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553A - 자동차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553A
KR20170006553A KR1020150097353A KR20150097353A KR20170006553A KR 20170006553 A KR20170006553 A KR 20170006553A KR 1020150097353 A KR1020150097353 A KR 1020150097353A KR 20150097353 A KR20150097353 A KR 20150097353A KR 20170006553 A KR20170006553 A KR 20170006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elease
foul
latch gea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369B1 (ko
Inventor
안기륜
박종호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3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14Specially controlled locking actions in case of open doors or in case of doors moved from an open to a closed position, e.g. lock-out prevention or self-cance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파울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를 관통하며 파울과 함께 회전되는 파울돌출바와, 파울돌출바가 돌출된 하우징부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해제레버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며 해제레버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해제구동부 및 해제레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구동부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해제레버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파울돌출바를 이동시켜 래치기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파울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잠금장치{LATCHING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신호에 의해 잠금장치의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1단 잠금 상태에 있는 래치기어를 회전시켜 2단 잠금 상태로 안내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래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체에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도어에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장치는 도어와 함께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어용 래치장치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며, 래치장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차량의 문을 제대로 닫지 않는 경우 래치기어의 1단 잠금만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래치장치를 자동으로 잠금해제 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13444호(2012.05.02 공개, 발명의 명칭: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신호에 의해 잠금장치의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1단 잠금 상태에 있는 래치기어를 회전시켜 2단 잠금 상태로 안내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파울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를 관통하며 파울과 함께 회전되는 파울돌출바와, 파울돌출바가 돌출된 하우징부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해제레버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며 해제레버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해제구동부 및 해제레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구동부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해제레버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파울돌출바를 이동시켜 래치기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파울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부는, 파울의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플레이트 및 파울의 후면에 위치하며 커버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베이스 하우징을 포함하며, 베이스 하우징은 파울돌출바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부는, 베이스 하우징의 후면에 위치하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해제레버부는, 보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몸체와, 해제레버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해제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전달돌기와, 해제레버몸체에서 제1전달돌기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며 해제구동부에 접하여 회전되는 제2전달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제구동부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해제구동모터와, 해제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감속이 이루어지는 해제연결기어부 및 해제연결기어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제2전달돌기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레버부는, 해제레버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레버몸체와, 작동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파울돌출바의 측면에 위치하는 작동레버연장몸체 및 작동레버연장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작동레버연장몸체와 함께 이동되어 파울돌출바를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돌기를 포함하며, 해제레버몸체는 작동레버몸체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레버연장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돌출바와 함께 이동되는 회전감지레버 및 회전감지레버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회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1단 걸림 상태의 래치기어를 2단 걸림 상태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잠금구동부와, 잠금구동부와 잠금케이블로 연결되며 커버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블레버와, 케이블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레버와, 케이블레버와 같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안전레버에 밀려서 회전되는 가압레버 및 래치기어에 삽입되며 가압레버에 밀려서 래치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래치돌출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잠금장치는, 해제구동부의 동작으로 해제레버부와 작동레버부가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파울과 연결된 파울돌출바를 이동시키므로 래치기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래치기어가 1단 잠김 상태에 있음을 감지하여 잠금구동부를 동작시켜 2단 잠김상태로 래치기어를 회전시키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와 해제레버부와 작동레버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와 해제레버부와 작동레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버와 안전레버와 가압레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래치기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래치기어가 하우징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2단 잠김 상태에서 해제구동부와 해제레버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2단 잠김 상태에서 자동차용 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2단 잠김 상태에서 자동차용 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가 동작되어 해제레버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가 동작되어 파울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가 동작되어 파울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이격된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자동차용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감지레버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파울과 래치기어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1단 잠김 상태에서 파울과 래치기어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1단 잠김 상태에서 회전감지레버가 회전감지센서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구동부의 동작으로 케이블레버와 안전레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레버가 회전되면서 래치돌출레버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래치돌출레버와 함께 회전되어 2단 잠김 상태로 래치기어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잠금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용 도어에 설치된 자동차용 잠금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와 해제레버부와 작동레버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와 해제레버부와 작동레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버와 안전레버와 가압레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래치기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래치기어가 하우징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2단 잠김 상태에서 해제구동부와 해제레버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2단 잠김 상태에서 자동차용 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2단 잠김 상태에서 자동차용 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가 동작되어 해제레버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가 동작되어 파울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가 동작되어 파울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이격된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자동차용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감지레버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파울과 래치기어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1단 잠김 상태에서 파울과 래치기어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1단 잠김 상태에서 회전감지레버가 회전감지센서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구동부의 동작으로 케이블레버와 안전레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레버가 회전되면서 래치돌출레버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래치돌출레버와 함께 회전되어 2단 잠김 상태로 래치기어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잠금장치(1)는, 하우징부(10), 래치기어(20), 래치돌출레버(25), 파울(30), 파울돌출바(38), 해제레버부(40), 해제구동부(50), 작동레버부(60), 회전감지레버(70), 회전감지센서(75), 잠금구동부(80), 케이블레버(90), 안전레버(100), 가압레버(110) 및 이동경로안내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스트라이커(135)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는 베이스 하우징(11)과 커버플레이트(15)와 보강플레이트(18)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15)는 파울(30)과 래치기어(20)의 전면(도 2기준 하측)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하우징(11)은 파울(30)의 후면(도 2기준 상측)에 위치하며 커버플레이트(15)와 결합된다. 베이스 하우징(11)에는 파울(30)과 래치기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30)에서 돌출된 파울돌출바(38)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안내홀부(12)가 베이스 하우징(11)에 형성된다. 안내홀부(12)는 곡선 형상을 따라 설정된 구간에만 형성되며, 파울돌출바(38)가 안내홀부(12)를 따라 이동되므로, 파울돌출바(38)에 연결된 파울(30)의 이동거리도 안내홀부(12)의 길이에 비례한다. 하우징부(10)에는 스트라이커(135)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가 구비되며, 베이스 하우징(11)에 구비된 이동홈부를 제1이동홈부(13)라 하며, 커버플레이트(15)에 구비된 이동홈부를 제2이동홈부(16)라 한다.
커버플레이트(15)는 금속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하우징(11)의 후면(도 3기준 상측)에 위치하므로 베이스 하우징(11)의 강성을 보강한다.
래치기어(20)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35)를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20)는, 래치몸체(21), 마운팅홈부(22), 제1걸림부(23), 제2걸림부(24)를 포함한다.
래치몸체(21)는 베이스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35)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22)가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마운팅홈부(22)는 래치몸체(21)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제1이동홈부(13)와 제2이동홈부(16)를 통하여 이동되는 스트라이커(135)가 마운팅홈부(22)로 삽입된다.
제1걸림부(23)는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며, 마운팅홈부(22)로 삽입된 스트라이커(135)가 다시 제1이동홈부(13)와 제2이동홈부(16)를 통해 외측으로 이탈됨을 구속한다.
제2걸림부(24)는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며, 마운팅홈부(22)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35)에 의해 회전되어 파울(3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몸체(2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래치몸체(21)의 반시계방향(도 5기준)으로 제1걸림부(23)와 마운팅홈부(22)와 제2걸림부(24)가 차례로 위치한다. 제2걸림부(24)는 마운팅홈부(22)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23)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래치돌출레버(25)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래치기어(20)의 래치몸체(21)에 삽입되며, 가압레버(110)에 밀려서 래치기어(20)와 함께 회전되므로 스트라이커(135)의 구속을 해제한다. 래치돌출레버(25)는 래치기어(20)에서 돌출되어 베이스 하우징(11)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가압레버(110)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파울(30)은 래치기어(20)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30)은, 파울몸체(32)와 걸림돌기(34)와 파울회전축(36)을 포함한다.
파울(30)은 베이스 하우징(11)과 커버플레이트(15)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울(30)은 래치기어(20)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30)은, 베이스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32)와, 파울몸체(3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34) 및 베이스 하우징(11)을 관통하여 파울몸체(32)에 연결되므로 파울몸체(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울회전축(36)을 포함한다.
파울몸체(32)는 제1이동홈부(13)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며, 파울회전축(36)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걸림돌기(34)는 파울몸체(3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34)는 파울몸체(32)에서 래치기어(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스트라이커(135)와 함께 회전하는 래치기어(20)에 접촉되어 밀리거나, 제2걸림부(24)에 접하여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한다.
파울돌출바(38)는 파울(30)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10)를 관통하며 파울(30)과 함께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울돌출바(38)도 래치돌출레버(25)와 같이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파울몸체(32)에 삽입되어 파울몸체(32)와 함께 회전한다. 파울돌출바(38)는 파울몸체(32)에서 돌출되어 베이스 하우징(11)의 안내홀부(12)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안내홀부(12)가 형성된 구간 안에서만 이동이 이루어진다. 파울(30)과 함께 회전되는 파울돌출바(38)는 회전감지레버(70)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할 수 있으며, 작동레버부(60)에 의해 이동되어 파울(30)과 함께 회전될 수도 있다.
해제레버부(40)는 파울돌출바(38)가 돌출된 하우징부(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케이블(49)에 연결되어 회전되거나 해제구동부(50)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레버부(40)는 해제레버몸체(41)와 제1전달돌기(43)와 제2전달돌기(44)와 해제레버축(45)과 해제케이블(49)을 포함한다.
해제레버몸체(41)는 보강플레이트(18)의 상측(도 3기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해제레버몸체(41)가 보강플레이트(18)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해제레버축(45)이 해제레버몸체(41)와 보강플레이트(18)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해제레버몸체(41)는 작동레버몸체(62)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부(42)가 구비된다. 작동레버부(60)가 가이드홀부(42)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동레버축(6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띠라서 작동레버부(60)는 가이드홀부(42)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작동레버축(6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이 가능하므로 해제레버부(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파울돌출바(3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전달돌기(43)는 해제레버몸체(4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해제케이블(49)에 연결된다. 제2전달돌기(44)는 해제레버몸체(41)에서 제1전달돌기(43)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며, 해제구동부(50)에 접하여 회전된다. 제1전달돌기(43)와 제2전달돌기(44)는 예각을 형성한다. 제2전달돌기(44)의 일단에는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며, 회전레버(56)의 회전에 의해 제2전달돌기(44)가 회전레버(56)에 접하면서 밀린다.
제1전달돌기(43)에는 해제케이블(49)이 연결되므로 해제케이블(49)이 당겨지면 제1전달돌기(43)와 함께 해제레버몸체(41)는 해제레버축(4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해제구동부(50)는 제어부(도시생략)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며, 해제레버부(4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구동부(50)는 해제구동모터(52)와 해제연결기어부(54)와 회전레버(56)를 포함한다.
해제구동모터(52)는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해제연결기어부(54)는 해제구동모터(5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감속이 이루어진다. 해제연결기어부(54)는 복수의 기어가 연결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서로 직경이 다른 기어가 복층으로 설치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해제연결기어부(54)의 상세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레버(56)는 해제연결기어부(5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제2전달돌기(44)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56)의 일측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해제연결기어부(54)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레버(56)의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굽어져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제2전달돌기(44)를 가압한다.
작동레버부(60)는 해제레버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구동부(50)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해제레버부(40)와 함께 회전하면서 파울돌출바(38)를 이동시켜 래치기어(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파울(3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레버부(60)는, 작동레버몸체(62)와 작동레버연장몸체(64)와 작동레버돌기(66)와 작동레버축(67) 및 작동레버스프링(68)을 포함한다.
작동레버몸체(62)는 해제레버몸체(41)의 상측(도 3기준)에 위치하며, 해제레버몸체(41)의 가이드홀부(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작동레버축(67)은 가이드홀부(42)를 관통하여 작동레버몸체(62)에 연결되므로, 작동레버몸체(62)는 작동레버축(6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작동레버연장몸체(64)는 작동레버몸체(62)에서 연장되어 파울돌출바(38)의 측면에 위치한다. 작동레버돌기(66)는 작동레버연장몸체(64)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작동레버연장몸체(64)와 함께 이동되어 파울돌출바(38)를 이동시킨다. 작동레버연장몸체(64)와 작동레버돌기(66)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동레버축(67)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파울돌출바(38)를 이동시킨다.
권선된 형상의 작동레버스프링(68)의 일측은 작동레버연장몸체(64)의 측면에 연결되며, 작동레버스프링(68)의 타측은 해제레버몸체(41)의 측면에 연결되므로, 작동레버연장몸체(64)와 해제레버몸체(41)는 설정된 각도로 벌어지도록 탄성 지지된다.
회전감지레버(70)는 작동레버부(60)의 상측에 위치하며 작동레버연장몸체(6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감지레버(70)는 파울돌출바(38)를 향하여 탄성 가압되므로, 파울돌출바(38)가 이동하는 경우 파울돌출바(38)와 함께 이동된다. 회전감지레버(70)는 수평으로 회전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동레버부(60) 또는 다른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감지레버(70)의 일측은 파울돌출바(38)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회전감지레버(70)의 타측은 회전감지센서(75)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회전감지레버(70)는 회전감지레버스프링(72)에 의해 파울돌출바(38)에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감지레버(70)는 파울(3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회전감지센서(75)에 접하거나 접하지 않는 동작 상태를 갖는다.
회전감지센서(75)는 회전감지레버(70)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감지센서(75)는 접촉신 센서가 사용되며, 회전감지레버(70)의 이동경로에 설치된다.
잠금구동부(8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1단 걸림 상태의 래치기어(20)를 2단 걸림 상태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구동부(80)는 모터의 동력이 복수의 기어에 전달되어 잠금케이블(85)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잠금케이블(85)은 잠금구동부(80)와 케이블레버(90)에 각각 연결되므로 잠금구동부(80)의 동작에 의해 케이블레버(90)를 회전시킨다.
케이블레버(90)는 잠금구동부(80)와 잠금케이블(85)로 연결되며, 커버플레이트(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버(90)는 케이블레버몸체(92)와 케이블연결돌기(94)를 포함한다.
케이블레버몸체(92)는 안전레버돌기(106)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블레버몸체(92)의 일측에는 케이블연결돌기(94)가 구비되며, 케이블연결돌기(94)에 잠금케이블(85)이 연결된다.
안전레버(100)는 케이블레버(9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100)는 안전레버연결축(102)과 안전레버몸체(104)와 안전레버돌기(106)와 안전레버안내돌기(108)를 포함한다.
안전레버몸체(104)가 케이블레버(90)의 상측(이하 도 4기준)에 위치한 상태에서 안전레버연결축(102)이 안전레버몸체(104)와 케이블레버(90)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안전레버몸체(104)는 안전레버연결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가압레버(110)의 가압레버돌기(112)와 마주하는 안전레버몸체(104)의 측면에는 안전레버돌기(106)가 상측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안전레버몸체(104)의 일측은 안전레버연결축(102)에 연결되며, 안전레버몸체(104)의 타측은 상측으로 굽어져서 안전레버안내돌기(108)에 연결된다. 안전레버안내돌기(108)는 상측으로 돌출되며, 이동경로안내부(120)의 이동안내홀부(122)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동작이 가이드된다.
가압레버(110)는 케이블레버(90)와 같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안전레버(100)에 밀려서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레버(110)는 가압레버돌기(112)와 가압레버지지부(114)와 탄성복귀부재(116)와 가압레버연결축(118)을 포함한다.
가압레버(110)는 케이블레버(9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압레버연결축(118)이 가압레버(110)의 몸체와 케이블레버몸체(92)를 관통하여 커버플레이트(15)에 설치된다. 가압레버돌기(112)는 가압레버(110)의 일측(도 4기준 좌측)에서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레버(110)의 회전시 래치돌출레버(25)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가압레버지지부(114)는 가압레버연결축(118)을 중심으로 가압레버돌기(112)와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된다. 가압레버지지부(114)는 탄성복귀부재(116)에 연결되므로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탄성복귀부재(116)에 의해 당겨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동경로안내부(120)는 안전레버(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안전레버안내돌기(108)가 삽입되는 이동안내홀부(122)를 구비한다. 이동안내홀부(122)는 곡선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안전레버(100)가 케이블레버(90)와 함께 회전될 때 안전레버(100)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전레버(100)의 상측 이동을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잠금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차용 잠금장치(1)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동작부터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2단 잠금 상태일 때는 래치기어(20)의 제1걸림부(23)가 파울(30)의 걸림돌기(34)에 걸려 있으며, 해제구동부(50)는 동작되지 않는 상태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해제구동부(50)가 동작되면, 회전레버(56)가 회전되어 제2전달돌기(44)와 함께 해제레버몸체(41)를 회전시킨다. 해제레버몸체(41)의 회전으로 해제레버몸체(41)에 설치된 작동레버부(60)도 회전하면서 파울돌출바(38)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파울돌출바(38)가 작동레버부(60)에 밀려서 이동하므로 파울돌출바(38)에 연결된 파울(30)도 파울회전축(3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래치기어(20)와 이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울(30)과 이격된 래치기어(20)는 래치기어(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회전되어 래치기어(20)에서 스트라이커(135)가 이탈되어 스트라이커(135)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래치기어(20)의 1단 잠금이 측정되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오픈 상태에서는 래치기어(20)가 파울(30)의 걸림돌기(34)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며, 파울돌출바(38)도 회전감지레버(70)를 일측(도 14기준 좌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회전감지레버(70)는 회전감지센서(75)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4)가 파울(30)의 걸림돌기(34)에 걸리므로 래치기어(20)의 1단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에서 파울(30)의 회전으로 파울(30)돌기가 이동된다.
안내홀부(12)를 따라 파울(30)돌기가 타측(도 17 기준 우측)으로 이동하면, 파울(30)돌기에 접한 회전감지레버(70)도 회전감지레버스프링(72)의 스프링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감지센서(75)를 가압한다.
만약 래치기어(20)의 1단 잠김 후 별도의 추가 잠김 동작이 측정되지 않으면, 잠금구동부(80)가 동작되어 잠금케이블(85)을 당긴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케이블(85)이 당겨지면 잠금케이블(85)에 연결된 케이블레버(90)가 가압레버연결축(11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안전레버(100)도 안전레버연결축(10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안전레버(100)의 안전레버돌기(106)가 가압레버(110)의 가압레버돌기(112)에 접한다.
도 20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레버(110)의 가압레버돌기(112)가 회전하면서 래치돌출레버(25)를 회전시키므로 래치돌출레버(25)와 함께 래치기어(20)가 회전한다. 래치기어(20)가 회전되어 제1걸림부(23)가 파울(30)의 걸림돌기(34)에 걸리므로 1단 잠금 상태의 래치기어(20)가 2단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제구동부(50)의 동작으로 해제레버부(40)와 작동레버부(60)가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파울(30)과 연결된 파울돌출바(38)를 이동시키므로 래치기어(20)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래치기어(20)가 1단 잠김 상태에 있음을 감지하여 잠금구동부(80)를 동작시켜 2단 잠김상태로 래치기어(20)를 회전시키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용 도어에 설치된 자동차용 잠금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의 트렁크 도어나 후드 등 자동차의 다른 회전체에도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도어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자동차용 잠금장치
10: 하우징부 11: 베이스 하우징 12: 안내홀부 13: 제1이동홈부 15: 커버플레이트 16: 제2이동홈부 18: 보강플레이트
20: 래치기어 21: 래치몸체 22: 마운팅홈부 23: 제1걸림부 24: 제2걸림부 25: 래치돌출레버
30: 파울 32: 파울몸체 34: 걸림돌기 36: 파울회전축 38: 파울돌출바
40: 해제레버부 41: 해제레버몸체 42: 가이드홀부 43: 제1전달돌기 44: 제2전달돌기 45: 해제레버축 49: 해제케이블
50: 해제구동부 52: 해제구동모터 54: 해제연결기어부 56: 회전레버
60: 작동레버부 62: 작동레버몸체 64: 작동레버연장몸체 66: 작동레버돌기 67: 작동레버축 68: 작동레버스프링
70: 회전감지레버 72: 회전감지레버스프링 75: 회전감지센서
80: 잠금구동부 85: 잠금케이블
90: 케이블레버 92: 케이블레버몸체 94: 케이블연결돌기
100: 안전레버 102: 안전레버연결축 104: 안전레버몸체 106: 안전레버돌기 108: 안전레버안내돌기
110: 가압레버 112: 가압레버돌기 114: 가압레버지지부 116: 탄성복귀부재 118: 가압레버연결축
120: 이동경로안내부 122: 이동안내홀부 135: 스트라이커

Claims (7)

  1.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
    상기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상기 파울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관통하며, 상기 파울과 함께 회전되는 파울돌출바;
    상기 파울돌출바가 돌출된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해제레버부;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며, 상기 해제레버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해제구동부; 및
    상기 해제레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해제구동부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상기 해제레버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파울돌출바를 이동시켜 상기 래치기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파울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파울의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파울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베이스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파울돌출바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후면에 위치하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레버부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몸체;
    상기 해제레버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해제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전달돌기;
    상기 해제레버몸체에서 상기 제1전달돌기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해제구동부에 접하여 회전되는 제2전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구동부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해제구동모터;
    상기 해제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감속이 이루어지는 해제연결기어부; 및
    상기 해제연결기어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제2전달돌기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부는, 상기 해제레버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레버몸체;
    상기 작동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파울돌출바의 측면에 위치하는 작동레버연장몸체; 및
    상기 작동레버연장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작동레버연장몸체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파울돌출바를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레버몸체는, 상기 작동레버몸체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연장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울돌출바와 함께 이동되는 회전감지레버; 및
    상기 회전감지레버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회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1단 걸림 상태의 상기 래치기어를 2단 걸림 상태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잠금구동부;
    상기 잠금구동부와 잠금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블레버;
    상기 케이블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레버;
    상기 케이블레버와 같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안전레버에 밀려서 회전되는 가압레버; 및
    상기 래치기어에 삽입되며, 상기 가압레버에 밀려서 상기 래치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래치돌출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잠금장치.
KR1020150097353A 2015-07-08 2015-07-08 자동차용 잠금장치 KR101802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53A KR101802369B1 (ko) 2015-07-08 2015-07-08 자동차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53A KR101802369B1 (ko) 2015-07-08 2015-07-08 자동차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53A true KR20170006553A (ko) 2017-01-18
KR101802369B1 KR101802369B1 (ko) 2017-11-28

Family

ID=5799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353A KR101802369B1 (ko) 2015-07-08 2015-07-08 자동차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5970A1 (ko) * 2017-06-19 2018-12-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4578B2 (ja) 2005-10-04 2011-03-0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200418883Y1 (ko) * 2006-03-28 2006-06-1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KR101308494B1 (ko) 2012-04-03 2013-09-1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524131B1 (ko) * 2013-10-31 2015-05-29 평화정공(주) 도어 래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5970A1 (ko) * 2017-06-19 2018-12-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KR20190126908A (ko) * 2017-06-19 2019-11-12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369B1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79B1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US8661733B2 (en) Electrical door-locking device
KR101577214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US8651536B2 (en) Door lock device
US20120073208A1 (en) Electric door-locking system using a cam
KR101524131B1 (ko) 도어 래치장치
US11306816B2 (en) Shift device
US20210172218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09007788A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802369B1 (ko) 자동차용 잠금장치
KR20150106292A (ko) 후드래치장치
KR101212591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524132B1 (ko) 도어 래치장치
KR10161301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54125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732914B1 (ko) 차량용 도어래치
KR101603836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573144B1 (ko) 더블풀 후드래치
KR101212590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58577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542692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653055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KR20030067779A (ko) 차량 도어 열림각 제어 장치
KR20160041465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0802817B1 (ko) 자동차의 도어 내측 버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