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585A -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585A
KR20170008585A KR1020150099937A KR20150099937A KR20170008585A KR 20170008585 A KR20170008585 A KR 20170008585A KR 1020150099937 A KR1020150099937 A KR 1020150099937A KR 20150099937 A KR20150099937 A KR 20150099937A KR 20170008585 A KR20170008585 A KR 2017000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film
sealing
check valve
porous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575B1 (ko
Inventor
한영훈
한영후
박채옥
Original Assignee
제이오임팩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오임팩스(주) filed Critical 제이오임팩스(주)
Priority to KR1020150099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5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팩(즉, 지지체)과 같은 고상 물질과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을 제1 및 제2 파우치에 분리 충진하고, 사용시에 액상 물질이 수용된 제2파우치를 분리하여 제1파우치의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파우치 내부로 간단하고 쉽게 투입하여 고상 물질(또는 액상 물질)과 안전하게 혼합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향한 전면판과 후면판을 실링하여 각각 내부에 제1 및 제2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외부에 제1 및 제2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 사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프 커팅된 재봉선을 구비한 제1 및 제2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우치는 일측면에 체크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파우치는 일측면의 선단부가 상기 체크밸브의 주입구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Double Pouches Having Two Containing Spaces, Mask Pack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 팩(즉, 지지체)과 같은 고상 물질과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을 제1 및 제2 파우치에 분리 충진하고, 사용시에 액상 물질이 수용된 제2파우치를 분리하여 제1파우치의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파우치 내부로 간단하고 쉽게 투입하여 고상 물질(또는 액상 물질)과 안전하게 혼합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날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현대인들은 자신들의 이미지 관리를 위하여 피부미용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피부를 탄력있고 깨끗하게 유지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피부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마스크 팩은 피부 미용에 이용되는 화장용품으로서, 모공에 쌓인 피지나 노폐물을 제거하거나 수분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마스크 팩은 일반적으로 부직포 등과 같은 지지체에 소정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 또는 도포된 형태를 갖는다. 최근에는 마스크 팩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성분들이 지지체에 추가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비타민C, 레티놀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이 첨가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능성 물질 중에는 예컨대, 비타민 C와 같이 수분을 포함한 성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성질이 변하거나 기능성이 저하되는 물질들도 있으며, 서로 다른 성분이 오랜 기간 섞여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성분에 변화가 일어나는 등의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 팩용 파우치는 단일의 포장 공간만을 갖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완제품 상태의 마스크 팩이 그대로 포장되며, 이에 따라 기능성 물질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다. 나아가, 기능성 물질의 기능성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마스크 팩의 유통기한이 감소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마스크 팩(즉, 지지체)와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다중 실링 파우치를 이용하여 분리 포장한 후, 사용자가 고체인 마스크 팩을 사용하기 전에 액상의 기능성 물질을 마스크 팩에 혼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중 실링 파우치가 제안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315호에 제안된 다중 실링 파우치는 파우치 몸체 내부에 복수의 포장공간을 구비하고 각 포장공간에 미용 마스크, 액체인 화장수, 미분상의 비타민제 등의 내용물이 충진되어 있으며, 각 포장공간 사이에 반 실링부를 형성하여 각 포장공간을 손으로 눌러주는 압력에 의해 반 실링부를 개방시켜서 액체인 화장수, 미분상의 비타민제 등의 내용물을 하부로 유도하여 미용 마스크와 혼합하는 파우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315호의 파우치는 충진작업의 자동화가 불가능하여 다중 실링 파우치의 수공 제작에 따른 작업성 및 생상성이 떨어지며, 포장공간 중 어느 하나에 약간의 압력을 가하는 경우, 반 실링부가 쉽게 터져 개방되거나, 이와 반대로 손으로 압력을 인가시 반 실링부가 쉽게 터지지 않는 등의 실링부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다중 실링 파우치의 휴대 및 사용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1672호에는 액상물질이 수용된 제1 수용부, 상기 액상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가 수용된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분리하는 분리경계부 및 상기 분리경계부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액상물질을 제1 수용부에서 제2 수용부 쪽으로 배출시키는 통로로 이용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파우치를 제작하기 위하여 한 쌍의 포장필름을 포개어 열실링시킬 때 열실링되지 않고도 밀폐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상기 배출부의 개방은 제1 수용부, 제2 수용부 및 상기 배출부가 포함되도록 파우치 몸체를 접는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접이 배출식 분리수용 파우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2개의 수용부 사이에 배출부(통로)가 반열압착으로 봉합되거나 한 쌍의 포장필름을 포개어 열실링할 때 열실링되지 않고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개폐 구조를 가지는 경우 파우치의 제조, 포장, 배송 및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배출부(통로)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315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167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마스크 팩(즉, 지지체)과 같은 고상 물질과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을 제1 및 제2 파우치에 분리 충진하고, 사용시에 액상 물질이 수용된 제2파우치를 분리하여 제1파우치의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파우치 내부로 간단하고 쉽게 투입하여 고상 물질과 안전하게 혼합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2 파우치를 갖는 더블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에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이 수용된 제2파우치를 분리하여 제1파우치의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파우치 내부로 투입하여 마스크 팩(즉, 지지체)과 안전하게 혼합될 수 있어 기능성 물질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며 마스크 팩의 유통기한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더블 파우치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팩(즉, 지지체)과 같은 고상 물질이 수용된 제1파우치는 일면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내부에서 제2파우치로부터 주입된 액상 물질이 고상 물질과 혼합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사용자의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는 더블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인쇄지의 그림(인쇄물)이 제1인쇄지의 선명함과 겹쳐서 은은하고 진한 2중적 입체감을 주어 신비롭고 아름다운 포장지를 구현할 수 있어 여성 사용자의 호응도와 판매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더블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타민 C와 같이 수분을 포함한 성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성질이 변하거나 기능성이 저하되는 물질이나, 염색약과 같이 서로 다른 성분이 오랜 기간 섞여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성분에 변화가 일어나는 기능성 물질을 제1 및 제2 파우치에 분리 충진하고 사용시에 간단히 혼합하여 사용 가능한 더블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을 제2파우치에 수용하고, 마스크 팩에 사용되는 피부 개선제 등의 기능성 분말을 제1파우치에 수용하고, 사용시에 제2파우치의 액상 물질을 제1파우치에 투입하여 기능성 분말과 혼합한 후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향한 전면판과 후면판을 실링하여 각각 내부에 제1 및 제2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외부에 제1 및 제2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 사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프 커팅된 재봉선을 구비한 제1 및 제2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우치는 일측면에 체크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파우치는 일측면의 선단부가 상기 체크밸브의 주입구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파우치에는 고상 물질 또는 제1액상 물질이 충진되고, 상기 제2파우치에는 제2액상 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제2파우치의 제2액상 물질은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파우치의 제1수용부로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은 적어도 2층의 가요성 필름을 중첩시킨 투명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판은 적어도 3층의 가요성 필름을 중첩시킨 불투명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한 전면판은 제2파우치의 제2액상 물질이 제1파우치의 고상 물질 또는 제1액상 물질과 혼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면판은 기재 필름과 접합 필름의 2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판은 기재 필름, 가스 배리어층 및 접합 필름의 3층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가스 배리어층은 금속 박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다공성 멤브레인, 투명한 기재 필름, 차광층 및 접합 필름의 적층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과, 투명한 기재 필름은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파우치의 체크밸브는, 제2파우치에서 돌출부가 돌출한 방향과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상 물질은 미용 목적의 다공성 지지체 또는 기능성 분말, 취식 가능한 분말, 의약품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상기 제1파우치에 수용된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제2파우치에 수용되는 액상의 에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에센스가 함침되는 다수의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멤브레인; 및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의 외측면에 적층되어 다공성 멤브레인으로부터 에센스가 건조/휘발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팩용 다공성 지지체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 건조된 마스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대향한 전면판과 후면판의 외부와 내부를 실링하여 제1 및 제2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 사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프 커팅된 재봉선을 구비한 제1 및 제2 파우치를 포함하는 더블 파우치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가요성 필름을 중첩한 적층 필름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동일 크기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중첩한 후 제1파우치의 4변 중 2변과 제2파우치의 제2주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1차 실링을 동시에 실시하는 단계; 상기 제2 파우치의 제2주입구로 제2액상 물질을 주입한 후 2차 실링에 의해 제2주입구를 실링하는 단계; 상기 제1파우치의 미실링 상태의 2변 중 하나의 변에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3차 실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파우치의 미실링 상태의 제1주입구로 고상 물질 또는 제1액상 물질을 주입한 후 4차 실링에 의해 제1주입구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 필름은, 다공성 멤브레인에 1차 인쇄를 하는 단계; 기재 필름에 2차 인쇄를 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 기재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된 기재 필름의 상부에 접합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재 필름에 2차 인쇄된 그림이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하여 노출되면서 다공성 멤브레인에 1차 인쇄된 인쇄물과 겹쳐서 은은하고 진한 2중적 입체감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한지 또는 부직포이고, 상기 기재 필름은 PET 또는 나이론으로 이루어진 필름이며, 상기 접합 필름은 LLDPE 또는 CP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블 파우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1차 실링을 실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파우치와 제2파우치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실링부와 제2 실링부 사이에 하프 커팅된 재봉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상기 적층 필름의 중앙선을 중심으로 반으로 접어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적어도 2개의 더블 파우치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팩(즉, 지지체)과 같은 고상 물질과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이 분리된 2개의 수용부에 분리 충진하고, 사용시에 액상 물질이 수용된 제2파우치를 분리하여 제1파우치의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파우치 내부로 투입하여 고상 물질과 간단하고 안전하게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액상의 기능성 물질 중에는 예컨대, 비타민 C와 같이 수분을 포함한 성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성질이 변하거나 기능성이 저하되는 물질들도 있으며, 서로 다른 성분이 오랜 기간 섞여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성분에 변화가 일어나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경우에도 제2파우치에 분리 충진하고 사용시에 제1파우치의 고상 물질과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능성 물질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며 마스크 팩의 유통기한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제1파우치는 일측면이 투명하게 형성하여 내부에서 액상 물질이 고상 물질과 혼합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제2파우치는 양측면을 적층필름에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박막의 금속층을 포함함에 의해 산소와 빛의 투과를 억제하며, 모두 불투명하게 형성하여 액상 물질의 변질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박막의 한지(종이) 또는 부직포와 같은 제1인쇄지에 1차 인쇄, PET 또는 나일론 등의 투명한 제2인쇄지에 그림 등의 2차 인쇄를 하고, 투명 기재의 후면에 입사광을 반사할 수 있는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박막의 금속층과 접합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파우치를 제작하면, 제2인쇄지의 그림(인쇄물)이 제1인쇄지의 선명함과 겹쳐서 은은하고 진한 2중적 입체감을 주어 신비롭고 아름다운 포장지를 구현할 수 있어 여성 사용자의 호응도와 판매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파우치에 각각 염색약 등과 같이 서로 만나면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두 액상 물질을 분리 수용한 후, 사용시에 간편하게 혼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구동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를 마스크 팩에 적용한 경우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평면도 및 도 1a에 표시된 X-X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블 파우치를 제1 및 제2 파우치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분리된 제2파우치를 제1파우치에 결합하여 액상 물질을 제1파우치로 투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를 마스크 팩에 적용한 경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i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c에 표시된 Y-Y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4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5f 및 도 5g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를 마스크 팩용 지지체와 같은 고상 물질과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즉, 에센스)이 분리 수용된 마스크 팩에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염모제(염색약), 화장품, 의약과 같이 각각의 파우치에 모두 서로 만나면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두 액상 물질을 분리 수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상 물질은 마스크 팩용 지지체, 화장솜 또는 화장시트, 마스크 팩용 분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액상 물질에 포함되는 기능성 물질로는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글루코사이드),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레티놀, 아데노신), 자외선 차단을 도와주는 성분(티타늄디옥사이드), 보습 및 피부탄력에 도움을 주는 성분(달팽이 점액 여과물, 아세틸헥사펩타이드, 홍삼 콜라겐, 아쿠아 세라마이드, 재생펩타이드, 갈라토미세스 발효액 등)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는 수용성 콜라겐, 식물성 플라티나, 토코페롤, 자일리톨 및 식물성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 물질은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 보습 및 피부탄력, 자외선 차단을 도와주는 성분이 함유된 피부 개선제 이외에, 식품, 의약, 화장품, 염색약 등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필름(film)과 "층(layer)"은 모두 동일한 용어로서, 별개로 제작되어 라미네이션 되면 필름으로 불리고, 증착 등에 의해 다른 필름에 일체로 형성되면 층으로 불리게 된다. 예를 들어, 가스 베리어층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포일은 필름으로 불리고, 고분자 필름에 증착되는 경우는 알루미늄 증착층으로 불린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더블 파우치를 마스크 팩에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를 마스크 팩에 적용한 경우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평면도 및 도 1a에 표시된 X-X선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더블 파우치를 제1 및 제2 파우치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분리된 제2파우치를 제1파우치에 결합하여 액상 물질을 제1파우치로 투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파우치를 이용한 마스크 팩(100)은 도 1a와 같이 이지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봉선(26)이 가공되어 제1 및 제2 파우치(10,20)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파우치(10,20)는 각각 제1 및 제2 수용부(11,21)를 구비하며, 제1파우치(10)는 마스크 팩(100)에 이용되는 경우 제1수용부(11)에 마스크 팩용 지지체(40)와 같은 고상 물질을 수용하며, 제2파우치(20)는 제2수용부(21)에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이하에서는 에센스라 칭한다)(27)을 수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100)의 제1 및 제2 파우치(10,20)는 각각 다수의 가요성의 필름을 2층 이상 중첩시킨 적층 필름(6)으로 이루어진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의 가장자리를 열용착하여 실링부(12~14,22~23)를 형성한 더블 파우치 구조의 봉지체이다.
제1파우치(10)는 마스크 팩용 지지체(40)를 수용하도록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일측변의 2차 실링부(14)에는 제2파우치(2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주입구(12a)를 갖는 체크밸브(30)가 설치되어 있고, 제2파우치(20)의 일측 단부는 2모서리가 직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 단부는 체크밸브(30)의 주입구(12a)로 선단부가 삽입되어 주입도록 폭이 좁고 길게 연장된 형태의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파우치(10,20)는 도 1a에서 상측에 각각 지지체(40)와 에센스(27)가 투입되는 제1 및 제2 투입구(13a,23a)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투입구(13a,23a)는 지지체(40)와 에센스가 각각 제1 및 제2 수용부(11,21)에 투입된 후, 열용착되어 4차 및 3차 실링부(13,23)가 형성되면서 실링(sealing)된다.
제1파우치(10)는 사용자가 에센스(27)가 함침된 마스크 팩용 지지체(40)를 제1수용부(11)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변 또는 대향한 양측변에 한쌍의 노치(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파우치(20)는 돌출부(24)에 한쌍의 노치(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파우치(10)에 수용되는 마스크 팩용 지지체(40)는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얼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눈, 코 및 입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40)는 제1파우치(10)에 수용되기 전에 크기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 다수회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40)는 예를 들어, 우유 단백질 섬유, 콩 섬유, 코코넛 섬유, 대나무 섬유, 옥수수 섬유 등과 같은 천연섬유 또는 인체에 무해한 각종 고분자로 이루어진 합성섬유의 부직포, 코튼 또는 펄프에서 유래한 식물 셀룰로오스 섬유, 바이오셀룰로오스(Biocellulose) 섬유, 하이드로겔 및 한지 등과 같은 종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40)는 에센스를 함침될 수 있는 다수의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의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지며, 단층 구조이거나 또는 복수 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체(40)가 예를 들어, 2층 구조일 때 에센스가 함침되는 다공성 멤브레인과 다공성 멤브레인의 외측면에 적층되어 다공성 멤브레인으로부터 에센스가 건조/휘발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파우치(10,20)는 각각 적층 필름(6)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형상을 갖는 2장의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의 가장자리가 열에 의해 실링되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구성하는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은 각각 다수의 가요성의 필름을 2층 이상 중첩시킨 적층 필름(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간단한 구성은 제품의 명칭, 제조원, 함량, 성분, 유통기한 등의 각종 인쇄항목(5)(도 5a 참조)이 인쇄되는 기재 필름(1)에 접합층을 역할을 하는 접합 필름(3)을 적층한 2층 구조의 적층 필름(6a)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에 충전되는 내용물이나, 내용물 충전 후의 가열 처리의 유무 등의 사용 조건 또는 수증기 이외의 가스 배리어(gas barrier)성, 차광성, 각종의 기계적 강도 등이 필요한 경우 이에 대응하여 2층 구조의 적층 필름(6a) 사이 또는 외표면에 각종 기능층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 필름(1)과 접합 필름(3) 사이에 도 1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수증기 이외에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가스 배리어층(2), 강도 보강층 등을 적층하여 구성된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1)이나 수증기 이외의 가스 배리어층(2), 차광층, 강도 보강층, 접합 필름(3) 등은 각각을 단독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복수의 층을 적층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 필름(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의 이축연신필름 이외에, 나일론6, 나일론15, 나일론66, MXD6(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프아미드)등의 폴리아미드의 이축연신필름, 그리고,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단독 또는 복수로 조합하여 적층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2)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겔화물(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등의 필름 이외에, 알루미늄(Al) 포일 또는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늄 등의 증착층이나 PVDC의 도포막층을 형성한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ON 필름),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이축연신 폴리프로펠렌 필름(OPP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 알루미늄(Al) 포일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을 형성한 필름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차광층 역할을 겸할 수 있다.
강도 보강층은, 상기 기재 필름(1)으로 사용 가능한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적절히 추가 적층할 수 있고,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을 방습층을 겸해서 적층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1), 가스 배리어층(2), 차광층, 강도 향상층의 적층에는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법(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접합 필름(3)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이외에,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 propyl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합 필름(3)의 적층은 상기 수지를 필름 형상의 막으로 형성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하는 방법 또는 상기 수지를 압출 코팅해서 적층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내용물이 접합 필름(3)으로 침투하기 쉬운 것의 경우에는,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2층 구조의 적층 필름(6a)을 구성할 때, 예를 들어, 기재 필름(1) 및 접합 필름(3)으로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을 적층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b)을 구성할 때, 예를 들어, 기재 필름(1), 가스 배리어층(2) 및 접합 필름(3)으로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알루미늄(Al) 포일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을 적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구성하는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에 도 1b와 같이 각각 2층 구조의 적층 필름(6a)과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b)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2층 구조의 적층 필름(6a)은 기재 필름(1)과 접합 필름(3)이 모두 투명한 재질의 고분자 재료이므로 전체적으로 투명한 필름을 형성하며,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b)은 기재 필름(1)과 접합 필름(3) 사이에 가스 배리어층(2)으로서 알루미늄(Al) 포일을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불투명 필름을 구성한다.
이 경우, 알루미늄(Al) 포일은 7m 정도의 두께일 때 핀홀이 생기기 쉽고 물리적인 운동이 가해짐에 따라 끊어지기 쉬운 결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1)과 접합 필름(3) 사이에 알루미늄(Al) 포일을 적층시킴에 의해 핀홀의 발생을 막고 기계적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필름(1)과 접합 필름(3) 사이에 알루미늄(Al) 포일이 샌드위치된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b)은 가스, 수증기를 실링하는 차단성, 차광성, 보향성, 내열성 등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제1파우치(1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전면판(10a)을 투명하게 구성하면, 사용자가 제2파우치(20)의 에센스(27)를 제1파우치(10)의 체크밸브(30)를 통하여 제1수용부(11)에 투입할 때, 주입된 에센스(27)가 지지체(40)에 함침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사용자의 흥미를 촉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파우치(10)에 고체 지지체(40) 대신에 액상의 제1제가 포장되어 있는 경우, 제2파우치(20)의 에센스(27)와 같은 액상의 제2제가 액상의 제1제와 섞이는 과정을 보여줌에 따라 흥미를 촉발시켜주며, 제1 및 제2 제가 잘 섞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구성하는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에 각각 2층 구조의 적층 필름(6a)을 적용하거나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b)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구성하는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에 4층 구조의 적층 필름(6c)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b)의 표면에 인쇄가 가능하고, 미세한 기공이 형성된 한지(종이) 또는 부직포지와 같은 다공성 멤브레인(4)을 부가하여 4층 구조의 적층 필름(6c)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 필름(1)과 가스 배리어층(2)으로서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배면에 알루미늄(Al) 박막을 증착하거나 또는 알루미늄(Al) 포일을 적층하여 구성되고, 그 표면에 한지(종이) 또는 부직포지와 같은 다공성 멤브레인(4)이 형성되면, 알루미늄(Al)의 은색이 투명한 PET와 박막의 한지(종이) 또는 부직포지를 통하여 외부로 은은하게 비쳐 나오면서 제품을 고급스럽고 신비감을 높여주는 이미지를 갖게 하여 제품의 신비감과 호응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4층 구조의 적층 필름(6c)을 사용하는 경우, 파우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한지의 부드럽고 손으로 만졌을 때 거친 한지 특유의 느낌이 있는 포장지를 구현함에 따라 여성 사용자로부터 큰 호응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파우치(10,20)는 적층 필름(6a,6b)으로 이루어진 전면판(10a)과 후면판(10b)의 이음매가 되는 필름 단부 사이를 열용착하면, 대향한 접합 필름(3)이 용착되어 실링부(1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파우치(10)의 일측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3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로 이루어지며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1 및 제2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박막 필름은 양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직선 실링라인(31a,31b)이 형성되고, 한쌍의 직선 실링라인(31a,31b) 내측에는 내부 공간을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2단 구조로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 원형 영역(33a,33b)으로 한정하기 위한 한쌍의 곡선 실링라인(32a,3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체크밸브(30)는 일측이 적층 필름(6a,6b)으로 이루어진 전면판(10a)과 후면판(10b)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열융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1 및 제2 필름의 외측면은 적층 필름(6a,6b)과 융착되고 제1 및 제2 필름의 내측면은 상호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2파우치(20)의 돌출부(24)가 삽입될 수 있는 주입구(12a)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크밸브(30)용 제1 및 제2 필름은 전면판(10a)과 후면판(10b)에 사용된 적층 필름(6a,6b)의 접합 필름(3)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수지로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체크밸브(30)에서 한쌍의 직선 실링라인(31a,31b)과 한쌍의 곡선 실링라인(32a,32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제1파우치(10) 내부에 배치되고, 실링라인이 없는 부분은 제1파우치(10)의 외부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주입구(12a)가 배치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마스크 팩(100)의 사용방법을 도 1a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100)은 사용시에 도 1a에서 재봉선(26)을 따라 분리함에 의해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분리하여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분리한다.
이어서, 제2파우치(20)의 돌출부(24)에 형성된 한쌍의 노치(25)를 따라 선단부를 제거하여 개봉한 후, 도 3과 같이 제1파우치(10)의 체크밸브(30)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체크밸브(30)에 구비된 주입구(12a)에 제2파우치(20)의 돌출부(24)를 삽입하고, 제2파우치(20)에 압력을 가하면 에센스(27)가 제1파우치(10) 내부로 주입된다.
이 경우, 액상의 에센스(27)가 상기 체크밸브(30)의 주입구(12a)와 원형 영역(33a,33b)을 통과하여 제1파우치(10)의 제1수용부(11) 내부로 주입되면, 에센스(27)가 부직포와 같은 마스크 팩용 지지체(40)에 함침되어 팽창이 이루어지거나 주입된 에센스(27)에 의해 체크밸브(30)의 제1 및 제2 필름은 선단부가 말리면서 주입구(12a)로 에센스(27)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전면판(10a)과 후면판(10b) 중 하나에 구비된 투명창을 통하여 제1파우치(10)의 내부에서 에센스(27)가 마스크 팩용 지지체(40)에 함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지체(40)에 에센스(27)의 충분한 함침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는 제1파우치(10)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노치(15)를 따라 절개하여 입구를 개봉하고, 마스크 팩용 지지체(40)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파우치(10)에 마스크 팩용 지지체(40)를 수용하고, 제2파우치(20)에 에센스(27)가 수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2액형 염모제와 같이 모두 액상 물질로 이루어진 제1제(염모제)와 제2제(산화제)를 각각 제1 및 제2 파우치(10,20)에 분리 수용하거나, 제1파우치(10)에 마스크팩용 분말을 수용하고, 제2파우치(20)에 에센스(27)가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원발명에서는 제1파우치에 고상 및 액상 물질 중 어떤 것도 수용 가능하고, 제2파우치에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조합 구성이라면 어떤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제1파우치(10)에 내장되는 마스크 팩용 지지체(40)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 건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성 물질은 정제수, 금속이온 봉쇄제, 변색방지제, 보습제, 가용화제, 착향제, 방부제, 점증제, 피부연화제, 수분차단제 및 유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더블 파우치는 혼합되는 두 물질이 서로 만나면 화학반응을 일으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경우에 상기 두 물질을 분리 수용하였다가 필요할 때 간편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파우치(10)와 제2파우치(20)에 각각 액상 물질을 수용하고 이를 혼합하여 크림, 스킨, 젤, 로션, 팩, 클린징 크림, 클린징 폼, 클린징 워터, 클린징 오일, 에센스, 세럼, 클린징 젤 또는 선스크린 크림 중 하나의 화장품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파우치에 수용되는 제1제는 정제수, 금속이온 봉쇄제, pH 조정제, 변색방지제, 보습제, 가용화제, 착향제, 방부제, 점증제, 피부연화제, 수분차단제 및 유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파우치에 수용되는 제2제는 정제수, 금속이온 봉쇄제, pH 조정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더블 파우치는 제1파우치(10)에 취식이 가능한 스넥이나 각종 식품의 건조물이 포장되고, 제2파우치(20)에 식품 건조물에 첨가되는 소스와 같은 액상 물질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취식시에 이를 혼합하여 취식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 식품을 구성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제1파우치에 각종 곡물의 혼합 분말을 포장하고, 제2파우치에 곡물 분말과 혼합되는 액상 소스를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제1파우치에 건조밥, 건더기 스프를 포장하고, 제2파우치에 고추장 소스 또는 짜장 소스와 같은 겔상 또는 액상의 소스를 포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더블 파우치를 이용한 마스크 팩(100)의 제조방법을 도 4a 내지 도 5i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표면에 위치되어 인쇄층 역할을 하는 기재 필름(1)으로서 예를 들어, PET 필름을 사용하여 전면부와 후면부의 해당 부분에 제품의 명칭, 제조원, 함량, 성분, 유통기한 등의 각종 인쇄항목(5)(도 5a 참조)을 예를 들어, 그라비아 방식으로 인쇄한다(S11). 도 5a에 도시된 기재 필름(1)은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2개의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형성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있다.
이어서, 도 5b와 같이, 기재 필름(1)의 1/2, 즉 후면부에만 가스 차단 및 차광층으로 역할을 하는 가스 배리어층(2)으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포일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착시키고(S12), 40 온도에서 약 30시간 숙성공정을 가진다. 이 경우, 기재 필름(1)의 후면부에만 차광층 역할을 하는 박막 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은 전면부를 투명하게 처리하기 위한 경우이고, 기재 필름(1)의 전면부 및 후면부 모두를 커버하는 가스 배리어층(2)을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가스 배리어층(2)으로서 알루미늄 포일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대신에 박막의 알루미늄층을 진공 증착방식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도 5c와 같이, 기재 필름(1)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접합 필름(3)으로서 예를 들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을 전면부 및 후면부 모두를 커버하도록 적층한다. 알루미늄 포일이 합지된 원단을 드라이 공법으로 LLDPE 또는 CPP와 합지하여 적층 필름(6a,6b)을 형성한다(S13). 그 결과, 전면부는 2층 구조의 투명한 적층 필름(6a)을 형성하며, 후면부는 3층 구조의 불투명한 적층 필름(6b)을 형성하게 된다. 합지된 적층 필름은 숙성실에서 숙성이 진행된다(S14).
본 발명에서 상기 2층 구조의 적층 필름(6a)과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b)은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구성하는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으로 이용된다. 도 5c에서 2층 구조의 적층 필름(6a)과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b)의 경계선, 즉 중앙선(CL)을 기준으로 접어서 전면부는 전면판(10a)으로 이용하고, 후면부는 후면판(10b)으로 이용하면, 한번에 2개의 더블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는 2개의 파우치셀(100a,100b) 구조가 얻어진다. 상기와 유사하게 적층 필름을 반으로 접어서 한번에 다수의 파우치셀(100a,100b)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대면적의 전면판(10a)과 후면판(10b)을 각각 준비한 후 이들을 조합하여 한번의 실링공정으로 다수의 파우치셀(100a,100b)을 동시에 제작하거나, 조합된 전면판(10a)과 후면판(10b)을 스텝-바이-스텝으로 이송하면서 한 스텝마다 2이상의 파우치셀(100a,100b)을 실링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2개 파우치셀에 대한 1차 실링공정을 동시에 진행하면 각 파우치셀(100a,100b)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실링이 이루어진다(S15).
각 파우치셀(100a,100b)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도록 1차 실링시에 제1파우치(10)에 대하여는 4개의 변 중에 2개의 변에 대한 실링을 실시하여 1차 실링부(12)를 형성하고, 제2파우치(20)에 대하여는 상측의 제2투입구(23a)를 제외하고 좌측 및 우측 변과 돌출부(24)에 대한 실링을 실시하여 1차 실링부(22)를 형성한다.
1차 실링부(22)를 형성한 후, 제1 및 제2 파우치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이지 커팅을 위해 레이저광 조사장치를 사용하여 하프 커팅선, 즉 재봉선(2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주지된 다른 방법으로 재봉선(26)을 형성할 수 있으며, 후속된 공정에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도 5e와 같이, 제2파우치(20)의 제2투입구(23a)를 통하여 에센스(27)를 주입하고 제2투입구(23a)를 실링하여 2차 실링부(23)를 형성한다(S16). 이 경우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에센스 주입공정을 진행하는 경우는 다수의 파우치셀(100a)을 각각의 셀로 분리한 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 5f와 같이, 제1 및 제2 파우치(10,20)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경계부에 재봉선(26)을 형성하고, 제2파우치(20)의 하측에 돌출부(24)를 형성하도록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톰슨(타발 성형)공정을 진행한다(S17).
또한, 상기한 다수의 파우치셀(100a)을 각각의 셀로 분리하는 공정은 톰슨공정에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톰슨(타발 성형)공정을 진행하면서, 제1파우치(10)는 사용자가 에센스(27)가 함침된 마스크 팩용 지지체(40)를 제1수용부(11)로부터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변 또는 대향한 양측변에 한쌍의 노치(15)를 형성하며, 제2파우치(20)는 돌출부(24)에 한쌍의 노치(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5g와 같이, 제1파우치(10)의 실링되지 않은 하나의 변, 즉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 사이에 체크밸브(30)를 삽입하고 실링을 실시하여 3차 실링부(14)를 형성한다(S18).
그 후, 도 5h와 같이, 제1파우치(10)의 실링되지 않은 나머지 변, 즉 제1투입구(13a)를 통하여, 예를 들어, 마스크 팩용 지지체(40) 또는 마스크 팩용 분말(도시되지 않음)을 투입하고, 도 5i와 같이, 제1투입구(13a)를 실링을 실시하여 4차 실링부(13)를 형성한다(S19).
제1 및 제2 파우치(10,20)는 각각 적층 필름(6)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형상을 갖는 2장의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의 가장자리가 열에 의해 실링되어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형성한다.
상기한 실링은 열융착, 접착,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및 레이저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파우치를 밀봉하여 구획을 형성하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체크밸브(30)가 제1파우치(10)의 제1투입구(13a)에 인접한 변에 형성되도록 제1투입구(13a)의 대향한 변이 먼저 실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체크밸브(30)를 제1파우치(10)의 제1투입구(13a)의 대향한 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제1 및 제2 파우치(10,20)에 대한 1차 실링을 진행할 때, 제1파우치(10)에 대하여는 제1투입구(13a)의 대향한 변에 체크밸브(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 8a와 같이, 상측과 하측 변을 제외하고 대향한 좌측과 우측 변에 1차 실링부(12)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8b와 같이 제1투입구(13a)의 대향한 변에 체크밸브(30)를 설치하도록 3차 실링을 진행하여 3차 실링부(14)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체크밸브(30)를 제1투입구(13a)의 대향한 변에 설치하는 경우, 도 5f의 톰슨 작업을 진행할 때, 제1파우치(10)의 하단의 길이를 제2파우치(20)의 돌기부(24)보다 작게 설정하고, 이 부분에 도 8b와 같이 체크밸브(30)의 노출부가 돌출되도록 설정하면, 최종 완성된 제1파우치(10)와 제2파우치(20)의 전체 면적을 최소한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파우치(10)의 체크밸브(30)의 노출부와 제2파우치(20)의 돌기부(24)가 일측방향으로 배열됨에 따라 산만하지 않고 정돈된 느낌을 갖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을 실링하여 제1 및 제2 파우치(10,2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파우치로서 제2파우치(20)에 부가하여 다른 종류의 액상 또는 겔상의 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는 상기 제2파우치(20)와 유사하게 액상 또는 겔상의 물질을 제1파우치로 주입할 수 있도록 제1파우치(10)의 체크밸브(30)에 선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실시예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 파우치(10,20)는 각각 2층 또는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을 전면판(10a) 및 후면판(10b)에 사용하였으나, 외표면에 한지(종이) 또는 부직포가 합지된 4층 또는 3층 구조의 적층 필름(6)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인 경우, 한지(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다공성 멤브레인(4)에 1차 인쇄를 하고, 기재 필름(1)으로서 PET 또는 나이론에 2차 인쇄를 하여 T-DIE 공법으로 합지하고, 다시 접합 필름(3)으로서 LLDPE 또는 CPP(CPR)을 T-DIE공법으로 합지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적층 필름은 기재 필름(1)에 인쇄된 그림(인쇄물)이 다공성 멤브레인(4)의 선명함과 겹쳐서 은은하고 진한 2중적 입체감을 주어 신비롭고 아름다운 포장지를 구현할 수 있어 그 제품의 호응도와 판매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 팩(즉, 지지체)과 같은 고상 물질과 각종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액상 물질을 제1 및 제2 파우치에 분리 충진하고, 사용시에 액상 물질이 수용된 제2파우치를 분리하여 제1파우치의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파우치 내부로 간단하고 쉽게 투입하여 고상 물질 또는 액상 물질과 안전하게 혼합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에 적용될 수 있다.
10: 베어링 하우징 12: 베어링 장착부
1: 기재 필름 2: 가스배리어층
3: 접합 필름 4: 다공성 멤브레인
5: 인쇄항목 6,6a~6c: 적층 필름
10,20: 파우치 10a: 전면판
10b: 후면판 11,21: 수용부
12~14,22,23: 실링부 13a,23a: 투입구
15,25: 노치 24: 돌출부
26: 재봉선 27: 에센스
30: 체크밸브 40: 지지체
100: 마스크 팩 100a,100b: 파우치셀

Claims (15)

  1. 대향한 전면판과 후면판을 실링하여 각각 내부에 제1 및 제2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외부에 제1 및 제2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 사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프 커팅된 재봉선을 구비한 제1 및 제2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우치는 일측면에 체크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파우치는 일측면의 선단부가 상기 체크밸브의 주입구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우치에는 고상 물질 또는 제1액상 물질이 충진되고,
    상기 제2파우치에는 제2액상 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제2파우치의 제2액상 물질은 체크밸브를 통하여 제1파우치의 제1수용부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적어도 2층의 가요성 필름을 중첩시킨 투명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판은 적어도 3층의 가요성 필름을 중첩시킨 불투명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한 전면판은 제2파우치의 제2액상 물질이 제1파우치의 고상 물질 또는 제1액상 물질과 혼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기재 필름과 접합 필름의 2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판은 기재 필름, 가스 배리어층 및 접합 필름의 3층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가스 배리어층은 금속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다공성 멤브레인, 투명한 기재 필름, 차광층 및 접합 필름의 적층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과, 투명한 기재 필름은 인쇄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우치의 체크밸브는, 제2파우치에서 돌출부가 돌출한 방향과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물질은 미용 목적의 다공성 지지체 또는 기능성 분말, 취식 가능한 분말, 의약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 가능한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
    상기 제1파우치에 수용된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제2파우치에 수용되는 액상의 에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에센스가 함침되는 다수의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멤브레인; 및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의 외측면에 적층되어 다공성 멤브레인으로부터 에센스가 건조/휘발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커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 건조된 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11. 대향한 전면판과 후면판의 외부와 내부를 실링하여 제1 및 제2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부 사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프 커팅된 재봉선을 구비한 제1 및 제2 파우치를 포함하는 더블 파우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가요성 필름을 중첩한 적층 필름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동일 크기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중첩한 후 제1파우치의 4변 중 2변과 제2파우치의 제2주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1차 실링을 동시에 실시하는 단계;
    상기 제2 파우치의 제2주입구로 제2액상 물질을 주입한 후 2차 실링에 의해 제2주입구를 실링하는 단계;
    상기 제1파우치의 미실링 상태의 2변 중 하나의 변에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3차 실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파우치의 미실링 상태의 제1주입구로 고상 물질 또는 제1액상 물질을 주입한 후 4차 실링에 의해 제1주입구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파우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다공성 멤브레인에 1차 인쇄를 하는 단계;
    기재 필름에 2차 인쇄를 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 기재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된 기재 필름의 상부에 접합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재 필름에 2차 인쇄된 그림이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하여 노출되면서 다공성 멤브레인에 1차 인쇄된 인쇄물과 겹쳐서 은은하고 진한 2중적 입체감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파우치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한지 또는 부직포이고,
    상기 기재 필름은 PET 또는 나이론으로 이루어진 필름이며,
    상기 접합 필름은 LLDPE 또는 CP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파우치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실링을 실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파우치와 제2파우치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실링부와 제2 실링부 사이에 하프 커팅된 재봉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파우치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상기 적층 필름의 중앙선을 중심으로 반으로 접어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적어도 2개의 더블 파우치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파우치의 제조방법.
KR1020150099937A 2015-07-14 2015-07-14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37A KR101727575B1 (ko) 2015-07-14 2015-07-14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37A KR101727575B1 (ko) 2015-07-14 2015-07-14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85A true KR20170008585A (ko) 2017-01-24
KR101727575B1 KR101727575B1 (ko) 2017-04-17

Family

ID=5799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937A KR101727575B1 (ko) 2015-07-14 2015-07-14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5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277A (ko) * 2017-05-31 2018-12-10 (주)이시스코스메틱 다기능 미용팩 세트
KR102080491B1 (ko) * 2019-04-02 2020-02-24 주식회사 가원인터내셔널 투명재질의 전면부를 갖는 파우치용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813B1 (ko) * 2017-11-03 2018-09-28 (주)에스디생명공학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제조 방법 및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팩의 포장 용기
KR102605666B1 (ko) 2021-10-22 2023-11-29 주식회사 청휴 마스크팩 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315Y1 (ko) 2006-09-30 2006-12-19 주 년 김 다중 실링 파우치
KR20140131672A (ko) 2013-05-06 2014-11-14 (주)엔코스 접이 배출식 분리수용 파우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3127B2 (ja) * 2001-12-28 2008-06-18 味の素株式会社 混合容器
JP5555731B2 (ja) * 2012-02-29 2014-07-23 喜眞 崔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315Y1 (ko) 2006-09-30 2006-12-19 주 년 김 다중 실링 파우치
KR20140131672A (ko) 2013-05-06 2014-11-14 (주)엔코스 접이 배출식 분리수용 파우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277A (ko) * 2017-05-31 2018-12-10 (주)이시스코스메틱 다기능 미용팩 세트
KR102080491B1 (ko) * 2019-04-02 2020-02-24 주식회사 가원인터내셔널 투명재질의 전면부를 갖는 파우치용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575B1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575B1 (ko)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JP5555731B2 (ja)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KR101677143B1 (ko) 마스크팩 시트 및 화장에센스 분리포장 마스크팩 파우치
CN202665815U (zh) 吸收性物品的包装体
FR2793220A1 (fr) Ensemble pour la mise en contact extemporanee d'au moins deux elements, utilisation d'un tel ensemble et procede de traitement
JPH0834448A (ja) 包装用袋体
KR20190029255A (ko) 3차원 입체 마스크팩 비닐포장용 포대
KR20190033314A (ko) 일회용 이종 혼합 파우치
JP3853416B2 (ja) レトルトパウチ
JPH09221176A (ja) レトルトパウチ
JP3853417B2 (ja) レトルトパウチ
KR20190002011U (ko) 비닐지로 제작되는 낱장의 화장용 마스크 팩
KR101932323B1 (ko)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CN104159729B (zh) 包装材料、由其生产的包装,以及构造包装的方法
CN211282064U (zh) 一种坚果包装袋
JP3747004B2 (ja) 包装袋とその製造方法
KR101491040B1 (ko) 접이 배출식 분리수용 파우치
JP2004001807A (ja) 化粧液及びシート材の包装体
JPH09216664A (ja) レトルトパウチ
KR101505978B1 (ko) 물주머니의 제조 방법
JP2017007696A (ja) 包装袋
JPH07223653A (ja) 包装用袋体
JP2004149201A (ja) 乾燥食品用包装袋
JPH09301446A (ja) レトルトパウチ
KR20160072600A (ko) 미용 팩용 패키지 제품 및 이를 제조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