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965A -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 Google Patents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8965A KR20170008965A KR1020150100179A KR20150100179A KR20170008965A KR 20170008965 A KR20170008965 A KR 20170008965A KR 1020150100179 A KR1020150100179 A KR 1020150100179A KR 20150100179 A KR20150100179 A KR 20150100179A KR 20170008965 A KR20170008965 A KR 201700089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ing
- insulating portion
- metal rod
- manufacturing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05—Insul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built-in electrical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은, 금속 봉체와 상기 금속 봉체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금속 봉체를 준비하고, 상기 금속 봉체의 일측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봉체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고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상기 절연부를 마련하되, 상기 금속 봉체, 상기 케이블 및 상기 절연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봉체에 대해 절연부를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금속 봉체와 절연부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상호 결합 공정 생략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상호 결합 공정 없이 금속 봉체에 대해 절연부를 일체로 성형 가능하므로 결합 공정 생략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고, 금속 봉체와 절연부 사이의 갭(gap) 발생을 제거하거나 최대한 감소시켜 부싱의 내부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요건을 차단할 수 있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개폐기)은 발전 및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주로 고압 수용가로 수, 배전하는 과정에서 전기 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조적으로는 차단기, 보호 계전기 및 미터류 등의 단위 기기를 부착 지지 및 보호하는 구조물 및 이를 접속 연결하는 전선의 집합체로 구성되며, 이러한 배전반은 통상 그 절연방식에 따라 가스절연 배전반 및 공기절연 배전반으로 구분된다.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되며, 특고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에까지 공급되는데, 지중배전 선로의 선로구분 및 분기를 목적으로 절연력이 우수한 소호가스(예를 들어, 불화유황(SF6) 가스)를 사용한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전반의 내부에는 기구 또는 계기의 안전을 위해 여러 개의 방으로 구획 지워져 있고, 이들 각각의 방 사이에는 판넬이 설치되어 격벽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판넬에는 벽관통형 부싱이 설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격실 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이러한 부싱은 기존에 주로 절연체인 자기질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체인 금속봉을 삽입하여 제작하였으나, 최근에 제작이 용이하고 코스트가 저렴한 고분자재질의 절연체 하우징에 금속봉을 삽입한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부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절연체 하우징과 금속봉을 별도로 제작한 후 절연체 하우징 내부에 금속봉을 삽입 결합하여 부싱을 제조하였는데, 절연체 하우징 및 금속봉의 별도 제작 작업, 절연체 하우징과 금속봉의 결합 작업 등이 요구되므로 제조 공정 수 증가에 따른 제조 비용의 증가 및 생산성 하락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싱 구조는 절연체 하우징 내에 금속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절연체 하우징과 금속봉 사이에 일정 이상의 갭(gap, 간극)이 형성되는데, 금속봉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이러한 갭 부위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코로나 방전은 절연체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하므로 작업자는 외부에서 이러한 코로나 방전 발생 상황을 감지하기 힘들게 되는데, 이러한 코로나 방전이 장시간 발생하게 되면 절연체 하우징의 절연 성능이 파괴되고 심하게는 불꽃 방전이 발생하여 커다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상호 결합 공정 없이 금속 봉체에 대해 절연부를 일체로 성형 가능하므로 결합 공정 생략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고, 금속 봉체와 절연부 사이의 갭(gap) 발생을 제거하거나 최대한 감소시켜 부싱의 내부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요건을 차단할 수 있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금속 봉체와 상기 금속 봉체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금속 봉체를 준비하고, 상기 금속 봉체의 일측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봉체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고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상기 절연부를 마련하되, 상기 금속 봉체, 상기 케이블 및 상기 절연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금속 봉체와 상기 금속 봉체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으로서, 상기 절연부는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금속 봉체에 일체로 성형되는 전력 기기용 부싱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에 의하면, 금속 봉체에 대해 절연부를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금속 봉체와 절연부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상호 결합 공정 생략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봉체와 절연부 사이의 갭(gap) 발생을 제거하거나 최대한 감소시켜 부싱의 내부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요건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연부를 제1 절연부와 제2 절연부로 구분하고 서로 경도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외력이 부싱에 가해질 때 부싱의 파손 및 형상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부 및 제2 절연부에 돌기 및 홈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서로 간의 결합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부싱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이 개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조방법 중 일부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의 절연부에 돌기 및 홈 구조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부싱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이 개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조방법 중 일부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의 절연부에 돌기 및 홈 구조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이하, '부싱 제조방법')은, 부싱을 제조하기 위해 부싱을 구성하는 각 구성 간의 별도 결합 공정을 생략하여 신속한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각 구성 사이에 형성되는 갭(gap)으로 인해 고압 통전시 갭 부위에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갭을 제거하거나 최대한 감소시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요건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부싱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제조방법은, 금속 봉체(110)와 금속 봉체(110)를 감싸는 절연부(120)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10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금속 봉체(110)를 준비하고 금속 봉체(110)의 일측에 케이블(130)을 연결하는 단계(S100)와, 금속 봉체(110)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고 케이블(1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절연부(120)를 마련하되, 금속 봉체(110), 케이블(130) 및 절연부(120)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100단계에서는, 금속 봉체(110)를 준비하고 금속 봉체(110)의 일측에 케이블(130)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S100단계에서는, 케이블(130)의 단부 피복을 제거하고 케이블(130)의 심선을 금속 봉체(110)의 단부에 마련된 삽입홈(111)에 삽입한 후, 별도의 압착기를 사용하여 금속 봉체(110)를 압착하여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 케이블(130)은 금속 봉체(110)와 전기적으로 통전이 가능한 중앙 심선(131)과, 중앙 심선(131)을 감싸는 외피(132)를 포함하는데, 외피(132)는 절연부(1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110단계에서는, 금속 봉체(110)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고 케이블(1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절연부(120)를 마련한다. 여기서, 케이블(130)의 적어도 일부라 함은, 전술한 S100단계를 통해 피복이 제거된 단부 주변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금속 봉체(110), 케이블(130) 및 절연부(120)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즉, S100단계를 통해 마련된 금속 봉체(110)와 케이블(130)의 결합체에 절연부(120)를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110단계에서는, 금속 봉체(110)와 케이블(130)의 결합체를 사출기의 사출 금형(140) 내부에 장착한 후 절연부(120)를 형성하는 사출재료를 사출 금형 내부로 공급하여 최종적으로 금속 봉체(110), 케이블(130) 및 절연부(120)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연부(120)는 예를 들어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 봉체(110), 케이블(130) 및 절연부(120)를 일체로 성형, 특히 금속 봉체(110)와 절연부(120)를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 금속 봉체(110)와 절연부(120)를 별도로 성형한 후 서로 결합하여 부싱을 구현하는 경우에 비해 각 구성 간의 별도 결합 공정을 생략하여 신속한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봉체(110)와 절연부(120) 간의 사이 갭(gap)과, 케이블(130)과 절연부(120) 간의 사이 갭을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갭 발생에 따른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요건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한층 안전한 구조를 구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절연부(120)의 외면이 주름지게 마련되는 것은 절연부(12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절연거리를 확대하여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S110단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2회 이상의 이중 사출 공정을 적용하여 성형할 수도 있다. 여기서, 2회 이상의 이중 사출 공정이라 함은, 이중 사출 공정을 구분하여 2회 이상 실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이 개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제조방법 중 일부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의 절연부에 돌기 및 홈 구조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부싱(100)은 개폐기(150)(배전반)에 서로 이격되게 장착되는데, 부싱(100) 중 개폐기(150)에 근접하게 장착되는 부분과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폐기(15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 가능한 부분은 경도가 서로 간에 일정 이상의 차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부(120)는, 개폐기(150)에 근접하게 장착 가능한 제1 절연부(121)와 제1 절연부(121)에 연결되되 제1 절연부(121)에 비해 개폐기(150)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 배치 가능한 제2 절연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싱(100)의 구성요소 중 개폐기(150)에 근접하게 장착되는 제1 절연부(121)는 부싱(100)이 개폐기(15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일정 이상의 경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싱(100)의 구성요소 중 제1 절연부(121)에 비해 개폐기(150)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 가능한 제2 절연부(122)는 외부 충격에 쉽게 형상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절연부(122)에 일정 충격량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2 절연부(122)의 경도를 일정 이상 낮게 형성한다면, 제2 절연부(122)의 형상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외력에 의해 금속 봉체(110) 또한 파손되거나 형상 변형되는 것을 일정 이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S110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제1 절연부(121) 및 제2 절연부(122)를 2회의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제2 절연부(122)의 경도는 제1 절연부(121)의 경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연부(120)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3개 이상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S110단계에서는 3회 이상의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서로 다른 경도를 구현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회 실시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S110단계는, 금속 봉체(110)에 제1 절연부(121)를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S111)와, 금속 봉체(110)와 제1 절연부(121)의 결합체에 제2 절연부(122)를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한다. S111단계는 제1 사출금형을 통해 실시 가능하고, S112단계는 제1 사출금형과 상이한 제2 사출금형을 통해 실시 가능하다.
S111단계와 S112단계가 완료되면, 금속 봉체(110), 케이블(130), 제1 절연부(121) 및 제2 절연부(122)가 일체로 성형된 부싱이 제조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연부(121)와 제2 절연부(122) 사이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결합 구조가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일 예로, 제1 절연부(121) 및 제2 절연부(122)의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는 각각 돌기 및 홈 구조가 마련될 수 있는데, 관련 도면에는 제1 절연부(121)에 홈(123)이 마련되고 제2 절연부(122)에 돌기(124)가 마련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 및 돌기는 전술한 반대로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절연부(121)에 홈(123) 구조를 마련하고 제2 절연부(122)에 돌기(124)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S111단계를 실시하기 위한 제1 사출금형의 설계시 제1 절연부(121)에 홈(123)이 형성되도록 설계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한편, 제1 절연부(121)와 제2 절연부(122) 간의 상호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24)가 테이퍼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24)는 돌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홈(123) 또한 마찬가지로 돌기(12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절연부(121)와 제2 절연부(122) 간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부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싱 제조방법을 설명하는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싱 제조방법은, 마찬가지로 금속 봉체(210)와 금속 봉체(210)를 감싸는 절연부(220)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20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금속 봉체(210)를 준비하는 단계(S200)와, 금속 봉체(210)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절연부(220)를 마련하되, 금속 봉체(210) 및 절연부(220)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S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케이블(130)이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동일한 공정을 통해 실시 가능하다. S210단계를 통해 제조된 부싱(200)의 단부, 구체적으로 금속 봉체(210)의 단부에 마련된 삽입홈(211)에는 별도의 전원단자(미도시)가 스크루 결합 등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200: 부싱
110,210: 금속 봉체
120,220: 절연부 121: 제1 절연부
122: 제2 절연부 130: 케이블
140: 사출 금형 150: 개폐기
120,220: 절연부 121: 제1 절연부
122: 제2 절연부 130: 케이블
140: 사출 금형 150: 개폐기
Claims (10)
- 금속 봉체와 상기 금속 봉체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금속 봉체를 준비하고, 상기 금속 봉체의 일측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봉체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고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상기 절연부를 마련하되, 상기 금속 봉체, 상기 케이블 및 상기 절연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 금속 봉체와 상기 금속 봉체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금속 봉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봉체를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상기 절연부를 마련하되, 상기 금속 봉체 및 상기 절연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이중 사출 공정을 적용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이중 사출 공정을 적용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개폐기에 근접하게 장착 가능한 제1 절연부와 상기 제1 절연부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절연부에 비해 상기 개폐기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 배치 가능한 제2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b1) 상기 금속 봉체에 상기 제1 절연부를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 및
(b2) 상기 금속 봉체와 상기 제1 절연부의 결합체에 상기 제2 절연부를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의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는 각각 돌기 및 홈 구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는 각각 EPDM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연부의 경도는 상기 제1 절연부의 경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 피복을 제거하고 상기 케이블의 심선을 상기 금속 봉체의 단부에 마련된 삽입홈에 삽입한 후, 상기 금속 봉체를 압착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 금속 봉체와 상기 금속 봉체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으로서,
상기 절연부는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금속 봉체에 일체로 성형되는 전력 기기용 부싱.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봉체의 일측에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절연부는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금속 봉체 및 상기 케이블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용 부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0179A KR101729688B1 (ko) | 2015-07-15 | 2015-07-15 |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0179A KR101729688B1 (ko) | 2015-07-15 | 2015-07-15 |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8965A true KR20170008965A (ko) | 2017-01-25 |
KR101729688B1 KR101729688B1 (ko) | 2017-04-25 |
Family
ID=5799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0179A KR101729688B1 (ko) | 2015-07-15 | 2015-07-15 |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968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0658A1 (ko) * | 2022-10-25 | 2024-05-02 | 주식회사 디티알 | 애자 사출금형 및 성형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9535B1 (ko) | 2017-07-21 | 2017-09-18 | 주식회사 시온파워테크 | 과전류 차단 부싱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520B1 (ko) | 2012-08-30 | 2012-10-11 | 대원계전주식회사 | 전압 감지 기능을 내장한 고?저압 벽관통형 부싱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6588Y1 (ko) * | 2002-09-04 | 2002-11-29 | 평일산업 주식회사 | 가공용 가스개폐기 폴리머부싱 |
KR200348323Y1 (ko) * | 2004-02-06 | 2004-05-03 | 주식회사 평일 | 가스개폐기용 폴리머부싱 |
KR100814976B1 (ko) * | 2007-05-14 | 2008-03-19 | (주)대한정공 |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2015
- 2015-07-15 KR KR1020150100179A patent/KR1017296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520B1 (ko) | 2012-08-30 | 2012-10-11 | 대원계전주식회사 | 전압 감지 기능을 내장한 고?저압 벽관통형 부싱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0658A1 (ko) * | 2022-10-25 | 2024-05-02 | 주식회사 디티알 | 애자 사출금형 및 성형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9688B1 (ko) | 2017-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72133B2 (en) | Separable loadbreak connector and system | |
US9057742B2 (en) | Functional measuring group for a medium-voltage distribution substation | |
KR101729688B1 (ko) |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 |
KR101580088B1 (ko) | 복합절연 배전반 | |
JPWO2004055954A1 (ja) |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 |
CN103296609B (zh) | 中压配电站 | |
KR100888541B1 (ko) |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용 개폐기 및 차단기의개폐차단부 | |
AU2013201094B2 (en) | Connector for connections by flat interface and medium-voltage substation comprising same | |
KR101137967B1 (ko) | 폴리머 몰드 절연형 부하개폐기 | |
KR101189520B1 (ko) | 전압 감지 기능을 내장한 고?저압 벽관통형 부싱 | |
KR102295956B1 (ko) |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 |
JP2010041859A (ja) | 固体絶縁スイッチギヤ | |
AU2013201083B2 (en) | Gas outlet device for a medium-voltage functional unit and distribution substation comprising same | |
EP2865058A1 (en) | Disk-shaped insulator for gas-insulated switchgear | |
KR100857253B1 (ko) |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 |
KR20080034266A (ko) |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 |
KR101497068B1 (ko) | 지상 및 지중 겸용 에폭시몰딩 절연형 다회로 부하개폐기 및 차단기 | |
KR101956856B1 (ko) |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 |
KR101036147B1 (ko) | 개폐차단기의 개폐차단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개폐차단기 | |
KR101327233B1 (ko) | 부하개폐기 접속 장치 | |
CN214626072U (zh) | 电极单元的极接触臂、开关装置的电极单元及开关装置 | |
KR102066227B1 (ko) | 가스절연 개폐장치 | |
KR200410883Y1 (ko) | 컷 아웃 스위치용 폴리머 애자의 접속금구 | |
KR101563588B1 (ko) | 가스절연개폐장치 도체 홀 커버 결합구조 | |
KR20190002927U (ko) |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연결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