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629A -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629A
KR20170006629A KR1020150097550A KR20150097550A KR20170006629A KR 20170006629 A KR20170006629 A KR 20170006629A KR 1020150097550 A KR1020150097550 A KR 1020150097550A KR 20150097550 A KR20150097550 A KR 20150097550A KR 20170006629 A KR20170006629 A KR 20170006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pepper
alignment
red pe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호
Original Assignee
정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2015009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629A/ko
Publication of KR2017000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피 분리장치를 통해 꼭지와 건피를 분리함에 있어, 상기 건피 분리장치에 건고추를 종방향으로 좌우 정렬하여 자동 공급하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Dried red pepper array apparatus for removing system of dried red pepper stalk}
본 발명은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피 분리장치를 통해 꼭지와 건피를 분리함에 있어, 상기 건피 분리장치에 건고추를 종방향으로 좌우 정렬하여 자동 공급하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양질의 고추 가루를 얻기 위해 건고추를 분쇄하기 이전에 고추의 꼭지를 제거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직접 건고추의 꼭지를 일일이 손이나 가위로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건고추의 꼭지를 건피에서 분리하는 것은 작업 능률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많은 양의 건고추의 꼭지를 손으로 일일히 제거하는 것은 손가락과 손목에 무리를 주고, 또 매운 건고추를 맨손으로 제거하게 되면 손이 화끈거리게 되므로, 다량의 건고추 꼭지를 장시간 제거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한편, 건고추의 꼭지를 기계적으로 자동 제거하는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 1989-0002178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 1995-0009279호 등 건고추의 꽃대 윗부분을 절단하는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꼭지 절단장치는 꼭지를 형성하는 꽃대가 건피에 그대로 잔류하는 한계성을 갖고, 결과적으로 고추가루에 혼입된 꽃대에 의해 고추가루의 품질성이 저하된다.
특히, 꼭지를 형성하는 꽃대에는 다량의 농약이 잔류하므로 이를 섭취하는 것은 건강상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그리고, 최근에는 건고추의 건피에서 꼭지를 분리시키는 건피 분리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기존 건피 분리장치는 이송 컨베이어에 형성된 정형화된 속도와, 또 그리고 정위치에 건고추를 안착시켜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손목이나 피로도는 감소되는 점은 있지만, 상기 향상된 작업성을 갖지 못하는 한계성을 갖는다.
상기 부분 제거에 따른 문제점들은 일부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상기 낱개씩 정위치에 정렬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바람직하지 아니하고, 특히 상기 이송 컨베이 이송 컨베이어의 꼭지를 정위치에 정렬하여야 하므로, 종래에도 상기 건피와 꼭지를 분리하는 전용의 장치들이 개발된 바 있으나, 상기 장치들은 안정된 이동성을 갖지 못하고 단계적으로 구현이 이루어지므로, 또 일일히 낱개씩 컨베이어 상에 정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므로, 작업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 10-1443703호를 통해 본체에, 이송벨트가 상하 외접하여 횡방향으로 내향 회전하는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하 외접된 이송벨트 사이로 진입된 건고추의 꼭지를 가압 고정시켜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횡방향 이송부와; 상기 횡방향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하 외접하여 종방향으로 내향 회전하는 한 쌍의 견인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횡방향 이송부에 의해 꼭지가 가압 고정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건고추의 건피를 외접된 견인드럼 사이로 진입 및 종방향으로 당겨 꼭지에서 건피를 분리하는 건피 분리부; 및 상기 횡방향 이송부와 건피 분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꼭지 제거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의 건피 분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고추 건피 분리장치는, 작업자가 꼭지의 분리를 요하는 건고추를 일정하게 정렬하여 이송 컨베이어에 안착시키거나, 기계의 가동 주기에 맞추어 건고추를 정렬하여 투입하는 번거로움이나 지체없이, 투입공간에 적재된 건고추를 무작위로 투입시켜 꼭지를 건피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건고추 꼭지장치는 건고추의 신속한 꼭지의 제거는 가능하지만,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낱개의 건고추를 횡방향 이송부에 일일히 삽입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한계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건고추 꼭지장치는 생산량이 적은 소규모 현장에서만 국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량 생산이 어려운 한계성을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0702333 B1
(특허문헌 2) KR1020030037206 A
(특허문헌 3) KR2019910003500 Y1
(특허문헌 4) KR2019880003912 U
상기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건피 분리장치를 통해 꼭지와 건피를 분리함에 있어, 상기 건피 분리장치에 건고추를 종방향으로 자동 정렬하여 자동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건고추의 공급에 따른 인력의 절감과 함께 건고추의 꼭지 제거에 따른 향상된 생산성이 확보되도록 한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고추 꼭지 제거 시스템용 건고추 건고추 투입장치는,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에 건고추를 좌우 정렬시켜 안착하는 정렬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렬 공급부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좌우 양편에 진퇴구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편과, 상기 각 가동편의 내벽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종방향의 정렬공간을 형성하는 협지유닛, 및 상기 한 쌍의 가동편을 동시에 좌우로 구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각 정렬공간 내에 종방향으로 진입된 건고추는 협지유닛에 의해 꼭지가 협지된 상태로 좌우로 당겨져 좌우 정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지유닛은 한 쌍의 협지편과, 상기 협지유닛의 구간 협지를 도모하는 협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외측으로 이동하는 가동편에 고정된 협지유닛은 협지 제어부에 의해 정렬공간 내에 투입된 건고추의 꼭지를 일시적으로 협지하도록 구성되어서, 정렬공간 내에 투입된 건고추의 꼭지를 종방향으로 당겨서 정렬공간 내 투입된 건고추를 좌우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지 제어부는 협지편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와, 상기 가동편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이동하는 협지편의 지지돌기를 구간 간섭시켜 협지편을 상호 밀착시키는 간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과의 간섭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동모터의 일방향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가동편이 좌우로 동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양편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가동편은 견인 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력적으로 당겨져 상승된 승강부재가 하강하여 승강부재와의 간섭이 해제되면, 견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고추 정렬장치는 공급 컨베이어의 양편에 일렬로 정렬된 건고추의 꼭지를 협지시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이송부와, 횡방향 이송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건고추의 건피를 분리하는 건피 분리부를 포함하는 꼭지 제거유닛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건고추를 낱개씩 종방향으로 정렬하는 건고추 투입장치와, 상기 건고추 투입장치를 통해 종방향으로 정렬된 낱개의 건고추를 좌우 정렬하는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를 부가하여, 건피 분리장치에 종방향으로 좌우 정렬된 건고추가 순차적으로 자동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건피 분리장치에 건고추를 낱개씩 공급함에 따른 인력의 낭비가 해소되고, 특히 건고추의 공급에 따른 신속성과 정밀성이 확보되어서, 건고추에서 꼭지를 분리함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의 전체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에 있어, 건피 분리장치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에 있어,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에 있어, 건고추 투입장치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의 전체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에 있어, 건피 분리장치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에 있어,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에 있어, 건고추 투입장치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된 건고추에서 꼭지와 건피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건피 분리장치(100)와, 상기 건피 분리장치(100)에 건고추를 낱개씩 정렬하여 자동 공급하는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200), 및 상기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투입 컨베이어(310)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건고추를 낱개씩 종방향으로 정렬시켜 하부에 배치된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200)로 투입하는 건고추 투입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건피 분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하 밀착된 이송벨트(111, 112)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이송부(110)과, 상기 횡방향 이송부(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전동 상하 밀착된 건피 분리롤러(121, 122)를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건피 분리부(120)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꼭지 분리유닛(101A)을 갖는다.
상기 건피 분리부(120)를 구성하는 건피 분리롤러(121, 122)는 단일 전동모터(123)와 치합되어, 단일 전동모터(123)의 구동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피 분리롤러(121, 122)는 건고추의 건피가 진입되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져, 건피 분리롤러(121, 122)의 사이에 점차 폭이 좁아지는 안내홈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피 분리롤러(121, 122)는 우레탄이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신축성 재질로 제작되거나, 신축성 재질의 피막층이 형성되어서, 건고추의 건피를 안정되게 밀착시켜 종방향으로 당겨 꼭지에서 분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건피 분리장치(100)에 종방향으로 정렬된 건고추가 공급되면 건고추의 꼭지는 횡방향 이송부(110)를 구성하는 이송벨트(111, 112)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안내홈부를 따라 건피 분리롤러(121, 122) 사이로 진입된 건고추의 건피는 도 3과 같이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건피 분리롤러(121, 122)에 의해 종방향으로 당겨져 꼭지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횡방향 이송부(110)와 건피 분리부(120)를 포함하는 꼭지 분리유닛(101A)을, 배출 컨베이어(130)의 좌우 양편에 대칭되게 배치하여서, 정렬 공급부(200)를 통해 꼭지를 양방향으로 정렬시킨 건고추를 순차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건고추에서 꼭지와 건피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건고추를 낱개씩 종방향으로 자동 정렬하는 건고추 투입장치(300)와, 상기 건고추 투입장치(300)를 통해 종방향으로 투입된 건고추를 좌우로 정렬시켜 건피 분리장치(100)로 자동 공급하는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200)를 제안 및 부가하여, 건고추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건고추의 꼭지 제거에 따른 신속성과 편리성이 도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건피 분리장치(100)에 건고추를 자동 공급하는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200)는, 도 1과 도 4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 컨베이어(210)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에 건고추의 꼭지를 일렬로 정렬시켜 안착하는 정렬 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 공급부(220)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좌우 양편에 진퇴구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편(221)과, 상기 각 가동편(221)의 내벽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종방향의 정렬공간(S1)을 형성하는 협지유닛(222), 및 상기 한 쌍의 가동편(221)을 동시에 좌우로 구간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각 정렬공간(S1) 내에 종방향으로 진입된 건고추의 꼭지를 좌우로 당겨 꼭지가 측부를 향하도록 건고추를 좌우 정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230)는 구동모터(231)와 구동모터(231)의 회전축(231a)에 고정되는 편심캠(232)과, 상기 편심캠(232)과의 간섭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233)를 포함하여, 구동모터(231)의 일방향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233)와의 간섭에 의해 가동편(221)이 좌우로 동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양편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가동편(221)은 견인 스프링(234)에 의해 상호 탄력적으로 당겨져, 상승된 승강부재(233)가 하강하여 승강부재(233)와의 간섭이 해제되면 도 8c와 같이 견인 스프링(234)의 복원력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렬 공급부(220)는 진동모터(335)로부터 진동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진동모터(335)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에 의해 미세하게 진동하면서 협지유닛 (222)내에 투입된 건고추의 안정되게 수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편(221)들은 구동모터(231) 회전축(231a)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반복하여 승강하는 승강부재(233)와의 간섭, 및 견인 스프링(234)에 의한 견인작용에 의해 내외측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협지유닛(222)은 한 쌍의 협지편(222a, 222b)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마주하는 가동편(221)에 각각 5개의 협지유닛(222)들을 좌우 대칭되게 배치하여, 이들 가동편(221) 사이에 5개의 정렬공간(S1)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협지유닛(222)의 구간협지를 도모하는 협지 제어부(223)를 부가하여, 협지유닛(22)은 건고추 꼭지의 협지를 도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협지 제어부는 공압 실린더나 솔레로이드 등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 협지편(222a, 222b)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223a)와, 상기 상기 협지편(222a, 222b)의 이동경로에 배치되어 지지돌기(223a)를 구간 간섭하여 협지유닛(222)의 구간 협지를 도모하는 간섭부재(223b)를 포함하여 구성된 협지 제어부(223)를 제안 및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건고추 투입장치(300)를 통해 종방향으로 정렬된 낱개의 건고추가 정렬 공급부(220)에 형성된 각 정렬공간(S1)에 투입되면, 내벽에 협지유닛(222)을 고정한 가동편(221)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도 7c와 같이 협지유닛(222)은 협지 제어부(223)에 의해 정렬공간(S1) 내에 배치된 건고추의 꼭지를 일시적으로 협지하여 종방향으로 당겨서, 정렬공간(S1) 내 투입된 건고추를 좌우 정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 공급부(220)에 의해 좌우 정렬된 건고추는 도 8과 같이 하부에 배치된 공급 컨베이어(210)에 안착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220)는 좌우 정렬된 상태로 안착된 건고추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건피 분리장치(100)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후, 상기 건피 분리장치(100)의 횡방향 이송부(110)는 일렬로 배치된 건고추의 꼭지를 안정되게 고정시켜 건고추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러한 과정에 건고추의 건피는 건피 분리부(120)에 진입하여서 꼭지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건피가 분리된 건고추의 꼭지는 횡방향 이송부(11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건피와 분리 배출되고, 또 건피 분리부(120)를 통해 꼭지에서 분리된 건피는 배출 컨베이어(13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꼭지와 분리 배출된다.
한편, 상기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200)의 각 정렬공간(S1) 내에 건고추를 종방향으로 정렬시켜 투입하는 건고추 투입장치(300)는, 도 1과 도 9 내지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고추들을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투입 컨베이어(310)와, 상기 각 투입 컨베이어(310)를 통해 이송되는 건고추들을 낱개씩 종방향으로 정렬시켜 하부에 배치된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200)의 정렬공간(S1)으로 일괄되게 투입하는 정렬 투입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 투입부(320)는, 일면에 경사면(321a)이 형성된 정렬블럭(321)들과, 일면에 경사면(322a)이 형성되며 정렬블럭(321)들과 교번하여 배치되는 이송블럭(322)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렬 이송유닛(320A)과, 상기 각 정렬 이송유닛(320A)의 정렬블럭(321)들과 이송블럭(322)들을 교번되게 승강시키는 승강부(3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승강부(330)에 의해 각 정렬 이송유닛(320A)의 정렬블럭(321)들이 상승하고 이송블럭(322)들이 하강하면 각 정렬블럭(321)과 이송블럭(322)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요입된 투입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공간(S2)에는 투입 컨베이어(310)를 통해 공급되는 낱개의 건고추가 종방향으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330)에 의해 각 정렬 이송유닛(320A)의 정렬블럭(321)들이 하강하고 이송블럭(322)들이 상승하면 투입공간(S2)에 종방향으로 배열된 낱개의 건고추는 전방으로 단위 이동하여서 하부에 배치된 정렬 공급부(220)로 투하된다.
즉, 상기 정렬 이송유닛(320)은 정렬블럭(321)과 이송블럭(322)의 교번된 승강작용에 의해 형성된 투입공간(S2) 내에 투입 컨베이어(310)를 통해 이송되는 낱개의 건고추를 종방향으로 투입하는 투입공정과, 투입공간(S2)에 종방향으로 정렬된 건고추를 구간 이동시켜 하부로 투하하는 투하공정을 교번되게 수행하여서, 투입 컨베이어(310)를 통해 공급되는 건고추를 종방향으로 정렬하여 구간 이동시켜서 하부에 배치된 정렬 공급부(220)의 각 정렬공간(S1)으로 투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복수의 정렬 이송유닛(320A)들을 상하 적층되게 배치하여 복수의 정렬 이송층을 형성하고, 각 정렬 이송유닛(320A)의 후방에 투입 컨베이어(310)를 각각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정렬 이송층을 형성하는 정렬 이송유닛(320A)의 길이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길이가 단계적으로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각 승강부(330)에 의한 승강작용에 의해 각 정렬 이송층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건고추는 하부로 일괄하여 투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 이송유닛(320A)과 하부에 배치된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200)의 각 정렬공간(S1) 사이에는 안내 가이드(323)를 배치하여, 정렬 이송유닛(320)에서 각 정렬공간(S1)으로 투하되는 건고추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 정렬 이송유닛(320A)을 상하 이격되게 배치하여 5개의 정렬 이송층을 상하 이격되게 형성하여서, 각 투입 컨베이어(310)를 통해 공급되는 건고추는 각 정렬 이송층을 통해 구간 이동하면서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하부에 배치된 정렬 건고추 투입장치(200)를 구성하는 정렬 공급부(220)의 각 정렬공간(S1) 내에 일괄하여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정렬 이송유닛(320A)을 구성하는 정렬블럭(321)들과 이송블럭(322)들을 교번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330)는, 도 정렬블럭(321)들을 연결한 제 1 거상편(331)과, 이송블럭(322)들을 연결한 제 2 거상편(332), 및 상기 제 1 거상편(331)과 제 2 거상편(332)을 교번되게 승강시키는 구동유닛(33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정렬 이송유닛(320A)의 정렬블럭(321)들을 연결로드(331a)들을 통해 제 1 거상편(331)에 일괄 연결하고, 각 정렬 이송유닛(320A)의 이송블럭(322)을 연결로드(332a)들을 통해 제 2 거상편(332)에 일괄 연결시켜서, 제 1 거상편(331)의 승강에 의해 각 정렬블럭(321)들의 일괄적인 승강이 도모되고, 또 제 2 거상편(332)의 승강에 의해 각 이송블럭(322)들의 일괄적인 승강이 도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블럭들을 연결한 제 1 거상편과 이송블럭을 연결한 제 2 거상편의 교번된 승강을 도모하는 거상유닛으로는, 실린더나 솔레로이드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력을 생성하는 승강모터(333a)와, 상기 승강모터(333a)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회전축(333b)과, 상기 회전축(333b)에 고정되며 제 1 거상편(331)과 외접하는 제 1 승강캠(333c)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제 2 거상편(332)과 외접하는 제 2 승강캠(333d)을 포함하여 구성된 크랭크형의 거상유닛(333)을 부가하여, 승강모터(333a)의 일방향 구동에 의해 제 1 거상편(331)과 제 2 거상편(332)이 교번하여 승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모터(333a)의 일방향 구동에 의해 제 1 거상편(331)과 제 2 거상편(332), 및 이에 고정된 정렬블럭(321)과 이송블럭(322)은 교번되게 승강하여서, 투입 컨베이어(310)를 따라 공급되는 건고추를 종방향을 정렬하는 정렬공정과, 종방향으로 정렬된 건고추를 단위 이송시켜 투하하는 투하공정을 교번되게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건고추 투입장치(300)를 통해 종방향으로 정렬된 낱개의 건고추는 정렬 공급부(220)의 각 정렬공간(S1)에 투하되고, 정렬 공급부(220)의 협지유닛(222)는 가동편(221)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협지 제어부(323)에 의해 건고추의 꼭지를 일시적으로 협지하여 종방향으로 당겨서 정렬공간(S1) 내 투입된 건고추의 꼭지를 좌우로 정렬하고, 상기 좌우 정렬된 건고추는 하부에 배치된 공급 컨베이어(210)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에 좌우 정렬되어 안착된 건고추의 꼭지는 건피 분리장치(100)의 횡방향 이송부(110)와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며, 상기 건고추는 공급 컨베이어(21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에 배치된 건피 분리장치(1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건피 분리장치(100)는 횡방향 이송부(110)를 통해 건고추의 꼭지를 안정되게 고정시켜 횡방향 이송을 도모하고, 이러한 과정에 건고추의 건피는 건피 분리부(120)에 진입하여 꼭지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건피가 분리된 건고추의 꼭지는 횡방향 이송부(110)를 통해 전방으로 분리 배출되고, 또 건피 분리부(120)를 통해 꼭지가 분리된 건피는 배출 컨베이어(13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꼭지와 분리하여 배출된다.
1. 고추 꼭지 제거 시스템
100. 건피 분리장치 110. 횡방향 이송부
111, 112. 이송벨트
120. 건피 분리부
121, 122. 과피 분리롤러 123. 전동모터
130. 배출 컨베이어
200. 건고추 공급장치. 210. 공급 컨베이어
220. 정렬 공급부 221. 가동편
222. 협지유닛 222a, 222b. 협지편
223. 협지 제어부 223a. 지지돌기
223b. 간섭부재
230. 구동부 231. 구동모터
231a. 회전축 232. 편심캠
233. 승강부재 234. 견인 스프링
235. 진동모터
300. 건고추 건고추 투입장치 310. 투입 컨베이어
320. 정렬 투입부 321. 정렬블럭
322. 이송블럭 323. 가이드
330. 승강부 331. 제 1 거상편
331a. 연결로드 332. 제 2 거상편
332a. 연결로드 333. 거상유닛
333a. 승강모터 333b. 회전축
333c, 333d. 승강캠

Claims (6)

  1.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에 건고추를 좌우 정렬시켜 안착하는 정렬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렬 공급부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좌우 양편에 진퇴구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편과, 상기 각 가동편의 내벽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종방향의 정렬공간을 형성하는 협지유닛, 및 상기 한 쌍의 가동편을 동시에 좌우로 구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각 정렬공간 내에 종방향으로 진입된 건고추는 협지유닛에 의해 꼭지가 협지된 상태로 좌우로 당겨져 좌우 정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꼭지 제거 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유닛은 한 쌍의 협지편과, 상기 협지유닛의 구간 협지를 도모하는 협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외측으로 이동하는 가동편에 고정된 협지유닛은 협지 제어부에 의해 정렬공간 내에 투입된 건고추의 꼭지를 일시적으로 협지하도록 구성되어서, 정렬공간 내에 투입된 건고추의 꼭지를 종방향으로 당겨서 정렬공간 내 투입된 건고추를 좌우 정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꼭지 제거 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제어부는 협지편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와, 상기 가동편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이동하는 협지편의 지지돌기를 구간 간섭시켜 협지편을 상호 밀착시키는 간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꼭지 제거 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과의 간섭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동모터의 일방향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가동편이 좌우로 동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꼭지 제거 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양편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가동편은 견인 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력적으로 당겨져 상승된 승강부재가 하강하여 승강부재와의 간섭이 해제되면, 견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꼭지 제거 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피 분리장치는 배출 컨베이어의 양편에 건고추의 꼭지를 협지시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이송부와, 횡방향 이송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건고추의 건피를 종방향으로 당겨 분리하는 건피 분리부를 포함하는 꼭지 제거유닛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꼭지 제거 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KR1020150097550A 2015-07-09 2015-07-09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KR20170006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550A KR20170006629A (ko) 2015-07-09 2015-07-09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550A KR20170006629A (ko) 2015-07-09 2015-07-09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29A true KR20170006629A (ko) 2017-01-18

Family

ID=5799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550A KR20170006629A (ko) 2015-07-09 2015-07-09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6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6048A (zh) * 2018-10-17 2019-03-01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矢量分拣机构及其分拣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6048A (zh) * 2018-10-17 2019-03-01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矢量分拣机构及其分拣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7033B (fi) Laite onttojen esineiden lämpömuovaamiseksi
CN101331064B (zh) 封套填充装置
US20090032181A1 (en) Tire Belt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7522043A (ja) 貯留容器からシートのカップ部へと製品を移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658454B1 (ko)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CN104802510A (zh) 一种自动移印机
JP2009249751A (ja) ドローイングマシン
KR101800645B1 (ko)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200437526Y1 (ko) 립스틱 용기의 정렬 공급장치
KR20170006629A (ko)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정렬 공급장치
KR101443703B1 (ko) 건고추의 꼭지 제거장치
RU2012143846A (ru) Устройство с вертикальной осью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льтр-пакетов с экстрагируемыми продуктами
CN105253603B (zh) 物品搬送装置
CN103350072B (zh) 一种虫蚀葵花籽分选装置
KR101026910B1 (ko) 직선식 버섯배지의 입병장치
KR20170006628A (ko) 건고추 꼭지 제거시스템용 건고추 투입장치
CN1508002A (zh) 一种制造带有纹理的薄膜的固体清洁剂支持物的装置
CN107373691A (zh) 一种果蔬自动削皮机的输送装置
JP6622539B2 (ja) 容器供給装置
KR101760215B1 (ko) 스트립 간격 벌림이송장치
JP2017065748A (ja) 容器クリーニング装置
CN106667016A (zh) 马桶刷植毛机自动上下料装置
EP1493696B1 (en) Machine for filling trays with mosaic tesserae or the like
JPWO2017037864A1 (ja) 貝可食部分離装置
KR101455576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