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153A -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153A
KR20170009153A KR1020150100685A KR20150100685A KR20170009153A KR 20170009153 A KR20170009153 A KR 20170009153A KR 1020150100685 A KR1020150100685 A KR 1020150100685A KR 20150100685 A KR20150100685 A KR 20150100685A KR 20170009153 A KR20170009153 A KR 20170009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nsor unit
pump
flow path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581B1 (ko
Inventor
이익재
강창익
허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to KR1020150100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5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11Sample conditioning
    • G01N33/0018Sample conditioning by diluting a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using a number of analysing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73Control unit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측정 장치의 센서가 측정하는 기체의 악취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측정 기체를 재귀적으로 희석하여, 악취 센서가 측정할 수 있도로 하고, 최종 측정값에 희석 비율을 반영하여, 정확한 악취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MEASURING APPARATUS FOR ODOR BASED ON RECURSIVE DILLUTION}
본 발명은 악취 측정 장치의 센서가 측정하는 기체의 악취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측정 기체를 재귀적으로 희석하여, 악취 센서가 측정할 수 있도로 하고, 최종 측정값에 희석 비율을 반영하여, 정확한 악취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취 및 냄새는 발생물질의 종류와 배출원이 다양하고, 여러 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생활환경과 사람의 심리상태에 따라서 오염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어 다른 대기오염물질과는 달리 효과적으로 발생원을 관리하고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가스 센서를 사용하여 공기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가스 센서는 측정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져 있어 고농도의 기체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99614호 (2011.09.08.) 2. 등록특허공부 제10-0873888호 (2008.125.08.) 3. 공개특허공부 제10-2014-0119974호 (2014.10.13.)
본 발명은 악취 센서의 측정 범위를 벗어난 시료 기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시료 기체를 회귀적으로 희석시키고, 센서의 측정 가능 범위에 희석되는지 미리 센싱하고, 기설정 범위로 시료 기체가 희석 되면 별도의 정밀 센서로 희석된 시료 기체의 오염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회귀적 희석 악취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는, 일단으로 시료 기체가 유입되는 제0 유로(200); 상기 제0 유로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0 펌프(180); 상기 제0 펌프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제0 유로로 유입된 시료 기체의 오염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판단하는 제1 센서부(110);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상기 제0 펌프(18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부(110)에서 유출되는 기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120); 제1 유로(21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포집낭(171), 및 상기 제1 포집낭(171)과 외부를 개폐하는 제1 개폐 밸브(161)를 구비하는 제1 챔버(151); 상기 제1 챔버(151)와 상기 제1 포집낭(171)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1 펌프(181); 상기 제1 유로(210)의 타단에 연결되고, 무취 가스를 제공하는 제1 무취가스 제공부(131); 상기 제1 센서부(11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상기 제2 센서부(120) 및 상기 제1 포집낭(171) 중 어느 하나로 유출하는 제1 방향전환 밸브(310);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상기 제1 방향전환 밸브(310) 사이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0 유량 제어부(140); 상기 제1 무취 가스 제공부(131)와 상기 제1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1 유량 제어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집낭(171)에 포집된 기체를 상기 제0 유로(20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으로 공급하는 제1 회귀관(214); 및 상기 제0 유로(200)의 유입단 및 상기 제1 회귀관(214)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센서부(110)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제2 방향전환 밸브(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22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포집낭(172), 및 상기 제2 포집낭(172)와 외부를 개폐하는 제2 개폐 밸브(162)를 구비하는 제2 챔버(152); 상기 제2 챔버(152)와 상기 제2 포집낭(172)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 펌프(182); 상기 제2 유로(220)의 타단에 연결되고, 무취 가스를 제공하는 제2 무취가스 제공부(132); 상기 제1 센서부(11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상기 제2 센서부(120) 및 상기 제2 포집낭(171) 중 어느 하나로 유출하는 제3 방향전환 밸브(330); 상기 제2 무취 가스 제공부(132)와 상기 제2 챔버(152)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2 유량 제어부(142); 상기 제2 포집낭(172)에 포집된 기체를 상기 제0 유로(20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으로 공급하는 제2 회귀관(224); 및 상기 제0 유로(200)의 유입단 및 상기 제2 회귀관(224)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센서부(110)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제4 방향전환 밸브(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0 유로(200)로 유입되는 기체가 상기 제1 및 제2 포집낭(171, 172) 중 어느 하나에 포집되는 경우 저장부(20)에 희석 비율을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희석 비율을 조정하고, 상기 제2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상기 희석 비율을 반영하여 최종 악취 농도를 결정하는 제어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0 유로(200)의 유입단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대한 상기 제1 센서부(110)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전환 밸브(3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0 및 제1 유량 제어부(140, 141)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희석 배율로 상기 외부 공기를 희석하여 상기 제1 포집낭(171)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포집낭(171)에 기설정된 부피의 제1 희석 기체가 포집되면, 상기 제0 펌프(180)를 흡입 구동시켜 상기 제1 희석 기체를 상기 제1 회귀관(214) 및 상기 제2 방향전환 밸브(320)을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제1 측정값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1 측정값이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2 센서부(120)가 상기 제1 희석 기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펌프(182)를 흡입 구동시켜, 상기 제1 포집낭(171)의 제1 희석 기체를 상기 제1 회귀관(214), 상기 제2 방향전환 밸브(320), 상기 제3 방향전환 밸브(330)을 통해 상기 제2 포집낭(172)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포집낭(172)에 포집되는 제2 희석 기체는 상기 제0 및 제2 유량 제어부(140, 14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희석 배율로 희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부피가 되면, 상기 제1 펌프(181)를 토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개폐 밸브(161)를 개방하여, 상기 제1 포집낭(171)에 포집된 기체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부피가 되면, 상기 제0 펌프(180)를 흡입 구동시켜, 상기 제2 희석 기체를 상기 제2 회귀관(224) 및 상기 제2 방향전환 밸브(32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제2 측정값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2 측정값이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2 센서부(120)가 상기 제2 희석 기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펌프(181)를 흡입 구동시켜, 상기 제2 포집낭(172)의 제2 희석 기체를 상기 제2 회귀관(224), 상기 제4 방향전환 밸브(340), 상기 제1 방향전환 밸브(310)을 통해 상기 제1 포집낭(171)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포집낭(171)에 포집되는 희석 기체는 상기 제0 및 제1 유량 제어부(140, 14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희석 배율로 희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상기 제1 포집낭(171)이 기체를 포집하면 상기 제1 개폐 밸브(161)를 폐쇄하고 상기 제1 포집낭(171)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면 상기 제1 개폐 밸브(161)을 개방하고, 제어부(10)는 상기 제2 포집낭(172)이 기체를 포집하면 상기 제2 개폐 밸브(162)를 폐쇄하고 상기 제1 포집낭(172)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면 상기 제2 개폐 밸브(162)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110)는 상기 제2 센서부(120) 보다 반응 속도가 빠르거나, 상기 제2 센서부(120)는 상기 제1 센서부(110) 보다 정확도가 높거나, 상기 제1 센서부(110)는 상기 제2 센서부(120) 보다 선택성이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측정 장치는 시료 기체를 회귀적으로 희석시킬 수 있어, 필요한 단계 만큼의 희석 장치를 필요하 하지 않아 경비 및 장비 운용 노력을 경감할 수 있으며, 회귀적 희석으로 인해 매우 농축된 오염 공기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측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도 1의 챔버의 내부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의 악취 측정 장치의 구동례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고, 도 2는 도 1의 챔버의 내부도이고,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의 악취 측정 장치의 구동례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악취 측정 장치는 제어부(10), 저장부(20), 제1 센서부(110), 제2 센서부(120), 제1 무취가스 제공부(131), 제0 유량 제어부(140), 제1 유량 제어부(141), 제1 챔버(151), 제1 개폐 밸브(161), 제0 펌프(180), 제1 펌프(181), 제0 유로(200), 제1 유로(210), 제1 가지관(212), 제1 회귀관(214), 제1 방향전환 밸브(310), 및 제2 방향전환 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 가스를 1회가 아닌 2회 이상 희석하기 위해, 악취 측정 장치는 제2 무취가스 제공부(132), 제2 유량 제어부(142), 제2 챔버(152), 제2 개폐 밸브(162), 제2 펌프(182), 제2 유로(220), 제2 가지관(222), 제2 회귀관(224), 제3 방향전환 밸브(330), 및 제4 방향전환 밸브(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두 실시예를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0)는 수동적인 구성요소를 제외한, 예를 들어, 저장부(20),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 제0 내지 제2 유량 제어부(140, 141, 142), 제1 및 제2 개폐 밸브(162), 제0 내지 제2 펌프(180, 181, 182), 제1 내지 제4 방향전환 밸브(310~340)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악취 측정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0 유로(200)로 유입되는 기체가 상기 제1 및 제2 포집낭(171, 172) 중 어느 하나에 포집되는 경우 저장부(20)에 희석 비율을 저장하거나 저장부(20)에 저장된 희석 비율을 조정하고, 상기 제2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상기 희석 비율을 반영하여 최종 악취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제어부(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유로(200, 210, 220, 212, 222, 214, 224)에 흐르는 기체는 제0 내지 제2 펌프(180, 181, 182)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다. 악취 측정 장치는 각 유로 상에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0 유로(200) 상에 제4 방향전환 밸브(340), 제2 방향전환 밸브(320), 제1 센서부(110), 제0 유량 제어부(140), 제1 방향전환 밸브(310), 제3 방향전환 밸브(330), 제2 센서부(12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0 유로(200)의 유출단에 제0 펌프(180)가 연결되어 제0 유로(200)의 유입단으로 유입되는 기체를 흡입 구동으로 흡입할 수 있다.
제1 유로(210)의 일단에 제1 무취가스 제공부(131)가 연결되고, 타단에 제1 챔버(151) 내부의 제1 포집낭(171)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로(210) 상에 제1 유량 제어부(14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관(212)은 일단에 제1 방향전환 밸브(310)가 연결되고, 타단에 제1 유로(210) 중 제1 유량 제어부(141)과 제1 챔버(151) 사이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귀관(214)은 일단에 제1 포집낭(171)과 연결되고 타단에 제2 방향전환 밸브(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220)의 일단에 제2 무취가스 제공부(132)가 연결되고, 타단에 제2 챔버(152) 내부의 제2 포집낭(172)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220) 상에 제2 유량 제어부(1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지관(222)은 일단에 제3 방향전환 밸브(330)가 연결되고, 타단에 제2 유로(220) 중 제2 유량 제어부(142)과 제2 챔버(152) 사이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귀관(224)은 일단에 제2 포집낭(172)과 연결되고 타단에 제4 방향전환 밸브(3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는 유체의 오염 정도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악취 센서가 어레이(Array)로 배치될 수 있다. 악취 센서는 반도체식 가스센서, 전기화학식 센서, 및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센서부(110)는 상기 제2 센서부(120) 보다 반응 속도가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센서부(110)는 유입되는 기체의 악취 농도가 악취 센서의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빠르게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제1 센서부(110)는 제2 센서부(120) 보다 선택성이 더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히 희석된 기체의 정확한 악취 농도 측정을 위해 제2 센서부(120)는 제1 센서부(110) 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110)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응답속도가 비교적 빠른 반도체식 가스센서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센서부(120)는 다수의 광이온화 검출방식 가스센서, 및 다수의 전기화학식 가스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센서부(120)는 반도체식 가스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무취가스 제공부(131, 132)는 시료 가스를 희석시키기 위해 악취 성분이 없는 무취 가스를 제공하는 공급원이다. 이에 무취가스 제공부는 외부 공기를 활성탄 필터 등을 이용하여 정화된 무취 공기로 제공하거나, 별도로 무취가스를 탱크에 보관하여 보관된 무취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무취가스 제공부는 보관된 무취가스와 정화된 무취가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3방향전환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무취가스 제공부의 무취가스는 농도 측정을 위한 기준값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0 내지 제2 유량 제어부(140, 141, 142)는 제어부(10)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공급하는 기체량(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유량 제어부로 MFC(Mass Flow Controller)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기설정된 희석 비율에 따라 제0 및 제1 유량 제어부(140, 141)의 개폐 또는 제0 및 제2 유량 제어부(140, 142)의 개폐를 순차적 또는 교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포집낭(171, 172) 각각은 제1 및 제2 챔버(151, 152) 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챔버와 포집낭 사이는 외부와 격리되어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다. 각 제1 및 제2 챔버(151, 152)는 제1 및 제2 펌프(181, 182)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의 흡입 및 토출 구동에 의해, 챔버와 포집낭 사이의 압력은 변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집낭(171, 172) 각각은 제1 및 제2 유로(210, 220)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 펌프(181, 182)의 흡입 구동으로 기체를 포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집낭(171, 172) 각각은 제1 및 제2 회귀관(214, 224)에 각각 연결되어, 제2 또는 제1 펌프(182, 181)의 흡입 구동에 의해, 포집된 기체가 유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펌프(181, 182)의 토출 구동에 의해, 포집낭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강제 방출될 수 있다. 강제 방출시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 개폐 밸브(161, 162)는 개방될 수 있다. 강제 방출 이외의 경우, 제1 및 제2 개폐 밸브(161, 162)는 폐쇄된다.
제1 내지 제4 방향전환 밸브(310, 320, 330, 340)은 3방향 밸브로, 각 밸브에 연결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부(10)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개폐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악취 측정 장치는 제2 센서부(120)와 제0 펌프(180) 사이에 시료 기체를 채취하는 채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악취 측정 장치의 구동례를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0 펌프(180)의 흡입 구동에 의해 제0 유로(200)의 유입단을 통해 외부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기체는 제1 센서부(110)에 의해 오염(악취) 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 센서부(110)의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임계치 이하인 경우, 악취 센서의 센싱 범위에 해당하므로, 유입된 기체는 제2 센서부(120)에 공급되어, 제2 센서부(120)에 의해 정확한 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임계치 초과인 경우, 제어부(10)는 제1 방향전환 밸브(3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제0 및 제1 유량 제어부(140, 141)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희석 배율로 외부 공기를 희석하여 제1 포집낭(17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110)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제0 유량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일정량이 제1 방향전환 밸브(310), 제1 가지관(212), 및 제1 유로(210)의 일부를 통해 제1 포집낭(17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무취가스 제공부(131)에서 제공되는 무취가스는 제1 유량 제어부(141)의 제어에 의해 일정량이 제1 유로(210)를 통해 제1 포집낭(171)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집낭(171)에는 특정 비율로 희석된 제1 희석 기체가 포집될 수 있다. 희석 비율은 저장부(2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는 제1 포집낭(171)에 기설정된 부피로 제1 희석 기체가 포집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0 및 제1 유량 제어부의 동작 종료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설정된 부피로 제1 희석 기체가 포집되면, 제어부(10)는 제1 포집낭(171)의 제1 희석 기체가 제1 회귀관(214) 및 제2 방향전환 밸브(320)를 통해 제1 센서부(110)로 공급되도록, 제1 펌프(181)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0 펌프(180)를 흡입 구동시키고 제1 개폐 밸브(161)을 개방하고 제1 및 제2 방향전환 밸브(310, 320)를 개폐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제1 희석 기체의 제1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1 측정값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2 센서부(120)가 제1 희석 기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2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값에 저장부(20)에 저장된 희석 비율을 반영하여, 시료 기체의 오염 농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어부(10)는 제2 펌프(182)를 흡입 구동시켜, 제1 희석 기체를 제1 회귀관(214), 제2 방향전환 밸브(320), 제3 방향전환 밸브(330), 및 제2 가지관(222)을 통해 상기 제2 포집낭(172)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0 및 제1 펌프의 작동은 중지된다.
또한 제1 희석 기체는 제0 및 제2 유량 제어부(140, 142)의 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비율로 희석되어 제2 포집낭(172)에 제2 희석 기체로 포집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기저장된 희석 비율에 본 프로세스에 따른 희석율을 반영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부피가 되면, 제1 펌프(181)를 토출 구동시키고 제1 개폐 밸브(161)를 개방하여, 제1 포집낭(171)에 남은 제1 희석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방출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부피가 되면, 제어부(10)는 제0 펌프(180)를 흡입 구동시켜, 제2 희석 기체를 제2 회귀관(224) 및 제2 방향전환 밸브(32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제2 측정값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제2 측정값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2 센서부(120)가 상기 제2 희석 기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오염도가 악취 센서가 측정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제어부(10)는 측정값에 저장부(20)에 저장된 희석비율을 반영하여, 정확한 오염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제2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 펌프(181)를 흡입 구동시켜, 제2 희석 기체를 제2 회귀관(224), 제4 방향전환 밸브(340), 제1 방향전환 밸브(310)을 통해 제1 포집낭(171)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포집낭(171)에 포집되는 희석 기체는 제0 및 제1 유량 제어부(140, 141)의 제어에 의해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희석 배율로 희석될 수 있다. 이 후 도 5에 도시된 동작례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에도 정확한 희석 비율을 적용하기 위해, 제2 포집낭(172) 내부의 잔존 기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포집낭(172) 내부의 잔족 기체를 제거하기 위해, 제어부(10)는 도 10과 같이 제2 펌프(182)를 토출 구동 시키고 제2 개폐 밸브(162)를 개방하여, 잔존 기체를 강제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제어부(10)
20: 저장부(20)
110, 120: 제1 및 제2 센서부(110)
131, 132: 제1 및 제2 무취가스 제공부(131)
140~142: 제0 내지 제2 유량 제어부
200, 210, 220: 제0 내지 제2 유로

Claims (5)

  1. 일단으로 시료 기체가 유입되는 제0 유로(200);
    상기 제0 유로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0 펌프(180);
    상기 제0 펌프의 흡입 구동에 의해 상기 제0 유로로 유입된 시료 기체의 오염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 판단하는 제1 센서부(110);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상기 제0 펌프(18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부(110)에서 유출되는 기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120);
    제1 유로(21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포집낭(171), 및 상기 제1 포집낭(171)과 외부를 개폐하는 제1 개폐 밸브(161)를 구비하는 제1 챔버(151);
    상기 제1 챔버(151)와 상기 제1 포집낭(171)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1 펌프(181);
    상기 제1 유로(210)의 타단에 연결되고, 무취 가스를 제공하는 제1 무취가스 제공부(131);
    상기 제1 센서부(11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상기 제2 센서부(120) 및 상기 제1 포집낭(171) 중 어느 하나로 유출하는 제1 방향전환 밸브(310);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상기 제1 방향전환 밸브(310) 사이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0 유량 제어부(140);
    상기 제1 무취 가스 제공부(131)와 상기 제1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1 유량 제어부(141);
    상기 제1 포집낭(171)에 포집된 기체를 상기 제0 유로(20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으로 공급하는 제1 회귀관(214); 및
    상기 제0 유로(200)의 유입단 및 상기 제1 회귀관(214)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센서부(110)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제2 방향전환 밸브(320)를 포함하는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유로(22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포집낭(172), 및 상기 제2 포집낭(172)와 외부를 개폐하는 제2 개폐 밸브(162)를 구비하는 제2 챔버(152);
    상기 제2 챔버(152)와 상기 제2 포집낭(172)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 펌프(182);
    상기 제2 유로(220)의 타단에 연결되고, 무취 가스를 제공하는 제2 무취가스 제공부(132);
    상기 제1 센서부(11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상기 제2 센서부(120) 및 상기 제2 포집낭(171) 중 어느 하나로 유출하는 제3 방향전환 밸브(330);
    상기 제2 무취 가스 제공부(132)와 상기 제2 챔버(152)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제2 유량 제어부(142);
    상기 제2 포집낭(172)에 포집된 기체를 상기 제0 유로(20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으로 공급하는 제2 회귀관(224); 및
    상기 제0 유로(200)의 유입단 및 상기 제2 회귀관(224)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센서부(110)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제4 방향전환 밸브(340)를 더 포함하는, 악취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0 유로(200)로 유입되는 기체가 상기 제1 및 제2 포집낭(171, 172) 중 어느 하나에 포집되는 경우 저장부(20)에 희석 비율을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희석 비율을 조정하고, 상기 제2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상기 희석 비율을 반영하여 최종 악취 농도를 결정하는 제어부(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0 유로(200)의 유입단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대한 상기 제1 센서부(110)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전환 밸브(3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0 및 제1 유량 제어부(140, 141)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희석 배율로 상기 외부 공기를 희석하여 상기 제1 포집낭(171)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포집낭(171)에 기설정된 부피의 제1 희석 기체가 포집되면, 상기 제0 펌프(180)를 흡입 구동시켜 상기 제1 희석 기체를 상기 제1 회귀관(214) 및 상기 제2 방향전환 밸브(320)을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제1 측정값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1 측정값이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2 센서부(120)가 상기 제1 희석 기체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펌프(182)를 흡입 구동시켜, 상기 제1 포집낭(171)의 제1 희석 기체를 상기 제1 회귀관(214), 상기 제2 방향전환 밸브(320), 상기 제3 방향전환 밸브(330)을 통해 상기 제2 포집낭(172)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포집낭(172)에 포집되는 제2 희석 기체는 상기 제0 및 제2 유량 제어부(140, 14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희석 배율로 희석된 것인, 악취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부피가 되면, 상기 제1 펌프(181)를 토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개폐 밸브(161)를 개방하여, 상기 제1 포집낭(171)에 포집된 기체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악취 측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부피가 되면, 상기 제0 펌프(180)를 흡입 구동시켜, 상기 제2 희석 기체를 상기 제2 회귀관(224) 및 상기 제2 방향전환 밸브(32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부(110)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제2 측정값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2 측정값이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2 센서부(120)가 상기 제2 희석 기체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2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펌프(181)를 흡입 구동시켜, 상기 제2 포집낭(172)의 제2 희석 기체를 상기 제2 회귀관(224), 상기 제4 방향전환 밸브(340), 상기 제1 방향전환 밸브(310)을 통해 상기 제1 포집낭(171)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포집낭(171)에 포집되는 희석 기체는 상기 제0 및 제1 유량 제어부(140, 14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희석 기체가 기설정된 희석 배율로 희석되는, 악취 측정 장치.
KR1020150100685A 2015-07-15 2015-07-15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KR10183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685A KR101835581B1 (ko) 2015-07-15 2015-07-15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685A KR101835581B1 (ko) 2015-07-15 2015-07-15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153A true KR20170009153A (ko) 2017-01-25
KR101835581B1 KR101835581B1 (ko) 2018-03-08

Family

ID=5799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685A KR101835581B1 (ko) 2015-07-15 2015-07-15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625A (ko) * 2017-03-27 2019-11-18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질 측정 장치
KR20210101943A (ko) * 2020-02-11 2021-08-1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다회용 마약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407B1 (ko) * 2021-03-19 2022-10-27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고농도 가스에 대한 센서 보호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888B1 (ko) 2008-05-08 2008-12-15 (주) 에이스엔 Cdma를 이용한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KR20110099614A (ko)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악취측정방법 및 악취측정시스템
KR20140119974A (ko) 2013-04-01 2014-10-13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오염 공기 포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1109B2 (ja) 2000-07-03 2004-03-0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におい測定装置
JP4475971B2 (ja) 2004-02-09 2010-06-09 佐 藤 由 紀 匂い測定方法及び匂い測定システム
KR101258547B1 (ko) 2009-10-22 2013-05-02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악취 관능 평가용 공기 희석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888B1 (ko) 2008-05-08 2008-12-15 (주) 에이스엔 Cdma를 이용한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KR20110099614A (ko)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악취측정방법 및 악취측정시스템
KR20140119974A (ko) 2013-04-01 2014-10-13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오염 공기 포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625A (ko) * 2017-03-27 2019-11-18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질 측정 장치
KR20210101943A (ko) * 2020-02-11 2021-08-1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다회용 마약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581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03011A1 (en) System for purging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US9170187B2 (en) Flow cytometer and fluidic system thereof
KR101835581B1 (ko)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RU2013125315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диализа
NO20100539L (no) Fremgangsmate og apparatur for bestemmelse av en paramter ved en kontroll innstrommningsanordning i en bronn
JP6284633B2 (ja) 汚染度測定のためのマルチサンプリングポート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モニタリング方法
US201601936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or aspirating fluid
CN208043616U (zh) 一种粒子分析仪及其液路系统
US10507273B2 (en) Method of filling a container
JPH04330914A (ja) 排ガス用気体吸着装置
KR101557429B1 (ko) 오염발생위치 발견장치 및 발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CN107727557A (zh) 一种粒子分析仪及其液路系统和检测控制方法
US20230063005A1 (en) Gas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gas detection system
KR101613655B1 (ko) 가스상 악취물질 측정센서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A2832917C (en) Method for determining condition of piping and a sequence controlled sample pump
US20220323982A1 (en) Dosing device and method of dosing liquid media
US106560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leak in an exhaust gas sampling apparatus
CN104764860B (zh) 一种分析计量装置及液体分析系统
KR20220107598A (ko)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KR102330780B1 (ko) 가스측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373453B2 (ja) 自動分注装置
JPH0772050A (ja) 気体捕集装置
JP7159100B2 (ja) 分析装置、フローセルの廃液流路及び排液の排出方法
US20230211265A1 (en) Bulk fill system with serial fluid filtration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automated air transfer
DE602004017916D1 (d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mikroanalys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