱅크 가장자리부를 노출하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를 포함하고, 화소영역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뱅크는 제1뱅크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층의 두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OL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연구되며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3a는 화소영역에 유기발광물질용액이 드로핑(dropping)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 및 도 3b는 각각 도 2a 및 도 3a의 유기발광물질용액이 건조되어 유기발광층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화소영역(P)을 포함하는 기판(11)과, 기판(11) 상의 화소영역(P)에 배치되는 제1전극(20)과, 제1전극(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11) 상의 화소영역(P)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30)와, 제1뱅크(30) 가장자리부를 노출시키며 제1뱅크(30)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50)를 포함한다.
또한, 제1전극(20)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뱅크(30)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뱅크(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전극(20) 상부에 유기발광층(95a, 95b)이 형성되는데, 유기발광층(95a, 95b)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영역(P)의 제1전극(2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을 드롭핑(dropping)한 후,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을 건조하여 유기발광층(95a, 95b)을 형성한다.
이 때, 화소영역(P)에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이 드롭핑(dropping)되면,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화소영역(P)의 중심부로 갈수록 그 주위에 더 많은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환경은 화소영역(P)의 각 위치마다 다르게 된다.
즉,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의 건조 과정 중, 화소영역(P)의 중심부에서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의 건조 과정 후 유기발광층(95a, 95b)의 두께는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화소영역(P)의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불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유기발광층(95a, 95b)으로 인해 휘도 불균일 현상이 발생되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고해상도 및 대면적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많은 회로소자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회로소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화소영역(P) 경계부에 배치된다.
이 때, 회로소자들이 차지하는 화소영역(P) 경계부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이 커져야 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단변 가장자리부는 그 주위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과의 거리 즉 서로 이웃한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93a, 93b)과의 거리가 더 멀어지게 되고, 화소영역(P)의 장축방향으로 형성된 유기발광층(95a, 95b)의 두께 균일성은 화소영역(P)의 단축방향으로 형성된 유기발광층(95a, 95b)의 두께 균일성 보다 더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발광층의 두께 균일성을 향상시켜 휘도 불균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 상의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제1전극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 상의 상기 화소영역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과, 제1뱅크 가장자리부를 노출하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를 포함하고, 화소영역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뱅크는 제1뱅크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화소영역의 장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뱅크는 제1뱅크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1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 상부에 화소영역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3뱅크를 더 포함하하고, 제3뱅크에 의해 화소영역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및 제3뱅크 사이의 제1뱅크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2 및 제3개구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1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 상부에 화소영역의 장변 및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3뱅크를 더 포함하고, 제3뱅크에 의해 화소영역의 장변 및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및 제3뱅크 사이의 제1뱅크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2 및 제3개구부를 구비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의 단변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의 장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다.
또한, 제3뱅크는 화소영역의 단변 마다 이격된다.
또한, 제3뱅크는 화소영역의 단변 및 장변 마다 이격된다.
또한, 제2 및 제3뱅크는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또한, 제1뱅크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 및 제3뱅크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1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며 적색, 녹색 및 청색이 혼합된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며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층의 두께 균일성 저하로 인한 휘도 불균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화소영역(P) 경계부에 배치되는 회로소자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Ⅵ-Ⅵ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Ⅷ-Ⅷ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Ⅸ-Ⅸ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ⅩⅠ-Ⅹ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ⅩⅡ-Ⅹ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ⅩⅣ-Ⅹ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3의 ⅩⅤ-Ⅹ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Ⅵ-Ⅵ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6a는 화소영역에 유기발광물질용액이 드로핑(dropping)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 및 도 6b는 각각 도 5a 및 도 6a의 유기발광물질용액이 건조되어 유기발광층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화소영역(P)을 포함하는 기판(101)과, 기판(101) 상의 화소영역(P)에 배치되는 제1전극(120)과, 제1전극(1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101) 상의 화소영역(P)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130)와, 제1뱅크(130) 가장자리부를 노출시키며 제1뱅크(130)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150)를 포함한다.
특히, 제2뱅크(150)는 제1뱅크(130)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1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화소영역(P)의 단변 및 장변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제2뱅크(150)가 모두 제1개구부(135)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화소영역(P)의 단변 및 장변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제2뱅크(150) 중 어느 하나만 제1개구부(135)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전극(120)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 예를 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뱅크(130)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 예를 들면 SiO2, SiNx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2뱅크(1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poly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A),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화소영역(P)의 제1전극(1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표시하는 유기발광층(195a, 195b,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때, 유기발광층(195a, 195b, 미도시)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화소영역(P)의 제1전극(1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 한 후, 건조 과정을 거쳐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표시하는 유기발광층(195a, 195b, 미도시)을 형성한다.
특히, 다수의 화소영역(P)의 제1전극(1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할 때, 제1개구부(1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상부에도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한다.
이 때, 제1개구부(1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상부에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을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제1개구부(135)의 폭은 드롭핑(dropping)되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 방울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제1개구부(1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상부에 위치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은 혼합되게 되고, 제1개구부(1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상부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이 혼합된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이 건조되면, 제1개구부(1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이 혼합된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층(195d)이 형성된다.
또한, 제2뱅크(1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과 제1개구부(1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상부에 위치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개구부(1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상부에 위치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으로 인하여,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는 그 주위에 화소영역(P)의 중심부와 비슷한 양의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 및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193d)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화소영역(P)의 각 위치마다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환경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즉,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의 건조 과정 중, 화소영역(P)의 중심부와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속도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유기발광물질용액(193a, 193b, 미도시)이 건조되면, 유기발광층(195a, 195b, 미도시)의 두께는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화소영역(P)의 중심부까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유기발광층(195a, 195b, 미도시)으로 인해 휘도 불균일 현상을 방지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기발광층(195a, 195b, 미도시) 및 제2뱅크(150) 상부에 제2전극(미도시)이 배치된다.
이 때, 제2전극(미도시)은 캐소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101) 상부 및 제1전극(120) 하부에 배치되어 제1전극(120)과 연결되는 구동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Ⅷ-Ⅷ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Ⅸ-Ⅸ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도 9a는 화소영역에 유기발광물질용액이 드로핑(dropping)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 및 도 9b는 각각 도 8a 및 도 9a의 유기발광물질용액이 건조되어 유기발광층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화소영역(P)을 포함하는 기판(201)과, 기판(201) 상의 화소영역(P)에 배치되는 제1전극(220)과, 제1전극(2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201) 상의 화소영역(P)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230)와, 제1뱅크(230) 가장자리부를 노출시키며 제1뱅크(230)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250)를 포함한다.
특히, 제2뱅크(250)는 제1뱅크(230)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235)를 구비하며, 제1개구부(2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배치되는 제3뱅크(27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3뱅크(270)에 의해 제2 및 제3뱅크(250, 270) 사이의 제1뱅크(230)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2 및 제3개구부(237, 239)가 구비된다.
한편, 도면에는 화소영역(P)의 단변 및 장변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제2뱅크(250)가 모두 제1개구부(235)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화소영역(P)의 단변 및 장변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제2뱅크(250) 중 어느 하나만 제1개구부(23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뱅크(270)도 화소영역(P)의 단변 및 장변을 따라 모두 배치될 수 있지만, 화소영역(P)의 단변 또는 장변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개구부(237, 239)도 화소영역(P)의 단변 및 장변을 따라 모두 형성될 수 있지만, 화소영역(P)의 단변 또는 장변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3뱅크(270)는 화소영역(P)의 단변 및/또는 장변 마다 서로 이격되며, 제3뱅크(270)의 이격된 영역에는 제1개구부(235)에 의해 제1뱅크(230)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3개구부(237, 239)는 제1개구부(235)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1전극(220)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 예를 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뱅크(230)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 예를 들면 SiO2, SiNx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2뱅크(2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poly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A),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화소영역(P)의 제1전극(2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표시하는 유기발광층(295a, 295b,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때, 유기발광층(295a, 295b, 미도시)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화소영역(P)의 제1전극(2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한 후, 건조 과정을 거쳐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표시하는 유기발광층(295a, 295b, 미도시)을 형성한다.
특히, 다수의 화소영역(P)의 제1전극(2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한 이 후, 제1 내지 제3개구부(235, 237, 2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도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을 드롭핑(dropping)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개구부(235, 237, 2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이 건조되면, 제1 내지 제3개구부(235, 237, 2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층(295d)이 형성된다.
한편, 제2 및 제3개구부(237, 239)의 폭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제2 및 제3개구부(237, 2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을 드롭핑(dropping)할 경우,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이 제1뱅크(230) 상부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개구부(235)의 폭을 제2 및 제3개구부(237, 239)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1개구부(2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을 드롭핑(dropp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화소영역(P)의 단변 및/또는 장변 마다 제3뱅크(270)의 이격된 영역 즉, 제1개구부(2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을 드롭핑(dropping)한다.
이 때, 제1개구부(2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을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제1개구부(235)의 폭은 드롭핑(dropping)되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 방울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제1개구부(2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위치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은 제2 및 제3개구부(237, 239)를 따라 흐르게 됨에 따라, 제2 및 제3개구부(237, 2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까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 및 제3뱅크(250, 27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과 제1 내지 제3개구부(235, 237, 2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위치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제2 및 제3뱅크(250, 270)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패터닝 과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회로소자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회로소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화소영역(P) 경계부의 제1전극(220) 하부에 배치된다.
이 때, 화소영역(P)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3뱅크(270)는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회로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개구부(235, 237, 2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상부에 위치하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으로 인하여,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는 그 주위에 화소영역(P)의 중심부와 비슷한 양의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 및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293d)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화소영역(P)의 각 위치마다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환경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즉,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의 건조 과정 중, 화소영역(P)의 중심부와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속도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유기발광물질용액(293a, 293b, 미도시)의 건조되면, 유기발광층(295a, 295b, 미도시)의 두께는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화소영역(P)의 중심부까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유기발광층(295a, 295b, 미도시)으로 인해 휘도 불균일 현상을 방지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기발광층(295a, 295b, 미도시) 및 제2 및 제3뱅크(250, 270) 상부에 제2전극(미도시)이 배치된다.
이 때, 제2전극(미도시)은 캐소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201) 상부 및 제1전극(220) 하부에 배치되어 제1전극(220)과 연결되는 구동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제 3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ⅩⅠ-Ⅹ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ⅩⅡ-Ⅹ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 및 도 12a는 화소영역에 유기발광물질용액이 드로핑(dropping)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 및 도 12b는 각각 도 11a 및 도 12a의 유기발광물질용액이 건조되어 유기발광층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화소영역(P)을 포함하는 기판(301)과, 기판(301) 상의 화소영역(P)에 배치되는 제1전극(320)과, 제1전극(3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301) 상의 화소영역(P)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330)와, 제1뱅크(330) 가장자리부를 노출시키며 제1뱅크(330)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350)를 포함한다.
특히, 화소영역(P)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뱅크(350)는 제1뱅크(330)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3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전극(320)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 예를 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뱅크(330)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 예를 들면 SiO2, SiNx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2뱅크(3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poly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A),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화소영역(P)의 제1전극(3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표시하는 유기발광층(395a, 395b,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때, 유기발광층(395a, 395b, 미도시)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화소영역(P)의 제1전극(3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 한 후, 건조 과정을 거쳐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표시하는 유기발광층(395a, 395b, 미도시)을 형성한다.
한편, 고해상도 및 대면적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더 많은 회로소자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회로소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화소영역(P) 경계부의 제1전극(320) 하부에 배치된다.
이 때, 회로소자들이 차지하는 화소영역(P) 경계부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이 커져야 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단변 가장자리부는 그 주위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과의 거리 즉 서로 이웃한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과의 거리가 더 멀어지게 되고, 화소영역(P)의 장축방향으로 형성된 유기발광층(395a, 395b, 미도시)의 두께 균일성은 화소영역(P)의 단축방향으로 형성된 유기발광층(395a, 395b, 미도시)의 두께 균일성 보다 더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달리 고해상도 및 대면적을 가짐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W2)이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장변 사이의 간격(W1)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W1<W2)
구체적으로, 다수의 화소영역(P)의 제1전극(3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할 때, 제1개구부(3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330) 상부에도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393d)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W2)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제1개구부(335)의 폭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롭핑(dropping)되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393d)이 제1개구부(3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330) 상부에 용이하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개구부(3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330) 상부에 위치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393d)은 혼합되게 되고, 제1개구부(3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330) 상부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이 혼합된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393d)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393d)이 건조되면, 제1개구부(3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33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이 혼합된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층(395d)이 형성된다.
또한, 제2뱅크(3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과 제1개구부(3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330) 상부에 위치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393d)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개구부(3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330) 상부에 위치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393d)으로 인하여, 화소영역(P)의 단변 가장자리부는 그 주위에 화소영역(P)의 중심부와 비슷한 양의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 및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393d)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고해상도 및 대면적을 가지며,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장변 사이의 간격(W1)이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W2)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기 때문에, 화소영역(P)의 장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뱅크(350)는 제1뱅크(330)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335)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각 위치마다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환경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즉,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의 건조 과정 중, 화소영역(P)의 중심부와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속도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유기발광물질용액(393a, 393b, 미도시)이 건조되면, 유기발광층(395a, 395b, 미도시)의 두께는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화소영역(P)의 중심부까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유기발광층(395a, 395b, 미도시)으로 인해 휘도 불균일 현상을 방지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기발광층(395a, 395b, 미도시) 및 제2뱅크(350) 상부에 제2전극(미도시)이 배치된다.
이 때, 제2전극(미도시)은 캐소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301) 상부 및 제1전극(320) 하부에 배치되어 제1전극(320)과 연결되는 구동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제 4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ⅩⅣ-Ⅹ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도 13의 ⅩⅤ-Ⅹ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a 및 도 15a는 화소영역에 유기발광물질용액이 드로핑(dropping)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b 및 도 15b는 각각 도 14a 및 도 15a의 유기발광물질용액이 건조되어 유기발광층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화소영역(P)을 포함하는 기판(401)과, 기판(401) 상의 화소영역(P)에 배치되는 제1전극(420)과, 제1전극(4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401) 상의 화소영역(P)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430)와, 제1뱅크(430) 가장자리부를 노출시키며 제1뱅크(430)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450)를 포함한다.
특히, 화소영역(P)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뱅크(450)는 제1뱅크(430)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435)를 구비하며, 제1개구부(4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 배치되는 제3뱅크(47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3뱅크(470)에 의해 제2 및 제3뱅크(450, 470) 사이의 제1뱅크(430)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2 및 제3개구부(437, 439)가 구비된다.
또한, 제3뱅크(470)는 화소영역(P)의 단변 마다 서로 이격되며, 제3뱅크(470)의 이격된 영역에는 제1개구부(435)에 의해 제1뱅크(430)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3개구부(437, 439)는 제1개구부(435)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1전극(420)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 예를 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뱅크(430)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 예를 들면 SiO2, SiNx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2뱅크(4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poly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마이드(PA),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화소영역(P)의 제1전극(4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표시하는 유기발광층(495a, 495b,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때, 유기발광층(495a, 495b, 미도시)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또는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의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화소영역(P)의 제1전극(4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한 후, 건조 과정을 거쳐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표시하는 유기발광층(495a, 495b, 미도시)을 형성한다.
한편, 고해상도 및 대면적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더 많은 회로소자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회로소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화소영역(P) 경계부의 제1전극(420) 하부에 배치된다.
이 때, 회로소자들이 차지하는 화소영역(P) 경계부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이 커져야 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단변 가장자리부는 그 주위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과의 거리 즉 서로 이웃한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과의 거리가 더 멀어지게 되고, 화소영역(P)의 장축방향으로 형성된 유기발광층(495a, 495b, 미도시)의 두께 균일성은 화소영역(P)의 단축방향으로 형성된 유기발광층(495a, 495b, 미도시)의 두께 균일성 보다 더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달리 고해상도 및 대면적을 가짐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W2)이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장변 사이의 간격(W1)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W1<W2)
구체적으로, 다수의 화소영역(P)의 제1전극(420) 상부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성분을 갖는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드롭핑(dropping)한 이 후, 제1 내지 제3개구부(435, 437, 4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도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을 드롭핑(dropping)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개구부(435, 437, 4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이 건조되면, 제1 내지 제3개구부(435, 437, 4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층(295d)이 형성된다.
한편, 제2 및 제3개구부(437, 439)의 폭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제2 및 제3개구부(437, 4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을 드롭핑(dropping)할 경우,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이 제1뱅크(430) 상부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개구부(435)의 폭을 제2 및 제3개구부(437, 439)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1개구부(4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을 드롭핑(dropp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화소영역(P)의 단변 마다 제3뱅크(470)의 이격된 영역 즉, 제1개구부(4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을 드롭핑(dropping)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W2)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제1개구부(435)의 폭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개구부(435)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 위치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은 제2 및 제3개구부(437, 439)를 따라 흐르게 됨에 따라, 제2 및 제3개구부(437, 4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까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 및 제3뱅크(450, 47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소영역(P)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과 제1 내지 제3개구부(435, 437, 4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 위치한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제2 및 제3뱅크(450, 470)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패터닝 과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회로소자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회로소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화소영역(P) 경계부의 제1전극(420) 하부에 배치된다.
이 때, 화소영역(P)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3뱅크(470)는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회로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개구부(435, 437, 439)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430) 상부에 위치하는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으로 인하여, 화소영역(P)의 단변 가장자리부는 그 주위에 화소영역(P)의 중심부와 비슷한 양의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 및 더미유기발광물질용액(493d)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고해상도 및 대면적을 가지며,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장변 사이의 간격(W1)이 서로 이웃하는 화소영역(P)의 단변 사이의 간격(W2)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기 때문에, 화소영역(P)의 장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2뱅크(450)는 제1뱅크(430)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435)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각 위치마다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환경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즉,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의 건조 과정 중, 화소영역(P)의 중심부와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속도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소영역(P)의 유기발광물질용액(493a, 493b, 미도시)의 건조되면, 유기발광층(495a, 495b, 미도시)의 두께는 화소영역(P)의 가장자리부에서 화소영역(P)의 중심부까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유기발광층(495a, 495b, 미도시)으로 인해 휘도 불균일 현상을 방지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기발광층(495a, 495b, 미도시) 및 제2 및 제3뱅크(450, 470) 상부에 제2전극(미도시)이 배치된다.
이 때, 제2전극(미도시)은 캐소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401) 상부 및 제1전극(420) 하부에 배치되어 제1전극(420)과 연결되는 구동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101 : 기판
120 : 제1전극
130 : 제1뱅크
150 : 제2뱅크
193a, 193b : 유기발광층
193d : 더미유기발광층

Claims (12)

  1.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화소영역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1뱅크;
    상기 제1뱅크 가장자리부를 노출하며 상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영역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제2뱅크는 상기 제1뱅크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영역의 장변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제2뱅크는 상기 제1뱅크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제1개구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뱅크 상부에 상기 화소영역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3뱅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뱅크에 의해 상기 화소영역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제2 및 제3뱅크 사이의 상기 제1뱅크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2 및 제3개구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뱅크 상부에 상기 화소영역의 장변 및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제3뱅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뱅크에 의해 상기 화소영역의 장변 및 단변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제2 및 제3뱅크 사이의 상기 제1뱅크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2 및 제3개구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화소영역의 단변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화소영역의 장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뱅크는 상기 화소영역의 단변 마다 서로 이격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뱅크는 상기 화소영역의 단변 및 장변 마다 서로 이격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뱅크는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뱅크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3뱅크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
    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며 적색, 녹색 및 청색이 혼합된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층
    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2.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며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성분을 갖는 더미유기발광층
    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150100559A 2015-07-15 2015-07-15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52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59A KR102523534B1 (ko) 2015-07-15 2015-07-15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59A KR102523534B1 (ko) 2015-07-15 2015-07-15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172A true KR20170010172A (ko) 2017-01-26
KR102523534B1 KR102523534B1 (ko) 2023-04-19

Family

ID=5799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559A KR102523534B1 (ko) 2015-07-15 2015-07-15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5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10A (ko) * 2017-12-07 2019-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79121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491A (ja) * 2000-11-09 2002-07-26 Toshiba Corp 自己発光型表示装置
JP2004319119A (ja) * 2003-04-11 2004-11-1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41836A (ko) * 2003-10-30 2005-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51550A (ko) * 2003-11-27 2005-06-0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반도체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이들의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JP2005276479A (ja) * 2004-03-23 2005-10-0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070050722A (ko) * 2005-11-12 2007-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38456A (ja) * 2008-03-26 2009-10-15 Casio Comput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JP2010073700A (ja) * 2007-12-28 2010-04-02 Panasonic Corp 有機elデバイス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10086704A (ja) * 2008-09-30 2010-04-15 Nippon Seiki Co Ltd 有機elパネル
JP2011181304A (ja) * 2010-03-01 2011-09-15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4163A (ko) * 2010-07-06 2012-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206738A (ja) * 2012-03-28 2013-10-07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3567A (ko) * 2013-07-01 2015-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7612A (ko) * 2013-08-07 2015-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491A (ja) * 2000-11-09 2002-07-26 Toshiba Corp 自己発光型表示装置
JP2004319119A (ja) * 2003-04-11 2004-11-1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41836A (ko) * 2003-10-30 2005-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51550A (ko) * 2003-11-27 2005-06-0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반도체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이들의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JP2005276479A (ja) * 2004-03-23 2005-10-0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070050722A (ko) * 2005-11-12 2007-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073700A (ja) * 2007-12-28 2010-04-02 Panasonic Corp 有機elデバイス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9238456A (ja) * 2008-03-26 2009-10-15 Casio Comput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JP2010086704A (ja) * 2008-09-30 2010-04-15 Nippon Seiki Co Ltd 有機elパネル
JP2011181304A (ja) * 2010-03-01 2011-09-15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4163A (ko) * 2010-07-06 2012-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206738A (ja) * 2012-03-28 2013-10-07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3567A (ko) * 2013-07-01 2015-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7612A (ko) * 2013-08-07 2015-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10A (ko) * 2017-12-07 2019-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79121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534B1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577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1682120A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KR20170052766A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KR2017000384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966000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rray substrat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US909940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KR2009004951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240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US20160293670A1 (en) Amole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7795800B2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3009318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57446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GB257519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10085331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1008617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622412B2 (en) Display panel
KR20130067593A (ko) 유기발광소자
KR10252353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70080288A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KR10229350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박막 증착용 마스크
KR10178000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59371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CN111354762B (zh) 像素结构、显示器件及蒸镀掩膜版
KR2016003817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증착 마스크
KR20170021422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