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13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131A
KR20170005131A KR1020167036117A KR20167036117A KR20170005131A KR 20170005131 A KR20170005131 A KR 20170005131A KR 1020167036117 A KR1020167036117 A KR 1020167036117A KR 20167036117 A KR20167036117 A KR 20167036117A KR 20170005131 A KR20170005131 A KR 2017000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lattice
emboss
body fluid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656B1 (ko
Inventor
요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22037A external-priority patent/JP59449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22044A external-priority patent/JP594495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sub-pressure or over-pressure therapy, wound drainage or wound irrigation, e.g. for use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2Layers coated or treated to decrease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4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urine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63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2013/5118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8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being adapted for femal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5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with mirror-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being a tissue-wrapped c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엠보스 가공에 의한 주름이나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하며, 또한 엠보스 가공의 조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엠보스 가공에 의한 딱딱함을 저감하여 장착시의 위화감을 경감한다.
[해결 수단]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하기 전에, 흡수체 (4)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흡수체 엠보스 (23) 와, 이 흡수체 엠보스 (23) 와는 별도로,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와 중첩되지 않도록,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표면 엠보스 (24) 를 형성한다. 흡수체 엠보스 (23) 는,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패드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여된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를 포함하고, 표면 엠보스 (24) 는,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패드 폭 방향을 따름과 함께,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 팽출된 곡선에 의해서 형성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PRODUCT}
본 발명은 주로는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직물 시트, 의료용 패드, 토일리트리, 일회용 기저귀 등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기 전에 흡수체의 표면측으로부터 흡수체 엠보스가 부여됨과 함께,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 표면 엠보스가 부여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엠보스가 격자상 패턴으로 부여된 격자상 엠보스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 시트 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부직포 또는 투액성 플라스틱 시트 등의 투액성 표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도 무수한 개량이 거듭되어, 체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여러 가지로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체액 누출 방지 수단의 하나로서, 열 엠보스에 의해서 오목상 홈을 형성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서는, 표면층과 흡수층을 일체화시키는 길이 방향 중앙부가 잘록한 가늘고 긴 환상의 누출 방지 홈을 흡수성 물품의 중앙부의 주위에 구비하도록 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 에 있어서는,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표면 엠보스와는 별도로, 이 표면 엠보스의 부여 영역에,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기 전에 흡수체에 부여한 흡수체 엠보스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 내부로 확산되어 단부 (端部) 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표면을 타고 흐르는 체액을 막아 흡수체에 흡수 유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의 패턴으로 엠보스를 부여한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 엠보스 패턴의 하나로서, 평면에서 보아 격자상으로 부여된 격자상 엠보스가 알려져 있다. 이 격자상 엠보스는, 체액의 막음 효과가 우수하고, 압착부 (壓搾部) 와 비압착부가 교대로 형성되기 때문에 압착에 의한 딱딱함이 잘 느껴지지 않고, 장착감이 우수한 등의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3 에 있어서는, 흡수체에, 당해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당해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 단측의 복측부와 배측부로 연장되는 세로 엠보스 오목부가,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수체의 복측부와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세로 엠보스 오목부의 양 단부측에는, 체액을 각각 복측부와 배측부로 넓게 확산시키는 확산 엠보스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산 엠보스 오목부는, 흡수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 격자상의 엠보스 오목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4 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중간부의 양 단에 각각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 방향의 오목부가 배치된 흡수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37816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60702호 일본 특허 제40088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43535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환상의 폐합 (閉合) 하는 엠보스선이 형성된 누출 방지홈에서는, 한번에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서 엠보스 가공이 행해지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이송 방향 (MD 방향) 과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 (CD 방향) 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압착 방향의 급변이나 압착 정도의 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가해지는 압착력의 변형이 축적되어 주름이나 비틀림이 발생되어, 완전히 압착되지 않음과 함께, 엠보스 부분이 엠보스 롤의 엠보스 볼록부로 파고 들어 제품이 엠보스 롤에 감겨 붙음으로써 조업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도트상의 표면 엠보스가 선상의 흡수체 엠보스와 중첩되어 형성되는 형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표면 엠보스와 흡수체 엠보스가 이중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있어서, 제품의 딱딱함을 느껴 장착시에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3, 4 에 개시되는 격자상 엠보스는, 격자의 교차점에서 엠보스 홈이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시에, 엠보스 롤로 압착했을 때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회피로가 없어, 표면재의 주름이나 엠보스 홈의 변형 등이 발생되기 쉽다. 또, 이로써 제품의 엠보스 홈이 엠보스 롤의 엠보스 볼록부에 파고 들어 제품이 엠보스 롤에 감겨 붙거나 엠보스 롤의 교차 부분의 모서리부에 종잇가루가 쌓여 막힘이 발생하는 등, 엠보스 가공시의 조업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 격자상 엠보스의 엠보스 홈의 교차 부분에서는, 체액의 막음 효과가 우수해지지만, 이곳으로부터 외방측으로 체액이 확산되는 것이 완전히 정지되기 때문에, 교차 부분의 내방측에 체액이 고이기 쉬워, 흡수체 전체로서의 흡수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상기 격자상 엠보스의 격자 방향을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는 정 (正) 격자로 하고, 제조 공정시의 라인 반송 방향 (MD 방향) 을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했을 경우, 엠보스 롤에 의한 압착시에,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르는 엠보스 홈이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선압이 높고, 길이 방향의 엠보스 홈만이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선압이 낮다고 하는 바와 같이, 선압의 차가 커지기 때문에, 표면재의 파열, 주름, 비틀림 등이 쉽게 발생되었다. 또, 정격자로 배치한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이 신체의 전후 방향이나 폭 방향의 둥근 부분을 따라서 변형되었을 때, 엠보스 홈의 강성에 의해서 흡수성 물품이 잘 변형되지 않아, 장착시에 딱딱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엠보스 가공에 의한 주름이나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하며, 또한 엠보스 가공의 조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엠보스 가공에 의한 딱딱함을 저감하여, 장착시의 위화감을 경감하며, 또한 체액의 확산 방지 효과를 높인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기 전에 상기 흡수체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흡수체 엠보스와, 이 흡수체 엠보스와는 별도로, 상기 흡수체 엠보스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표면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기 전에 흡수체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흡수체 엠보스, 및 이 흡수체 엠보스와는 별도로, 상기 흡수체 엠보스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표면 엠보스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흡수체 엠보스는,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 내부로 확산되어, 흡수체의 단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표면 엠보스는, 흡수체 내부의 체액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체액 배출 부위 등의 신체의 홈을 타고 흐른 체액이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을 흘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종래의 흡수성 물품과 같이,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폐합하는 엠보스선을, 흡수체의 표면측 또는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 한 번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은 아니고,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체 엠보스와 표면 엠보스를 따로따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엠보스 가공시에 소재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흡수체나 표면 시트의 주름이나 비틀림 등의 발생이 억제되게 된다. 그 결과,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엠보스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되어, 엠보스 가공시의 엠보스 롤에 대한 감겨 붙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조업성이 안정된다.
또, 상기 흡수체 엠보스와 표면 엠보스가 따로따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부여되기 때문에, 흡수체 엠보스와 중첩하여 표면 엠보스를 부여한 경우에 비해서, 엠보스가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엠보스의 경화에 의한 장착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여된 선상 흡수체 엠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름과 함께,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 팽출된 곡선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체 엠보스로서,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방향 양측에 부여된 선상 흡수체 엠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체액 배출 부위의 폭 방향 양측에서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폭 방향으로 확산되어 흡수체의 폭 방향 단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상기 표면 엠보스로서,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름과 함께,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 팽출된 곡선에 의해서 구성함으로써, 체액 배출 부위의 전후부에서 신체의 홈을 타고 흐른 체액을 표면 엠보스에 의해서 막고, 흡수체에 흡수 유지함으로써 단부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청구항 3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체 엠보스와 표면 엠보스는, 접속하거나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체 엠보스와 표면 엠보스를 접속하거나 근접하여 형성함으로써, 흡수체 엠보스와 표면 엠보스의 간극으로부터 외측으로 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청구항 4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표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서 1 줄 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줄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표면 엠보스를 복수 줄로 형성함으로써,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5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부여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를 갖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체 엠보스로서,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부여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를 갖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의 내부를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확산되는 체액이 상기 선상 또는 격자상의 흡수체 엠보스에 의해서 막아져, 흡수체의 단부로부터의 체액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표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부여된 격자상 표면 엠보스를 갖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청구항 7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는, 격자의 각 교차 부분에 엠보스 홈이 간헐 (間歇) 하는 간헐부가 형성됨과 함께, 격자의 방향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마름모형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5,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의 격자의 각 교차 부분에 엠보스 홈이 간헐하는 간헐부를 형성하고, 이 간헐부에서 엠보스 홈이 분단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시에, 엠보스 롤로 압착했을 때의 표면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간헐부에서 분산되기 때문에, 표면재의 주름이나 엠보스 홈의 변형 등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엠보스 홈이 엠보스 롤에 파고 들어 제품이 엠보스 롤에 감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엠보스 홈에 교차 부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교차 부분의 모서리부에 종잇가루가 막히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엠보스 가공의 조업성이 우수해지게 된다.
또,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에서는, 각 격자 부분에 있어서 체액의 막음 효과가 얻어지는 한편으로, 상기 간헐부에 있어서 엠보스 홈이 간헐되어 있기 때문에, 격자로 막힌 체액의 일부가 외측으로도 확산되는 점에서, 흡수체의 넓은 범위에서 체액이 흡수 유지되게 되어, 체액의 확산 방지 효과를 유지하면서 체액의 흡수 용량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의 격자 방향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마름모형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라인 반송 방향에 대해서 엠보스 홈이 동일한 비율로 형성되게 되고, 엠보스 압착시의 선압이 거의 균등해지기 때문에, 표면재의 파열, 주름, 비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흡수성 물품이 신체의 전후 방향이나 폭 방향의 둥근 부분을 따라서 변형했을 때여도, 이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격자의 방향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격자의 강성에 의해서 흡수성 물품이 잘 변형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착시의 딱딱함이 잘 느껴지지 않게 된다.
청구항 8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간헐부의 길이는 2 ∼ 5 ㎜ 인 청구항 7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격자의 각 교차 부분에서 엠보스 홈이 간헐하는 간헐부의 길이로서 2 ∼ 5 ㎜ 로 함으로써, 엠보스 가공시에 적절하게 압력을 분산할 수 있음과 함께, 체액의 막음 효과를 저해하지 않고 체액을 외방측으로 적절하게 확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체액 배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는, 상기 오목홈의 전후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5,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9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체액 배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오목홈을 형성함으로써, 한번에 왈칵 나오는 체액을 순간적으로 받아내고, 이 오목홈에 체액을 일시 저류하여, 체액을 흡수체에 쉽게 흡수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해설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엠보스 가공에 의한 주름이나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엠보스 가공의 조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엠보스 가공에 의한 딱딱함을 저감할 수 있어 장착시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으며, 또한 체액의 확산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금 패드 (1) 의 일부 파단 전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 - Ⅱ 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 - Ⅲ 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A) 는 흡수체 엠보스 (23), (B) 는 표면 엠보스 (24), (C) 는 이것들을 중첩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A) 는 흡수체에 부여하는 엠보스, (B) 는 표면에 부여하는 엠보스, (C) 는 이것들을 중첩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를 부여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변형예에 관련된 실금 패드 (1A) 의 일부 파단 전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Ⅷ - Ⅷ 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실금 패드 (1A) 의 횡단면도) 이다.
도 9 는, 흡수체 엠보스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 은, (A) 은 종래의 격자상 엠보스, (B) 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 는, (A) 는 종래의 격자상 엠보스, (B) 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 은, 엠보스 패턴에 의한 성능을 비교한 도면 (그 1) 이다.
도 14 는, 엠보스 패턴에 의한 성능을 비교한 도면 (그 2) 이다.
도 15 는, 엠보스 패턴에 의한 성능을 비교한 도면 (그 3)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서술한다.
[실금 패드 (1) 의 기본 구성]
본 발명에 관련된 실금 패드 (1)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뇨 등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이들 양 시트 (2, 3) 사이에 개재된 면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4) 와, 상기 흡수체 (4) 의 형상 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서, 상기 흡수체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나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포 (被包) 시트 (5) 와, 필요에 따라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 배치되는 친수성의 세컨드 시트 (6) 와, 상기 흡수체 (4) 의 대략 측연부를 기립 기단 (基端) 으로 하며, 또한 적어도 체액 배출 부위 H 를 포함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구간 내에 있어서 피부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좌우 1 쌍의 입체 개더 (BS, BS) 를 형성하는 사이드 부직포 (7, 7) 로 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흡수체 (4) 의 주위에 있어서는, 그 길이 방향 단연부 (端緣部) 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외연부가 핫 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서 접합되고, 또 그 양 측연부에서는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가 핫 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이하, 상기 실금 패드 (1) 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하면,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적어도 차수성을 갖는 시트재가 사용되는데, 이 밖에 방수 필름을 개재하여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후에 부직포 시트 (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불투액성 이면 시트를 구성한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 축 또는 2 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고, 스판 레이스법, 스판 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 블론법, 니들 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서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판 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점에서 우수하고, 서멀 본드법은 벌크하고 소프트한 점에서 우수하다.
상기 흡수체 (4) 는, 예를 들어 플러프상 펄프 등의 흡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 (8) 에 의해서 구성되고, 도시 예에서는 평면 형상이 패드 길이 방향으로 긴 세로 길이의 대략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8) 는, 예를 들어 입상가루로 되어, 흡수체 (4) 를 구성하는 펄프 중에 분산 혼입되어 있다.
상기 펄프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활엽수 펄프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가 기능 및 가격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실금 패드 (1) 에서는,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 (5) 로 감싸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 피포 시트 (5) 가 개재하게 되고, 흡수성이 우수한 상기 피포 시트 (5) 에 의해서 체액을 신속하게 확산시킴과 함께, 이들 뇨 등의 역행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펄프의 겉보기 중량은, 100 g/㎡ ∼ 600 g/㎡, 바람직하게는 200 g/㎡ ∼ 500 g/㎡ 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8) 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염 가교물, 자체 가교한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에스테르-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가교물의 비누화물,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가교물, 폴리술폰산염 가교물이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수 팽윤성 폴리머를 부분 가교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흡수량, 흡수 속도가 우수한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 성능을 갖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가교 밀도 및 가교 밀도 구배를 조정함으로써 흡수 배율 (흡수력) 과 흡수 속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 상기 흡수체 (4) 에는 합성 섬유를 혼합해도 된다. 상기 합성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및 이들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2 종을 혼합한 것이어도 된다. 또, 융점이 높은 섬유를 코어로 하고 융점이 낮은 섬유를 시스로 한 코어/시스형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는, 체액에 대한 친화성을 갖도록, 소수성 섬유의 경우에는 친수화제에 의해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포 시트 (5) 는, 티슈 등의 종이재 혹은 부직포 등의 투액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자재의 파괴 (파열) 이 잘 발생되지 않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판 본드법이나 SMS 법에 의해서 가공된 부직포, 특히 SMS 법에 의해서 가공된 부직포가, 얇기와 강도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피포 시트 (5) 는, 적어도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 (표면측) 의 면이 발수성이 아니면 시트의 친수도는 특별히 문제시하지 않는다.
상기 세컨드 시트 (6) 는, 체액에 대해서 친수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소재 자체에 친수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거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를 친수화제에 의해서 표면 처리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세컨드 시트 (6) 는, 탄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이면측 (흡수체 (4) 측) 에 다공의 필름층을 갖고 있어도 되고, 또 펄프를 포함하는 소재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금 패드 (1) 의 표면측 양 측부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서, 또한 실금 패드 (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사이드 부직포 (7, 7) 가 형성되고, 이 사이드 부직포 (7, 7) 의 외측 부분이 측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가 측방으로 연장되고, 이들 측방으로 연장된 사이드 부직포 (7) 부분과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부분을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접합하여 측부 플러프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로는, 중요시하는 기능의 관점에서 발수 처리 부직포 또는 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뇨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피부 접촉감을 높이는 등의 기능을 중시한다면,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클로라이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SSMS 나 SMS, SMMS 등의 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액의 흡수성을 중시한다면, 합성 섬유의 제조 과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 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제2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시켜 다공성으로 하여 금속의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서 합성 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으로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이드 부직포 (7) 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재생 섬유 등을 소재로 하고,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7) 는, 적절하게 절첩되어, 상기 흡수체 (4) 의 대략 측부 가장자리 근방 위치를 기립 기단으로 하여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좌우 1 쌍의 내측 입체 개더 (10, 10)) 와, 상대적으로 상기 내측 입체 개더 (10) 보다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및 사이드 부직포 (7) 에 의해서 형성된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좌우 1 쌍의 외측 입체 개더 (11, 11) 로 이루어지는 2 중 개더 구조의 입체 개더 (BS) 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입체 개더 (BS) 는, 내측 입체 개더 (10) 또는 외측 입체 개더 (11) 의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지는 1 중 개더 구조여도 되고, 사이드 부직포 (7) 를 배치 형성하는 것만으로 피부측으로 기립한 입체 개더상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내측 입체 개더 (10) 및 외측 입체 개더 (11) 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양측 단을 각각 패드 이면측으로 되접어 폭 방향 내측 및 폭 방향 외측으로 각각 이중 시트 부분 (7a, 7b) 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내측의 이중 시트 부분 (7a) 내부에 양 단 또는 길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1 개 또는 복수 개의, 도시 예에서는 1 개의 사상 (絲狀) 탄성 신축 부재 (12) 가 배치 형성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외측의 이중 시트 부분 (7b) 내부에 양 단 또는 길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1 개 또는 복수 개의, 도시 예에서는 2 개의 사상 탄성 신축 부재 (13, 13) 가 배치 형성되고, 상기 폭 방향 내측의 이중 시트 부분 (7a) 의 기 단부가 흡수체 (4) 의 측부에 배치 형성되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상면에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접착됨과 함께, 폭 방향 외측의 이중 시트 부분 (7b) 의 기단부가 상기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의 측단부에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접착됨으로써, 상기 폭 방향 내측의 이중 시트 부분 (7a) 에 의해서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내측 입체 개더 (10) 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외측의 이중 시트 부분 (7b) 에 의해서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외측 입체 개더 (1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는, 패드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상 탄성 신축 부재 (12, 13) 가 배치 형성되지 않음과 함께, 상기 폭 방향 내측의 이중 시트 부분 (7a) 이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서 흡수체 (4) 측에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 엠보스 (23) 및 표면 엠보스 (24)]
본 실금 패드 (1) 에서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하기 전에 흡수체 (4) 의 표면측 (피부면측) 으로부터 부여한 흡수체 엠보스 (23) 와, 이 흡수체 엠보스 (23) 와는 별도로,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표면 엠보스 (2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은, 실금 패드 (1) 를 통상적인 상태에서 장착했을 때, 인체의 배뇨구부가 맞닿는 영역이고, 통상적인 실금 패드에서는,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함과 함께, 길이 방향 중앙부 또는 길이 방향 중앙보다 약간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는,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하기 전의 흡수체 (4) 또는 이 흡수체 (4) 를 둘러싸는 피포 시트 (5) 의 표면측 (피부면측) 으로부터 부여된 엠보스이다. 즉,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금 패드 (1) 의 제조 공정시에, 흡수체 (4) 또는 피포 시트 (5) 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서 부여된 것이다.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는, 흡수체 (4) 에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 (4) 의 내부로 확산하는 것을 막고, 흡수체 (4) 에 흡수된 체액이 단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 는, 흡수체 (4)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되는 흡수체 엠보스 (23) 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 H 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패드 길이 방향을 따르는 직선상으로 부여된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26)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를 형성함으로써, 흡수체 (4) 에 흡수되어 폭 방향으로 확산되는 체액이 막혀, 흡수체 (4) 의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금 패드 (1)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이란, 엠보스의 단부끼리를 잇는 직선이 대체로 실금 패드 (1)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것이고, 이 직선이 길이 방향선과 평행하는 경우 외에, 이 길이 방향선에 대해서 ±40°정도까지의 각도차를 갖는 것도 포함된다. 또, 실금 패드 (1) 의 폭 방향을 따르는 것도 마찬가지로, 엠보스의 단부끼리를 잇는 직선이 대체로 실금 패드 (1) 의 폭 방향을 따르는 것이고, 이 직선이 폭 방향선과 평행하는 경우 외에, 이 폭 방향선에 대해서 ±40°정도까지의 각도차를 갖는 것도 포함된다. 또,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르는 엠보스 라인은 직선일 필요는 없고, 곡선, 절선, 파선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체액 배출 부위 H 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패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선 또는 간헐선 (間欠線) 으로 부여되는 1 줄 또는 패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줄의 선상 엠보스이고, 직선, 곡선, 파상선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체액 배출 부위 H 의 양측에 각각 패드 길이 방향을 따르는 직선의 연속선에 의해서 1 줄씩 형성되어 있다. 이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표면 엠보스 (24) 와 중첩되지 않도록 부여되어 있다.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격자상, 경사 격자상, 허니콤상 등의 망의 목상(目狀) 등과 같이 소정의 영역 내에 평면 패턴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 H 와 패드 폭 방향과 중첩되는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의 입체 개더 (BS, BS) 의 패드 길이 범위와 동등하거나 또는 패드 길이 방향의 외방측까지 연장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흡수된 체액이 패드 폭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 흡수체 (4) 의 측부로부터 옆으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입체 개더 (BS) 에 의해서 막힌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체 (4) 에 흡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흡수체 (4) 의 측부 가장자리의 근방 위치, 구체적으로는 흡수체 (4) 의 측부 가장자리보다 3 ㎜ ∼ 10 ㎜ 내측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흡수체 (4) 의 보다 넓은 범위로 체액을 확산할 수 있어, 흡수체 (4) 의 흡수 용량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부 또는 일부가 입체 개더 (BS) 를 구성하는 사이드 부직포 (7) 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입체 개더 (BS) 에 의해서 막힌 체액을 흡수체 (4) 에 확실하게 흡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를 사이드 부직포 (7) 보다 내측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표면 엠보스 (24) 는, 상기 흡수체 (4) 의 표면측 (피부면측) 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한 후,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 (피부면측) 으로부터 흡수체 (4) 에 걸쳐 일체적으로 압착하는 엠보스이다. 이 표면 엠보스 (24) 는,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와 마찬가지로 흡수체 (4) 내를 확산하는 체액을 막아, 흡수체 (4) 의 단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체액 배출부의 홈이나 둔부의 홈 등 신체의 홈을 타고 흐르는 체액을 막아 엠보스 내에 유입시키고 흡수체 (4) 에 흡수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B) 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되는 표면 엠보스 (24) 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표면 엠보스 (24) 는,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패드 폭 방향을 따름과 함께, 패드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 팽출된 원호선, 타원형선 등의 곡선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을 체액이 흐르는 것은, 체액 배출부의 홈이나 둔부의 홈 등 신체의 홈을 타고 흐르는 것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흐른 체액을 효율적으로 포착하기 위해서,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표면 엠보스 (24) 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표면 엠보스 (24) 를, 패드 폭 방향을 따름과 함께, 패드 길이 방향 외방측으로 팽출된 곡선에 의해서 형성함으로써, 폭 방향 중앙부를 전후 방향으로 흐르는 체액을 엠보스 홈 내에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엠보스 (24) 는, 패드 폭 방향을 따르는 직선, 파상선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표면 엠보스 (24) 는, 체액 배출 부위 H 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패드 폭 방향을 따르는 1 줄 또는 패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체액 배출 부위 H 의 전측에 1 줄의 표면 엠보스 (24) 를 형성하고, 후측에 패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2 줄의 표면 엠보스 (24, 24) 를 형성하고 있다. 체액 배출 부위 H 의 후측은 둔부의 홈을 타고 체액이 흐르기 쉽기 때문에, 이 체액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해서, 표면 엠보스 (24) 를 복수 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와 표면 엠보스 (24) 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부여되어 있다. 즉, 상기 표면 엠보스 (24) 를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할 때, 엠보스가 형성되지 않은 흡수체 (4) 에 대해서, 투액성 표면 시트 (3) 로부터 흡수체 (4) 에 걸친 구성 부재를 일체적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흡수체 엠보스 (23) 와 표면 엠보스 (24) 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이란, 표면 엠보스 (24) 의 전부 또는 일부가 흡수체 엠보스 (23) 의 전부 또는 일부와 중첩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금 패드 (1) 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흡수성 물품과 같이,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액 배출 부위 H 를 둘러싸는 폐합하는 엠보스선을, 한번에 흡수체의 표면측 또는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서 형성한 경우에는, 엠보스 가공시에, 제조 라인의 이송 방향 (MD 방향) 과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 (CD 방향) 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압착 방향이나 압착 정도의 차가 발생되고, 표면 시트에 가해지는 압축력의 변형이 축적되기 쉬워, 주름이나 비틀림, 휨 등이 발생되고, 엠보스의 들어감이 나빠짐과 함께, 압력의 분산 지점이 적기 때문에, 엠보스 부분이 엠보스 롤의 엠보스 볼록부에 파고 들어 제품이 엠보스 롤에 감겨 붙어 조업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서, 본 실금 패드 (1) 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액 배출 부위 H 를 둘러싸듯이 폐합하는 엠보스선으로서,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와 표면 엠보스 (24) 로 구성함과 함께, 이들 흡수체 엠보스 (23) 및 표면 엠보스 (24) 를 따로따로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소재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고, 주름이나 비틀림 등이 경감되어 엠보스를 제대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 흡수체 엠보스 (23) 와 표면 엠보스 (24) 사이에 엠보스 압착시의 압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엠보스 롤에 대한 감겨 붙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조업성이 안정된다.
또,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엠보스와 중첩하여 표면 엠보스를 부여한 경우에는, 제품의 딱딱함을 느껴 장착시에 위화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실금 패드 (1) 에서는, 흡수체 엠보스 (23) 와 중첩되지 않도록 표면 엠보스 (24)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 엠보스 (23) 와 중첩하여 표면 엠보스 (24) 를 부여한 경우에 비해서, 엠보스가 딱딱해져 장착감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와 표면 엠보스 (24) 는, 접속하거나 근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와 표면 엠보스 (24) 가 접속해 있는 편이, 외방측으로의 체액 확산이 억제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본 실금 패드 (1) 와 같이 피부면측의 양 측부에 입체 개더 (BS) 를 형성하기 위한 사이드 부직포 (7) 를 배치한 경우에는, 표면 엠보스 (24) 가 이 사이드 부직포 (7) 에 걸리지 않도록, 흡수체 엠보스 (23) 로부터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와 표면 엠보스 (24) 를 이간시킨 경우의 이간 폭은, 패드 폭 방향으로 15 ㎜ 이내, 바람직하게는 5 ㎜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실금 패드 (1) 의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부여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제조 공정시에,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와 함께, 흡수체 (4) 또는 피포 시트 (5)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되는 것이다. 이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도,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와 마찬가지로 표면 엠보스 (24) 와 중첩되지 않도록 부여되어 있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와 마찬가지로, 직선, 곡선, 파상선 등으로 형성해도 되지만, 평면 형상이, 각 교차점에서 간헐하는 격자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격자의 방향이 냅킨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서 약 45°경사진 마름모형 격자상 (경사 격자상) 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공정시에 제품의 라인 반송 방향을 패드 길이 방향과 일치시킨 경우에 있어서, 격자의 방향이 냅킨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거의 일치한 정격자상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엠보스 롤에 의한 압착시에 선압이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의 차가 커져, 압착에 의한 표면재의 파열, 주름, 비틀림 등이 발생되기 쉬운 것에 비해서, 마름모형 격자상으로 배치한 경우, 선압이 거의 일정해지기 때문에 표면재의 파열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마름모형 격자상으로 배치한 편이, 중앙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확산되는 체액을, 직교하는 양방의 격자에서 받아 낼 수 있어, 외방측으로의 체액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교차점에서 간헐로 함으로써, 엠보스의 압착 가공시에 엠보스 롤에의 감겨 붙음이나 엠보스 롤에 종잇가루 등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부여 영역은, 상기 표면 엠보스 (24) 의 곡선 형상에 맞추어 패드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 팽출된 만곡상의 영역에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양 단부가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에 접속하거나 근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와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간극으로부터 체액이 외방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에 접속하여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와 동일한 홈 폭 또는 큰 홈 폭으로 형성해도 되지만,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보다 작은 홈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보다 큰 홈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망의 목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굵은 홈 폭으로 형성하면, 흡수체 (4) 의 딱딱함이 증가되어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체액 배출 부위 H 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는 표면 엠보스 (24) 가 배치되므로, 이 표면 엠보스 (24) 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서 가는 홈 폭으로 형성해도 체액의 막음 효과는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가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에 접속함으로써, 흡수체 엠보스 (23) 와 표면 엠보스 (24) 가 이간되어 있어도, 이 이간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체액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면 엠보스 (24) 는,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적어도 외방측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흡수체 (4) 내부의 체액 확산 및 표면을 타고 흐르는 체액의 확산이 확실하게 억제되게 된다. 도 6 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측의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에 대해서는 외방측에만 표면 엠보스 (24) 를 부여하고, 후측의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에 대해서는 외방측 및 내방측에 각각 표면 엠보스 (24) 를 부여하고 있다. 체액 배출 부위 H 의 후측에서는, 둔부의 홈을 타고 흐르는 체액의 흐름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복수 줄에 걸쳐 표면 엠보스 (24) 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변형예에 관련된 실금 패드 (1A) 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격자상의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가 소정의 영역에 부여되어 있다. 또한, 변형예에 관련된 실금 패드 (1A) 에 있어서, 상기 표면 엠보스 (24)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없어도 되고, 도 6 에 나타나는 예와 같이 형성해도 된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격자의 각 교차 부분에 엠보스 홈이 간헐하는 간헐부 (27) 가 형성됨과 함께, 격자의 방향이 실금 패드 (1A) 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마름모형 격자상 (경사 격자상) 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전후 영역에 각각, 패드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방향 양측에는 각각, 패드 길이 방향을 따르는 직선상의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25) 및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26) 에 의해서,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금 패드 (1A) 의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이란, 엠보스 영역의 단부끼리를 잇는 직선이 대체로 실금 패드 (1A) 의 폭 방향을 따르는 것으로서, 이 직선이 폭 방향선과 평행하는 경우 외에, 이 폭 방향선에 대해서 ±40°정도까지의 각도차를 갖는 것도 포함된다. 또, 실금 패드 (1A)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영역도 마찬가지로, 엠보스 영역의 단부끼리를 잇는 직선이 대체로 실금 패드 (1A)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것이고, 이 직선이 길이 방향선과 평행하는 경우 외에, 이 길이 방향선에 대해서 ±40°정도까지의 각도차를 갖는 것도 포함된다. 또,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은, 직선상일 필요는 없고, 곡선상, 절선상, 파상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및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하기 전의 흡수체 (4), 또는 이 흡수체 (4) 를 둘러싸는 피포 시트 (5) 의 표면측 (피부면측) 으로부터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금 패드 (1A) 의 제조 공정시에, 흡수체 (4) 또는 피포 시트 (5) 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서 부여된 것이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및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흡수체 (4) 에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 (4) 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막아, 흡수체 (4) 의 단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및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를 형성함으로써, 흡수체 (4) 에 흡수된 체액이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및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에 의해서 확실하게 막혀, 흡수체 (4) 단부로부터의 체액 누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없어도 되지만, 흡수체 (4) 의 폭 방향 단부로부터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도 형성한 편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상세하게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엠보스 홈 (25a, 25a …) 과, 이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엠보스 홈 (25b, 25b …) 으로 이루어지는 격자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1 엠보스 홈 (25a) 과 제 2 엠보스 홈 (25b) 의 교차점에 각각의 엠보스 홈 (25a, 25b) 이 간헐하는 간헐부 (27) 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이 각각, 실금 패드 (1A) 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서 약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헐부 (27)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서 제 1 엠보스 홈 (25a) 과 간헐부 (27) 가 교대로 배치된 간헐선상으로 형성되고, 제 2 방향에 대해서 제 2 엠보스 홈 (25b) 과 간헐부 (27) 가 교대로 배치된 간헐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헐부 (27) 의 길이 (간극) 는, 2 ㎜ ∼ 5 ㎜, 바람직하게는 2 ㎜ ∼ 3 ㎜ 로 하는 것이 좋다. 간헐부 (27) 의 길이란, 인접하는 엠보스 홈끼리의 사이의 최소 간극 S 를 말한다. 간헐부 (27) 의 길이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엠보스 가공시에 적절하게 압력을 분단할 수 있어, 체액의 막음 효과를 저해하지 않고 체액을 적절하게 외방측으로 확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에 의해서 형성되는 격자의 1 변의 길이 L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는 인접하는 엠보스 홈끼리의 이간 폭) 은 8 ㎜ ∼ 15 ㎜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격자의 각 변에 배치되는 엠보스 홈의 길이 E 는 5 ㎜ ∼ 12 ㎜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의 메시가 지나치게 작으면 조업성이 나빠지고, 지나치게 크면 장착시에 엠보스 홈의 딱딱함이 쉽게 느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는,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전측부와 후측부에서 동일한 치수로 형성해도 되고, 상이한 치수로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후측부 쪽의 체액이 피부면을 타고 흘러 쉽게 고이기 때문에, 외방측으로의 확산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간헐부 (27) 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부여 영역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양 단의 외형선이 패드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 팽출된 만곡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패드 중앙부의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산된 체액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부여 영역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체액 배출 부위 H 의 후측에 있어서,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단부측으로 감에 따라서, 좁은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A1 ∼ A3 으로 나타내는 폭 방향선 상에 위치하는 압착부의 수가, A1 에서 8 개 지점, A2 에서는 6 개 지점, A3 에서는 4 개 지점이라는 식으로, 후측 (단부측) 으로 감에 따라서 감소되기 때문에, 단부측의 압착에 의한 딱딱함이 저하되어, 장착시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 체액 배출 부위 H 의 전측에 배치되는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부여 영역도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 단부측으로 감에 따라서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장착시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패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선 또는 간헐선으로 부여되는 1 줄 또는 패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줄의 선상 엠보스로서, 직선, 곡선, 파상선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양측에 각각 패드 길이 방향을 따르는 직선의 연속선에 의해서 1 줄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제조 공정시에,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6) 와 함께 흡수체 (4) 또는 피포 시트 (5)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하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6) 와는 별도 공정에서 부여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격자상, 경사 격자상, 허니콤상 등의 망의 목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는, 적어도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과 패드 폭 방향과 중첩되는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전후부에 배치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25) 의 양 측부에 접속하거나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흡수체 (4) 에 흡수된 체액이 패드 폭 방향으로 확산되었을 때, 흡수체 (4) 의 측부로부터 옆으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를 형성함으로써, 본 실금 패드 (1A) 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간헐부 (27) 가 형성되지 않은 각 격자가 연속하는 엠보스 홈으로 둘러싸인 종래의 격자상 엠보스의 경우, 엠보스 압착시의 표면재 (피포 시트 (5) 나 흡수체 (4) 의 표면) 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없기 때문에, 압착에 의한 변형이 축적되어 표면재의 주름이나 비틀림 등이 쉽게 발생되었다. 이 주름이나 비틀림의 발생에 의해서 엠보스 홈이 엠보스 롤의 엠보스 볼록부에 파고 들어, 제품이 엠보스 롤에 감겨 붙는 등의 조업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비해서, 본 실금 패드 (1A) 에서는,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스 압착시의 표면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간헐부 (27) 에 분산되고, 표면재에 가해지는 변형의 회피로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표면재의 주름이나 비틀림 등이 잘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제품이 엠보스 롤에 감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엠보스 홈에 교차 부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교차 부분의 모서리부에 종잇가루가 막히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엠보스 가공의 조업성이 우수해진다.
또, 제조 공정시에 제품의 라인 반송 방향을 패드 길이 방향과 일치시킨 경우에 있어서,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의 방향이 패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정격자상으로 배치한 경우, 엠보스 홈이 패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엠보스 롤에 의한 압착시에 선압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의 차가 커져, 압착에 의한 표면재의 파열, 주름, 비틀림 등이 쉽게 발생되었다. 이에 비해서,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금 패드 (1A) 와 같이 마름모형 격자상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엠보스 홈이 패드 폭 방향에 대해서 거의 일정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선압이 거의 일정해져 표면재의 파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마름모형 격자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중앙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확산되는 체액을, 직교하는 양방의 격자로 막을 수 있어, 외방측으로의 체액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의 효과에 대해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격자상 엠보스나 줄무늬상 엠보스, 도트상 엠보스와의 비교를 도 13 ∼ 도 15 에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를 채용한 실시예 1, 2 에서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의 막힘이나 파열이 없어 조업성이 우수함과 함께, 압착 정도가 양호하고, 체액의 확산 방지성이 좋으며, 장착시에 딱딱함을 잘 느끼기 않게 된다. 간헐부 (27) 의 길이가 2 ㎜ 인 것은, 체액의 확산 방지성이 특히 우수하다.
또, 교차하는 엠보스 홈에 의해서 마름모형 격자상 엠보스를 형성한 비교예 1 에서는, 엠보스 압착시의 압력에 회피로가 없어지기 때문에, 엠보스 롤에의 감겨 붙음과 종잇가루 등의 막힘이 발생하여 조업성이 나빠진다.
비교예 2 는, 비교예 1 과 마찬가지로, 엠보스 홈의 교차 부분에서 연속하여 형성됨과 함께, 중간부에서 엠보스 홈이 이간되어 있는 구조이다. 비교예 2 도, 비교예 1 과 마찬가지로, 엠보스 홈의 교차 부분을 갖기 때문에 엠보스 롤의 막힘 등이 발생하여 조업성이 악화된다. 또, 압착 정도에 차가 발생되어 균일하게 압착할 수 없다.
비교예 3 은, 실시예 1, 2 와 마찬가지로, 격자의 각 교차 부분에 간헐부를 형성한 것이지만, 격자의 방향이 패드 길이 방향, 폭 방향과 일치하는 정격자상으로 배치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압착 정도에 차가 발생되어 조업성이 악화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4, 5 는, 패드 길이 방향을 따름과 함께, 패드 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복수의 줄무늬상의 엠보스를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조업성, 흡수 성능은 문제없지만, 장착시에 엠보스 홈이 딱딱하게 느껴져 피부 접촉감, 장착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4 와 비교예 5 는, 줄무늬상 엠보스의 선 폭을 달리한 것이지만, 이 상이함에 의한 성능의 차는 거의 볼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6 은, 도트상의 엠보스를 지그재그상으로 배치한 것인데, 도트상 엠보스이기 때문에 압착 정도가 약하고, 흡수 성능도 다른 것과 비교하여 열등하였다.
[그밖의 형태예]
(1) 상기 형태예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격자상의 격자상 엠보스를, 상기 흡수체 엠보스 (23) 의 개념에 포함되는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하기 전의 흡수체 (4) 또는 이 흡수체 (4) 를 둘러싸는 피포 시트 (5)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하였지만, 상기 표면 엠보스 (24) 의 개념에 포함되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로서, 흡수체 (4) 의 피부측면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한 후, 이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해도 된다.
(2) 상기 선상 흡수체 엠보스 (26, 26) 대신에,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의 패드 폭 방향의 양측 영역에, 패드 길이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5)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와 동일하게 구성된 격자상 엠보스를 형성해도 된다.
(3) 본 실금 패드 (1, 1A) 에서는,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체액 유입용의 오목홈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오목홈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에 배출된 체액을 받아내어, 체액을 일시 저류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의 체액의 확산을 유도하며, 또한 흡수체 (4) 에 대한 체액의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옆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목홈은, 미리 흡수체 (4) 에, 체액 배출 부위 H 를 포함하는 피부 맞닿음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압착에 의하지 않고 오목홈상 또는 슬릿상의 흡수체 오목부를 형성해 두고, 이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 (5) 에 의해서 감싸고,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서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 (피부 맞닿음면측) 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서,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따라서 엠보스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오목홈은, 흡수체 (4) 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한 상태에서,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서, 투액성 표면 시트 (3) 로부터 흡수체 (4) 에 걸친 구성 부재를 일체적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상기 오목홈은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패드 폭 방향의 중앙부로서,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1 줄만 형성해도 되고, 패드 폭 방향으로 이간시켜 복수 줄 형성해도 되며, 패드 길이 방향으로 이간시켜 불연속선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1 : 실금 패드
2 : 불투액성 이면 시트
3 : 투액성 표면 시트
4 : 흡수체
5 : 피포 시트
6 : 세컨드 시트
7 : 사이드 부직포
8 : 고흡수성 폴리머
10 : 내측 입체 개더
11 : 외측 입체 개더
12·13 : 사상 탄성 신축 부재
23 : 흡수체 엠보스
24 : 표면 엠보스
25 :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26 : 선상 흡수체 엠보스
27 : 간헐부

Claims (9)

  1.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기 전에 상기 흡수체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흡수체 엠보스와, 이 흡수체 엠보스와는 별도로, 상기 흡수체 엠보스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 부여한 표면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여된 선상 흡수체 엠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름과 함께, 길이 방향의 외방측으로 팽출된 곡선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엠보스와 표면 엠보스는, 접속하거나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서 1 줄 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줄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부여된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를 갖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엠보스는, 상기 체액 배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부여된 격자상 표면 엠보스를 갖는 흡수성 물품.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는, 격자의 각 교차 부분에 엠보스 홈이 간헐하는 간헐부가 형성됨과 함께, 격자의 방향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마름모형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부의 길이는 2 ∼ 5 ㎜ 인 흡수성 물품.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체액 배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격자상 흡수체 엠보스 또는 격자상 표면 엠보스는, 상기 오목홈의 전후의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67036117A 2014-06-13 2015-06-11 흡수성 물품 KR101728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2044 2014-06-13
JP2014122037A JP5944951B2 (ja) 2014-06-13 2014-06-13 吸収性物品
JPJP-P-2014-122037 2014-06-13
JP2014122044A JP5944953B2 (ja) 2014-06-13 2014-06-13 吸収性物品
PCT/JP2015/066844 WO2015190547A1 (ja) 2014-06-13 2015-06-1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131A true KR20170005131A (ko) 2017-01-11
KR101728656B1 KR101728656B1 (ko) 2017-04-19

Family

ID=5483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117A KR101728656B1 (ko) 2014-06-13 2015-06-1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55843B2 (ko)
EP (1) EP3156017B1 (ko)
KR (1) KR101728656B1 (ko)
CN (2) CN105266969B (ko)
WO (1) WO2015190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9238B2 (en) * 2005-02-17 2017-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US10555843B2 (en) * 2014-06-13 2020-02-11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KR101782772B1 (ko) * 2014-08-29 2017-09-27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JP6242423B2 (ja) * 2016-03-29 2017-12-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80452B2 (ja) * 2016-04-26 2018-08-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6236399A (zh) * 2016-08-23 2016-12-21 广东茵茵股份有限公司 阻隔排泄物的一次性吸湿用品
TWI762504B (zh) * 2016-09-07 2022-05-01 日商大王製紙股份有限公司 失禁用吸收性物品
JP6458102B1 (ja) * 2017-08-30 2019-01-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55871B1 (ja) * 2018-03-09 2018-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605064B2 (ja) * 2018-03-23 2019-11-1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49965B2 (ja) * 2018-08-29 2022-04-07 大王製紙株式会社 脇用汗取りパッド
US11351069B2 (en) * 2018-08-30 2022-06-07 Medline Industries, Lp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strips
US20200121525A1 (en) * 2018-10-17 2020-04-23 Curt G. Joa, Inc. Expandable absorbent co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200375810A1 (en) * 2019-06-03 2020-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702A (ja) 2003-12-02 2005-06-23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3781617B2 (ja) 2000-08-29 2006-05-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2143535A (ja) 2010-12-24 2012-08-02 Kao Corp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955A (ja) 1997-10-20 1999-04-27 Shiseido Co Ltd 体液吸収性物品
MY116434A (en) * 1998-05-08 2004-01-31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WO2003026545A2 (en) * 2001-09-21 2003-04-03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4008868B2 (ja) 2003-08-29 2007-11-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6014792A (ja) * 2004-06-30 2006-01-19 Daiichi Eizai Kk 吸収具
JP4913383B2 (ja) 2005-09-28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09013015A (es) 2007-06-01 2010-01-20 Uni Charm Corp Cuerpo en capas de elementos similares a hojas.
JP5123579B2 (ja) * 2007-06-22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58380B2 (ja) * 2008-05-15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149358B (zh) * 2008-09-12 2013-07-3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5294837B2 (ja) * 2008-12-25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317685B2 (ja) * 2008-12-25 2013-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68172B2 (ja) * 2009-03-19 2016-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Y161227A (en) * 2010-04-06 2017-04-14 Uni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5391140B2 (ja) * 2010-04-30 2014-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543268B2 (ja) * 2010-05-10 2014-07-09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623828B2 (ja) * 2010-08-31 2014-11-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555843B2 (en) * 2014-06-13 2020-02-11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1617B2 (ja) 2000-08-29 2006-05-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5160702A (ja) 2003-12-02 2005-06-23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12143535A (ja) 2010-12-24 2012-08-02 Kao Corp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2818A1 (en) 2017-06-22
CN105266969B (zh) 2019-12-31
EP3156017A4 (en) 2018-02-07
EP3156017A1 (en) 2017-04-19
CN205083828U (zh) 2016-03-16
US10555843B2 (en) 2020-02-11
CN105266969A (zh) 2016-01-27
KR101728656B1 (ko) 2017-04-19
EP3156017B1 (en) 2021-08-18
WO2015190547A1 (ja)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656B1 (ko) 흡수성 물품
JP4587947B2 (ja) 吸収性物品
US9480610B2 (en) Absorbent product
KR102353425B1 (ko) 흡수성 물품
US8927803B2 (en) Absorbent article
CN109152679B (zh) 吸收性物品
KR101782763B1 (ko) 흡수성 물품
JP6360540B2 (ja) 吸収性物品
KR102319944B1 (ko) 흡수성 물품
JP6484416B2 (ja) 吸収性物品
JP4185389B2 (ja) 吸収性物品
KR20200127154A (ko) 흡수성 물품
JP2016049199A (ja) 吸収性物品
KR101720481B1 (ko) 흡수성 물품
CN110913817B (zh) 吸收性物品
JP5944953B2 (ja) 吸収性物品
JP7091101B2 (ja) 吸収性物品
JP2016002100A5 (ko)
JP5944951B2 (ja) 吸収性物品
JP6203906B1 (ja) 吸収性物品
WO2018203432A1 (ja) 吸収性物品
WO2023074212A1 (ja) 吸収性物品
JP6694734B2 (ja) 吸収性物品
JP7110673B2 (ja) 吸収性物品
KR102433718B1 (ko) 흡수성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