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711B1 -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711B1
KR102593711B1 KR1020150189782A KR20150189782A KR102593711B1 KR 102593711 B1 KR102593711 B1 KR 102593711B1 KR 1020150189782 A KR1020150189782 A KR 1020150189782A KR 20150189782 A KR20150189782 A KR 20150189782A KR 102593711 B1 KR102593711 B1 KR 10259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border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336A (ko
Inventor
김강현
양기섭
이아령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7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 이상의 화소영역을 포함하고, 각 화소영역 사이에 제1화소영역 경계부와 제1화소영역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화소영역 경계부가 배치되는 기판과,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와, 제1뱅크 가장자리부를 노출하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를 포함한다.
이 때, 제1화소영역 경계부에 위치하는 제2뱅크는 제1뱅크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층의 두께 균일성을 향상시켜 휘도 불균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층의 두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OL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연구되며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포함하는 기판(11)과, 기판(11)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17)과, 보호층(17) 상부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에 각각 배치되는 제1전극(20)과, 제1전극(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보호층(17) 상부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뱅크(50)를 포함한다.
또한, 기판(11) 상에 각각 배치되는 구동전압배선(13) 및 데이터배선(15)을 더 포함하며, 보호층(17)은 구동전압배선(13) 및 데이터배선(15)을 덮으며 기판(11) 상에 배치된다.
한편,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구동전압배선(13)을 통해 다수의 화소영역(P1~P3)에 구동전압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전압 강하가 발생되어 표시품질이 저하된다.
위와 같은 구동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폭을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보호층(17)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동전압배선(13)을 배치하고,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보호층(17)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데이터배선(15)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폭에 대응하여 구동전압배선(13)의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구현하더라도 구동전압 강하를 최소화하여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각 화소영역(P1~P3) 사이의 경계부(B1, B2)에 형성되는 뱅크(50)의 폭도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서 더 크게 형성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하측에는 각 화소영역(P1~P3)을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배치되고, 구동부(미도시) 상부에는 뱅크(50)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화소영역(P1~P3)의 단축방향 보다 장축방향에 위치한 뱅크(50)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한편, 제1전극(20) 상부에는 유기발광층(70a~70c)이 형성되는데, 유기발광층(70a~70c)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및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을 포함하는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2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드롭핑(dropping)한 후,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건조하여 유기발광층(70a~70c)을 형성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뱅크(50)의 폭은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서 더 크고,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단축 방향 보다 장축방향 위치에서 더 크다.
이에 따라, 각 화소영역(P1~P3)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드롭핑(dropping)되면,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를 사이에 두고 이와 인접한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일측에 각각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환경은,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를 사이에 두고 이와 인접한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일측에 각각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환경과 다르다.
즉,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에서,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일측에 각각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속도는,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일측에 각각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속도 보다 더 빠르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 후, 제3화소영역(P3)과 달리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70a, 70b)의 두께는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 인접할 수록 두꺼워진다.
또한, 각 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증발환경은, 단축방향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증발환경과 다르다.
즉,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에서, 각 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증발 속도는, 단축방향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증발속도 보다 더 빠르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 후,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70a~70c)의 두께는, 각 화소영역(P1~P3)의 단축방향 보다 장축방향에서 더 두꺼워진다.
이와 같이, 불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유기발광층(70a~70c)은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저하시키고,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발광층의 두께 균일성을 향상시켜 휘도 불균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 이상의 화소영역을 포함하고, 각 화소영역 사이에 제1경계부와 제1경계부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경계부가 배치되는 기판과,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와, 제1뱅크 가장자리부를 노출하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제1경계부에 위치하는 제2뱅크는 제1뱅크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거나, 제2뱅크에 의해 노출되는 제1뱅크 가장자리부는 제2경계부 보다 제1경계부에서 더 큰 폭을 갖는다.
또한, 제2뱅크에 의해 노출되는 제1뱅크 가장자리부는 각 화소영역의 단축방향 보다 장축방향 위치에서 더 큰 폭을 가지며, 제1경계부의 제1뱅크는 제2경계부의 제1뱅크 보다 큰 폭을 갖는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 이상의 화소영역을 포함하고, 각 화소영역 사이에 제1경계부와 제1경계부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경계부가 배치되는 기판과,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과, 보호층 상부의 각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보호층 상부의 각 화소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뱅크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제1경계부에 위치하는 뱅크는 보호층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층의 두께 균일성 저하로 인한 휘도 불균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Ⅳa-Ⅳ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Ⅳb-Ⅳ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Ⅵa-Ⅵ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Ⅵb-Ⅵ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Ⅳa-Ⅳ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Ⅳb-Ⅳ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포함하는 기판(101)과, 기판(101) 상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에 각각 배치되는 제1전극(120)과, 제1전극(1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101) 상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130)와, 제1뱅크(130) 가장자리부(E1, E2)를 노출하며 제1뱅크(130)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150)를 포함한다.
이 때, 제2뱅크(150)에 의해 노출되는 제1뱅크(130) 가장자리부(E1, E2)는 각 화소영역(P1~P3)의 단축방향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E1)와 장축방향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E2)로 구분된다.
또한, 기판(101) 상에 각각 배치되는 구동전압배선(113) 및 데이터배선(115)과, 구동전압배선(113) 및 데이터배선(115)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층(117)을 더 포함하며, 제1전극(120)은 보호층(117)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구동전압배선(113)을 통해 다수의 화소영역(P1~P3)에 구동전압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전압 강하가 발생되어 표시품질이 저하된다.
위와 같은 구동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폭을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보호층(117)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동전압배선(113)을 배치하고,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보호층(117)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데이터배선(115)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폭에 대응하여 구동전압배선(113)의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구현하더라도 구동전압 강하를 최소화하여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각 화소영역(P1~P3) 사이의 경계부(B1, B2)에 형성되는 제1뱅크(130)의 폭도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서 더 크게 형성 된다.
또한, 기판(101) 상에는 화소영역이 3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일측에 제4화소영역(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제3 및 제4화소영역(P3, 미도시) 사이의 경계부의 폭은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 위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하측에는 구동트랜지스터(미도시), 스위칭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커패시터를(미도시) 포함하며 각 화소영역(P1~P3)을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배치되고, 구동부(미도시) 상부에는 제1뱅크(130)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제1뱅크(130)의 폭은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1전극(120)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뱅크(130)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뱅크(1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전극(120) 상부에는 유기발광층(170a~170c)이 형성되는데, 유기발광층(170a~170c)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및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을 포함하는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12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드롭핑(dropping)한 후,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건조하여 유기발광층(170a~170c)을 형성한다.
이 때, 제2뱅크(150)는 소수성을 가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1~P3)에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뱅크(130)는 친수성을 가짐으로써, 건조 과정에서 유기발광층(170a~170c)의 가장자리부가 제2뱅크(150)의 측벽으로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완화 시켜, 유기발광층(170a~170c)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뱅크(130)의 폭은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서 더 크고,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단축방향 보다 장축방향 위치에서 더 크다.
또한,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 위치하는 제2뱅크(150)는 제1뱅크(130) 중앙부(C)를 노출시키는 개구부(op)를 구비한다.
또한, 제2뱅크(150)에 의해 노출되는 제1뱅크(130) 가장자리부(E1, E2)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단축방향 보다 장축방향 위치에서 더 큰 폭을 갖는다.
한편,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은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120) 상부뿐만 아니라,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되는 제1뱅크(130) 중앙부(C) 상부에도 함께 드롭핑(dropping) 된다.
이 후, 건조 과정을 거치면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중앙부(C)에 더미유기발광층(171)이 형성된다.
이 때, 더미유기발광층(171)은 화상표시 시에는 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그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더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12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드롭핑(dropping)되면, 제2뱅크(150)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가장자리부(E1, E2)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뱅크(150)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130) 중앙부(C) 및 가장자리부(E1, E2)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으로 인해, 각 화소영역(P1~P3) 주변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 양은 유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에서, 각 화소영역(P1~P3)의 내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속도는 서로 유사하게 된다.
또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 후,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내에 각각 형성된 유기발광층(170a~170c)의 두께는 균일해진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도 5의 Ⅵa-Ⅵ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Ⅵb-Ⅵ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포함하는 기판(201)과, 기판(201) 상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에 각각 배치되는 제1전극(220)과, 제1전극(2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201) 상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230)와, 제1뱅크(230) 가장자리부(E1, E2)를 노출하며 제1뱅크(230)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250)를 포함한다.
이 때, 제2뱅크(250)에 의해 노출되는 제1뱅크(230) 가장자리부(E1, E2)는 각 화소영역(P1~P3)의 단축방향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E1)와 장축방향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E2)로 구분된다.
또한, 기판(201) 상에 각각 배치되는 구동전압배선(213) 및 데이터배선(215)과, 구동전압배선(213) 및 데이터배선(215)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층(217)을 더 포함하며, 제1전극(220)은 보호층(217)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구동전압배선(213)을 통해 다수의 화소영역(P1~P3)에 구동전압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전압 강하가 발생되어 표시품질이 저하된다.
위와 같은 구동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폭을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사이의 제1경계부(B1)의 보호층(217)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동전압배선(213)을 배치하고,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보호층(217)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데이터배선(215)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폭에 대응하여 구동전압배선(213)의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구현하더라도 구동전압 강하를 최소화하여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각 화소영역(P1~P3) 사이의 경계부(B1, B2)에 형성되는 제1뱅크(230)의 폭도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1경계부(B1)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2경계부(B2)에서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기판(201) 상에는 화소영역이 3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일측에 제4화소영역(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제3 및 제4화소영역(P3, 미도시) 사이의 경계부의 폭은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 위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하측에는 구동트랜지스터(미도시), 스위칭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커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하며 각 화소영역(P1~P3)을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배치되고, 구동부(미도시) 상부에는 제1뱅크(230)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제1뱅크(230)의 폭은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1전극(220)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뱅크(230)는 친수성을 갖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뱅크(250)는 소수성을 갖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전극(220) 상부에는 유기발광층(270a~270c)이 형성되는데, 유기발광층(270a~270c)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및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을 포함하는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22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드롭핑(dropping)한 후,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건조하여 유기발광층(270a~270c)을 형성한다.
이 때, 제2뱅크(250)는 소수성을 가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1~P3)에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뱅크(230)는 친수성을 가짐으로써, 건조 과정에서 유기발광층(270a~270c)의 가장자리부가 제2뱅크(250)의 측벽으로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완화 시켜, 유기발광층(270a~270c)의 두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뱅크(230)의 폭은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서 더 크고,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단축방향 보다 장축방향 위치에서 더 크다.
또한, 제2뱅크(250)에 의해 노출되는 제1뱅크(230) 가장자리부(E1, E2)는,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서 더 큰 폭을 가지며,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 위치에서 더 큰 폭을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경계부(B1, B2)에 위치하는 제2뱅크(250)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22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드롭핑(dropping)되면, 제2뱅크(250)에 의해 노출된 제1뱅크(230) 가장자리부(E1, E2)에도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퍼지게 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제1뱅크(230) 가장자리부(E2)가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제1뱅크(230) 가장자리부(E1) 보다 더 많은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뱅크(250)에 의해 노출된 가장자리부(E1, E2)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으로 인해, 각 화소영역(P1~P3) 주변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 양은 유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에서, 각 화소영역(P1~P3)의 내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속도는 서로 유사하게 된다.
또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 후,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내에 각각 형성된 유기발광층(270a~270c)의 두께는 균일해진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포함하는 기판(301)과, 기판(301) 상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에 각각 배치되는 제1전극(320)과, 제1전극(320) 가장자리부를 덮으며 기판(301) 상의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뱅크(350)를 포함한다.
또한, 기판(301) 상에 각각 배치되는 구동전압배선(313) 및 데이터배선(315)과, 구동전압배선(313) 및 데이터배선(315)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층(317)을 더 포함하며, 제1전극(320)은 보호층(317)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구동전압배선(313)을 통해 다수의 화소영역(P1~P3)에 구동전압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전압 강하가 발생되어 표시품질이 저하된다.
위와 같은 구동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폭을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보호층(317)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동전압배선(313)을 배치하고,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보호층(317)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데이터배선(315)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의 폭에 대응하여 구동전압배선(313)의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를 구현하더라도 구동전압 강하를 최소화하여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각 화소영역(P1~P3) 사이의 경계부(B1, B2)에 형성되는 뱅크(350)의 폭도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서 더 크게 형성 된다.
또한, 기판(301) 상에는 화소영역이 3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일측에 제4화소영역(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제3 및 제4화소영역(P3, 미도시) 사이의 경계부의 폭은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 위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하측에는 구동트랜지스터(미도시), 스위칭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커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하며 각 화소영역(P1~P3)을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배치되고, 구동부(미도시) 상부에는 뱅크(350)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뱅크(350)의 폭은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1전극(320)은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투명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고, 뱅크(350)는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전극(320) 상부에는 유기발광층(370a~370c)이 형성되는데, 유기발광층(370a~370c)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 및 노즐 프린팅(nozzle printing) 방식 등을 포함하는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32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드롭핑(dropping)한 후,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건조하여 유기발광층(370a~370c)을 형성한다.
이 때, 뱅크(350)는 소수성을 가짐으로써, 각 화소영역(P1~P3)에 드롭핑(dropping)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뱅크(350)의 폭은 제2 및 제3화소영역(P2, P3) 사이의 제2경계부(B2) 보다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서 더 크다.
또한,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의 제1경계부(B1)에 위치하는 뱅크(350)는 보호층(317)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를 구비한다.
한편, 각 화소영역(P1~P3)의 제1전극(320) 상부에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드롭핑(dropping) 시,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보호층(317) 상부에도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을 함께 드롭핑(dropping)한다.
이 후, 건조 과정을 거치면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보호층(317) 상부에 더미유기발광층(371)이 형성된다.
이 때, 더미유기발광층(371)은 화상표시 시에는 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그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더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각 화소영역(P1~P3) 사이의 경계부의 폭이 상이하더라도,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뱅크(350) 상부에 드롭핑(dropping) 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으로 인해, 각 화소영역(P1~P3) 주변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 양은 유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에서, 각 화소영역(P1~P3) 내에 위치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용매분자들의 증발 속도는 서로 유사하게 된다.
또한, 유기발광물질용액(미도시)의 건조 과정 후, 제1 내지 제3화소영역(P1~P3) 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370a~370c)의 두께는 균일해진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의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101 : 기판
120 : 제1전극
130 : 제1뱅크
150 : 제2뱅크
170a~170c : 유기발광층

Claims (18)

  1.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 이상의 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 사이에 제1경계부와 상기 제1경계부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경계부가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
    상기 기판 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 및
    상기 제1뱅크 가장자리부를 노출하며 상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계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뱅크는 상기 제1뱅크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경계부에만 위치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뱅크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1뱅크 가장자리부는 상기 각 화소영역의 단축방향 보다 장축방향 위치에서 더 큰 폭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계부의 상기 제1뱅크는 상기 제2경계부의 제1뱅크 보다 큰 폭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계부의 상기 제1뱅크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전압배선; 및
    상기 제2경계부의 상기 제1뱅크 하부에 배치되는 데이터배선
    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배선은 상기 개구부 하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영역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뱅크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는 더미유기발광층
    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8.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 이상의 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 사이에 제1경계부와 상기 제1경계부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경계부가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
    상기 기판 상의 상기 각 화소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뱅크; 및
    상기 제1뱅크 가장자리부를 노출하며 상기 제1뱅크 상부에 배치되는 제2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뱅크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1뱅크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2경계부 보다 상기 제1경계부에서 더 큰 폭을 갖고,
    상기 제1경계부의 상기 제1뱅크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전압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압배선의 폭은 상기 제1경계부의 상기 제1뱅크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1경계부의 상기 제2뱅크의 폭보다 큰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뱅크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1뱅크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2경계부 보다 상기 각 화소영역의 장축방향 위치에서 더 큰 폭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경계부의 상기 제2뱅크는 서로 동일한 폭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계부의 상기 제1뱅크는 상기 제2경계부의 제1뱅크 보다 큰 폭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계부의 상기 제1뱅크 하부에 배치되는 데이터배선
    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영역의 장축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뱅크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4.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 이상의 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영역 사이에 제1경계부와 상기 제1경계부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경계부가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부의 상기 각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제1전극;
    상기 보호층 상부의 상기 각 화소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계부에 위치하는 상기 뱅크는 상기 보호층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경계부에만 위치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계부의 상기 보호층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전압배선; 및
    상기 제2경계부의 상기 보호층 하부에 배치되는 데이터배선
    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배선은 상기 개구부 하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보호층 상부에 배치되는 더미유기발광층
    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압배선은 상기 유기발광층과 중첩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KR1020150189782A 2015-12-30 2015-12-30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KR10259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782A KR102593711B1 (ko) 2015-12-30 2015-12-30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782A KR102593711B1 (ko) 2015-12-30 2015-12-30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336A KR20170079336A (ko) 2017-07-10
KR102593711B1 true KR102593711B1 (ko) 2023-10-24

Family

ID=5935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782A KR102593711B1 (ko) 2015-12-30 2015-12-30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1432B (zh) * 2017-09-27 2020-05-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界定层、显示基板及制造方法、显示装置
KR20200075607A (ko) 2018-12-18 2020-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491A (ja) * 2000-11-09 2002-07-26 Toshiba Corp 自己発光型表示装置
JP2005276479A (ja) * 2004-03-23 2005-10-0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5761B2 (ja) * 2003-11-27 2011-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101686098B1 (ko) * 2010-07-06 2016-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17612A (ko) * 2013-08-07 2015-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7232B1 (ko) * 2013-12-24 2021-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39972B1 (ko) * 2013-12-31 2020-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491A (ja) * 2000-11-09 2002-07-26 Toshiba Corp 自己発光型表示装置
JP2005276479A (ja) * 2004-03-23 2005-10-0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336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53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44023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US992922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646658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42759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24053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JP6599306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KR2011001142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71688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non-straight vertical banks
KR10197230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8774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KR10259371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US20180211983A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10021629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KR10251351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658205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160060832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13130565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KR10252353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187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6884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70317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US20180294319A1 (en) Woled display device
KR20160035685A (ko) 휘도 시야각 및 색 시야각을 개선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90064011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