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56A -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56A
KR20170004056A KR1020150093881A KR20150093881A KR20170004056A KR 20170004056 A KR20170004056 A KR 20170004056A KR 1020150093881 A KR1020150093881 A KR 1020150093881A KR 20150093881 A KR20150093881 A KR 20150093881A KR 20170004056 A KR20170004056 A KR 20170004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red
compressor
red beans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832B1 (ko
Inventor
최상은
Original Assignee
최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은 filed Critical 최상은
Priority to KR102015009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8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0Stationary drums with moving interior agit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손쉽게 자동으로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식감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팥 알갱이가 적당히 으깨져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수분 함율이 향상되어 보습성이 우수하게 되면서 통팥의 영양가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타닌을 제거하고, 식감을 좋게할 수 있도록 팥은 세척기, 가열기, 믹서기, 선별기, 압축기, 교반증숙기를 단계적으로 거치는 공정을 통하여 팥 앙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기는 팥을 세척하기 위하여 물탱크 상측 가장자리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갖는 물 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후, 받침 플레이트에 올려진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샤프트에 교차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팥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게 되며,
상기 가열기는 세척기에서 세척된 팥을 증자 솥에 투입하고 열을 익히는 구성이며,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된 팥을 파쇄하는 믹서기가 형성되며, 상기 믹서기에서 파쇄된 팥은 선별기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선별기는 팥을 입도별로 선별하기 위한 망체와, 상기 망체에 올려지는 팥 앙금을 문질러서 쓸어 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브러쉬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기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압축기로 공급되며,
상기 압축기는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가 하강하면서 팥 포대를 압축시켜 수분을 배출하는 타공홈을 갖는 배출통이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교반 증숙기로 공급하고,
상기 교반 증숙기는 압축기를 통하여 형성되는 팥앙금은 교반기에 투입되어 반죽 되는 공정을 통하여 반죽된 팥 앙금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되는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HOLE RED BEANS}
본 발명은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손쉽게 자동으로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식감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팥 알갱이가 적당히 으깨져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수분 함율이 향상되어 보습성이 우수하게 되면서 통팥의 영양가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타닌을 제거하고, 식감을 좋게할 수 있도록 팥은 세척기, 가열기, 믹서기, 선별기, 압축기, 교반증숙기를 단계적으로 거치는 공정을 통하여 팥 앙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기는 팥을 세척하기 위하여 물탱크 상측 가장자리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갖는 물 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후, 받침 플레이트에 올려진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샤프트에 교차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팥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게 되며,
상기 가열기는 세척기에서 세척된 팥을 증자 솥에 투입하고 열을 익히는 구성이며,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된 팥을 파쇄하는 믹서기가 형성되며, 상기 믹서기에서 파쇄된 팥은 선별기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선별기는 팥을 입도별로 선별하기 위한 망체와, 상기 망체에 올려지는 팥 앙금을 문질러서 쓸어 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브러쉬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기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압축기로 공급되며,
상기 압축기는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가 하강하면서 팥 포대를 압축시켜 수분을 배출하는 타공홈을 갖는 배출통이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교반 증숙기로 공급하고,
상기 교반 증숙기는 압축기를 통하여 형성되는 팥앙금은 교반기에 투입되어 반죽 되는 공정을 통하여 반죽된 팥 앙금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되는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팥은 콩과 식물의 열매로 100g당 열량이 307cal 나 되는 뛰어난 건강식품이며, 단백질 20.94%, 지방 0.7%, 당질 51.13%, 수분 14.91% 외에 비타민 B1과 샤포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작용을 하며 장을 자극하여 변통을 좋게 하며, 독소를 체외로 배출하고 해독 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팥 앙금이란 팥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린 정통 앙금을 말하는 것으로, 주원료는 팥이며, 팥을 삶아 곱게 분쇄하여 팥의 이미, 이취를 제거한 앙금을 당을 첨가하여 조림한 것이다.
여기서, 팥 껍질을 분리하고 미세한 분체기를 통과한 팥 알갱이만으로 생산한 입자가 고운 앙금으로 떡이나 제과제빵 용으로 적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팥 앙금의 용도는 제과용 단팥빵, 모나카와 생과자용 황남빵, 만주와, 호도과자용, 떡용, 양갱용, 빙과류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통팥이란 팥을 통째로 삶아 팥의 입자와 팥 고유의 맛과 풍미를 살린 앙금을 말하는 것으로, 주원료는 팥이며 원료 팥을 통째로 껍질이 깨지지 않도록 속까지 익혀서 만든 앙금이다.
그리고, 팥 앙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정선된 팥을 세척하여 3 ~ 4시간 정도 증숙시킨 후 물기를 빼고 냉각시켜 죽 상태로 교반시킨 다음 건조하게 된다.
건조기에서 건조된 원료를 가마 속에 넣고 열을 가하여 볶는데, 이 과정에서 고루 교반하여 반죽 상태로 뭉친 원료를 흩어지게 하면서 열을 전달하여 볶아지게 하고 볶아진 상기 원료를 제분기에 넣고 파쇄시켜 미립자상태의 분말로 만들어서 통기성이 있는 포대에 포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팥앙금은 수작업을 통하거나 또는 부분적인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팥앙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단계 공정마다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또한 작업자가 육체적으로 힘든 상황이 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애로사항이 있어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번호 10-1029390 (2011.04.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손쉽게 자동으로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식감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팥 알갱이가 적당히 으깨져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수분 함율이 향상되어 보습성이 우수하게 되면서 통팥의 영양가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타닌을 제거하고, 식감을 좋게할 수 있는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팥은 세척기, 가열기, 믹서기, 선별기, 압축기, 교반 증숙기를 단계적으로 거치는 공정을 통하여 팥 앙금으로 형성되되,
상기 세척기는 팥을 세척하기 위하여 물탱크 상측 가장자리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갖는 물 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후, 받침 플레이트에 올려진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샤프트에 교차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팥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게 되며, 상기 물탱크 내부 양측에는 지지바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바의 길이는 물탱크 상부에서 바닥면까지 형성되어 교반시 폭넓게 퍼진 물속의 팥이 지지바에 부딪치면서 닿게 하는 작용에 의해 이물질이 떨어지게 형성하고, 상기 이물질은 물탱크 내부에 형성된 메쉬망을 통과한 후, 보관통으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열기는 세척기에서 세척된 팥을 증자 솥에 투입하고 열을 익히는 구성이며,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된 팥을 파쇄하는 믹서기가 형성되며,
상기 믹서기에서 파쇄된 팥은 선별기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선별기는 팥을 입도별로 선별하기 위한 망체와, 상기 망체에 올려지는 팥 앙금을 문질러서 쓸어 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브러쉬와, 상기 가압 브러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망체를 통과하는 팥 앙금을 저장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 내부에 저장된 팥 앙금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기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압축기로 공급되며,
상기 압축기는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가 하강하면서 팥 포대를 압축시켜 수분을 배출하는 타공홈을 갖는 배출통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교반 증숙기로 공급되며,
상기 교반 증숙기는 압축기를 통하여 형성되는 팥앙금은 교반기에 투입되어 반죽 되는 공정을 통하여 반죽된 팥앙금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되는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및 팥 앙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동선에 따라 세척기, 가열기, 믹서기, 선별기, 압축기, 교반 증숙기를 한 곳에 형성시켜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팥의 세척, 가열, 믹서, 선별, 압축 기능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되면서 팥 앙금의 맛을 균일하게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 공정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작업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 설비가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믹서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교반 증숙기를 나타낸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세척기(1), 가열기(2), 믹서기(3), 선별기(4), 압축기(5), 교반 증숙기(6)를 단계적으로 거치는 라인 공정을 통하여 팥 앙금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팥 앙금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도 2와 같이 작업 현장에는 상기의 같은 다수의 작업 라인 공정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의 작업 동선에 따라 세척기(1), 가열기(2), 믹서기(3), 선별기(4), 압축기(5), 교반 증숙기(6)가 한 곳에 모여 있어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기(1)는 도 3과 같이 물탱크(10) 상측 가장자리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11)을 갖는 물 공급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물 공급부(12)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물탱크 (10) 내부에 저장된 후, 받침 플레이트(13)에 올려진 구동모터(1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샤프트(15)에 교차 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16)의 회전에 의해 팥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게 된다.
여기서, 물탱크(10) 내부 양측에는 지지바(17)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바(17)의 길이는 물탱크(10) 상부에서 바닥면까지 형성되어 교반시 폭넓게 퍼진 물속의 팥이 지지바(17)에 부딪치면서 닿게 하는 작용에 의해 이물질이 떨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은 물탱크(10) 내부에 형성된 메쉬망(18)을 통과한 후, 보관통(19)으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한편, 세척기(1)에서 세척된 팥은 도 4와 같이 가열기(2)로 이동시킨 후, 증자 솥에 투입하고 열로 익히게 된다.
다음, 상기 가열기(2)를 통하여 삶아진 팥은 도 5와 같이 믹서기(3) 내부로 투입되어 파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믹서기(3)에서 얻어진 팥은 도 6과 같이 선별기(4)로 투입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선별기(4)는 팥을 입도별로 선별하기 위한 망체(20)와, 상기 망체(20)에 올려지는 팥 앙금을 문질러서 쓸어 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브러쉬(21)와, 상기 가압 브러쉬(2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2)는 샤프트(26)에 고정된 후, 구동모터(27)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망체(20)를 통과하는 팥 앙금을 저장하는 호퍼(28)와, 상기 호퍼(28) 내부에 저장된 팥 앙금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출구(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기(4)에서 생산된 팥 앙금은 압축기(5)로 공급된다.
여기서, 압축기(5)는 작동레버(31)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유압 실린더(미도시됨)와,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33)와, 상기 플랜지(33)와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가압 플레이트(34)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 플레이트(34)는 타공홈(35)을 갖는 배출통(36) 내부로 하강하면서증숙된 팥 포대를 압축시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압축기(5)를 통해 수분이 배출된 팥 앙금은 교반증숙기(6)에 투입하여 반죽하는 공정을 통하여 팥앙금이 만들어지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업 공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작업장 내부에는 작업자의 이동 동선에 따라 세척기(1), 가열기(2), 믹서기(3), 선별기(4), 압축기(5), 교반 증숙기(6)로 이어지는 작업 라인을 다수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팥은 세척기(1), 가열기(2), 믹서기(3), 선별기(4), 압축기(5), 교반 증숙기(6)를 단계적으로 거치는 공정을 통하여 팥 앙금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세척기(1)는 팥을 세척하기 위하여 물탱크(10) 상측 가장자리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11)을 갖는 물 공급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물 공급부(12)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물탱크(10) 내부에 저장된 후, 받침 플레이트(13)에 올려진 구동모터(1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샤프트(15)에 교차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16)의 회전에 의해 팥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게 되며,
상기 물탱크(10) 내부 양측에는 지지바(17)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바(17)의 길이는 물탱크(10) 상부에서 바닥면까지 형성되어 교반시 폭넓게 퍼진 물속의 팥이 지지바(17)에 부딪치면서 닿게 하는 작용에 의해 이물질이 떨어지게 형성하고, 상기 이물질은 물탱크(10) 내부에 형성된 메쉬망(18)을 통과한 후, 보관통(19)으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가열기(2는 세척기(1)에서 세척된 팥을 증자 솥에 투입하고 열로 익히는 단계;
상기 가열기(2)에서 가열된 팥을 믹서기(3)로 파쇄하는 단계;
상기 믹서기(3)에서 파쇄된 팥은 선별기(4)로 공급되고,
상기 선별기(4)는 팥을 입도별로 선별하기 위한 망체(20)와, 상기 망체(20)에 올려지는 팥 앙금을 문질러서 쓸어 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브러쉬(21)와, 상기 가압 브러쉬(2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2)와,
상기 고정부재(22)와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하는 샤프트(26)와, 상기 샤프트(26)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7)와, 상기 망체(20)를 통과하는 팥 앙금을 저장하는 호퍼(28)와, 상기 호퍼(28) 내부에 저장된 팥 앙금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출구(29)가 형성된 후,
상기 선별기(4)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압축기(5)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5)는 작동레버(31)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33)와, 상기 플랜지(33)와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가압 플레이트(34)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34)가 하강하면서 팥 포대를 압축시켜 수분을 배출하는 타공홈(35)을 갖는 배출통(36)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5)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교반 증숙기(6)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교반 증숙기(6)는 압축기(5)를 통하여 형성되는 팥 앙금은 교반기에 투입되어 반죽 되는 공정을 통하여 반죽 된 팥앙금이 만들어지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팥 앙금의 제조 공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작업자가 팥 세척시 포대 내부에 보관 되어진 팥을 세척기(1)에 투입시켜 세척하는 제 1공정;
상기 세척 공정을 마친 팥은 가열기(2) 내부에 투입되어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제 2공정;
상기 가열기(2)를 통하여 삶은 팥은 믹서기(3) 내부에 투입되어 팥 알갱이가 적당히 으깨져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도록 분쇄하는 제 3공정;
상기 믹서기(3)를 통해 만들어진 팥 분쇄물은 선별기(4) 내부로 투입되어 팥 앙금을 선별하는 제 4공정;
상기 선별기(4)를 통해 만들어진 팥 앙금은 포대에 저장된 후, 압축기(5)에 형성된 배출통(36) 내부에 수용시킨 다음 실린더 로드의 작동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34)를 하강시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5공정;
상기 압축기(5)를 통하여 형성되는 팥 앙금은 교반 증숙기(6) 내부에 투입되어 일정 시간동안 교반 증숙 과정을 진행하는 제 6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기(1), 가열기(2), 믹서기(3), 선별기(4), 압축기(5), 교반 증숙기(6)로 이어지는 작업 공정 라인을 통하여 팥 앙금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의 동선에 따라 세척기, 가열기, 믹서기, 선별기, 압축기, 교반 증숙기를 한 곳에 형성시켜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팥의 세척, 가열, 믹서, 선별, 압축 기능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되면서 팥 앙금의 맛을 균일하게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세척기 2. 가열기
3. 믹서기 4. 선별기
5. 압축기 6. 교반증숙기
10. 물탱크 11. 노즐
12. 물 공급부 13. 받침 플레이트
14. 구동모터 15. 샤프트
16. 교반날개 17. 지지바
18. 메쉬망 19. 보관통
20. 망체 21. 가압 브러쉬
22. 고정부재 26. 샤프트
27. 구동모터 28. 호퍼
29. 배출구 30. 선별부
31. 작동레버 33. 플랜지
34. 가압 플레이트 35. 타공홈
36. 배출통

Claims (2)

  1. 팥은 세척기(1), 가열기(2), 믹서기(3), 선별기(4), 압축기(5), 교반 증숙기(6)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공정 단계를 통하여 팥 앙금으로 형성되되,
    상기 세척기(1)는 팥을 세척하기 위하여 물탱크(10) 상측 가장자리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11)을 갖는 물 공급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물 공급부(12)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물탱크(10) 내부에 저장된 후, 받침 플레이트(13)에 올려진 구동모터(1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샤프트(15)에 교차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16)의 회전에 의해 팥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게 되며,
    상기 물탱크(10) 내부 양측에는 지지바(17)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바(17)의 길이는 물탱크(10) 상부에서 바닥면까지 형성되어 교반시 폭넓게 퍼진 물속의 팥이 지지바(17)에 부딪치면서 닿게 하는 작용에 의해 이물질이 떨어지게 형성하고, 상기 이물질은 물탱크(10) 내부에 형성된 메쉬망(18)을 통과한 후, 보관통(19)으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기(2)는 세척기(1)에서 세척된 팥을 증자 솥에 투입하고 열로 익히는 단계;와,
    상기 가열기(2)에서 가열된 팥을 믹서기(3)로 파쇄하는 단계;와,
    상기 믹서기(3)에서 파쇄된 팥은 선별기(4)로 공급되고,
    상기 선별기(4)는 팥을 입도별로 선별하기 위한 망체(20)와, 상기 망체(20)에 올려지는 팥 앙금을 문질러서 쓸어 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 브러쉬(21)와, 상기 가압 브러쉬(2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2)와,
    상기 고정부재(22)와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하는 샤프트(26)와, 상기 샤프트(26)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7)와, 상기 망체(20)를 통과하는 팥 앙금을 저장하는 호퍼(28)와. 상기 호퍼(28) 내부에 저장된 팥 앙금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출구(29)가 형성된 후,
    상기 선별기(4)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압축기(5)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기(5)는 작동레버(31)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33)와, 상기 플랜지(33)와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가압 플레이트(34)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34)가 하강하면서 팥 포대를 압축시켜 수분을 배출하는 타공홈(35)을 갖는 배출통(36)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5)에서 공급되는 팥 앙금은 교반 증숙기(6)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 증숙기(6)는 압축기(5)를 통하여 형성되는 팥 앙금은 교반기에 투입되어 반죽 되는 공정을 통하여 반죽 된 팥앙금이 만들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 앙금의 제조 시스템.
  2. 작업자가 포대 내부에 보관 되어진 팥을 세척기(1)에 투입시켜 세척하는 제 1공정;
    상기 세척 공정을 마친 팥은 가열기(2) 내부에 투입되어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제 2공정;
    상기 가열기(2)를 통하여 삶은 팥은 믹서기(3) 내부에 투입되어 팥 알갱이가 으깨져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도록 분쇄하는 제 3공정;
    상기 믹서기(3)을 통해 만들어진 팥 분쇄물은 선별기(4) 내부로 투입되어 팥 앙금을 선별하는 제 4공정;
    상기 선별기(4)을 통해 만들어진 팥 앙금은 포대에 저장된 후, 압축기(5)에 형성된 배출통(36) 내부에 수용시킨 다음 실린더 로드의 작동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34)가 하강하면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5공정;
    상기 압축기(5)를 통하여 형성되는 팥 앙금은 교반 증숙기(6) 내부에 투입되어 일정시간 동안 교반 증숙 과정을 진행하는 제 6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 앙금의 제조방법.
KR1020150093881A 2015-07-01 2015-07-01 팥 앙금 제조방법 KR10181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81A KR101817832B1 (ko) 2015-07-01 2015-07-01 팥 앙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81A KR101817832B1 (ko) 2015-07-01 2015-07-01 팥 앙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56A true KR20170004056A (ko) 2017-01-11
KR101817832B1 KR101817832B1 (ko) 2018-01-11

Family

ID=5783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881A KR101817832B1 (ko) 2015-07-01 2015-07-01 팥 앙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8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7652A (zh) * 2018-05-30 2018-09-14 江苏力连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混凝土搅拌机
CN113714098A (zh) * 2021-08-13 2021-11-30 唐勍 一种肥料筛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21B1 (ko) 2022-12-02 2023-11-06 (주)학화1934 앙금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390B1 (ko) 2010-11-09 2011-04-14 문현주 통팥 앙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710B1 (ko) * 2009-07-20 2010-06-11 이주성 해조류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390B1 (ko) 2010-11-09 2011-04-14 문현주 통팥 앙금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7652A (zh) * 2018-05-30 2018-09-14 江苏力连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混凝土搅拌机
CN113714098A (zh) * 2021-08-13 2021-11-30 唐勍 一种肥料筛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832B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954B2 (en) Equipment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edible seeds in general
WO2006070980A1 (en) Food cooker with crushing and heating functions
KR101817832B1 (ko) 팥 앙금 제조방법
EP07158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roasting of food materials
CN103504103B (zh) 一种猴头花生牛轧糖及其制备方法
KR20230152034A (ko) 현탁액 제조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207463380U (zh) 一种饲料加工筛选装置
KR101809381B1 (ko) 알밥 성형장치
KR102473448B1 (ko)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
KR101710788B1 (ko) 팥앙금 입도별 선별 및 분쇄장치
CN205648821U (zh) 一种新型糕点和面机
KR100671420B1 (ko) 새싹을 틔운 곡물 기름의 제조방법
CN114557423B (zh) 一种用于速食米的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
KR101189406B1 (ko) 야콘빵, 야콘이 함유된 제과, 제빵 및 제면용 원료제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1632B1 (ko) 산채찐빵 자동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산채찐빵 제조방법
CN109221570A (zh) 一种桑果功能型牛轧糖及其制备方法
JP3527703B2 (ja) にんにく卵黄の製造方法
KR20180065006A (ko) 알밥 성형장치
JP4261618B1 (ja) 芋入りおからの製造方法および芋入りおから食品
JP7182286B2 (ja) 食材粉体製造方法
CN203794857U (zh) 一种适用于粮油加工的导热油炒锅
KR101849013B1 (ko) 알밥 성형장치
KR100915249B1 (ko) 향미가 개선된 티백형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TWI526180B (zh) Food and beverage making machine
IES990741A2 (en) A manufacturing process for coffee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