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717A - 다용도 칼집용 채칼 - Google Patents

다용도 칼집용 채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717A
KR20170004717A KR1020150095440A KR20150095440A KR20170004717A KR 20170004717 A KR20170004717 A KR 20170004717A KR 1020150095440 A KR1020150095440 A KR 1020150095440A KR 20150095440 A KR20150095440 A KR 20150095440A KR 20170004717 A KR20170004717 A KR 20170004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blade
guide
main body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익
Original Assignee
장원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익 filed Critical 장원익
Priority to KR102015009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717A/ko
Publication of KR2017000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칼날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식재료에 일정한 두께의 칼집을 낼 수 있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은,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기둥과; 이 연결기둥 사이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칼날들과; 상기 연결기둥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칼날들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한쌍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은, 단날과 양날이 서로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단날의 단부는 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날의 단부는 'M'자 모양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칼집용 채칼{MULTIPLE CHEFS KNIFE FOR MAKING INCISIONS}
본 발명은 칼집용 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칼날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식재료에 일정한 두께의 칼집을 낼 수 있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리를 하는데 있어서, 식재료에 칼집을 내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오징어를 이용하여 요리를 할 경우에는 모양과 식감을 위해 칼집을 내게 되며, 돼지고기나 닭고기 등의 육류요리를 할 경우에는 고기에 양념이 잘 베어들게 하거나 불에 익힐 시 안에 까지 잘 익을 수 있도록 칼집을 내게 된다.
그러나 식재료에 반복적으로 일정한 간격의 칼집을 내는 것이 어려울뿐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식재료가 찢어지거나 절단되기도 하며 동일하지 못한 칼집의 간격과 형상으로 미관상 좋지 못한 식재료를 만들게 된다. 또한, 숙련도가 높은 조리사라 할지라도 대량의 식재료에 칼집내기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속도가 더디어 비능률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21145호에 '육류 칼집내기용 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케이스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출입가능한 다수의 칼날을 구비하여 식재료에 신속하게 칼집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식재료에 칼날뿐 아니라 케이스가 직접 맞닿아야 되므로 위생상 좋지 못하며, 칼의 기울기에 따라 식재료에 삽입되는 칼날의 깊이가 달라져 일정한 깊이의 칼집을 내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식재료의 종류나 쓰임에 따라 칼집의 간격이 달라져야 하지만 고정되어 있는 칼날들의 간격으로 인하여 다양한 식재료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징어나 육류 등과 같은 식재료에 칼집내기 작업을 할 시, 식재료의 찢어짐이나 절단의 염려없이 식재료에 일정한 두께와 간격의 칼집을 낼 수 있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식재료의 종류나 쓰임에 따라 각기 다른 간격의 칼집을 낼 수 있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도구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두께로 칼집을 낼 수 있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식재료의 칼집내기 작업뿐 아니라 야채나 해산물, 육류 등의 채썰기 및 다지기 등에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칼집용 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은, 손잡이(116)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기둥(114)과; 상기 연결기둥(114) 사이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칼날(120)들과; 상기 연결기둥(1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칼날(120)들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한쌍의 가이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120)은, 단날(122)과 양날(124)이 서로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단날(122)의 단부는 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날(124)의 단부는 'M'자 모양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기둥(114)의 측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파인 체결홈(114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30)의 내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체결돌기(130a)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130)의 외측둘레는 상기 칼날(120)들의 단부의 끝점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130)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130)를 교환함으로써 식재료에 형성되는 칼집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은, 등간격으로 본체에 고정되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칼날을 이용하여 오징어나 육류 등과 같은 식재료에 일정한 두께와 간격으로 칼집을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누구나 쉽게 식재료에 일정한 두께의 칼집을 낼 수 있다.
또한, 단날과 양날을 번갈아 가며 구비하여 식재료의 종류나 쓰임에 따라 각기 다른 간격의 채썰기 및 칼집내기를 할 수 있어, 다양한 식재료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의 외측둘레는 칼날들의 단부를 기준으로 하는 원호를 갖음으로써 채칼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식재료에 일정한 두께의 칼집내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의 미 결합시에는 칼날들이 지면에 맞닿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칼날들을 이용하여 야채나 해산물, 육류등의 채썰기 및 다지기를 할 수 있어 여러 상황에 맞춰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의 절단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양날과 단날의 형태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에서 가이드를 제거한 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가이드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을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100)은, 일측에 손잡이(116)가 마련되며 양단부에 연결기둥(114)들을 갖는 본체(110)와, 연결기둥(114)들 사이에서 2~3mm의 간격을 두고 본체(110)에 고정되어 있는 칼날(120)들과, 본체(110)의 연결기둥(1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13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연결기둥(114)이 배치되어 있는 길이방향을 폭방향으로 설정하여 정의하며, 이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체(110)는 지지부(112)와, 지지부(112)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두 연결기둥(114)과, 지지부(112)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16)를 포함한다. 지지부(112)는 후술하는 다수의 칼날(120)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폭이 긴 육면체의 형태를 갖으며, 지지부(112)의 폭 길이는 20cm이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체(110)가 긴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은, 식당에서 사용되는 식재료 중 오징어 등과 같이 크기가 큰 식재료의 길이보다 길게 제작하여 식재료의 크기에 상관없이 식재료를 빠르게 손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결기둥(114)은 후기하는 가이드(130)가 본체(110)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의 역할을 한다. 연결기둥(114)은 지지부(112)의 폭방향의 양단부에서 후기하는 칼날(120)들과 같은 방향으로 수직하게 고정된다. 연결기둥(114)의 양쪽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파인 체결홈(114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기둥(114)은 본체(110)에 가이드(130)가 분리되어 있을 시, 칼날(120)들이 직접 지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칼날(120)들 보다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손잡이(116)는 지지부(112)에서 연결기둥(114)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결합된다. 손잡이(116)의 일단부는 지지부(11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지지부(112)로부터 연장 돌출되며, 지지부(112)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110)에는 가이드(13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채칼 사용 시, 채칼로부터 분리된 가이드(130)의 분실 방지를 위하여 가이드(130)가 삽입되는 홈이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이나 돌기는 손잡이(116)가 구비되어 있는 방향의 일측 양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과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칼날(120)은 일측에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어 있는 단날(122)과 양측에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어 있는 양날(124)로 이루어진다. 단날(122)과 양날(124)은 두 연결기둥(114) 사이에서 2~3mm의 간격을 두고 하나씩 번갈아가며 지지부(112)에 결합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단날(122)과 양날(124)들은 약 3mm의 등간격으로 본체(1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간격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날(122)은 지지부(112)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수직연장되어 있다. 단날(122)의 타단부는 사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날(122)의 상향경사진 타단부와 인접하는 일측의 날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단날(122)의 타단부는 한쪽끝이 예리한 모양의 꼭지점을 갖는다.
도 3b를 살펴보면, 양날(124)은 단날(122)과 마찬가지로 본체(110)의 지지부(112)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수직연장되어 있다. 양날(124)은 양측에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날(124)의 타단부는 대체로 'M'자 형태로 구비되어, 양날(124)의 타단부는 날카로우면서도 예리한 두 꼭지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날(124)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두 꼭지점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양날(124)의 두 꼭지점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날(122)과 양날(124)이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단날(122)과 양날(124)의 일측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와 반대로 양날(124)의 타측은 하향경사진 단날(122)의 타측보다 긴 길이를 갖음으로써 단날(122)의 타측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이처럼 구성된 칼날(120)들의 사용은 후기하는 작용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덧붙여, 본체(110)에 구비되는 칼날(120)들의 갯수는 본체(110)의 폭과 칼날(120)들의 간격에 따라 달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110)의 폭길이가 약 22cm이고 칼날(120)의 두께가 0.5mm이며 칼날(120)들의 간격이 3mm일때, 칼날(120)들의 갯수는 대략 63개 내외로 구성된다. 칼날(120)들의 재질은 스테인레스강 27종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이드(130)는 본체(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130)의 내부에는 본체(110)의 연결기둥(114)이 끼워질 수 있는 중공의 기둥삽입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삽입홈(132)의 내측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체결돌기(130a)가 마련된다. 이 체결돌기(130a)는 연결기둥(114)으로부터 가이드(13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연결기둥(114)의 체결홈(114a)에 정합된다.
도 4와 도 6을 살펴보면, 가이드(130)는 칼날(120)들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칼날(120)들의 외측둘레보다 더 큰 외측둘레를 갖는다. 이를 통하여, 칼날(120)들은 가이드(130)의 일단부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된다. 덧붙여, 가이드(130)와 칼날(120)들의 외측둘레의 차이에 따라 칼날(120)들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아울러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가이드(130)를 구비하여, 식재료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가이드(130)를 교환함으로써 칼집의 깊이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기울기에 따라 칼날(120)들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달라지지 않도록 가이드(130)의 외측둘레는 칼날(120)들의 타단부의 양끝점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를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날(124)의 두 꼭지점을 기준으로 2~3mm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들과, 칼날(120)의 양측으로부터 2~3mm 이격되어 있는 선들이 이어져 가이드(130)의 외측둘레가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본체(110)의 다양한 기울기에도 칼날(120)들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부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을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체(110)에 가이드(130)가 미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칼날(120)들이 직접 지면에 닿으므로 야채나 해산물, 육류등의 식재료를 채썰거나 다지기를 할 수 있다. 이때, 칼날(120)들의 양끝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기둥(114)은 칼날(120)들이 지면에 닿는것이 방해 되지 않도록 칼날(120)과 같거나 짧은 길이로 지지부(112)에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식재료에 칼집내기 작업을 해야되는 경우에, 먼저 본체(110)의 연결기둥(114)에 가이드(130)를 결합시킨다. 가이드(130)의 일단부가 도마나 지면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식재료를 양쪽의 가이드(130) 사이에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식재료에 칼집을 내고자 하는 방향을 따라 본체(110)를 이동시킨다. 칼날(110)들은 가이드(130)를 통하여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식재료를 절단하며 통과하게 된다.
가이드(130)가 지면에 닿고 식재료는 가이드(130) 사이에 위치하므로, 한번의 동작으로 식재료 전체에 한꺼번에 칼집을 낼 수 있다. 특히, 중국집 등과 같은 음식점에서 오징어를 다량으로 손질해야 하는 경우에 빠르게 오징어를 손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10)의 다양한 기울기에도 칼날(120)들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식재료에 일정한 두께의 칼집을 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칼집용 채칼(100)은 사용되는 칼날의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간격의 채썰기 및 칼집내기가 가능하다. 채소나 오징어 등과 같이 대체로 좁은 간격(2~3mm)의 채썰기 및 칼집내기 작업을 해야 되는 경우에는 단날(122)과 양날(124)이 동일한 높이를 갖는 일측을 이용한다.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본체(110)에 2~3mm의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단날(122)과 양날(124)을 통하여 식재료를 2~3mm의 간격으로 채썰거나 칼집내기를 할 수 있게된다.
이와 반대로 육류등과 같이 대체로 두꺼운 두께(4~6mm)의 채썰기 및 칼집내기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부분의 반대되는 부분을 이용한다. 이때에 양날(124)의 타측은 단날(122)의 타측보다 더 돌출되어 있어 식재료에 양날(124)만 닿게 된다. 아울러 양날(124)들 사이에는 단날(122)이 하나씩 위치하므로 양날(124)들의 사이 간격은 약 4~6mm가 된다. 결론적으로 4~6mm의 간격을 갖는 양날(124)들만 식재료에 맞닿게 되므로 육류등과 같이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한 식재료에 4~6mm간격의 채썰기 및 칼집내기가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용도 칼집용 채칼(100)은 사용하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간격의 채썰기 및 칼집내기가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식재료의 종류와 쓰임에 따라 채썰기 및 칼집의 간격을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다용도 칼집용 채칼 110 : 본체
112 : 지지부 114 : 연결기둥
116 : 손잡이 120 : 칼날
122 : 단날 124 : 양날
130 : 가이드

Claims (4)

  1. 손잡이(116)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기둥(114)과;
    상기 연결기둥(114) 사이에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칼날(120)들과;
    상기 연결기둥(1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칼날(120)들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한쌍의 가이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120)은, 단날(122)과 양날(124)이 서로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단날(122)의 단부는 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날(124)의 단부는 'M'자 모양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둥(114)의 측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파인 체결홈(114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30)의 내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체결돌기(130a)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30)의 외측둘레는 상기 칼날(120)들의 단부의 끝점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30)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130)를 교환함으로써 식재료에 형성되는 칼집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칼집용 채칼.
KR1020150095440A 2015-07-03 2015-07-03 다용도 칼집용 채칼 KR20170004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40A KR20170004717A (ko) 2015-07-03 2015-07-03 다용도 칼집용 채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40A KR20170004717A (ko) 2015-07-03 2015-07-03 다용도 칼집용 채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17A true KR20170004717A (ko) 2017-01-11

Family

ID=5783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440A KR20170004717A (ko) 2015-07-03 2015-07-03 다용도 칼집용 채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7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067A (en) Slicer guide
US5692308A (en) Chef's knife
US9242384B2 (en) Food slicer
US8448552B2 (en) Cutting guide board
EP3213892B1 (en) A food holder for a food slicer, and a food slicer
US5297345A (en) Slicing knife with non-stick blade
KR101747808B1 (ko) 야채가위
US10085583B2 (en) Cooking device with corrugated blade, cooking method, and food
KR101660765B1 (ko) 두부 커팅기
KR20170004717A (ko) 다용도 칼집용 채칼
US5899133A (en) Frozen hamburger patty separator
KR20090005080U (ko) 피자 절단기
US20200047359A1 (en) Strawberry knife
KR100726583B1 (ko) 절곡가위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US11059192B1 (en) Cutting device with additional elements
CN105818170A (zh) 通用三刃波浪纹中空切片刀
KR20140006416U (ko) 개량형 부억칼
JP5968515B1 (ja) 波刃を備える調理器具
JP3207312U (ja) 凸状円弧刃ナイフ
US11850762B1 (en) Cutting device with additional elements
US5974671A (en) Cutting guide attachment for an electric knife
JP4392703B2 (ja) 千切り器に用いる被処理食材筋入れ体の製造方法
CN215471291U (zh) 凸线不粘刀
JP2016128200A (ja) 細の目スライ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