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171A - 전기 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171A
KR20170010171A KR1020150100553A KR20150100553A KR20170010171A KR 20170010171 A KR20170010171 A KR 20170010171A KR 1020150100553 A KR1020150100553 A KR 1020150100553A KR 20150100553 A KR20150100553 A KR 20150100553A KR 20170010171 A KR20170010171 A KR 20170010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cooking
control unit
prior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097B1 (ko
Inventor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0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진행 중에서 주기적으로 조리 진행 상태를 알리거나 과열 발생 시에 조리를 중단시키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조리물이 수용된 조리 용기가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구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화구나 조리물 또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구에 대한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제1 알람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입력에 따라 조리 진행 중임을 알리는 상기 제1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조리기{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 진행 중에서 주기적으로 조리 진행 상태를 알리거나 과열 발생 시에 조리를 중단시키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조리기는 마그네트론이나 히터 등의 가열수단에 의해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를 수행하고 조리가 완료되면, 부저음을 일정한 시간 동안(예를 들면, 10초) 발생시켜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되어 있었다. 즉,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조리완료 알림 방식은, 조리 완료 시에 일정한 시간 동안 부저음만을 울려주었다.
특히, 사용자가 조리를 진행한 중에, 다른 일을 보거나 다른 장소에 있게 되어 조리 진행 중임을 잊을 경우, 조리 중인 조리물의 끓어 넘침이 발생하여 전기 조리기 제품에 얼룩이 지거나, 조리물이 전기 조리기 내부로 스며들어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조리물의 졸음으로 인한 조리 용기의 손상이나, 전기 조리기의 과열로 화재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조리가 진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전기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화구들이 동작 중일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 기준에 따라 복수의 화구들에 대한 알람 출력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설정된 알람 주기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조리 동작이 종료되면, 우선 순위가 다음으로 높은 화구에 설정된 알람 주기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즉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화구들에 각각 설정된 알람 주기로 순차적으로 알람을 출력하는 전기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화구의 조리 진행의 알람과 함께 과열 방지를 위한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전기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조리물이 수용된 조리 용기가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구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화구나 조리물 또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구에 대한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제1 알람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입력에 따라 조리 진행 중임을 알리는 상기 제1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기 조리기는 복수의 화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각 화구들에 대한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동작이 수행되는 각 화구들에 대한 알람 주기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화구들에 대한 알람 출력을 위한 우선 순위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동작이 수행되면서 상기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들의 우선 순위를 상기 우선 순위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대한 알람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온도와 과열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온도가 상기 과열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제2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기준으로 화력의 감소 또는 가열 중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대한 알람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하는 중, 상기 화구들에 대한 우선 순위에 변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화구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다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조리 동작이 종료되면, 우선 순위가 다음으로 높은 화구에 설정된 알람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알람 기능의 설정에 의해, 알람 주기에 따라 음성, 효과음 또는 비프음 등을 출력하여, 현재 조리가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만일 조리 중에 제품 사용자가 조리 장소를 비워 현재 조리 중임을 잊더라도 주기적으로 알려주는 알람을 듣고 조리 중임을 상기할 수 있어, 조리 진행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조리물의 끓어 넘침이나 졸음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화구들이 동작 중일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 기준에 따라 복수의 화구들에 대한 알람 출력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설정된 알람 주기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조리 동작이 종료되면, 우선 순위가 다음으로 높은 화구에 설정된 알람 주기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즉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화구들에 각각 설정된 알람 주기로 순차적으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빈번한 알람 출력(복수의 화구에 각각 설정된 알람 주기로 알람을 모두 출력하는 경우)에 의한 사용자 불편을 방지하면서 알람의 효과를 살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화구의 조리 진행의 알람 기능에 추가하여 과열 방지를 위한 알람 기능도 제공하여 과열 판단 시에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가열을 중단시키거나 화력을 감소시켜 과열에 의한 화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알람 출력의 제1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알람 출력의 제2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3의 알람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과열 방지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전기 조리기는 전기 유도 가열기, 전기압력 조리기, 전기 오븐레인지, 전기 레인지, 인덕션 레인지, 하이라이트 레인지, 인덕션 및 하이라이트를 구비하는 전기 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장치로 통칭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인덕션 및 하이라이트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가 대표적인 예시로 사용된다.
전기 조리기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메뉴 선택, 조리 시작, 조리 종료, 조리 취소, 조리 시간 설정, 조리 화력 설정, 알람 화구 선택, 예약 기능의 설정 및 예약 시간 설정, 일시 정지, 버튼 잠금, 알람 기능 설정, 알림 주기 설정, 전원 입력 등)을 획득하는 입력부(11),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선택된 메뉴 정보, 조리 시간 정보, 조리 동작 상태 표시, 설정된 조리 화력, 선택된 화구의 정보, 예약 정보, 알람 기능의 설정 표시, 가열 중단 표시, 화력 감소 표시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13), 제1 내지 제3 화구들 각각을 가열하는 제1 내지 제3 가열부(15a 내지 15c)로 이루어진 가열부와, 제1 내지 제3 화구에 설치되며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 용기나 조리물 또는 조리 용기가 안착되는 전기 조리기의 상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3 온도 감지부(17a 내지 17c) 및,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하며, 알람 주기에 따른 알람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20)로 이루어진다. 다만, 입력부(11)와 표시부(13)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기에, 그 설명이 생략된다.
가열부는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수단으로, 조리 용기가 놓여지는 3개의 화구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가열부(15a 내지 15c)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가열부(15a 내지 15c)는 예를 들면, 인덕션 가열 기능이나 하이라이트 가열 기능을 수행한다.
온도 감지부는 조리 용기나 조리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3개의 화구나 화구 부근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온도 감지부(17a 내지 17c)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기 조리기는 조리 용기가 놓여지는 상판과, 상판의 일측에 형성된 입력부(11)와 표시부(13)가 구비되며, 온도 감지부는 상판의 저면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판의 저면에는 가열부가 장착되고, 가열부에 의해 조리 영역인 화구가 형성되며, 온도 감지부가 화구의 중심이나 부근에 고정 장착되어, 조리 용기나 조리물의 온도 또는 화구의 온도를 감지한다. 또는, 하이라이트 가열 기능의 가열부의 경우, 화구 자체가 매우 고온(500도 ~ 600도)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온도 감지부는 가열부나 화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적외선 센서 등을 구비하여 조리 용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20)는 가열부를 제어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하며, 제1 내지 제3 온도 감지부(17a 내지 17c)로부터의 감지 온도를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가열부(15a 내지 15c)를 각각 제어한다. 하기에서, 알람 주기에 따른 알람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이 상세하게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알람은 3 종류의 알람(제1 알람, 제2 알람, 제3 알람)을 포함하며, 제1 알람은 알람 주기마다 출력되는 알람이고, 제2 알람은 과열의 우려 있거나 과열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이고, 제3 알람은 과열 상태로 인한 가열 중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알람 출력의 제1 실시예이다.
우선, 제어부(20)가 입력부(11)를 통하여 획득된 입력에 따라 알람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입력부(11)에 구비된 알람 주기 설정 버튼을 통하여 알람 기능의 설정 및 해제와, 알람 주기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알람 정보(알람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알람 주기, 알람 기능의 설정 시점 등)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알람 주기 설정 버튼이 1회째 눌러지면 알람 주기를 5분으로, 2회째 눌러지면 알람 주기를 10분으로, 3회째 눌러지면 알람 주기를 15분으로 설정하여 알람 기능의 설정과 알람 주기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4회째 눌러지면 알람 기능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이후에는 위 순서로 반복 선택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알람 주기의 설정은 입력부(11)를 통한 주기의 직접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주기의 설정은 전기 조리기가 단일의 화구를 구비할 때뿐만 아니라, 복수의 화구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각 화구를 구별하지 않고 하나의 알람 주기만이 설정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 화구가 구비되어 동작 중일 때, 제어부(20)는 입력부(11)를 통하여 사용자가 알람 기능이 설정될 화구를 선택할 필요 없이, 알람 기능 및 하나의 알람 주기만을 설정하도록 한다. 제어부(20)는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이후 알람 정보를 저장하고, 표시부(1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알람 정보 중에서 알람 기능의 설정 시점은 사용자에 의한 알람 주기의 설정 완료 시점을 의미하며, 제어부(20)는 이 알람 기능의 설정 시점부터 설정된 알람 주기에 도달될 때마다 표시부(13)를 통하여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전기 조리기가 복수의 화구를 구비하고, 화구 별로 알람 주기가 설정되도록 할 경우, 입력부(11)는 알람 기능을 설정할 화구를 선택할 수 있는 알람 화구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제어부(20)는 입력부(11)의 알람 화구 선택 버튼을 통하여 알람 기능을 선택할 화구를 선택하고, 선택된 화구에 대하여 입력부(11)의 알람 주기 설정 버튼을 통하여 알람 주기를 입력 받아 저장한다. 제어부(20)는 복수의 화구들 각각에 대한 알람 기능의 설정 및 해제와, 알람 주기의 설정이 완료되어 알람 주기 설정 과정이 종료된 후, 화구의 명칭(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 화구), 알람 기능의 설정 시점과, 알람 기능의 설정 및 해제와, 알람 주기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S11)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의 동작을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하나 이상의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이면 단계(S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알람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단계(S13)에서, 제어부(20)는 기저장된 알람 정보를 판독하여,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있으면 단계(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없으면, 알람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20)는 기저장된 알람 정보를 판독하여 알람 기능의 설정 시점부터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의 알람 주기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한다.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복수개인 경우, 제어부(20)는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의 각각 설정된 알람 주기에 각각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설정된 알람 주기에 도달하면, 단계(S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9)로 진행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20)는 표시부(1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1 알람을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음성, 효과음 또는 부저음 등의 음향으로 현재 조리 동작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는, 제어부(20)는 음성으로 알려줄 경우 "요리 중입니다."와 같이 일정한 안내 음성을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조리 동작의 경과 시간이나 조리 동작의 잔여 시간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알람 주기가 되었을 때 제1 알람의 출력을 다수 회 반복(예를 들면, 5초 간격으로 2회 반복) 수행하여 알람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단계(S19)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의 동작이나, 각 화구의 조리 시간 등을 확인하여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이면 단계(S15), (S17)로 진행하여 알람 주기마다 알람 출력이 진행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고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 모두가 조리를 완료하였으면 종료된다.
예를 들면, 전기 조리기에 단일의 제1 화구(알람 주기-10분)만이 구비되거나, 복수의 제1 내지 제3화구가 구별되지 않고 하나의 알람 주기만(10분)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20)는 단일의 제1 화구 또는 복수의 제1 내지 제3 화구의 조리 동작이 모두 종료될 때까지, 알람 기능의 설정 시점부터 10분 간격으로 제1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전기 조리기에 복수의 화구가 화구 별로 알람 주기가 설정된 경우에는 제1 화구(알람 주기-10분), 제2 화구(알람 주기-15분) 및 제3 화구(알람 주기-15분)에 대한 알람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제1 내지 제3 화구에 대한 각각의 조리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제어부(20)는 알람 기능의 설정 시점부터 제1 화구는 10분 간격으로, 제2 및 제3 화구는 15분 간격으로 제1 알람을 출력한다.
다만, 도 2의 알람 출력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내지 제3 화구 각각 알람 주기를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20)가 표시부(13)를 통하여 제1 알람을 개별적으로 모두 출력하면, 제1 알람이 빈번하게 출력되어 사용자들이 제1 알람을 소음으로 느끼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도 있기에, 이러한 불편함을 알람 출력의 제2 실시예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조리기의 알람 출력의 제2 실시예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화구(또는 복수의 화구들) 각각 알람 주기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20)는 우선 순위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화구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설정된 알람 주기에 따라 제1 알람을 출력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조리 동작이 종료되면, 우선 순위가 다음으로 높은 화구에 설정된 알람 주기에 따라 제1 알람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즉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화구들에 각각 설정된 알람 주기로 순차적으로 제1 알람을 출력한다. 제어부(20)는 표 1과 같은 우선 순위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다.
우선 순위 우선 조건 설명
1 알람 주기 가장 짧은 알람 주기가 우선
2 화력 세기 강한 화력이 우선
3 동작 시점 가장 최근에 동작을 시작한 화구가 우선
4 가열 방식 인덕션과 하이라이트 중 하이라이트 화구가 우선
5 화구 위치 좌상단 화구가 우선이며, 시계 방향으로 우선 순위 변경
예를 들면, 제1 화구가 알람 주기 10분 설정, 화력 5 단계 동작, 인덕션 가열 방식이고, 제2 화구가 알람 주기 15분 설정, 화력 9단계 동작, 인덕션 가열 방식이고, 제3 화구가 알람 주기 15분 설정, 화력 4단계 동작, 하이라이트 가열 방식인 경우, 제어부(10)는 우선 순위(1)인 알람 주기를 기준으로 제1 화구의 알람 주기에 따라 제1 알람의 출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1 화구의 조리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20)는 제2,3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인 경우, 우선 순위(1)인 알람 주기를 기준으로 우선 순위를 판단하면, 제2 및 제3 화구의 알람 주기가 동일(제2 및 제3 화구의 우선 순위가 동일)하므로, 우선 순위(1)의 다음 순서인 우선 순위(2)를 기준으로 우선 순위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0)는 우선 순위(2)인 화력 세기를 기준으로 화력 세기가 큰 제2 화구의 알람 주기에 따라 제1 알람의 출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화구의 조리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20)는 제3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인 경우, 제3 화구의 알람 주기에 따라 제1 알람의 출력을 수행한다.
표 1의 우선 조건의 우선 순위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의해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새로운 우선 조건의 추가 및 현재 우선 조건의 삭제도 가능하다. 우선 순위(4)인 가열 방식에서, 인덕션 가열 방식의 경우 조리 용기가 직접 발열하기 때문에 화구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온도 감지부의 설치가 가능하여, 온도 감지를 이용한 제어가 가능하지만, 하이라이트 가열 방식의 경우 화구 자체가 매우 고온(500도~600도)으로 발열하기 때문에 화구 부근에 온도 감지부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온도 감지를 이용한 제어가 불가하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인덕션 가열 방식과 하이라이트 가열 방식의 화구들이 있을 경우, 하이라이트 가열 방식 화구의 알람 주기가 우선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화구에 알람 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기설정된 우선 조건에 의해 제1 알람의 출력이 제어되도록 하여 알람의 효과는 살리면서 빈번한 알람 출력에 대한 불편은 해소할 수 있다.
도 3의 제2 실시예에서도 알람 주기의 설정과, 알람 화구 선택 등의 방법은 도 2의 제1 실시예 등의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단계(S31)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의 동작을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하나 이상의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이면 단계(S3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알람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단계(S33)에서, 제어부(20)는 기저장된 알람 정보를 판독하여,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있으면 단계(S3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알람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단계(S35)에서, 제어부(20)는 기설정된 우선 순위 기준 데이터를 판독하여, 우선 순위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들의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상술된 예에서, 제어부(20)는 표 1의 우선 순위(1)인 알람 주기를 기준으로 제1 화구가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것(최우선 순위 화구)으로 확인한다.
단계(S37)에서, 제어부(20)는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복수 개인가를 확인한다. 만약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가 복수 개이면 단계(S3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1)로 진행한다.
단계(S39)에서, 제어부(2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최우선 순위 화구)에 대하여는 제1 알람의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을 수행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최우선 순위 화구) 이외의 화구에 대하여는 과열 방지 과정만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열 방지 과정은 하기의 도 5에서 상세하게 기재되고, 알람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은 하기의 도 4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단계(S41)에서, 제어부(20)는 알람 기능이 설정된 단일의 화구에 대하여 제1 알람의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3의 알람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알람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은 도 3의 단계(S39)에서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와 도 3의 단계(S41)에서의 알람 기능이 설정된 단일의 화구에 대하여 수행되는 과정이다.
단계(S51)에서, 제어부(20)는 과열 방지를 위해,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제1 내지 제3 화구 중의 어느 하나의 화구)에 대한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초기화한다.
단계(S53)에서, 제어부(20)는 알람 기능의 설정 시점부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알람 주기가 도달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설정된 알람 주기가 도달하면, 단계(S5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65)로 진행한다.
단계(S55)에서, 제어부(2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장착된 온도 감지부(제1 내지 제3 온도 감지부(17a 내지 17c) 중의 하나의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온도와 과열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과열 상태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온도가 과열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같으면 단계(S5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57)로 진행한다. 여기서, 과열 기준 온도는 내용물이 끓음에 의해서 내용물의 수분이 대부분 증발하여 비등점(예를 들면, 100℃)을 초과하여 과열이 발생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이다. 이 과열 기준 온도를 설정함에 있어서, 온도 감지부가 내용물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 조리기의 상판 하부의 온도를 감지하므로, 내용물의 실제 온도와 감지 온도 간에 차이가 고려되어 설정되어야 한다. 과열 기준 온도는 과열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100℃보다 일정 온도만큼 더 높은 115℃로 설정된다.
단계(S57)에서, 제어부(20)는 표시부(1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1 알람을 출력한다. 단계(S57)은 도 2의 단계(S17)과 동일하다.
단계(S59)에서, 제어부(20)는 제2 알람을 출력하고,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기준 크기(예를 들면, 1)만큼 증가시켜 저장한다. 제2 알람은 단계(S57)의 제1 알람보다 음량이 크고 출력 시 반복적인 또는 연속적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열의 우려 있거나 과열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부(13)를 통하여 알린다.
단계(S61)에서, 제어부(20)는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기준으로 가열 중지가 필요할 만한 정도의 과열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20)는 제2 알람의 출력 횟수와 과열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만약 제2 알람의 출력 횟수가 과열 기준 횟수보다 크거나 같으면, 과열이 심각하다는 판단으로 단계(S6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65)로 진행한다. 여기서, 과열 기준 횟수는 조리 용기 내 조리물의 수분이 상당히 증발하여 조리 용기 과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 횟수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3으로 설정된다.
단계(S63)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를 제어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대한 가열을 중지시켜, 추가적인 과열을 억제하도록 조리를 종료시키고, 제3 알람을 표시부(13)를 통하여 출력하고 가열 중지를 표시부(13)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과열 상태로 인한 가열 중지를 알린다.
단계(S65)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의 동작이나, 각 화구의 조리 시간 등을 확인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가 조리 동작 중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조리 동작 중이면 단계(S6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 3의 단계(S31)로 진행한다.
단계(S67)에서, 제어부(20)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화구의 알람 주기에 따라 제1 알람의 출력을 진행하는 중에, 제1 내지 제3 화구들에 대한 우선 순위의 변동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우선 순위의 변동이 있으면 도 3의 단계(S3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현재의 화구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으면 단계(S53)으로 진행한다. 우선 순위의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는 다른 화구의 우선 순위가 높게 되어 현재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우선 순위가 낮아지게 경우나 현재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우선 순위가 다른 화구들의 우선 순위와 비교하여 낮게 조정된 경우이다. 예를 들면, 현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알람 주기보다 더 짧도록 다른 화구에 대한 알람 주기가 설정되거나, 알람 조건이 화력 세기인 경우, 보다 강한 화력의 화구에 대한 알람 기능의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이다.
상술된 단계(S63)를 통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대한 가열이 중단되었기에, 도 3의 단계(S31)로 진행하여, 단계(S31)과 (S33) 및 (S35)로 진행하여 다시 각 화구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
또한, 단계(S61)에서 단계(S65)로 진행할 때, 제어부(20)는 과열의 우려를 감소시키기 위해, 현재 화구의 세기(화력)를 기준 크기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의 과열 방지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본 과열 방지 과정은 도 3의 단계(S39)에서, 제1 알람의 출력을 위해 결정된 화구(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 이외의 우선 순위가 낮은 화구들에서의 과열 방지를 위해 수행하는 것이다. 제어부(2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대하여 도 4의 알람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을 수행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 이외의 화구에 대하여 도 5의 과열 방지 과정을 동시에 수행한다.
단계(S81), (S83), (S85), (S87), (S89), (S91), (S93), (S95) 각각은 도 4의 단계(S51), (S53), (S55), (S59), (S61), (S63), (S65), (S67)과 동일하다. 즉, 도 5의 과열 방지 과정에서는 도 4의 단계(S57)의 제1 알람 출력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20)는 도 4의 알람 출력 및 과열 방지 과정이나 도 5의 과열 방지 과정의 수행 중이면서, 제2 알람의 출력 횟수가 1 이상일 경우, 입력부(11)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면, 화력 감소 등)이 있으면 사용자가 과열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0으로 초기화한다.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과정들은 장시간 물과 재료를 끓이는 메뉴(예를 들면, 우림 메뉴)의 조리나 빨래 삶기 중에 사용자가 그 가열 상태를 잊고 외출을 하거나 집안에서 잠이 드는 경우 등 과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입력부 13: 표시부
15a~15c: 제1 내지 제3 가열부 17a~17c: 제1 내지 제3 온도 감지부
20: 제어부

Claims (13)

  1. 조리물이 수용된 조리 용기가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구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화구나 조리물 또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구에 대한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제1 알람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입력에 따라 조리 진행 중임을 알리는 상기 제1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는 복수의 화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각 화구들에 대한 알람 기능의 설정 및 알람 주기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동작이 수행되는 각 화구들에 대한 알람 주기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화구들에 대한 알람 출력을 위한 우선 순위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동작이 수행되면서 상기 알람 기능이 설정된 화구들의 우선 순위를 상기 우선 순위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대한 알람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온도와 과열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온도가 상기 과열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제2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기준으로 화력의 감소 또는 가열 중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중지의 수행 시에 제3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알람의 출력 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에 대한 알람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알람을 출력하는 중, 상기 화구들에 대한 우선 순위에 변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화구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다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구의 조리 동작이 종료되면, 우선 순위가 다음으로 높은 화구에 설정된 알람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알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KR1020150100553A 2015-07-15 2015-07-15 전기 조리기 KR102341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53A KR102341097B1 (ko) 2015-07-15 2015-07-15 전기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53A KR102341097B1 (ko) 2015-07-15 2015-07-15 전기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171A true KR20170010171A (ko) 2017-01-26
KR102341097B1 KR102341097B1 (ko) 2021-12-22

Family

ID=5799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553A KR102341097B1 (ko) 2015-07-15 2015-07-15 전기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3732A (zh) * 2017-11-24 2018-02-23 广东惠利普路桥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全周期电压力锅生产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18A (ko) * 1992-09-01 1994-04-29 다니이 아끼오 영상신호처리장치
KR20010077972A (ko) * 2000-01-28 2001-08-20 강성모 그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18A (ko) * 1992-09-01 1994-04-29 다니이 아끼오 영상신호처리장치
KR20010077972A (ko) * 2000-01-28 2001-08-20 강성모 그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3732A (zh) * 2017-11-24 2018-02-23 广东惠利普路桥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全周期电压力锅生产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097B1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0380C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oking a food item
JPH04263706A (ja) 調理台トップ
KR102010672B1 (ko) 화재방지가 가능한 튀김기
KR101671805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KR20170010171A (ko) 전기 조리기
JP2007051806A (ja) 加熱調理器
JP2000274692A (ja) 赤外線センサーを具備した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8226750A (ja) 電磁調理器
KR20120053581A (ko) 가스 레인지의 불꽃 자동 조절방법
CN110856612B (zh) 一种烹饪设备的控制方法、装置、烹饪设备及存储介质
KR20130122265A (ko) 조리용기의 열전도율에 따른 과열방지장치 및 방법
JP6094265B2 (ja) コンロ
KR20200064797A (ko) 조리기기의 안전에 따른 화력제어 표시방법
JP7329734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器における調理対象の判定方法
KR101252013B1 (ko) 가스레인지의 조리기구 과열에 따른 조기소화 예측 경보방법
JP7407084B2 (ja) 加熱調理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62369B2 (ja) 加熱調理装置
JP498524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199140B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조리실 온도에 따른 제어방법
KR101358728B1 (ko) 음식물 구이기의 데우기 모드 자동전환방법
JP2005221141A (ja) ガス調理器
KR20230061829A (ko) 유도 가열 조리 시스템
JP2634109B2 (ja) 加熱調理装置
JP5390005B2 (ja) こんろ
JP2014206327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