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976B1 -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976B1
KR100814976B1 KR1020070046637A KR20070046637A KR100814976B1 KR 100814976 B1 KR100814976 B1 KR 100814976B1 KR 1020070046637 A KR1020070046637 A KR 1020070046637A KR 20070046637 A KR20070046637 A KR 20070046637A KR 100814976 B1 KR100814976 B1 KR 10081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old
molding material
cable assembly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흥추
Original Assignee
(주)대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정공 filed Critical (주)대한정공
Priority to KR102007004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몰딩재 저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형과, 상기 상형에 결합되는 하형으로 구성되며, 상형과 하형의 결합시 내부의 경계부분에 몰딩 공간이 형성되는 금형; 및 상기 몰딩재 저장홈을 따라 이동하는 압출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형에는, 상기 몰딩재 저장홈과 상기 몰딩 공간 사이를 관통하는 몰딩재 공급통로가 형성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와 그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하여, 케이블을 금형에 설치한 후 용융된 몰딩재를 공급하므로 케이블이 들뜨는 경우가 없고, 압출수단에 의해 정량이 정확히 금형 내에 공급되므로 케이블 조립체의 표면에 함몰된 부분이 없이 매끈하여 최종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개폐기, 케이블, 조립체, 제조, 애자, 몰딩

Description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WITCH CABLE ASSEMBLY}
도 1a는 일반적인 전원 통제용 개폐기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접속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c에서 케이블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종래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다.
도 2b는 종래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애자
200... 전극 케이블
210... 몰딩부
231... 동전극
232... 피복재
230... 직선 케이블
220... 동단자
300... 전극봉
500... 금형
510... 금형의 상형
511... 몰딩재 저장홈
512... 몰딩재 공급통로
520... 금형의 하형
530... 몰딩 공간
540... 고무조각
550... 금형의 걸림홈
600... 압출수단
700... 가열장치
900... 용융된 몰딩재
본 발명은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 작업이 용이한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개폐기(S)는 부하로 연결되는 고전압의 전원을 차단 및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쌍을 이룬 접속구(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C)는 그 일단에 케이블 조립체(200)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1)쪽 타단부에는 전극봉(3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C)의 타단부에 연결된 스위치의 각 단자간에 고압의 전원이 단속되면서 단자간의 근접 또는 이격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위치 및 스위치 단자는 고압의 기체로 이루어진 절연가스 또는 절연액체가 충전된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도 1b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C)는 절연재료로 구성된 중공형의 애자(100)와, 상기 애자(100)의 중공에 케이블 조립체(200)와 전극봉(300)이 서로 나사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조립체(200)는 동전극(231)이 고무나 수지로 구성된 피복재(232)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직선 케이블(230)과, 상기 직선 케이블(230)의 동전극(231) 단부에 연결된 동단자(220)와, 상기 직선 케이블(230)의 피복재(232) 일부와 동단자(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몰딩부(21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몰딩부(210)의 일부는 중공이 형성된 콘(cone)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상기 직선 케이 블(230)과 동단자(220)의 외면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조립체(200)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제조장치가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공정별로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이하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직선 케이블(230)을 준비한 후, 상기 직선 케이블의 선단에서 피복재(232)를 벗겨내어 동전극(231)을 노출시킨다. 이러한 공정은 매우 일반적이며 상기 직선 케이블(230)도 시중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다.
다음, 노출된 상기 동전극(231)에 동단자(220)를 압착하여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동단자(220)에는 동전극(231)의 단면에 대응하는 결합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동단자(220)와 동전극(231)의 결합작업은 금속간 결합을 이용하는 것으로 프레스 등으로 압착함으로써 매우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동단자(220)의 단부에는 나선이 형성된 고정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동단자(220)가 결합된 직선 케이블(230)을 금형(500)에 설치한다. 상기 금형(500)은 상형(510)과 하형(520)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결합 후 그 내부에는 상기 몰딩부(210)가 형성되기 위한 몰딩 공간(530)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금형의 하형(520)에 직선 케이블(230)을 얹어놓고, 몰딩부(210)의 재료가 되는 작은 고무조각(540)을 상기 몰딩 공간(530)에 채워 넣는다. 이때, 상기 고무(540)의 탄성력에 의해 직선 케이블(230)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충전과정에서 직선 케이블(230)을 하형(520)에 대해 눌러줄 필요가 있다.
다음, 상형(510)을 덮고 가열장치(700)로 금형(500)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고무조각(540)을 녹여 용융된 몰딩재가 금형(500)의 몰딩 공간(530)을 채우도록 한 다. 이 경우, 볼트(B)를 상기 금형(500)을 관통하여 동단자(220)의 고정홈(222)에 체결함으로써 직선 케이블(230)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다음, 이 상태에서 냉각하면 소정 형상의 몰딩부(210)가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케이블 조립체 제조방법에 따르면, 금형(500)에 직선 케이블(230)을 얹어놓은 상태에서 몰딩 공간(530)에 작은 고무조각(540)을 넣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조각(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직선 케이블(230)을 금형(50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금형의 상형과 하형이 들뜨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가적인 누름력이 필요하므로 작업공정이 까다로웠다.
또한, 고무조각이 정확한 양으로 충전되지 않으면 용융과정에서 일부가 함몰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공정이 간단한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이 매끈하고 함몰된 부분이 없어 최종 품질이 우수한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는,
상부에 몰딩재 저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형과, 상기 상형에 결합되는 하형으로 구성되며, 상형과 하형의 결합시 내부의 경계부분에 몰딩 공간이 형성되는 금형; 및
상기 몰딩재 저장홈을 따라 이동하는 압출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형에는, 상기 몰딩재 저장홈과 상기 몰딩 공간 사이를 관통하는 몰딩재 공급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딩재 공급통로는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형과 하형의 경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형에는 가열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형에는 가열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금형의 외부에는 몰딩재 정량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동전극이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직선 케이블과, 상기 직선 케이블의 동전극 단부에 연결된 동단자와, 상기 직선 케이블의 피복재 일부와 동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몰딩부로 구성된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직선 케이블을 금형의 몰딩 공간을 관통하여 배치한 후, 상기 금형에서 몰딩재를 용융한 후, 몰딩 공간까지 관통 형성된 몰딩재 공급통로를 통해 사출방식으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금형에 대하여 왕복이 가능한 압출수단으로 용융된 몰딩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융된 몰딩재를 공급하는 동안 금형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상인 케이블 조립체(200)는 동전극(231)이 고무나 수지로 구성된 피복재(232)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직선 케이블(230)과, 상기 직선 케이블(230)의 동전극(231) 단부에 연결된 동단자(220)와, 상기 직선 케이블(230)의 피복재(232) 일부와 동단자(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몰딩부(21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몰딩부(210)의 일부는 중공이 형성된 콘(cone) 형상 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금형(500)은 상부에 몰딩재 저장홈(511)이 형성되어 있는 상형(510)과, 상기 상형(510)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하형(52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형(510)과 하형(520)의 결합시에 내부의 경계부분에는 몰딩 공간(5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형(510)에는 상기 몰딩재 저장홈(511)과 상기 몰딩 공간(530) 사이를 관통하는 몰딩재 공급통로(5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몰딩재 저장홈(511)에 저장된 용융 몰딩재(900)가 몰딩재 공급통로(512)를 통해 몰딩 공간(530)으로 공급되어 채우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재 저장홈(511)에 플런저나 피스톤과 같은 압출수단(600)이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압출수단(600)이 몰딩재 저장홈(511)을 이동하면서 내장된 몰딩재를 상기 몰딩재 공급통로(512)를 통해 사출(injection)식으로 공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딩재 공급통로(512)는 직선 케이블(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융 몰딩재가 편중되는 경우없이 균일하게 금형(500) 내의 몰딩 공간(530)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형(510)에는 가열장치(700)가 연결되어 있어 몰딩재 저장홈(511)에 공급된 고형(固形) 몰딩재를 용융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예컨대, 상 기 가열장치(700)는 금형(500) 내부에 내장된 전기저항열선으로 구성되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형(520)에도 가열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몰딩 공간(530) 내의 몰딩재를 보다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에서 이미 용융된 몰딩재를 몰딩재 저장홈(511)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금형(500) 내에 가열장치가 없어도 케이블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형(500)의 외부에는 몰딩재 정량공급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몰딩재 정량공급장치는 가루 등 고형으로 이루어진 몰딩재의 무게를 정확히 계량하는 전자저울(미도시)과, 계량된 몰딩재를 이송하는 스크류 이송장치(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형(500)의 상형(510)과 하형(520)의 경계면에는 걸림홈(550)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이 앞뒤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동단자(220)의 단부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홈(22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222)에 볼트(B)를 체결한 후 상기 볼트의 머리나 그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B-1)가 상기 걸림홈(550)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를 기초로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기술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직선 케이블(230)을 금형(500)의 몰딩 공간(530)을 관통하여 배치한 다. 즉, 금형의 하형(520)에 직선 케이블(230)을 얹어놓고 상형(510)을 덮는다. 이 경우, 상기 하형(520)의 전후단에는 상기 원형의 직선 케이블(230)이 안착되도록 반원형의 홈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형(510)에 형성된 몰딩재 저장홈(511)에 고형의 몰딩재를 정량(定量) 넣고 가열장치(700)로 용융한다.
그리고, 몰딩재(900)가 완전히 용융되면 몰딩 공간(530)까지 관통 형성된 몰딩재 공급통로(512)를 통해 사출방식으로 충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몰딩재 저장홈(511)에 대하여 왕복이 가능한 압출수단(600)으로 용융된 몰딩재(900)를 압출 공급하도록 한다.
몰딩 공간(530)에 용융된 몰딩재를 공급하는 동안 상하 금형을 가열하면 균일한 냉각으로 보다 균일한 제품이 나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을 금형에 설치한 후 용융된 몰딩재를 공급하므로 케이블이 들뜨는 경우가 없고, 이에 따라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수단에 의해 정량(定量)이 금형 내에 공급되므로 케이블 조립체의 표면에 함몰된 부분이 없이 매끈하여 최종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몰딩재 저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형과, 상기 상형에 결합되는 하형으로 구성되며, 상형과 하형의 결합시 내부의 경계부분에 몰딩 공간이 형성되는 금형; 및
    상기 몰딩재 저장홈을 따라 이동하는 압출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형에는, 상기 몰딩재 저장홈과 상기 몰딩 공간 사이를 관통하는 몰딩재 공급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형에는 가열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재 공급통로는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과 하형의 경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에는 가열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형의 외부에는 몰딩재 정량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7. 동전극이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직선 케이블과, 상기 직선 케이블의 동전극 단부에 연결된 동단자와, 상기 직선 케이블의 피복재 일부와 동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몰딩부로 구성된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직선 케이블을 금형의 몰딩 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금형에서 몰딩재를 용융하고, 몰딩 공간까지 관통 형성된 몰딩재 공급통로를 통해 사출방식으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대하여 왕복이 가능한 압출수단으로 용융된 몰딩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용융된 몰딩재를 공급하는 동안 금형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070046637A 2007-05-14 2007-05-14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1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637A KR100814976B1 (ko) 2007-05-14 2007-05-14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637A KR100814976B1 (ko) 2007-05-14 2007-05-14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976B1 true KR100814976B1 (ko) 2008-03-19

Family

ID=3941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637A KR100814976B1 (ko) 2007-05-14 2007-05-14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688B1 (ko) * 2015-07-15 2017-04-25 주식회사 이페스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74A (ko) * 2001-07-27 2003-02-06 나라엠앤디(주) 중공 사출 장치 및 사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74A (ko) * 2001-07-27 2003-02-06 나라엠앤디(주) 중공 사출 장치 및 사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688B1 (ko) * 2015-07-15 2017-04-25 주식회사 이페스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8536B (zh) 用于低、中、高压开关设备的开关电极部件的制造方法以及开关电极部件本身
US4268241A (en) Heated injection nozzle
US6897396B2 (en) Switch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190312387A1 (en) Shielded, Electronic Connector
EP3382804B1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a hard-soldered,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to a mating contact by means of a pressed-in soldering body made from hard solder
US8840395B2 (en) Hot runner nozzle having an electrical heating element
US20160268755A1 (en) Mold for forming terminal of electric wire
JP6390447B2 (ja) 防水構造ケーブル、及び防水構造ケーブルの製造方法
CN102017334A (zh) 制造具有包覆模制的法拉第笼的双接口可分离绝缘连接器的方法
US20160134047A1 (en) Structure for end of mi cab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XPA04008898A (es) Dispositivo calentador de canal caliente y su metodo de fabricacion.
CN104124559B (zh) 具有内模定位焊接的线缆连接器及其制造方法
MY151781A (en) Method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erminal block
KR100814976B1 (ko) 개폐기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91683B1 (ko)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US20180186036A1 (en) Molded resin-equipped electric wire and molded resin-equipped electric wire production method
KR100708292B1 (ko) 글로 플러그 및 그 제조공정
US20200266595A1 (en) Electric Line Assembly with Direct Contac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209947544U (zh) 一种电缆修复装置
JP2003340896A (ja) 射出成形機の溶融材料加熱装置と加熱方法
CN110071409B (zh) 电缆接头的制备装置及其制作方法
WO202024494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eizelementes, heizelement und verwendung des heizelementes
CA2661245C (en) Basic insulating plu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724862A (en) Apparatus for embedding transformers
KR102523707B1 (ko) 차단기의 극 부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