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598A -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598A
KR20220107598A KR1020210010391A KR20210010391A KR20220107598A KR 20220107598 A KR20220107598 A KR 20220107598A KR 1020210010391 A KR1020210010391 A KR 1020210010391A KR 20210010391 A KR20210010391 A KR 20210010391A KR 20220107598 A KR20220107598 A KR 2022010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uid
passage
cover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238B1 (ko
Inventor
강창국
Original Assignee
강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국 filed Critical 강창국
Priority to KR102021001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2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at several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01N2001/206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using a by-pass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는, 측정 대상 물질이 흡수되는 제1 유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인 제1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어,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 결합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덮개부와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DISPOSABLE GAS COLLECTION DEVICE AND GAS COLL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상기 시료 채취 장치가 장착된 시료 채취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대기 오염을 측정하기 위해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형태에 따라 별도의 채취 장치와 채취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오염물질은 입자상물질, 가스상물질(휘발성물질), 반휘발성물질, 액상물질로 구분이 가능하다. 일례로, 입자상물질은 중금속, 먼지, 다이옥신, PAHS 등을 말할 수 있으며, 하이볼에어 샘플러, 먼지 샘플러 장치를 이용하여 채취할 수 있다. 일례로, 가스상 물질은 VOCs, SO2, NO2, NH3 등을 말할 수 있으며, 인핀저(흡수액법), VOC(tube) 샘플러 장치를 이용하여 채취할 수 있다. 일례로, 반휘발성물질은 다이옥신, PAHS 등을 말할 수 있으며, PUF 샘플러 장치를 이용하여 채취할 수 있다. 액상물질은 산성우등을 말할 수 있으며, 산성우 채취기가 사용되어 채취될 수 있다.
여기서, 인핀저를 이용하여 가스상물질을 채취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인핀저 내의 흡수유체에 대기를 유동시켜 인핀저 내의 흡수유체에 대기 상에 존재하는 가스상물질이 흡수되도록 하여, 가스상물질을 채취한다. 여기서, 채취가 끝난 인핀저 내의 흡수유체를 검사 기관으로 제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핀저 내의 흡수유체를 검사튜브로 옮겨야 했으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흡수유체가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채취 방침 상에 수일에 걸쳐서 시료 채취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기존의 장비들은 하루 단위로 밖에 진행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에는 작업자가 장비가 설치된 곳으로 매일 가서 채취가 완료된 흡수액체를 인핀저로부터 비우고, 재 설치해야 했다. 이로 인해, 시료 채취를 위해서 직원이 상시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시료 채취가 가능하고, 시료를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는, 측정 대상 물질이 흡수되는 제1 유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인 제1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어,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 결합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덮개부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1회 시료 채취 과정 진행 후에 폐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의 상단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덮개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1 통로부 및 상기 제1-1 통로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는 제1 덮개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본체부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2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1 통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1 통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유체로 직접적으로 안내하는 제1-3 통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3 통로부는, 탈 부착 가능하게 상기 제1-1 통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 물질이 흡수되는 제2 유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인 제2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거쳐온 공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2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1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체 수용부가 결합되는 제2 덮개본체부 및 상기 제2 덮개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2-2 통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1 통로부 및 상기 제1-1 통로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는 제1 덮개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본체부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2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2 통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1 통로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2 통로부와 상기 제2-1 통로부에 연결되는 제1-4 통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료 채취 장치; 상기 시료 채취 장치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시료 채취 장치에 저압을 발생시키는 펌프부; 시료 채취 장치들을 서로 병렬적으로 상기 펌프부에 연결시키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에 배치되어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에만 유동 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례로 시료 채취 장치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은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의 상세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에서 시료 채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이 구비하는 시료 채취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이 구비하는 시료 채취 장치의 결합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료 채취 장치(X10, X20, X30, X40, X50, X60), 상기 시료 채취 장치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시료 채취 장치에 저압을 발생시키는 펌프부(T10), 시료 채취 장치들을 서로 병렬적으로 상기 펌프부(T10)에 연결시키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에 배치되어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에만 유동 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료 채취 시스템은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부(H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H10)의 내부에는 펌프부(T10), 밸브부, 배관부 및 제어부가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시료 채취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H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6개의 시료 채취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3일 단위로 2가지 종류의 시료를 채취하는 현장의 니즈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시료 채취 장치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6개 시료 채취 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관부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배관(A10), 상기 제1 유입배관(A10)과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10)를 서로 연결하는 제1-1 배관(P11), 상기 제1 유입배관(A10)과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20)를 서로 연결하는 제1-2 배관(P12), 상기 제1 유입배관(A10)부과 또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30)를 서로 연결하는 제1-3 배관(P13), 시료 채취 장치를 거쳐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가이드 하는 제1 배출배관(B10), 상기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배출 배관으로 안내하는 제1-4 배관(P14), 상기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배출배관(B10)으로 안내하는 제1-5 배관(P15) 및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배출배관(B10)으로 안내하는 제1-6 배관(P16)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관부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배관(C10), 상기 제2 유입배관(C10)과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40)를 서로 연결하는 제2-1 배관(P21), 상기 제2 유입배관(C10)과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50)를 서로 연결하는 제2-2 배관(P22), 상기 제2 유입배관(C10)부과 또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60)를 서로 연결하는 제2-3 배관(P23), 시료 채취 장치를 거쳐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가이드 하는 제2 배출배관(D10), 상기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4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배출 배관으로 안내하는 제2-4 배관(P24), 상기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5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배출배관(D10)으로 안내하는 제2-5 배관(P25) 및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6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배출배관(D10)으로 안내하는 제2-6 배관(P26)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부는 상기 제1 배출배관(B10)과 상기 제2 배출배관(D10)을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배출배관(B10)과 상기 제2 배출배관(D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제3 배출배관(E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펌프부(T10)는 상기 제3 배출배관(E10)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부는 상기 제1-1 배관(P11)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1밸브부(B11), 상기 제1-2 배관(P12)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2 밸브부(B12), 상기 제1-3 배관(P13)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3 밸브부(B13), 상기 제1-4 배관(P14)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4 밸브부(B14), 상기 제1-5 배관(P15)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5 밸브부(B15) 및 상기 제1-6 배관(P16)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1-6 밸브부(B1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2-1 배관(P21)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1 밸브부(B21), 상기 제2-2 배관(P22)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2 밸브부(B22), 상기 제2-3 배관(P23)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3 밸브부(B23), 상기 제2-4 배관(P24)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4 밸브부(B24), 상기 제2-5 배관(P25)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5 밸브부(B25) 및 상기 제2-6 배관(P26)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2-6 밸브부(B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례로 시료 채취 장치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에서 시료 채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1 밸브부(B11), 제1-4 밸브부(B14), 제2-1 밸브부(B21) 및 제2-4 밸브부(B24)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들을 폐쇄하여,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10, X40) 각각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여 공기에 함유된 측정 대상 물질이 시료 채취 장치 내에 수용된 액체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밸브부를 제어한 뒤에,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다른 시료 채취 장치(X20, X50)로 공기가 유동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제1-2 밸브부(B12), 제1-5 밸브부(B15), 제2-2 밸브부(B22) 및 제2-5 밸브부(B23)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부들을 폐쇄하여,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20, X50) 각각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여 공기에 함유된 측정 대상 물질이 시료 채취 장치 내에 수용된 액체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밸브부를 제어한 뒤에,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다른 시료 채취 장치(X30, X60)로 공기가 유동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제1-3 밸브부(B13), 제1-6 밸브부(B16), 제2-3 밸브부(B23) 및 제2-6 밸브부(B26)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들을 폐쇄하여, 다른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X30, X60) 각각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여 공기에 함유된 측정 대상 물질이 시료 채취 장치 내에 수용된 액체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밸브부를 제어한 뒤에, 모든 밸브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시료 채취 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펌프부(T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일정 시간은 24시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정 시간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측정 대상 물질은 SO2, NO2 각 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입 배관을 서로 다르게 하여 3개 단위로 시료 채취 장치가 구분되어 배치,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측정 대상 물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가능 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이 구비하는 시료 채취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이 구비하는 시료 채취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는 측정 대상 물질이 흡수되는 제1 유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인 제1 수용 공간(S100)을 제공하는 제1 유체 수용부(100) 및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가 연결되어,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S100)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덮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채취 장치는 측정 대상 물질이 흡수되는 제2 유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인 제2 수용 공간(S300)을 제공하는 제2 유체 수용부(300)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S100)을 거쳐온 공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S300)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2 덮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100)는 내측에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 유체가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S1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의 상단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는 1회 시료 채취 과정 진행 후에 폐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20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는 한번 사용 후에 상기 제1 덮개부(200)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일회용에 많이 이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덮개부(200)는 상기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S100)으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1 통로부(210) 및 상기 제1-1 통로부(210)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가 연결되는 제1 덮개본체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덮개부(200)는 상기 제1-1 통로부(210)의 하단에 탈 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3 통로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덮개부(200)는 후술하는 제1-2 통로부(E220)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4 통로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의 하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제1 함입부(Y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함입부(Y220)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는 상기 제1 덮개부(2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덮개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의 상단부가 상기 제1 함입부(Y2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의 상단부가 상기 제1 함입부(Y220)에 나사 결합되지 않아, 상기 제1 덮개부(200)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는 상기 제1-1 통로부(210)가 삽입되게 제1 삽입홀(h2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홀(h220)은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의 상면과 상기 제1 함입부(Y220)의 상면을 통하여 관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의 재질은 테프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상기 제1 수용 공간(S10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2 통로부(E2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2 통로부(E220)는 상기 제1 함입부(Y220)와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의 측면을 통하도록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1 통로부(210)는 내측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긴 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1 통로부(210)는 상기 제1 삽입홀(h220)에 탈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1 통로부(210)도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와 마찬가지로 1회 채취 과정 종료 후에 교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통로부(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1 통로부(210)는 한번 사용 후에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일회용에 많이 이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통로부(21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다르게, 상기 제1-1 통로부(210)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통로부(210)와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1 통로부(210)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1 통로부(210)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1 통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1 통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유체로 직접적으로 안내하는 제1-3 통로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3 통로부(230)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22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1 통로부(210)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제1-3 통로부(230)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100)와 마찬가지로 1회 채취 과정 종료 후에 교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3 통로부(213)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3 통로부(230)는 한번 사용 후에 상기 제1-1 통로부(210)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일회용에 많이 이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3 통로부(23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3 통로부(230)는 상기 제1 수용 공간(S100)에 수용되는 액체에 직접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4 통로부(240)는 후술하는 제2-1 통로부(E410)에 삽입되어, 상기 제1-2 통로부(E22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1 통로부(E410)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2 통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1 통로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2 통로부와 상기 제2-1 통로부에 연결되는 제1-4 통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유체 수용부(300)는 내측에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 유체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S3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의 상단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는 1회 시료 채취 과정 진행 후에 폐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덮개부(40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는 한번 사용 후에 상기 제2 덮개부(400)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일회용에 많이 이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덮개부(400)는 상기 제1 덮개부(2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S300)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1 통로부(E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가 결합되는 제2 덮개본체부(410) 및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용 공간(S30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2-2 통로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1 통로부(E4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1 통로부(E4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 유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2-3 통로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덮개본체부의(410) 하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제2 함입부(Y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함입부(Y410)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는 상기 제2 덮개부(4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덮개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의 상단부가 상기 제2 함입부(Y4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는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의 상단부가 상기 제2 함입부(Y410)에 나사 결합되지 않아, 상기 제2 덮개부(400)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는 상기 제2-2 통로부(420)가 삽입되게 제2 삽입홀(h4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홀(h410)은 상기 제2 덮개본체부의 상면과 상기 제2 함입부(Y410)의 상면을 통하여 관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의 재질은 테프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는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상기 제1-2 통로부(E2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2-1 통로부(E4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1 통로부(E410)는 상기 제2 함입부(Y410)와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의 측면을 통하도록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통로부(E410)는 상기 제2 함입부(Y4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1 통로부(E410)는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의 내측의 관통되어 형성된 것에 더불어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2 통로부(420)는 내측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긴 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2 통로부(420)는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1 통로부(E410)에 외삽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2 통로부(420)도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와 마찬가지로 1회 채취 과정 종료 후에 교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2 통로부(4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2 통로부(420)는 한번 사용 후에 상기 제2 덮개본체부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일회용에 많이 이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2 통로부(42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다르게, 상기 제2-2 통로부(420)는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2 통로부(420)와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2 통로부(420)는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3 통로부(440)는 내측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긴 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3 통로부(440)는 상기 제2-1 통로부(E410)의 단부에 외삽되어, 상기 제2-1 통로부(E410)로부터 탈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3 통로부(440)도 상기 제2 유체 수용부(300)와 마찬가지로 1회 채취 과정 종료 후에 교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3 통로부(4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3 통로부(440)는 한번 사용 후에 상기 제2 덮개본체부(410)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일회용에 많이 이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3 통로부(44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부(400)는 상기 제1 덮개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매개부(430)는 상기 제1-2 통로부(E220)와 상기 제2-1 통로부(E410)에 삽입되어, 상기 제1-2 통로부(E220)에서 상기 제2-1 통로부(E410)로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시료 채취 장치로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부의 공기는 배관을 따라 유입되어 제1-1 통로부(210) 및 제1-3 통로부(230)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수용 공간(S100)에 수용된 제1 유체(F10)로 유입될 수 있다.
측정 대상 물질의 일부가 상기 제1 유체(F10)에 흡수되고, 상기 제1 유체(F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1-2 통로부(E220), 제1-4 통로부(240), 제2-1 통로부(E410) 및 제2-3 통로부(440)를 통해 상기 제2 유체(F20)로 유입될 수 있다.
측정 대상 물질의 일부가 상기 제2 유체에 흡수되고, 상기 제2 유체(F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2 통로부(420)를 통해 시료 채취 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F10)와 상기 제2 유체(F20)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유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제2 유체는 서로 상이한 유체일 수 있다.
제1 유입배관에 연결된 시료 채취 장치와 제2 유입배관에 연결된 시료 채취 장치에는 서로 다른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이는 측정 대상 물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작업자는 제1 유체 수용부 및/또는 제2 유체 수용부 자체를 분석 기관에 의뢰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별도의 용기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기간에 유체 수용부가 전달되기 위해서, 제1 유체 수용부 및/또는 제2 유체 수용부의 상단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마개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해 작업자는 매일 같이 채취 현장에 가지 않아도 되고, 몇일 간격으로 채취 현장을 가면 되기 때문에, 시료 채취를 위한 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제1 유체 수용부 200 : 제1 덮개부
300 : 제2 유체 수용부 400 : 제2 덮개부

Claims (11)

  1. 측정 대상 물질이 흡수되는 제1 유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인 제1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어,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 결합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덮개부와 분리되는,
    시료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1회 시료 채취 과정 진행 후에 폐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시료 채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시료 채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의 상단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덮개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시료 채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1 통로부 및 상기 제1-1 통로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는 제1 덮개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본체부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2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료 채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1 통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1 통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유체로 직접적으로 안내하는 제1-3 통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3 통로부는,
    탈 부착 가능하게 상기 제1-1 통로부와 연결되는,
    시료 채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측정 대상 물질이 흡수되는 제2 유체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인 제2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거쳐온 공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2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연결되는,
    시료 채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1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체 수용부가 결합되는 제2 덮개본체부 및 상기 제2 덮개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2-2 통로부를 구비하는,
    시료 채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측정 대상 물질이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1 통로부 및 상기 제1-1 통로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가 연결되는 제1 덮개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본체부는,
    상기 제1 덮개본체부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제1-2 통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2 통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1 통로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2 통로부와 상기 제2-1 통로부에 연결되는 제1-4 통로부를 더 구비하는,
    시료 채취 장치.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료 채취 장치;
    상기 시료 채취 장치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시료 채취 장치에 저압을 발생시키는 펌프부;
    시료 채취 장치들을 서로 병렬적으로 상기 펌프부에 연결시키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에 배치되어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시료 채취 장치에만 유동 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례로 시료 채취 장치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KR1020210010391A 2021-01-25 2021-01-25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KR10250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391A KR102507238B1 (ko) 2021-01-25 2021-01-25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391A KR102507238B1 (ko) 2021-01-25 2021-01-25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598A true KR20220107598A (ko) 2022-08-02
KR102507238B1 KR102507238B1 (ko) 2023-03-06

Family

ID=8284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391A KR102507238B1 (ko) 2021-01-25 2021-01-25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92A (ko) * 2021-11-12 2023-05-19 강창국 대기 시료 채취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578A (ko) * 2001-02-02 2002-08-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샘플링 용기
KR101184272B1 (ko) * 2010-08-04 2012-09-21 지앤엘 (주) 자동 시료 포집 장치
KR101250898B1 (ko) * 2012-10-17 2013-04-05 김중구 이동식 악취 샘플링장치
KR20160040803A (ko) *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에어록스 모듈형 악취 시료 채집기
KR20200113343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글로벤스 대기오염물질 및 악취유발물질의 시료 자동채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578A (ko) * 2001-02-02 2002-08-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샘플링 용기
KR101184272B1 (ko) * 2010-08-04 2012-09-21 지앤엘 (주) 자동 시료 포집 장치
KR101250898B1 (ko) * 2012-10-17 2013-04-05 김중구 이동식 악취 샘플링장치
KR20160040803A (ko) *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에어록스 모듈형 악취 시료 채집기
KR20200113343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글로벤스 대기오염물질 및 악취유발물질의 시료 자동채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92A (ko) * 2021-11-12 2023-05-19 강창국 대기 시료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238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7401B (zh) 可弃置流体分析盒
CN103217400B (zh) 流体分析盒的两步样品加载
US6851459B2 (en) Air samplers
CN101262950A (zh) 流量计量分析器
CN104297108A (zh) 粒子分析仪及其液路系统
JP6264620B2 (ja) 流体をサンプリングして分析装置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及びシステム
KR102043955B1 (ko) 검체 채취용 어댑터
KR20220107598A (ko) 일회용 시료 채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 시스템
US20060207351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collecting trace substances in the air
CN107402145A (zh) 一种空气采样容器及采样方法
US200702347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quantifiable release spore testing on bioaerosol detection technologies
CN104422780B (zh) 一种基于微流控芯片全封闭体系的蛋白质快速分析检测装置
WO2007126668A3 (en) Urine analysis collection kit for veterinary use
WO2015064687A1 (ja) フロー式分析装置、及び、廃液分離方法
CN104730216B (zh) 一种分析计量装置及液体分析系统
CN211927493U (zh) 一种生物安全标准化体液标本处理器
CN202057582U (zh) 可同时进行吸光度和荧光检测的流动比色池
CN103575635A (zh) 一种流式仪器及其液路系统、方法
CN107543903A (zh) 一种在线监测污泥脱水工艺氨气和硫化氢的方法和装置
KR101835581B1 (ko) 회귀적 희석 기반의 악취 측정 장치
CN109211737A (zh) 样本检测装置、样本分析仪及样本检测方法
CN208505698U (zh) 一种自带安全过滤装置的一体式气泡吸收管
CN104764860B (zh) 一种分析计量装置及液体分析系统
US7293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biological particles in an air flow
CN208350822U (zh) 液体化工产品微水进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