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273A - 차량용 멀티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273A
KR20170006273A KR1020160085007A KR20160085007A KR20170006273A KR 20170006273 A KR20170006273 A KR 20170006273A KR 1020160085007 A KR1020160085007 A KR 1020160085007A KR 20160085007 A KR20160085007 A KR 20160085007A KR 20170006273 A KR20170006273 A KR 20170006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ort portion
valve
orifice
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764B1 (ko
Inventor
김홍선
김준우
손재영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90000985.0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7905916U/zh
Priority to PCT/KR2016/007313 priority patent/WO2017007235A1/ko
Publication of KR2017000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길이를 갖는 공간이 마련되어 유체가 충전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유체가 소통되는 포트들이 관통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 및 상기 포트를 연통시키면서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중공형의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포트가 일단부 양측에 제각기 형성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는 제1포트부와 상기 제1포트부와 이격된 타단부의 양측에 또 다른 상기 포트가 제각기 형성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는 제2포트부 및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열을 이루는 상기 포트로 이루어진 제3포트부를 갖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부착되어 하나의 열을 이루는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 및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를 연통시켜서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유로를 제공하는 포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포트부의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제1오리피스와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제2오리피스 및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제3오리피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밸브{MULTIDIRECTION MULTIVALVE FOR AUTOMOTIVE}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유체의 소통을 다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다양한 종류의 밸브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밸브장치는 엔진의 냉각, 실내공간의 냉방 및 난방, 배기가스 재순환(EGR시스템) 등과 같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유체에 대한 흐름을 분배, 제어 내지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밸브장치 중에서, 회전밸브(rotary valve)는 2이상의 포트를 가진 밸브바디와, 밸브바디의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2이상의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밸브는 내연기관 엔진의 냉각수 순환회로에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회전밸브의 일 예로는 US 6315267 B1(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밸브는 밸브챔버(valving chamber)와 소통하는 유입포트(inlet port) 및 유출포트(outlet port)를 가진 밸브바디(valve body); 상기 밸브챔버 내에서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로 회전되게 설치된 원통형의 밸브부재(valve member); 유입포트 또는 유출포트 중에서 어느 하나와 밸브부재 사이에 개재된 곡면진 탄성 밀봉부재(resilient seal member); 상기 밸브 바디에 부착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회전시키는 토크 모터(torque motor); 및 상기 토크 모터의 로터와 상기 밸브부재를 개방시키도록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수단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회전밸브는 밸브바디의 유입 및 유출포트가 밸브바디의 일단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고, 또 다른 유입 및 유출포트가 밸브바디의 타단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어 하나의 행을 이룬다. 그리고, 밸브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밸브바디의 일단 양측에 마련된 유입 및 유출포트와 대응하는 한쌍의 오리피스가 일측에 제각기 형성되며, 전술한 밸브바디의 타단 양측에 마련된 유입 및 유출포트와 대응하는 한쌍의 또 다른 오리피스가 타측에 제각기 형성된다. 즉, 밸브부재는 한쌍의 오리피스들이 다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밸브부재의 회전에 의해 일단 양측의 유입 및 유출포트가 개폐되거나 타단 양측의 유입 및 유출포트가 개폐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각각의 유입포트 또는 유출포트에 적합한 유량의 유체(예: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밸브바디의 크기(지름 및 높이) 및 오리피스가 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크기가 비대하여 장착공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US 6315267 B1(2001.1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부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소망하는 유량을 소통시킬 수 있는 차량용 다방향 멀티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내부에 길이를 갖는 공간이 마련되어 유체가 충전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유체가 소통되는 포트들이 관통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 및 상기 포트를 연통시키면서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중공형의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포트가 일단부 양측에 제각기 형성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는 제1포트부와 상기 제1포트부와 이격된 타단부의 양측에 또 다른 상기 포트가 제각기 형성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는 제2포트부 및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열을 이루는 상기 포트로 이루어진 제3포트부를 갖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부착되어 하나의 열을 이루는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 및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를 연통시켜서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유로를 제공하는 포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포트부의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제1오리피스와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제2오리피스 및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제3오리피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부, 상기 제2포트부 및 상기 제3포트부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단 내지 제3단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오리피스들이 상기 제1포트부 내지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제1단 내지 상기 제3단에 제각기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오리피스가 상기 제1포트부를 구성하는 상기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일측 오리피스 및 상기 제1포트부를 구성하는 나머지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타측 오리피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일측 오리피스 및 상기 타측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일측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포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와 열을 이루고, 상기 포트 커버에 의해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 및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4포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부, 상기 제2포트부, 상기 제3포트부 및 상기 제4포트부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단 내지 제4단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4포트부에 대응하는 제4오리피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오리피스들이 상기 제1포트부 내지 상기 제4포트부의 상기 제1단 내지 상기 제4단에 제각기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밸브부재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엑츄에이터로부터 인출된 샤프트와 축 결합하여 단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할 형성된 밸브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속 돌기 및 결속 홀이 형성되어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에 형성된 오리피스에 대응하는 상기 밸브하우징에 형성된 포트는 제각기 실링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포트의 내면에 긴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타측을 이루고, 일부분에 신축을 허용하는 신축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신축공간을 통해 신축이 가능함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실링부재의 축선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을 상기 밸브부재의 외면에 긴밀하게 접촉시키는 탄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요소는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와 동일체를 이루고, 신축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형성된 중공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노치는 상기 중공관의 일부가 절개되어 구멍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중공관에 구멍으로 이루어진 신축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재에 축선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을 상기 밸브부재의 외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그 중심부에 포트와 소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링 몸체와, 상기 링 몸체의 평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바이어싱부(biasing portion)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바이어싱부는 상기 링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링 몸체는 그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돌기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끼움돌기는 상기 바이어싱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 몸체의 끼움돌기는 상기 실링부재의 끼움홈들에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의 외면은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에는 환형의 립 씰(lip seal)이 설치되며, 상기 립 씰은 상기 환형 홈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는 환형의 끼움몸체 및 상기 끼움몸체에서 외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연장된 립부(lip portion)를 가지고, 상기 립부는 상기 포트의 내면에 밀착되게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재에 축선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을 상기 밸브부재의 외면에 기밀하게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 스프링이며,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과 탄성부재 사이에는 환형의 립 씰(lip seal)이 개재되고, 상기 환형의 립 씰은 리테이너(retainer)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실링부재의 내면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지지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에 의하면, 제1포트부 내지 제3포트부 및 제1오리피스 내지 제3오리피스 및/또는 제4포트부 및 제4오리피스가 구비되므로 유체가 소통을 단속하는 밸브의 전체 크기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유량을 소망하는 양으로 소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밸브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고 유량 조절이 용이하게 되면 밸브가 엔진룸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차량의 모델에 따라 제각기 크기와 유체의 유량이 다른 멀티밸브를 설치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한 크기를 갖는 멀티밸브가 차량의 모델에 적합하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이로부터 멀티밸브를 부품 공용화시킬 수 있어 차량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밸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실링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실링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실링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밸브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를 나타낸 결합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는 유체가 충전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유체가 소통되는 포트들이 관통형성된 밸브하우징(100), 밸브하우징에 형성된 포트들에 대응하는 오리피스가 마련되고 밸브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밸브부재(200) 및 밸브부재(20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3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밸브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길이를 갖는 공간이 마련되어 유체가 충전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유체가 소통되는 포트들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하우징(100)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 및 포트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가 일단부 양측에 제각기 형성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는 제1포트부(111), 제1포트부(111)와 이격된 타단부의 양측에 또 다른 포트가 제각기 형성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는 제2포트부(112) 및 제2포트부(112)의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열을 이루는 포트로 이루어진 제3포트부(113)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1포트부(111)와 제2포트부(112) 및 제3포트부(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단 내지 제3단을 형성한다. 이때, 제3포트부(1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트부(111) 및 제2포트부(1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트 커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21)를 갖는다. 이때, 배출구(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포트 커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에 부착되어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3포트부(113)의 포트 및 제2포트부(112)의 포트를 연통시켜서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유로를 제공한다. 즉, 포트 커버(120)는 제2포트부(112)의 포트 및 제3포트부의 포트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배출구(121)로 배출하거나 또는 배출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제2포트부(112)의 포트 및 제3포트부(113)의 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밸브부재(2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밸브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러한 밸브부재를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밸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100)의 포트에 대응하는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오리피스 및 포트를 연통시키면서 포트를 개폐한다. 즉, 밸브부재(200)는 제1포트부(111)의 포트들을 개폐하는 제1오리피스(210), 제2포트부(112)의 포트들을 개폐하는 제2오리피스(220) 및 제3포트부(113)의 포트를 개폐하는 제3오리피스(230)가 마련된다.
밸브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리피스(210) 내지 제3오리피스(230)들이 전술한 밸브하우징(100)의 제1포트부(111) 내지 제3포트부(113)의 제1단 내지 제3단에 제각기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밸브부재(200)는 제1단 내지 제3단으로 구성되며 이때 밸브부재(200)는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와 같은 형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올록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단들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리피스(210)가 예컨대, 전술한 제1포트부(111)를 구성하는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일측 오리피스(211) 및 제1포트부(111)를 구성하는 나머지 포트에 대응하는 타측 오리피스(21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오리피스(210)는 복수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1오리피스(210)는 일측 오리피스(211) 및 타측 오리피스(212)가 하나의 행을 구성하므로 전술한 제1단 내지 제3단 중 하나의 단을 구성한다. 설명에 있어서, 제1오리피스(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2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3단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오리피스를 형성하는 일측 오리피스(211) 및 타측 오리피스(2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오리피스(211) 및 타측 오리피스(212)는 서로 다른 유량을 소통시킨다.
또한, 일측 오리피스(211) 및/또는 타측 오리피스(212)는 경우에 따라서 단면적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측 오리피스(211) 또는 타측 오리피스(212)는 슬릿 형태로 일측이 구성되고, 타측이 사각이나 원형의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부재(200)는 회전량에 따라 소통되는 유량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엑츄에이터(300)는 밸브부재(20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밸브부재(20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밸브부재(200)는 전술한 포트로 소통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300)는 예컨대, 밸브부재(200)에 연결되는 샤프트(310) 및 이 샤프트(31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샤프트(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밸브부재(200)에 고정된다.
샤프트(310)는 일단이 다각형과 같은 회전방지 단면(313)을 형성하고 양단이 개방된 밸브부재(200)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밸브부재(2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샤프트(310)는 밸브부재(200)의 축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샤프트(310)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의 동작을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는 밸브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밸브부재(200)의 제1단을 구성하는 일측 오리피스(211) 및 타측 오리피스(212)가 밸브하우징(100)의 제1포트부(111)를 구성하는 한 쌍의 포트와 대응한다.
예를 들어, 밸브부재(200)는 일측 오리피스(211)가 제1포트부(111)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포트와 대응하면서 유체를 소통시키거나, 타측 오리피스(212)가 제1포트부(111)를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포트와 대응하면서 유체를 소통시킨다.
이때, 밸브부재(200)는 제2오리피스(220)가 밸브하우징(100)의 제2포트부(112)에 대응하면서 제2포트부(112)의 포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부재(200)는 제3오리피스(230)가 밸브하우징(100)의 제3포트부(113)를 구성하는 포트에 연통되거나 연통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밸브부재(200)는 회전시 제2오리피스(220) 및 제3오리피스(230)가 제2포트부(112)의 포트 및 제3포트부(113)의 포트와 동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제2포트부(112)의 포트와 제3포트부(113)의 포트는 포트 커버(120)에 의해 연통된다.
따라서, 포트 커버(120)의 배출구(121)를 통해 유체가 소통된다. 이러한 밸브부재(200)는 동시에 제2포트부(112)의 포트 및 제3포트부(113)의 포트가 포트 커버(120)에 의해 연통되므로 소망하는 충분한 유량으로 유체를 소통시킬 수 있다. 특히, 밸브부재(200)는 밸브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더욱더 충분한 유량의 유체를 소통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멀티밸브는 하우징 바디(110)에 포트 커버(120)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제2포트부(112) 및 제3포트부(113)가 구비되고, 포트 커버(120)가 제2포트부(112) 및 제3포트부(113)에서 소통되는 유체를 포집하여 배출구(121)로 배출하거나 배출구의 유체를 제2포트부(112) 및 제3포트부(113)에 제공하므로 제2포트부(112) 및 제3포트부(113)의 직경을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 바디(110)의 크기(부피 및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밸브하우징(100)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켜 컴팩트한 크기의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바디(110)는 제3포트부(113)의 포트와 열을 이루고, 전술한 포트 커버(120)에 의해 제3포트부(113)의 포트 및 제2포트부(112)의 포트와 연통되는 제4포트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하우징(1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포트부(111), 제2포트부(112), 제3포트부(113) 및 제4포트부(114)가 하우징 바디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단 내지 제4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 바디(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포트부(114)가 제4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에 제4포트부(114)가 형성되어 제4단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밸브부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포트부(114)에 대응하는 제4오리피스(240)가 마련된다. 즉, 밸브부재(200)는 제1오리피스(210) 내지 제4오리피스(240)들이 하우징 바디(110)에 형성된 제1포트부(111) 내지 제4포트부(114)의 제1단 내지 제4단에 제각기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부재(200)는 제1오리피스(210) 내지 제3오리피스(230)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제4오리피스(240) 역시 밸브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 바디(110)에 마련된 제4포트부(114)와 연통되거나 연통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제4포트부(11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트부(112) 및 제3포트부(113)와 동일한 열을 이루게 되므로 밸브부재(200)의 작동에 따라 제2포트부(112) 내지 제4포트부(114)가 제2오리피스(220) 내지 제4오리피스(240)와 연통되거나 연통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포트 커버(120)는 제2포트부(112) 내지 제4포트부(114)에서 소통되는 유체를 포집하여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시키거나 또는 배출구(121)로 유입되는 유체를 제2포트부(112) 내지 제4포트부(114)를 통해 제2오리피스(220) 내지 제4오리피스(240)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에 제4포트부(114) 및 밸브부재(200)에 제4오리피스(240)가 마련되면, 포트 커버(120)의 배출구(121)로 소망하는 양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거나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증량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 및 밸브부재(200)에 제각기 제4포트부(114) 및 제4오리피스(240)가 형성되어 제4단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제3단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110) 및 밸브부재(200)에 비해 그 길이가 약간 더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 및 밸브부재(200)에 제각기 제4포트부(114) 및 제4오리피스(240)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 제4포트부(114)와 제4오리피스(240)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도 충분히 소망하는 양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2포트부(112) 및 제3포트부(113)의 포트 및 그에 대응하는 오리피스들의 직경을 감소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밸브의 전체적인 크기를 종래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밸브부재(200)의 오리피스들과 대응하는 밸브하우징(100)에 마련되는 포트부들에 제각기 실링수단(400)이 마련되어 포트에 대한 밀봉성을 향상시켜 유체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도 8 및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실링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링수단(400)은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에 마련되는 제1포트부(111) 내지 제3포트부(113)의 포트 또는 제1포트부(111) 내지 제4포트부(114)의 포트에 제각기 설치된다.
이러한 실링수단(400)은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410) 및 실링부재(410)의 일단에 동일체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탄성요소를 포함한다. 즉, 실링수단(400)은 오직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실링수단(400)은 부품이 간소하므로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다.
이러한 실링부재(410)는 그 내부에 유체가 관류하도록 형성된 중공 및 포트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가진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실링부재(410)의 외면은 하우징 바디에 형성된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410)는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낮고, 내화학성이 양호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410)는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밸브부재(200)의 외면과 밀착상태로 회전접촉(동적 부하) 시에 그 동적 마찰부하가 감소되어 마모가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실링부재(410)는 그 일단에 동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탄성요소 및 밸브부재(200)의 외면과 기밀하게 접촉하는 실링면(413)을 가진다.
그리고, 탄성요소는 실링부재(410)의 일단이나 중간에 일체로 성형되어 실링부재(410)와 동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요소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실링부재(410)에 탄성력을 축선 방향으로 인가한다.
따라서, 실링부재(410)는 실링면(413)이 밸브부재(200)의 외면에 밀착됨에 따라 접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실링수단(400)은 포트에 설치될 경우 일측에 구비된 실링부재(410)의 실링면(413)이 밸브부재(200)에 밀착된다.
그리고, 실링수단(400)은 실링부재(410)와 동일체를 이루는 타측의 탄성요소가 설치시 압축되면서 탄성 변형되므로 타측의 탄성요소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일측의 실링부재(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전술한 탄성요소는 신축되면서 탄성력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실질적으로 신축을 허용하는 신축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탄성요소는 신축공간을 통해 신축이 가능함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요소는 예컨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410)의 일단에 연장형성되어 실링부재(410)와 동일체를 이루고, 신축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412)가 형성된 중공관(4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공관(411)은 원활한 탄성 변형을 위해 실링부재(410)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실링부재(410)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노치(41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411)의 일부가 절개되어 구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노치(412)는 구멍으로 이루어진 신축공간을 중공관(411)에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탄성요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피팅(115)가 하우징 바디(110)의 포트에 결합될 경우 포트 피팅(115)의 단부에 의해 중공관(411)의 단부가 가압된다. 이때, 중공관(411)은 신축공간을 제공하는 노치(412)에 의해 신축되면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중공관(411)은 실링부재(4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실링부재(410)의 실링면(413)을 밸브부재(200)의 외면에 밀착시켜 포트에 대한 밀봉성을 향상시켜 유체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밸브하우징에 마련되는 포트에 제각기 설치되는 실링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실링부재와 다른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실링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링수단은 하우징 바디에 형성된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410)와, 실링부재(410)의 일단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420)를 포함한다.
실링부재(410)는 그 내부에 유체가 관류하도록 형성된 중공 및 포트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가진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실링부재(410)의 외면은 포트의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410)는 그 일단에 탄성부재(4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실링부재(410)의 타단에 밸브부재(200)의 외면과 기밀하게 접촉하는 실링면(413)이 형성된다.
탄성부재(420)는 실링부재(4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실링부재(410)에 탄성력을 그 축선방향을 따라 인가함으로써 실링부재(410)의 실링면(413)을 밸브부재(200)의 외면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 실링부재(410)가 밸브부재(200)의 외면을 향해 편향(bias)됨으로써 실링부재(410)의 실링면(413)은 밸브부재(200)의 외면에 밀착되게 접촉됨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탄성부재(420)는 중심부에 포트와 소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링 몸체(421)와 링 몸체(4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바이어싱부(, biasing portion)를 갖는다.
링 몸체(421)는 환형의 판형 스프링(plate spring)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 포트와 소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링 몸체(421)는 SUS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이어싱부(422)는 링 몸체(421)에서 외측으로 경사방향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바이어싱부(422)는 링 몸체(42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렇게 링 몸체(421)에서 경사방향으로 돌출한 바이어싱부(422)에 의해, 실링부재(410)는 밸브부재(200) 측으로 강한 탄성력으로 가압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410)와 밸브부재(200) 사이에서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바이어싱부(422)는 링 몸체(421)의 내주면에서 랜싱(lancing) 가공을 통해 성형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링 몸체(421)의 내주면의 일부분이 랜싱(lancing) 가공 즉, 전단(shear) 및 벤딩(bending)처리 등을 거쳐 링 몸체(421)의 평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몸체(421)의 평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바이어싱부(422)는 그 일단에 링 몸체(421)의 내주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422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지지부(422b)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이어싱부(422)의 지지부(422b)는 포트 피팅이 하우징 바디의 포트에 결합될 경우 포트 피팅의 단부와 접촉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4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돌출된 바이어싱부(422)의 지지부(422b)가 포트 피팅(115)에 대해 지지된 상태에서 실링부재(410)를 밸브부재(20) 측으로 더욱 높은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410)와 밸브부재(200) 사이에 매우 강한 밀봉성이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링 몸체(421)은 그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돌기(421a)를 가지고, 복수의 끼움돌기(421a)는 바이어싱부(42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실링부재(410)는 그 일단에 복수의 끼움홈(420a)이 형성되고, 링 몸체(421)의 끼움돌기(421a)는 실링부재(410)의 끼움홈(420a)에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돌기(421a) 및 끼움홈(420a)을 통해 탄성부재(420)는 실링부재(410)의 일단에 일체화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탄성부재(420)와 실링부재(410)의 이격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탄성부재(420)는 실링부재(410)에 대한 탄성적 가압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410)의 외면에는 환형 홈(423)이 형성되고, 환형 홈(423)에는 환형의 립 씰(430, lip seal)이 설치되어 실링부재(410)의 외면과 포트의 내면 사이에서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밀봉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립 씰(430)은 환형 홈(423)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는 환형의 끼움몸체(431)와 이 끼움몸체(431)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립부(431a, lip portion)를 가진다. 이때, 립 씰(430)은 보다 기밀한 밀봉성을 확보하도록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이 탄성적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립 씰(430)의 구성에 의해, 환형 홈(423) 내에 끼움몸체(431)가 끼워질 경우에는 립부(431a)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그 단부가 포트의 내면과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몸체(431)의 내면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하나 이상의 변형돌기(431b)가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이 변형돌기(431b)는 끼움몸체(431)가 환형 홈(423) 내에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끼움몸체(431)를 환형 홈(423)의 외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낼 수 있으므로, 립부(431a)의 단부는 포트의 내면과 보다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탄성부재(420)는 복수의 산과 골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웨이브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실링부재(410)의 일단을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여 실링부재(410)의 실링면(413)이 밸브부재(200)의 외면과 기밀하게 접촉된다. 이를 도 11 및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실링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탄성부재(420)와 실링부재(410) 사이에는 환형의 립씰(430, lip seal)이 개재되고, 환형의 립 씰(430)은 리테이너(440, retainer)에 의해 실링부재(410)의 일단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리테이너(440)는 실링부재(410)의 내면에 기밀하게 끼움결합되는 원통부(441)와, 원통부(441)의 일단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지지면(442)을 갖는다. 그리고, 리테이너(440)의 원통부(441)가 실링부재(410)의 내면에 끼움결합될 때 지지면(442)과 실링부재(410)의 일단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립 씰(430)이 끼움 결합되는 환형의 홈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테이너(440)의 지지면(442)과 실링부재(410)의 일단 사이에 립 씰(430)이 끼움결합되고, 이러한 설치구조에 의해 탄성부재(420)가 립 씰(430) 및 리테이너(440)의 지지면(442)을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립 씰(430)의 립부(431a)는 하우징 바디에 마련된 포트의 내면과 보다 기밀하게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립 씰(430)과 포트의 내면 사이에서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밀봉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오피리스가 마련되어 다단으로 형성된 밸브부재(20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7 및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밸브 중 밸브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재(200)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여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재(200)는 예를 들어 도 7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부재 및 제2밸브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밸브부재(200a) 및 제2밸브부재(200b)는 그 내부에 엑츄에이터(300)로부터 인출된 샤프트(310)와 축 결합하여 단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분할 형성된다.
이때, 제1밸브부재(200a) 및 제2밸브부재(200b)는 회전방지 단면(313)을 형성한 샤프트(310)의 일단에 제1밸브부재(200a)와 제2밸브부재(200b)가 고정됨으로써 샤프트(310)와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밸브부재(200a)와 제2밸브부재(200b)의 견고한 결속을 위해 제1밸브부재(200a)와 제2밸브부재(200b)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속 돌기(201) 및 결속 홀(202)이 제각기 마련되어 결속된다. 이때, 결속 돌기(201) 및 결속 홀(202)은 샤프트(310)를 중심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분할 형성되는 밸브부재(200)는 각 부품을 제각기 성형한 후 결합시키기 때문에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바디(110)에 마련되는 포트들에 대응하게 오리피스의 형태가 변경된 밸브부재(200)를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유량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3포트부(113)의 포트 및 제2포트부(112)의 포트 및/또는 제4포트부(114)의 포트 및 제2포트부(112)를 연통시켜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포트 커버(120)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여 멀티밸브로 공급 또는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포트 커버(120)에 의한 유량 조절은 예를 들어 차량의 모델에 따라 유로 단면적을 달리하는 다수의 포트 커버(120)를 마련하고, 이를 멀티밸브가 설치될 차량의 모델에 따라 교체하는 것에 의해 유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0 : 밸브하우징 110 : 하우징 바디
111 : 제1포트부 112 : 제2포트부
113 : 제3포트부 114 : 제4포트부
115 : 포트 피팅 120 : 포트 커버
121 : 배출구 200 : 밸브부재
200a : 제1밸브부재 200b : 제2밸브부재
201 : 결속 돌기 202 : 결속 홀
210 : 제1오리피스 211 : 일측 오리피스
212 : 타측 오리피스 220 : 제2오리피스
230 : 제3오리피스 240 : 제4오리피스
300 : 엑츄에이터 310 : 샤프트
320 : 구동모터 400 : 실링수단
410 : 실링부재 411 : 중공관
412 : 노치 413 : 실링면
420 : 탄성부재 420a : 끼움홈
421 : 링 몸체 421a : 끼움돌기
422 : 바이어싱부 422a : 연결부
422b : 지지부 423 : 환형 홈
430 : 립 씰 431 : 끼움몸체
431a : 립부 431b : 변형돌기
440 : 리테이너 441 : 원통부
442 : 지지면

Claims (8)

  1. 내부에 길이를 갖는 공간이 마련되어 유체가 충전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유체가 소통되는 포트들이 관통 형성된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 및 상기 포트를 연통시키면서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중공형의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포트가 일단부 양측에 제각기 형성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는 제1포트부와 상기 제1포트부와 이격된 타단부의 양측에 또 다른 상기 포트가 제각기 형성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는 제2포트부 및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열을 이루는 상기 포트로 이루어진 제3포트부를 갖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부착되어 하나의 열을 이루는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 및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를 연통시켜서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유로를 제공하는 포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포트부의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제1오리피스와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제2오리피스 및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제3오리피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부, 상기 제2포트부 및 상기 제3포트부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단 내지 제3단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오리피스들이 상기 제1포트부 내지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제1단 내지 상기 제3단에 제각기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오리피스가 상기 제1포트부를 구성하는 상기 포트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일측 오리피스 및 상기 제1포트부를 구성하는 나머지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타측 오리피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일측 오리피스 및 상기 타측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일측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포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와 열을 이루고, 상기 포트 커버에 의해 상기 제3포트부의 상기 포트 및 상기 제2포트부의 상기 포트와 연통되는 제4포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부, 상기 제2포트부, 상기 제3포트부 및 상기 제4포트부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단 내지 제4단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4포트부에 대응하는 제4오리피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오리피스들이 상기 제1포트부 내지 상기 제4포트부의 상기 제1단 내지 상기 제4단에 제각기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밸브부재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엑츄에이터로부터 인출된 샤프트와 축 결합하여 단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밸브.
KR1020160085007A 2015-07-06 2016-07-05 차량용 멀티밸브 KR10180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90000985.0U CN207905916U (zh) 2015-07-06 2016-07-06 车辆用多通阀门
PCT/KR2016/007313 WO2017007235A1 (ko) 2015-07-06 2016-07-06 차량용 멀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6191 2015-07-06
KR1020150096191 2015-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73A true KR20170006273A (ko) 2017-01-17
KR101804764B1 KR101804764B1 (ko) 2017-12-06

Family

ID=5799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007A KR101804764B1 (ko) 2015-07-06 2016-07-05 차량용 멀티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4764B1 (ko)
CN (1) CN207905916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96B1 (ko) * 2018-05-16 2019-03-19 지엠비코리아(주)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멀티웨이 밸브 장치
KR102376470B1 (ko) * 2020-09-18 2022-03-21 (주)엔티엠 멀티웨이밸브 장치
KR20220037788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엔티엠 멀티웨이밸브 장치
KR20220150727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엔티엠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521910B1 (ko) * 2021-11-25 2023-04-28 주식회사 신한전기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원통형 멀티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91A (ko) 2018-11-05 202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방향 전환 밸브의 실링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방향 전환 밸브
CN115218002A (zh) * 2021-04-16 2022-10-21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控制阀
WO2023200175A1 (ko) * 2022-04-11 2023-10-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유체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5267B1 (en) 1999-09-16 2001-11-13 Eaton Corporation Electrically controlled servo operated engine coolant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7359B1 (fr) * 2001-07-11 2004-11-05 Valeo Thermique Moteur Sa Vanne de commande pour un circuit de refroidissement d'un moteur thermique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5267B1 (en) 1999-09-16 2001-11-13 Eaton Corporation Electrically controlled servo operated engine coolant valv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96B1 (ko) * 2018-05-16 2019-03-19 지엠비코리아(주)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멀티웨이 밸브 장치
KR102376470B1 (ko) * 2020-09-18 2022-03-21 (주)엔티엠 멀티웨이밸브 장치
KR20220037788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엔티엠 멀티웨이밸브 장치
KR20220150727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엔티엠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521910B1 (ko) * 2021-11-25 2023-04-28 주식회사 신한전기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원통형 멀티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905916U (zh) 2018-09-25
KR101804764B1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764B1 (ko) 차량용 멀티밸브
KR101570494B1 (ko) 차량용 밸브장치
CN107366754B (zh) 蝴蝶阀
JP6656846B2 (ja) 流路切換弁及びシール部材
JP5336191B2 (ja) 流体の流れ回路のためのシールが改良された制御バルブ
JP2011094787A (ja) ロータリー弁
EP3739244B1 (en) Eccentric butterfly valve
KR102166939B1 (ko) 멀티 포트 밸브
US20210164579A1 (en) Coolant control valve with non-coaxial rotary valve bodies
JP2005155608A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US20180163879A1 (en) Subsea Valve With Non-Circular Sliding Metal Seals
US20190162320A1 (en) Flow control valve
KR20200051391A (ko) 다방향 전환 밸브의 실링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방향 전환 밸브
KR20220156945A (ko) 원통형 벽의 플러그 밸브 경성 밀봉
US11255449B2 (en) Valve device
KR101545223B1 (ko) 차량용 밸브장치
JP7163695B2 (ja) バルブ装置
JP6709409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US11143316B2 (en) Valve assembly and seal member applied to the valve assembly
KR101730987B1 (ko) 차량용 밸브장치
US10788143B2 (en) Cam actuated coolant control valve
CN117441076A (zh) 旋转盘阀
JP2018071554A (ja) 流路切替弁
JP6711967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KR20050050483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