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302A -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302A
KR20170006302A KR1020150092742A KR20150092742A KR20170006302A KR 20170006302 A KR20170006302 A KR 20170006302A KR 1020150092742 A KR1020150092742 A KR 1020150092742A KR 20150092742 A KR20150092742 A KR 20150092742A KR 20170006302 A KR20170006302 A KR 20170006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formation
facility
outline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주
Original Assignee
김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주 filed Critical 김한주
Priority to KR102015009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302A/ko
Publication of KR2017000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생활 노출에 대한 우려로 카메라 설치가 불가한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시설에 설치되는 열 감지 센서; 상기 열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열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체 간 온도 차이에 의한 대상체의 열화상 윤곽정보를 생성 및 분석하고, 이를 시설별로 이미 설정된 비상판단정보와 대비하여 비상 여부를 자동 판단하여, 비상상황 시에만 관제서버에 비상현황정보를 송신하는 윤곽분석서버; 및 상기 비상현황정보가 수신되면 비상상황이 발생한 시설의 위치 및 해당 대상체의 윤곽정보를 토대로 대응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 capable of pivacy protection}
본 발명은 사생활 노출에 대한 우려로 카메라 설치가 불가한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시설에 CCTV를 설치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공항과 같이 국제적 관문이 되는 시설에서는 초고화질 CCTV, 첨단영상분석시스템 및 추적시스템을 구비하고 막대한 투자를 통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보안인력을 충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화장실과 같이 사생활 보호가 우선시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보안 시스템의 적용이 불가하여, 사생활 보호시설에서 발생하는 범죄나 비상상황에 대해서는 마땅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0931292호 영상 및 음성 녹화장치를 구비한 비상호출 시스템을 보면, 비상호출버튼 장치에 카메라를 내장하여 계속 촬영하는 중에 위급 상황시 사용자가 비상호출버튼을 누르면 10초 내지 30초 전의 영상신호부터 메모리에서 읽어내어 녹화 및 녹음을 시작할 뿐만 아니라 이를 메인 프로세스 유니트에 전달하는 영상 및 음성 녹화장치를 구비한 비상호출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는 비상호출신호가 송출시 다시 비상호출버튼을 길게 누르거나 초기화 버튼을 눌러 초기화할 때까지 계속 녹화 및 녹음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상 호출자와 동일한 위치에서 호출자를 포함하는 범위를 촬영하게 되어 추후 호출자 뿐만 아니라 호출자와 관련된 상대방의 신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실시간 촬영이 아니므로 프라이버시를 요하는 화장실 등에 설치가 가능하며, 외진 곳이나 사각지대 등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도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여 이로 인한 범죄의 예방에 큰 효과를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비상호출버튼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 및 녹음을 하는 것은 사생활을 지나치게 침해하는 것이며, 비상시에 별도로 호출 버튼을 눌러야 한다는 점에서 범죄나 무의식에 의한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사생활 보호가 우선시 되는 시설에서 사생활 침해 없이 다양한 비상상황에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상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시설에 설치되는 열 감지 센서; 상기 열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열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체 간 온도 차이에 의한 대상체의 열화상 윤곽정보를 생성 및 분석하고, 이를 시설별로 이미 설정된 비상판단정보와 대비하여 비상 여부를 자동 판단하여, 비상상황 시에만 관제서버에 비상현황정보를 송신하는 윤곽분석서버; 및 상기 비상현황정보가 수신되면 비상상황이 발생한 시설의 위치 및 해당 대상체의 윤곽정보를 토대로 대응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여,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시설에서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관제서버에 비상현황정보가 자동 통보되도록 구성된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윤곽분석서버의 비상판단정보는 정상 상황 또는 이상 상황에 대한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열감지 윤곽분석서버는 상기 특징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상황과 대비 판단하여 비상상황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윤곽분석서버는 상기 열화상 윤곽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상 상황에 대한 특징 데이터는 대상체가 쓰러져 있는 경우의 윤곽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상 상황에 대한 특징 데이터는 대상체의 발화 온도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 감지센서는 시설 내에 진입한 사람을 감지하여 전등 스위치 온오프 제어와 연동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감지센서는 외면에 실리콘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윤곽분석서버가 관제서버에 제공하는 비상현황정보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시설의 위치와 대상체의 윤곽정보가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시설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관제서버에서 외부 카메라가 상기 대상체의 이동경로를 이어서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감지센서에 의한 열화상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무분별한 카메라 촬영으로부터 사생활보호시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고, 윤곽정보의 암호화, 비상상황여부의 자동판단 기능 및 비상상황시에만 관제서버에 통보되는 기능 등을 통해 윤곽정보 자체에도 접근이 제한되도록 설계하고 비상상황시에는 관제서버에 자동통보됨으로써 보안시스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및 비상상황 대처 능력의 극대화를 동시에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열 감지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윤곽분석서버에서 열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한 윤곽정보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화장실 내의 정상 상황의 예시도이다.
도 5는 화장실 내의 이상 상황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처리과정을 나태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로서, 사생활 보호시설(1)에 설치된 열감지센서(10), 윤곽분석서버(20) 및 관제서버(30)를 포함한다.
사생활 보호시설(1)은 화장실, 샤워실, 탈의실, 피팅룸 등과 같이 프라이버시 보호가 우선시되는 시설로서, 보안 카메라 설치가 사실상 불가한 시설을 가리킨다.
<열감지센서(10)>
열감지센서(10)는 대상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시설에 설치되는 센서로서, 일반적으로 적외선 열감지센서가 적용되어 물체별 온도차를 감지한다.
모든 물체는 절대온도(섭씨온도 + 273) 0도 이상에서 복사에너지를 방출하므로 물체의 온도에 따라 복사에너지의 방출량이 차이가 난다.
열감지센서(10)는 외부로부터 빛의 공급이 없이도 대상체가 발산하는 복사에너지를 집합시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어둠 속에 존재하는 미세한 빛을 최대한 증폭하여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열감지센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부를 케이스(101) 및 외면에 형성되는 실리콘막(102)으로 커버하고, 실리콘막(102)에 의해 대상체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열감지센서(10)는 시설 내에 진입한 사람을 감지하여 전등 스위치 온오프 제어와 연동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윤곽분석서버(20)>
윤곽분석서버(20)는 열감지센서(10)에서 감지되는 열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체 간 온도 차이에 의한 대상체의 열화상 윤곽정보를 생성 및 분석하고, 이를 시설별로 이미 설정된 비상판단정보와 대비하여 비상 여부를 자동 판단하여, 비상상황 시에만 관제서버에 비상현황정보를 송신한다.
도 3은 상기 열화상 윤곽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바, 대상체의 신원을 알아 볼 수 없고 단지 윤곽만을 파악할 수 있는 상태로 감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윤곽분석서버(20)는 상기 열화상 윤곽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며, 비상상황시에만 관제서버(30)로 송출함으로써 외부 유출 가능성도 차단한다.
윤곽분석서버(20)는 비상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바, 비상상황 여부 판단은 정상 상황 또는 이상 상황의 특징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여 정상 상황 또는 이상 상황이 갖는 특징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상황과 대비 판단함으로써 구현된다.
시스템 구현방식에 따라 정상 상황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이상 상황을 기준으로 벗어나는 정도를 대비 판단할 수도 있다.
정상 상황의 예를 살펴보면, 도 4의 화장실 예와 같이, (A) 빈 상태, (B) 사람이 들어온 상태, (C) 사람이 변기에 앉은 상태로, 화장실의 정상 사용 상황에 해당한다.
시설별로 정상 상황이 주는 특징 데이터는 차이가 있으며, 이를 추출하여 윤곽분석서버(20)에 미리 설정하여 둠으로써 비상 상황의 자동 판단이 가능하다.
이상 상황의 예를 살펴보면, 도 5의 화장실 예와 같이, (A)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B) 사람이 쓰러져 있는 경우, (C) 폭발물로 의심되는 물건이 방치된 경우, (D) 2인 이상이 출입하여 범죄 현장으로 보이는 경우, (E) 혈액이 감지되는 경우, (F) 가방의 내용물만 빼고 가방을 방치한 경우 등이다.
따라서, 정상 상황 또는 이상 상황에 대한 특징 데이터는 상기 다양한 상황별로 추출되는 데이터이며, 대상체가 쓰러져 있는 경우의 열화상 윤곽정보, 대상체의 발화 온도 등이 포함된다.
윤곽분석서버(20)는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비상현황정보를 관제서버(30)로 송출하는바, 상기 비상현황정보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시설의 정확한 위치 및 해당 대상체의 열화상 윤곽정보를 포함한다.
<관제서버(30)>
관제서버(30)는 CCTV를 포함하여 시설을 감시하고 비상상황에 대처하는 종래의 보안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며, 본 발명은 종래의 관제서버(30)와 연동 되어 사생활보호시설에서의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관제서버(30)는 윤곽분석서버(20)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상현황정보를 일반적으로 관제 모니터(301)를 통해 종래의 다른 감지정보와 동일하게 경보 및 출동 지시 등의 형태로 처리하는바, 대상체가 해당 시설의 범위를 벗어나 추적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제서버(30)의 외부 카메라 추적 시스템(302)이 해당 대상체의 이동경로를 이어서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열감지센서(10)가 대상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0), 윤곽분석서버(20)가 상기 열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화상 윤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 열화상 윤곽정보를 토대로 비상상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비상상황이면 관제서버(30)로 비상현황정보를 송출하는 단계(s40), 관제서버(30)는 정해진 대응조치를 취하고(s50), 필요한 경우 외부 카메라 추적 시스템(302)를 구동하여 대상체를 추적하는 단계(s501)를 수행한다.
상기 s10단계 수행 후에는 대상체의 감지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제어를 연동하는 단계(s101)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감지센서를 이용해 센서로 들어온 값을 윤곽분석서버를 이용하여 화장실에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화장실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이다.
온도에 따라 상이한 물체와 사람의 윤곽을 열감지센서로 받아들이고 윤곽분석서버를 통해 분석한 이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관제서버로 보내고 윤곽분석서버에는 열화상 윤곽정보 등이 암호화되어 저장만 된다.
본 발명의 열감지센서는 카메라가 아니므로 사생활을 침해할만한 내용은 아니지만, 온도, 윤곽 데이터라도 쉽게 열람할 수 없도록 암호화 저장하는 것이며, 영장 없이는 열감지 윤곽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증거제출용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사람도 카메라도 확인할 수 없는 잠겨있는 화장실과 같은 사생활 보호시설 안에서의 테러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일 것이다.
1 : 사생활 보호시설 10 : 열감지센서
20 : 윤곽분석센서 30 : 관제서버
101 : 케이스 102 : 실리콘막
301 : 관제모니터 302 : 외부카메라 추적시스템

Claims (9)

  1. 대상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시설에 설치되는 열 감지 센서;
    상기 열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열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체 간 온도 차이에 의한 대상체의 열화상 윤곽정보를 생성 및 분석하고, 이를 시설별로 이미 설정된 비상판단정보와 대비하여 비상 여부를 자동 판단하여, 비상상황 시에만 관제서버에 비상현황정보를 송신하는 윤곽분석서버; 및
    상기 비상현황정보가 수신되면 비상상황이 발생한 시설의 위치 및 해당 대상체의 윤곽정보를 토대로 대응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여,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시설에서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관제서버에 비상현황정보가 자동 통보되도록 구성된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분석서버의 비상판단정보는 정상 상황 또는 이상 상황에 대한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열감지 윤곽분석서버는 상기 특징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상황과 대비 판단하여 비상상황여부를 판별하는,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분석서버는 상기 열화상 윤곽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에 대한 특징 데이터는 대상체가 쓰러져 있는 경우의 윤곽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된,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에 대한 특징 데이터는 대상체의 발화 온도가 포함되도록 구성된,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감지센서는 시설 내에 진입한 사람을 감지하여 전등 스위치 온오프 제어와 연동 되도록 구성된,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센서는 외면에 실리콘막을 포함하는,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분석서버가 관제서버에 제공하는 비상현황정보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시설의 위치와 대상체의 윤곽정보가 포함하도록 구성된,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시설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관제서버에서 외부 카메라가 상기 대상체의 이동경로를 이어서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KR1020150092742A 2015-06-30 2015-06-30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KR20170006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42A KR20170006302A (ko) 2015-06-30 2015-06-30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42A KR20170006302A (ko) 2015-06-30 2015-06-30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394A Division KR20170010033A (ko) 2017-01-13 2017-01-13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302A true KR20170006302A (ko) 2017-01-18

Family

ID=5799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742A KR20170006302A (ko) 2015-06-30 2015-06-30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3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564A3 (ko) * 2019-09-04 2021-04-29 이앤제너텍 온도 윤곽 센싱 장치와 통신하는 제어 서버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564A3 (ko) * 2019-09-04 2021-04-29 이앤제너텍 온도 윤곽 센싱 장치와 통신하는 제어 서버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657B1 (ko) 출입통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출입통제 및 방역 시스템 및 방법
US77914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ideo data of a security system based on infrared data
EP2911125B1 (en) Security monitoring arrangement and method using a common field of view
WO2017161880A1 (zh) 一种区域监控报警系统及报警方法
JP2005228197A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101619307B1 (ko)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KR101014842B1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102046591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영상 감시방법
KR20170010033A (ko)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KR20170006302A (ko) 사생활보호 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WO2010137801A2 (ko) 모니터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6201A (ko) 전방향 감지카메라에 의한 이동식 보안 시스템
JP5580683B2 (ja) 通報装置
KR1015230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KR101524922B1 (ko) 비상 알림을 위한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42368B1 (ko) 경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3302B1 (ko) 영상화면비교부를 갖는 cctv 시스템
JP5580686B2 (ja) 通報装置
KR20110071335A (ko) 촬상장치를 이용한 영상보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41312B1 (ko) 가정용 실시간 감시시스템
KR101393303B1 (ko) 영상화면비교부를 갖는 cctv 시스템 관리방법
JP3215758U (ja) プライバシー保護防犯システム
KR102043923B1 (ko) 휴대용 iot센서 기반 보안방범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JP5580679B2 (ja) 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1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13

Effective date: 2018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