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380A -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380A
KR20170005380A KR1020167035955A KR20167035955A KR20170005380A KR 20170005380 A KR20170005380 A KR 20170005380A KR 1020167035955 A KR1020167035955 A KR 1020167035955A KR 20167035955 A KR20167035955 A KR 20167035955A KR 20170005380 A KR20170005380 A KR 2017000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washing machine
crank
rotating body
clutc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239B1 (ko
Inventor
다케히코 야자와
아키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 F16D11/1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3Clutch actuation by cams, ramps or ball-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클러치용 모터의 한쪽 방향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할 수 있음과 함께, 클러치 부재의 이동 범위를 확대하는 등의 요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세탁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에 크랭크 기구(70)가 사용되고 있어, 클러치용 모터(79)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 부재(71)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에 연동해서, 링크 부재(72)가 왕복 요동하고, 클러치 부재(40)를 접속 위치와 절단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또한, 클러치용 모터(79)의 회전이 출력되는 크랭크 부재(71)와, 클러치 부재(40) 사이에 링크 부재(72)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 부재(71)를 대직경화하지 않아도, 클러치 부재(40)를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세탁기{CLUTCH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모터로부터 세탁조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당해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탑재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세탁조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경로의 도중에 클러치 장치(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는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치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클러치 부재에 전달해서 클러치 부재를 왕복 요동시켜서, 세탁조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의 연결/차단을 행하고 있다. 그 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클러치 장치에서는, 클러치용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레버 기어에 전달하고, 레버 기어에 의해 클러치 부재를 왕복 요동시킨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클러치 장치에서는, 클러치용 모터에 의해 출력 기어를 회전시켜서, 출력 기어에 설치한 편심 핀을 클러치 부재에 형성된 긴 구멍에 끼운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11-24457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14-6885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클러치용 모터에 의해 직접, 레버 기어를 구동하기 때문에, 세탁조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하기 위해서는, 클러치용 모터의 회전을 반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모터에 제약이 있다. 이에 비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클러치 장치에서는, 클러치용 모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클러치 장치에서는, 클러치 부재를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요동시키기 위해서는, 편심 핀의 가동 범위를 넓히기 위해 대직경의 출력 기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대직경의 출력 기어를 사용하면, 출력 기어와 클러치 부재 등이 간섭할 우려가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클러치용 모터의 한쪽 방향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할 수 있음과 함께, 클러치 부재의 이동 범위를 확대하는 등의 요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당해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세탁조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제1 회전체에 걸림 결합 가능한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를 변위시키기 위한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를 기구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위치, 및 상기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기구적인 접속을 해제하는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클러치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를 갖고, 상기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클러치용 모터와, 해당 클러치용 모터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크랭크 부재, 및 해당 크랭크 부재의 회전에 연동해서 왕복 요동하고, 상기 클러치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링크 부재를 구비한 크랭크 기구와, 상기 클러치 부재가 왕복 이동할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왕복 요동」이란, 소정의 각도 범위를 왕복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에 크랭크 기구가 사용되고 있어, 클러치용 모터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 부재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에 연동해서, 링크 부재가 왕복 요동하고, 클러치 부재를 접속 위치와 절단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클러치용 모터의 한쪽 방향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용 모터로서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용 모터의 회전이 출력되는 크랭크 부재와, 클러치 부재와의 사이에 링크 부재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 부재를 대직경화하지 않아도, 클러치 부재를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를 더욱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링크 부재의 구성을 변경하면 된다. 그로 인해, 클러치 부재를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요동시키는 등의 요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에 연동해서 상기 링크 부재의 요동 중심축선과 평행한 축선 둘레로 왕복 요동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클러치 부재가 왕복 요동했을 때 당해 클러치 부재의 요동 중심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당해 클러치 부재를 이동시키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부재는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캠면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간소한 구성으로, 클러치 부재의 요동 중심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클러치 부재를 이동시켜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클러치 부재 및 상기 링크 부재의 한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결합 핀 및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결합 핀이 끼워진 긴 구멍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긴 구멍에 끼워져 있는 부분이 선단측으로부터 근원측을 향해서 이동하고, 상기 클러치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 방향으로 변위할 때,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긴 구멍에 끼워져 있는 부분이 근원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부재가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 걸림 결합 핀에 큰 부하가 가해지지만, 그 때, 걸림 결합 핀의 근원 부분이 긴 구멍에 끼워져 있으면, 걸림 결합 핀이 변형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링크 부재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 부재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핀을 유지하는 본체 부분과 상기 걸림 결합 핀은 별체이며, 상기 링크 부재에는 상기 걸림 결합 핀의 설치 구멍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클러치 부재가 왕복 요동하는 범위에 적합한 위치에 걸림 결합 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부재는 한쪽 단부측만이 지지된 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양 단부측이 지지된 축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랭크 부재와 링크 부재 사이에서는 축선 방향의 상대 이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크랭크 부재에는 축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다. 이로 인해, 크랭크 부재에 대해서는, 한쪽 단부측만이 지지된 축에 의해 지지된 구성이어도, 쓰러짐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에 비해, 링크 부재와 클러치 부재는 축선 방향의 상대 이동이 일어나므로, 링크 부재에는 축선 방향으로도 힘이 가해진다. 이 경우에도, 링크 부재에 대해서는, 양 단부가 지지된 축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쓰러짐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클러치 부재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결합 핀 및 상기 링크 부재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결합 핀이 끼워진 긴 구멍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링크 부재의 요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걸림 결합 핀까지의 길이 및 상기 링크 부재의 요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핀까지의 길이는, 상기 크랭크 부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핀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링크 부재의 요동 중심이, 클러치 부재나 크랭크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부재를 지지하는 축을 양 단부에서 지지할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부재에는, 해당 크랭크 부재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의 검출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용 모터, 상기 제2 회전체, 상기 클러치 부재 및 상기 크랭크 기구가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세탁기에 탑재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부재의 추가 등을 행하지 않아도, 가이드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는, 세탁기용 모터와,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에 배치된 펄세이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세탁조 및 상기 펄세이터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를 갖고, 상기 구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세탁기용 모터로부터 상기 세탁조에 이르는 구동력 전달 경로 도중에, 상기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에 따르면,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의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펄세이터와 세탁조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작과, 세탁조를 정지시키고 펄세이터만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에 크랭크 기구가 사용되고 있어, 클러치용 모터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 부재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에 연동해서, 링크 부재가 왕복 요동하고, 클러치 부재를 접속 위치와 절단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클러치용 모터의 한쪽 방향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용 모터로서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용 모터의 회전이 출력되는 크랭크 부재와, 클러치 부재와의 사이에 링크 부재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 부재를 대직경화하지 않아도, 클러치 부재를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를 더욱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링크 부재의 구성을 변경하면 된다. 그로 인해, 클러치 부재를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요동시키는 등의 요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세탁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세탁기에 사용한 구동력 전달 기구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의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 등을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의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 등을 하방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의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 등을 측방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의 크랭크 부재 등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의 톱니바퀴열 등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하방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러치 장치의 크랭크 기구 등을 하방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러치 장치의 크랭크 기구 등을 하방에서 본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간단히 「클러치 장치」로 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세탁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본체 프레임(2)을 갖고 있다. 본체 프레임(2)은 상면에 의류 등의 세탁물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2a)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2)은 각통형이며, 그 하면은 개구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의 내부에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세탁조(3)가 그 개구부(3a)를 상방을 향하게 해서 수납되어 있다. 세탁조(3)는, 도시하지 않은 완충 부재를 개재시켜서 본체 프레임(2)에 현수되어 있어, 그 축선 L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세탁조(3)의 내측의 바닥 부분에는 펄세이터(4)가 배치되어 있다.
세탁조(3)의 하방에는, 세탁기용 모터(5)가 배치되어 있다. 세탁기용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은 구동력 전달 기구(6)를 거쳐서 세탁조(3) 및 펄세이터(4)에 전달된다. 구동력 전달 기구(6)는, 세탁기용 모터(5)로부터 세탁조(3)에 이르는 구동력 전달 경로 도중에, 세탁기용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의 세탁조(3)로의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클러치 장치(10)(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탁조(3)의 하방에는 세탁조(3)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세탁조 회전 검출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장치(10)는 지지 플레이트(9)를 거쳐서 본체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9)는 컵 모양이지만, 도 1 및 후술하는 도 2에서는 저판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2)의 개구부(2a)를 통해서 의류가 세탁조(3)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기(1)가 동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급수관을 통해서 세탁조(3) 내에 세탁물이 공급된다. 그 후에, 세탁기용 모터(5)가 구동되고, 이에 의해 펄세이터(4)가 회전해서 세탁조(3) 내의 의류 세탁이 행해진다.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 동작 중에는, 클러치 장치(10)는 세탁기용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의 세탁조(3)에의 전달을 절단하는 절단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조(3)는 정지되어 있다.
세탁 동작이 종료되어 세탁물이 세탁조(3)로부터 배출되면, 의류를 탈수하는 탈수 동작이 행해진다. 탈수 동작에서는, 클러치 장치(10)는 세탁기용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을 세탁조(3)에 전달하는 접속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세탁기용 모터(5)가 구동된다. 이 결과, 펄세이터(4) 및 세탁조(3)가 일체로 회전하므로, 세탁조(3) 내의 의류도 세탁조(3) 및 펄세이터(4)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원심력에 의해 의류가 탈수된다.
(구동력 전달 기구)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세탁기(1)에 사용한 구동력 전달 기구(6)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 기구(6)는 세탁기용 모터(5)의 출력축(11)의 회전 구동력이 무단 벨트(12)를 통해서 전달되는 제1 회전체(13)와, 제1 회전체(13)에 동축으로 설치된 회전축(17)과, 세탁조(3)의 하단 부분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15)와, 연결 부재(15)에 연결된 제2 회전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전체(13)는 원반 형상을 하고 있고, 세탁조(3)의 하방에 있어서 세탁조(3)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회전체(13)의 원형 외주면은 무단 벨트(12)가 설치되는 설치면(13a)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13)는 상단면에 톱니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톱니부(13b)는 등각도 간격으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조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7)은 하단 부분이 제1 회전체(13)에 연결되고, 상단 부분이 세탁조(3)의 저부를 관통해서 펄세이터(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기용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은, 무단 벨트(12), 제1 회전체(13), 회전축(17)을 통해서 펄세이터(4)에 전달된다. 즉, 세탁기용 모터(5)와 펄세이터(4) 사이에는, 무단 벨트(12), 제1 회전체(13) 및 회전축(17)을 구비하는 구동력 전달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7)은 통형상 부재(16)의 내측에 배치된다. 통형상 부재(16)와 회전축(17)은 연결되어 있지 않고, 통형상 부재(16)는 회전축(17)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다. 통형상 부재(16)의 외주측은 연결 부재(15)에 연결되어 있어, 통형상 부재(16)와 연결 부재(15)는 일체로 회전한다. 연결 부재(15)는 축선 L 방향의 위에서 아래를 향해서, 세탁조(3)에 연결되는 대직경 플랜지부(18)와, 대직경 플랜지부(18)보다 소직경인 소직경 통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소직경 통부(19)의 내측에 통형상 부재(16)가 삽입되어 있고, 통형상 부재(16)는 연결 부재(15)와 공회전하도록 소직경 통부(19)에 연결되어 있다. 소직경 통부(19)의 하측 부분의 외주측에는, 제2 회전체(20)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회전체(2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세로 홈(26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소직경 통부(19)의 외주면에는, 세로 홈(26a)과 세레이션(26)을 구성하는 복수의 돌조(26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체(20)는 세레이션(26)에 의해, 연결 부재(15)에 대하여 축선 L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 또한 연결 부재(15)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연결된다.
지지 플레이트(9)는 클러치 장치(10)를 세탁조(3)의 하방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며, 세탁조(3)와 함께 도시하지 않은 완충 부재를 개재시켜서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9)에는, 클러치 장치(10)의 상측 부분을 덮는 상부 케이스(32)가 하측으로부터 설치되고, 클러치 장치(10)는 상부 케이스(32)가 지지 플레이트(9)에 고정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9)에 지지된다.
지지 플레이트(9)는 중심 부분이 연결 부재(15)의 소직경 통부(19)를 축선 L 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9a)으로 되어 있는 환상 돌출부(9b)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돌출부(9b)는 케이스(30)에 형성된 개구부(30a)를 관통해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하단 부분은 제2 회전체(20)의 내측에 삽입된다. 또한, 환상 돌출부(9b)의 하단면과 제2 회전체(20)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8)가 삽입되고, 이 가압 부재(8)는 제2 회전체(20)를 하방(제1 회전체(13)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9)에 있어서 환상 돌출부(9b)의 상면측은 환상의 오목부(9c)로 되어 있고, 오목부(9c) 내에는 연결 부재(15)를 거쳐서 세탁조(3)를 회전 가능하게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환상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된다.
(클러치 장치(10)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10)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로, 도 3의 (a), (b)는 클러치 장치(10) 전체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10)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로, 도 4의 (a), (b)는 클러치 장치(10) 전체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장치(10)는 제1 회전체(13)에 걸림 결합 가능한 제2 회전체(20)와, 제2 회전체를 변위시키기 위한 클러치 부재(40)와, 제2 회전체(20)와 제1 회전체(13)를 기구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위치 및 제2 회전체(20)와 제1 회전체(13)의 기구적인 접속을 해제하는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클러치 부재(40)를 왕복 이동시키는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를 갖고 있다. 또한, 클러치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가압 부재(8)를 구비하고 있고, 가압 부재(8)는 제2 회전체(20)를 통해서 클러치 부재(4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클러치 부재(40)는 원환부(41)와, 원환부(41)의 둘레 방향의 1개소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결합판부(42)를 갖고 있고,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는 원환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 L 둘레로 클러치 부재(40)를 왕복 요동시킨다.
클러치 장치(10)는 제2 회전체(20), 클러치 부재(40) 등을 수용한 케이스(30)를 갖고 있고, 케이스(30)는 제2 회전체(20), 클러치 부재(40) 및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 등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하부 케이스(31)와, 제2 회전체(20), 클러치 부재(40) 및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 등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케이스(32)를 갖고 있다.
하부 케이스(31)는 원통 형상의 제1 케이스부(311)와, 제1 케이스부(311)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각통 형상의 제2 커버부(312)를 갖고 있다. 상부 케이스(32)는, 하부 케이스(31)의 제1 케이스부(311)와 포개지는 원환상의 제1 커버부(321)와, 제1 커버부(321)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부 케이스(31)의 제2 커버부(312)에 포개지는 각통 형상의 제2 커버부(322)를 갖고 있다. 하부 케이스(31)와 상부 케이스(32)는, 상부 케이스(32)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 결합 돌기(323)에 하부 케이스(31)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훅(313)이 걸림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케이스부(311)와 제1 커버부(321) 사이에 제2 회전체(20) 및 클러치 부재(40)의 원환부(41)가 축선 L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 커버부(312)와 제2 커버부(322) 사이에는,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에 사용한 클러치용 모터(79) 등이 수용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31)의 제1 케이스부(311)는 원환상의 저판부(314)와, 저판부(314)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 형상의 제1 동체부(315)와, 제1 동체부(315)에 상측에서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제2 동체부(317)를 갖고 있다. 제2 동체부(317)는 제1 동체부(315)보다 대직경이다. 이로 인해, 제1 케이스부(311)의 내주면에는, 제1 동체부(315)와 제2 동체부(317) 사이에서 상방을 향하여 환상의 단차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회전체(20)의 구성)
제2 회전체(20)는 원통 형상의 제1 동체부(21)와, 제1 동체부(21)의 상단부에서 직경 확장되는 원환상의 플랜지부(23)와, 제1 동체부(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제2 동체부(22)를 갖고 있고, 제1 동체부(21)의 내주면에, 세레이션(26)을 구성하는 복수의 세로 홈(26a)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3)는 제1 동체부(21)보다 대직경이기 때문에, 제2 회전체(2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23)와 제1 동체부(21) 사이에서 하방을 향하여 환상의 제1 단차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단차부(24)는 하부 케이스(31)의 원환상 저판부(314)에 대하여 클러치 부재(40)의 원환부(41)를 개재시켜 상방에서 포개진다. 또한, 제2 동체부(22)는 제1 동체부(21)보다 소직경이기 때문에, 제2 회전체(20)의 외주면에는, 제2 동체부(22)와 제1 동체부(21) 사이에서 하방을 향한 환상의 제2 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동체부(22)의 하단부는 하부 케이스(31)의 저판부(31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14a)을 통해서 하방(제1 회전체(13)가 위치하는 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2 동체부(22)의 하면에는, 등각도 간격으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조로 이루어지는 톱니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톱니부(22a)는 제2 회전체(20)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제1 회전체(13)의 톱니부(13b)와 걸림 결합 가능하다.
따라서, 제2 회전체(20)가 축선 L 방향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톱니부(22a)와 제1 회전체(13)의 톱니부(13b)가 걸림 결합하면, 제2 회전체(20)는 제1 회전체(13)와 동축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한다. 이 결과,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용 모터(5)의 회전 구동력은 무단 벨트(12), 제1 회전체(13), 제2 회전체(20), 연결 부재(15)를 통해서 세탁조(3)에 전달된다. 즉, 세탁기용 모터(5)와 세탁조(3) 사이에는, 무단 벨트(12), 제1 회전체(13), 제2 회전체(20), 연결 부재(15)를 구비하는 구동력 전달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재(40) 및 가이드 기구의 구성)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10)의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 등을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로, 도 5의 (a), (b)는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 전체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10)의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 등을 하방에서 본 저면도이며, 도 6의 (a), (b)는 클러치 장치(10)가 절단 상태에 있을 때의 저면도 및 클러치 장치(10)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10)의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 등을 측방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7의 (a), (b)는 클러치 장치(10)가 절단 상태에 있을 때의 측면도 및 클러치 장치(10)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부재(40)는 하부 케이스(31)와 제2 회전체(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재(40)는 원환부(41)와, 원환부(41)의 둘레 방향의 1개소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판부(42)를 갖고 있고, 걸림 결합판부(42)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원환부(41)는 하부 케이스(31)의 환상 저판부(314) 및 제2 회전체(20)의 환상의 제1 단차부(24)와 사이즈가 같으며, 제2 회전체(20)의 제1 단차부(24)는 클러치 부재(40)의 원환부(41)를 개재시켜 하부 케이스(31)의 제1 케이스부(311)의 저판부(314)에 포개져 있다.
원환부(41)의 상면(41a)은 요철이 없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한편, 제2 회전체(20)의 제1 단차부(24)도 요철이 없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원환부(41)의 상면(41a)과 제2 회전체(20)의 제1 단차부(24)는 면 접촉한 상태로 포개져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환부(41)의 하면(41b)과, 하부 케이스(31)의 저판부(314) 사이에는, 클러치 부재(40)가 원환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 L 둘레로 회전했을 때, 클러치 부재(40)를 후술하는 접속 위치와 절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기구(50)가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클러치 부재(40)가 원환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 L 둘레로 회전했을 때, 클러치 부재(40)를 축선 L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절단 위치(도 7의 (a)에 나타내는 위치)와 접속 위치(도 7의 (b)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원환부(41)의 하면(41b)과, 하부 케이스(31)의 환상 저판부(314)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기구(50)는 캠 기구(51)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구(51)는 클러치 부재(40)의 원환부(41)의 하면(41b)에 있어서, 축선 L 둘레의 한쪽 L1로 경사면(56a)을 향해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볼록부(56)를 갖고 있고, 제1 볼록부(56)는 경사면(56a)에 대하여 축선 L 둘레의 다른 쪽 L2에 인접하는 부분에, 축선 L에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하단면(56b)(미끄럼 이동부)을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1 볼록부(56)는 둘레 방향의 3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하면(41b)에 있어서, 제1 볼록부(56)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축선 L에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캠 기구(51)는 하부 케이스(31)의 저판부(314)의 상면에 있어서, 축선 둘레의 다른 쪽 L2로 경사면(57a)(제1 캠면)을 향해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2 볼록부(57)를 갖고 있고, 제2 볼록부(57)는 경사면(57a)에 대하여 축선 L 둘레의 한쪽 L1에 인접하는 부분에, 축선 L에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상단면(57b)(제2 캠면)을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2 볼록부(57)는 둘레 방향의 3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저판부(314)의 상면에 있어서, 제2 볼록부(5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은, 축선 L에 직교하는 평탄면(제3 캠면)으로 되어 있다.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 및 클러치 장치(10)의 동작)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10)의 크랭크 부재(71) 등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설명도이며, 도 8의 (a), (b)는 크랭크 부재(71) 등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 및 크랭크 부재(71)를 떼어낸 상태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는 구동원으로서의 클러치용 모터(79)를 갖고 있다. 클러치용 모터(79)는 동기 모터이고,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또한,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는 크랭크 기구(70)를 갖고 있고, 크랭크 기구(70)는 클러치용 모터(79)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크랭크 부재(71)와, 크랭크 부재(71)의 회전에 연동해서 왕복 요동하고, 클러치 부재(40)를 왕복 요동시키는 링크 부재(72)를 갖고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는 클러치용 모터(79)의 회전을 크랭크 부재(71)에 전달하는 톱니바퀴열(90)을 갖고 있다.
크랭크 부재(71)는 톱니바퀴열(90)을 통해서 클러치용 모터(79)에 의해, 축선 L과 평행한 축선 L11 둘레의 한쪽 방향 L12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부재이고, 크랭크 부재(71)는 축선 L11로부터 이격한 위치에서 축선 L11에 평행으로 돌출된 편심 핀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핀(711)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부재(71)는 출력 기어(99)에 연결되는 원통부(716)와, 원통부(716)의 하단부에서 직경 확장되는 원판부(717)를 구비하고 있고, 원판부(717)에 크랭크 핀(7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원통부(716)에는 출력 기어(99)가 끼워지는 걸림 결합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719)에 의해 출력 기어(99)에 연결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원통부(716)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의 1개소에 오목부(718)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오목부(718)는 후술하는 스위치(80)에 있어서, 크랭크 부재(71)의 각도 위치를 검출할 때의 검출부(89)를 구성하고 있다.
다시 도 5에 있어서, 링크 부재(72)는 크랭크 핀(711)으로부터 클러치 부재(40)의 긴 구멍(43)과 포개지는 위치까지 연장된 아암 부재이고,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는, 축 구멍(721)이 형성된 통부(7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 구멍(721)에는, 상부 케이스(32)에 형성된 지지축(328)(도 4의 (b) 참조)이 끼워진다. 지지축(328)은 축선 L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하단부는 하부 케이스(31)에 형성된 구멍(318)(도 3의 (b) 참조)에 끼워져 있다. 이로 인해, 링크 부재(72)는 양 단부가 케이스(30)에 지지되어 지지축(32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링크 부재(72)에 있어서, 한쪽 단부측(72a)에는, 한쪽 단부측(72a)으로부터 통부(722)를 향해서 연장되는 긴 구멍(725)이 형성되어 있고, 긴 구멍(725)에는 크랭크 핀(711)이 끼워져 있다. 또한, 링크 부재(72)의 다른 쪽 단부측(72b)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핀(727)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 결합 핀(727)은 클러치 부재(40)의 긴 구멍(43)에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클러치 장치(10)에 있어서, 크랭크 부재(71)가 축선 L11 둘레로 1회전했을 때, 링크 부재(72)는 지지축(328)을 중심으로 왕복 요동하고, 그 결과, 클러치 부재(40)는 축선 L 둘레로 왕복 요동한다.
그로 인해, 클러치 부재(40)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 L 둘레의 한쪽 L1로 회전하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부재(40)의 제1 볼록부(56)가 하부 케이스(31)의 저판부(314)에 형성되어 있던 제2 볼록부(57)의 경사면(57a)을 올라 타서, 제1 볼록부(56)가 제2 볼록부(57)의 상단면(57b)에 포개진다. 그 결과, 클러치 부재(40)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압 부재(8)의 가압력 F8에 저항하여, 제2 회전체(2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로 인해, 제2 회전체(20)의 톱니부(22a)와 제1 회전체(13)의 톱니부(13b)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제2 회전체(20)와 제1 회전체(13)의 기구적인 접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회전체(13)가 회전하더라도 제2 회전체(2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 1에 도시하는 펄세이터(4)는 회전하지만, 세탁조(3)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 부재(40)가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 L 둘레의 다른 쪽 L2로 회전하면, 제1 볼록부(56)가 하부 케이스(31)의 저판부(314)에 형성되어 있던 제2 볼록부(57)의 경사면(57a)을 내려간다. 그 결과, 클러치 부재(40) 및 제2 회전체(20)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압 부재(8)의 가압력 F8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톱니부(22a)와 제1 회전체(13)의 톱니부(13b)가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제2 회전체(20)와 제1 회전체(13)가 기구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1 회전체(13)가 회전하면, 제2 회전체(20)도 회전하므로, 도 1에 도시하는 펄세이터(4) 및 세탁조(3)의 양쪽이 회전한다.
이러한 클러치 동작에 있어서,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부재(40)가 가압 부재(8)의 가압력 F8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 걸림 결합 핀(727)은, 긴 구멍(43)에 끼워져 있는 부분이 선단측(727b)으로부터 근원측(727a)을 향해서 이동한다. 이에 비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부재(40)가 가압 부재(8)에 의한 가압 방향으로 변위할 때, 걸림 결합 핀(727)은 긴 구멍(43)에 끼워져 있는 부분이 근원측(727a)으로부터 선단측(727b)을 향해서 이동한다.
(톱니바퀴열(90) 및 스위치(80) 등의 구성)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클러치 장치(10)의 톱니바퀴열(90) 등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하방에서 본 설명도이며, 도 9의 (a), (b)는 톱니바퀴열(90)에 포개지는 부분에 배치된 스위치(80)의 설명도 및 톱니바퀴열(90)의 설명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31)의 제2 커버부(312)와 상부 케이스(32)의 제2 커버부(322) 사이에는 중간판(33)이 배치되어 있고, 중간판(33)과 상부 케이스(32)의 제2 커버부(322) 사이에 클러치용 모터(79)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판(33)의 하방측(중간판(33)과 하부 케이스(31)의 제2 커버부(312) 사이)에는,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편(81, 82, 83, 84)을 구비한 스위치(8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편(81, 82, 83, 84)의 기단부측에는, 단자(86, 87, 88)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편(81, 82, 83, 84) 중, 스위치편(81, 82)은 고정이고, 스위치편(83, 84)은, 선단측에서 굴곡지는 맞닿음부(831, 841)가 크랭크 부재(71)의 원통부(716)의 외주면에 탄성을 갖고 맞닿고 있다. 이로 인해, 크랭크 부재(71)의 원통부(716)의 외주면 중, 오목부(718) 이외의 개소에 맞닿음부(831, 841)가 맞닿고 있는 기간 중, 스위치편(81)과 스위치편(83)이 접촉하고, 스위치편(82)과 스위치편(84)이 접촉한다. 그리고, 크랭크 부재(71)가 회전하여, 맞닿음부(831)가 오목부(718)로 들어가면, 스위치편(81)과 스위치편(83)이 이격된다. 또한, 크랭크 부재(71)가 회전하여, 맞닿음부(841)가 오목부(718)로 들어가면, 스위치편(82)과 스위치편(84)이 이격한다. 따라서, 스위치(80)에 의하면, 크랭크 부재(71)의 각도 위치가 검출된다. 그 때, 오목부(718)는 스위치(80)의 검출부(89)로서 이용된다. 본 형태에서는, 스위치(80)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클러치용 모터(79)에 대한 제어 등이 행해진다.
도 8 및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판(33)의 상방측(중간판(33)과 상부 케이스(32)의 제2 커버부(322) 사이)에는, 클러치용 모터(79)가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용 모터(79)에 있어서 코일(도시하지 않음)이 권회된 수지제의 보빈(78)과 중간판(33) 사이에 톱니바퀴열(90)이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톱니바퀴열(90)은 1번 휠(91), 2번 휠(92), 3번 휠(93) 및 4번 휠(94)을 구비하고 있고, 4번 휠(94)의 소직경 기어(942)에 출력 기어(99)가 맞물려 있다. 이러한 톱니바퀴열(90)은 감속 톱니바퀴열로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번 휠(91)는 모터 피니언(790)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911)과, 대직경 기어(911)와 동축으로 형성된 소직경 기어(912)를 갖고 있다. 2번 휠(92)는 1번 휠(91)의 소직경 기어(912)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921)과, 대직경 기어(921)과 동축으로 형성된 소직경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3번 휠(93)는 2번 휠(92)의 소직경 기어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931)와, 대직경 기어(931)와 동축으로 형성된 소직경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4번 휠(94)는 3번 휠(93)의 소직경 기어에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941)와, 대직경 기어(941)와 동축으로 형성된 소직경 기어(942)를 갖고 있다. 출력 기어(99)는 4번 휠(94)의 소직경 기어(942)에 맞물리는 기어(991)와, 기어(991)와 동축으로 형성된 볼록부(995)를 갖고 있고, 볼록부(995)는 중간판(33)에 형성된 구멍(330)을 통해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크랭크 부재(71)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1번 휠(91), 2번 휠(92), 3번 휠(93) 및 4번 휠(94)는, 보빈(78)과 중간판(33)에 의해 양 단부가 지지된 지지축(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비해, 출력 기어(99)는, 보빈(78)에 의해 한쪽 단부가 지지된 지지축(339)에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크랭크 부재(71)는 보빈(78)에 의해 한쪽 단부가 지지된 지지축(339)에 지지된 상태에 있다.
(본 형태의 주된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클러치 장치(10)에 있어서,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에 크랭크 기구(70)가 사용되고 있고, 클러치용 모터(79)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 부재(71)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에 연동해서, 링크 부재(72)가 왕복 요동하고, 클러치 부재(40)를 접속 위치와 절단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클러치용 모터(79)의 한쪽 방향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용 모터(79)로서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용 모터(79)의 회전이 출력되는 크랭크 부재(71)와, 클러치 부재(40) 사이에 링크 부재(72)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 부재(71)를 대직경화하지 않더라도, 클러치 부재(40)를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40)를 더욱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링크 부재(72)의 구성을 변경하면 된다. 그로 인해, 클러치 부재(40)를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왕복 요동시키는 등의 요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40)는 링크 부재(72)에 연동해서 링크 부재(72)의 요동 중심축선과 평행한 축선 L11 둘레로 왕복 요동하고, 가이드 기구(50)는 클러치 부재(40)가 왕복 요동했을 때 클러치 부재(40)의 요동 중심축선(축선 L)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클러치 부재(40)를 이동시키는 캠면(제2 볼록부(57))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간소한 구성으로, 클러치 부재(40)의 축선 L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클러치 부재(40)를 이동시켜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40)에 대한 가이드 기구(50)(캠 기구(51))는 케이스(30)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재의 추가 등을 행하지 않아도, 가이드 기구(5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40)가 가압 부재(8)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 링크 부재(72)의 걸림 결합 핀(727)은 클러치 부재(40)의 긴 구멍(43)에 끼워져 있는 부분이 선단측(727b)으로부터 근원측(727a)을 향해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클러치 부재(40)가 가압 부재(8)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 걸림 결합 핀(727)에 큰 부하가 가해지지만, 걸림 결합 핀(727)이 변형되기 어렵다.
또한, 크랭크 부재(71)는 한쪽 단부측만 지지된 지지축(339)(도 9 참조)에 의해 지지되고, 링크 부재(72)는 양 단부측이 지지된 지지축(32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 부재(71)와 링크 부재(72) 사이에서는 축선 방향의 상대 이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크랭크 부재(71)에는, 축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다. 이로 인해, 크랭크 부재(71)에 대해서는, 한쪽 단부측만이 지지된 지지축(339)에 의해 지지된 구성이라도, 쓰러짐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에 비해, 링크 부재(72)와 클러치 부재(40)는 축선 방향의 상대 이동이 일어나므로, 링크 부재(72)에는 축선 방향으로도 힘이 가해진다. 이 경우에도, 링크 부재(72)에 대해서는, 양 단부가 지지된 지지축(328)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쓰러짐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링크 부재(72)의 요동 중심(지지축(328) 및 축 구멍(721))으로부터 걸림 결합 핀(727)까지의 길이 및 링크 부재(72)의 요동 중심으로부터 크랭크 핀(711)까지의 길이는, 크랭크 부재(71)의 회전 중심(지지축(339))으로부터 크랭크 핀(711)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이로 인해, 링크 부재(72)의 요동 중심이 클러치 부재(40)나 크랭크 부재(71)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부재(72)를 지지하는 지지축(328)을 양 단부에서 지지할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부재(71)에는 크랭크 부재(71)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80)의 검출부(89)(오목부(718))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8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용 모터(79), 제2 회전체(20), 클러치 부재(40) 및 크랭크 기구(70) 등이 케이스(30)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장치(10)를 세탁기(1)에 탑재하는 것이 용이하다.
[다른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러치 장치(10)의 크랭크 기구(70) 등을 하방에서 본 저면도이다. 또한, 본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 부재(72)에 있어서 걸림 결합 핀(727)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었지만, 본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72)에 있어서 걸림 결합 핀(727)을 유지하는 본체 부분(720)과 걸림 결합 핀(727)은 별체이며, 본체 부분(720)에는, 걸림 결합 핀(727)의 설치 구멍(728)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설치 구멍(728) 중, 클러치 부재(40)가 왕복 요동하는 범위에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 구멍(728)에 걸림 결합 핀(727)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부재(72)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클러치 부재(40)의 요동 범위에 적합한 위치에 링크 부재(72)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러치 장치(10)의 크랭크 기구(70) 등을 하방에서 본 저면도이다. 또한, 본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크랭크 기구(70)의 1개의 링크 부재(72)가 사용되었지만, 링크 부재는 복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링크 부재(72, 73)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링크 부재(72, 73) 중, 링크 부재(73)는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요동 지지점(730)이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 부재(71)의 크랭크 핀(711)은 링크 부재(73)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구멍(73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링크 부재(73)의 다른 쪽 단부에는 걸림 결합 핀(737)이 설치되고, 이러한 걸림 결합 핀(737)이 링크 부재(72)의 긴 구멍(725)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크랭크 부재(71)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 부재(72, 73)가 왕복 요동하므로, 클러치 부재(40)를 왕복 요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링크 부재(72)에 설치한 걸림 결합 핀(727)이 클러치 부재(40)의 긴 구멍(43)에 끼워진 구성이었지만, 클러치 부재(40)에 설치한 걸림 결합 핀이 링크 부재(72)에 설치한 긴 구멍에 끼워진 구조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가 클러치 부재(40)를 왕복 요동시키는 구성이었지만,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7)가 클러치 부재(40)를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1 : 세탁기
3 : 세탁조
4 : 펄세이터
5 : 세탁기용 모터
8 : 가압 부재
6 : 구동력 전달 기구
7 :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
10 : 클러치 장치(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13 : 제1 회전체
15 : 연결 부재
16 : 통형상 부재
17 : 회전축
20 : 제2 회전체
30 : 케이스
31 : 하부 케이스
32 : 상부 케이스
33 : 중간판
37 : 클러치용 모터
40 : 클러치 부재
50 : 가이드 기구
51 : 캠 기구
56 : 제1 볼록부
57 : 제2 볼록부(캠면)
70 : 크랭크 기구
71 : 크랭크 부재
72 : 링크 부재
79 : 클러치용 모터
80 : 스위치
81 내지 84 : 스위치편
89 : 검출부
90 : 톱니바퀴열
99 : 출력 기어
339, 328 : 지지축
711 : 크랭크 핀
720 : 본체 부분
727 : 걸림 결합 핀
728 : 설치 구멍

Claims (11)

  1. 세탁조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연결/차단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제1 회전체에 걸림 결합 가능한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를 변위시키기 위한 클러치 부재와,
    상기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를 기구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위치, 및 상기 제2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기구적인 접속을 해제하는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클러치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
    를 갖고,
    상기 클러치 부재 구동 기구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클러치용 모터와,
    해당 클러치용 모터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크랭크 부재, 및 해당 크랭크 부재의 회전에 연동해서 왕복 요동하고, 상기 클러치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링크 부재를 구비한 크랭크 기구와,
    상기 클러치 부재가 왕복 이동할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에 연동해서 상기 링크 부재의 요동 중심축선과 평행한 축선 둘레로 왕복 요동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클러치 부재가 왕복 요동했을 때 당해 클러치 부재의 요동 중심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당해 클러치 부재를 이동시키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부재는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캠면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클러치 부재 및 상기 링크 부재의 한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결합 핀 및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결합 핀이 끼워진 긴 구멍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긴 구멍에 끼워져 있는 부분이 선단측으로부터 근원측을 향해서 이동하고, 상기 클러치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 방향으로 변위할 때,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긴 구멍에 끼워져 있는 부분이 근원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링크 부재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 부재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핀을 유지하는 본체 부분과 상기 걸림 결합 핀은 별체이며, 상기 링크 부재에는 상기 걸림 결합 핀의 설치 구멍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부재는 한쪽 단부측만이 지지된 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양 단부측이 지지된 축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클러치 부재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결합 핀 및 상기 링크 부재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결합 핀이 끼워진 긴 구멍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링크 부재의 요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걸림 결합 핀까지의 길이 및 상기 링크 부재의 요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핀까지의 길이는, 상기 크랭크 부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핀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부재에는, 해당 크랭크 부재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의 검출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용 모터, 상기 제2 회전체, 상기 클러치 부재, 상기 크랭크 기구가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이며, 세탁기용 모터와,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에 배치된 펄세이터와, 상기 세탁기용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세탁조 및 상기 펄세이터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를 갖고,
    상기 구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세탁기용 모터로부터 상기 세탁조에 이르는 구동력 전달 경로 도중에, 상기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67035955A 2014-07-03 2015-06-26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세탁기 KR101850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7487A JP2016013348A (ja) 2014-07-03 2014-07-03 洗濯機用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JPJP-P-2014-137487 2014-07-03
PCT/JP2015/068439 WO2016002640A1 (ja) 2014-07-03 2015-06-26 洗濯機用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380A true KR20170005380A (ko) 2017-01-12
KR101850239B1 KR101850239B1 (ko) 2018-04-18

Family

ID=5501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955A KR101850239B1 (ko) 2014-07-03 2015-06-26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45611A1 (ko)
JP (1) JP2016013348A (ko)
KR (1) KR101850239B1 (ko)
CN (1) CN106661805B (ko)
WO (1) WO2016002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7983A (ja) 2018-01-24 2019-08-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JP2019127984A (ja) * 2018-01-24 2019-08-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JP2020087576A (ja) * 2018-11-20 2020-06-0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アクチュエータ、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JP2020088962A (ja) * 2018-11-20 2020-06-0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578A (ja) 1998-01-31 1999-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直結式洗濯機のモータ−クラッチ組立体
JP2014068854A (ja) 2012-09-28 2014-04-21 Nidec Sankyo Corp 洗濯機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341A (en) * 1990-01-05 1990-11-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washer basket and agitator drive system
KR0171370B1 (ko) * 1992-06-05 1999-05-01 강진구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762129B1 (ko) * 2001-03-27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CN1552983A (zh) * 2003-06-07 2004-12-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全自动洗衣机用离合器的连杆及杠杆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578A (ja) 1998-01-31 1999-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直結式洗濯機のモータ−クラッチ組立体
JP2014068854A (ja) 2012-09-28 2014-04-21 Nidec Sankyo Corp 洗濯機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1805A (zh) 2017-05-10
US20170145611A1 (en) 2017-05-25
WO2016002640A1 (ja) 2016-01-07
KR101850239B1 (ko) 2018-04-18
CN106661805B (zh) 2019-01-04
JP2016013348A (ja)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239B1 (ko) 세탁기용 클러치 장치 및 세탁기
US11015279B2 (en) Clutch assembly of washing machine
JP5940423B2 (ja) 洗濯機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洗濯機
CN105046819B (zh) 一种弹簧式自动售货机及其出货装置、防卡货机构
JP2017521208A (ja) 減速クラッチのクラッチ駆動装置
RU2012102306A (ru) Руч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JP4995582B2 (ja) マッサージ機
JP6210854B2 (ja) 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US20200158215A1 (en) Switch device, actuator, clutch device and laundry machine
KR102383201B1 (ko) 스트랩핑 장치용의 드라이브 유닛
KR100391350B1 (ko)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구조
US11098798B2 (en) Clutch device and washing machine
JP5972740B2 (ja) 洗濯槽回転検出装置および洗濯機
US10927490B2 (en) Clutch device and washing machine
JP6352128B2 (ja) 動力伝達ローラ
US20200332454A1 (en) Clutch actuator unit and washing machine
KR200401884Y1 (ko) 콘택트렌즈 자동 세척기
JP2020175177A (ja) ク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および洗濯機
WO2016043178A1 (ja) 動力伝達ローラ
RU2006111894A (ru) Конусная эксцентриковая дробилка
JP2020088962A (ja) アクチュエータ、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KR101631259B1 (ko) 체인변속기구
KR101108440B1 (ko) 재봉틀용 가마잡이 장치
JP5661783B2 (ja) 繊維機械のための加圧ローラ
KR20050060677A (ko) 전자동 세탁기의 로터부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