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926U - 피난유도선 - Google Patents

피난유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926U
KR20170003926U KR2020160002548U KR20160002548U KR20170003926U KR 20170003926 U KR20170003926 U KR 20170003926U KR 2020160002548 U KR2020160002548 U KR 2020160002548U KR 20160002548 U KR20160002548 U KR 20160002548U KR 20170003926 U KR20170003926 U KR 201700039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vacuation
frame
frame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884Y1 (ko
Inventor
유경미
Original Assignee
유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미 filed Critical 유경미
Priority to KR2020160002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8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09F2013/0459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난유도선이 제공된다. 상기 피난유도선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지시하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타공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타공부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프레임부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발광부가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난유도선{EMERGENCY GUIDE LINE}
본 고안은 피난유도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 등에 고정 설치되어 화재 등의 비상 시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피난유도선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건물 내부 또는 터널 등의 건축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대피자들은 건축물의 비상구 또는 안전지대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피난유도선은 대피자들에게 대비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시킴으로써, 대형 참사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피난유도선은 비상시에 대피 방향 식별이 용이해야 하며, 화재 시 열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피난유도선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케이스에 대피 방향 표식이 인쇄된 난연 PC(polycarbonate)를 부착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대피 방향 표식의 변형이 빠르게 진행되고, 외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피난유도선은 비교적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가지며, 이러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피난유도선을 구성하게 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 및 화재에 의한 변형이 적고, 단순화된 구조를 통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피난유도선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난유도선이 제공된다. 상기 피난유도선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지시하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타공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타공부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프레임부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발광부가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결합부 사이에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발광부의 배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전선부를 보호하는 난연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공부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발광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는 착색된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광부가 프레임부에 직접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피난유도선의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비용 절감 및 제조/설치 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방향 표지를 위해 별도의 난연 PC를 사용하지 않고, 착색된 금속재질을 소정의 방향의 형상으로 타공하여 프레임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화재시 피난유도선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분해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분해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피난유도선(100)은 프레임부(110), 고정부(120), 발광부(130), 전선부(140), 확산필름(150) 및 난연필름(16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피난유도선(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소정의 두께 및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부(111)가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공부(111)는 발광부(13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통과시켜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피난 방향에 대한 정보를 대피자 등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타공부(111)는 피난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공부(111)는,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한글, 영문, 한자 등 대피 방향 및 장소를 지시하는 다양한 도형이나 기호가 프레임부(110)에 타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피난유도선(100)은 별도의 인쇄지, 도료, 난연 PC 등의 사용없이 프레임부(110)에 직접 관통 형성된 타공부(111)의 형상을 통해 피난 방향을 지시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화재 발생으로 인해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표식이 용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고온에서 타거나, 형태가 용이 변형되지 않도록 내화 금속 또는 내열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난연 PC(polycarbonate) 등을 부착하던 종래의 피난유도선보다 강도 및 내열성이 향상된 피난유도선(100)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10)의 표면은 소정의 색상으로 착색될 수 있다. 즉, 대피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색상을 금속 재료의 프레임부(110)에 착색시킴으로써, 대피자들에게 피난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부(110)를 녹색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시킬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10)의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12)를 통해 프레임부(110)에 발광부(130)가 착탈될 수 있게 된다. 결합부(112)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고정부(120)는 피난유도선(100)을 벽면, 천장, 또는 난간 등의 설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이 절곡된 납작한 막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0)의 양 단에는 나사, 볼트 등의 고정 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10)의 배면을 벽에 밀착시킨 다음 고정부(120)의 일 영역(특히, 중심 부분)을 프레임부(110)의 전면에 밀착하고, 고정부(120)의 양 단을 고정 부재를 통해 벽면 등에 결합함으로써, 피난유도선(100)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고정부(120)의 형상 및 결합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발광부(130)는 프레임부(110)의 배면 방향에서 결합되되 프레임부(110)에 형성된 타공부(11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1 이상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광부(130)에서 발광되는 빛이 타공부(11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대피자로 하여금 타공부(1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피난 방향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30)의 발광 영역은 타공부(111)의 크기에 대응하거나 클 수 있다. 발광부(130)는, 소정의 두께의 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112)를 통해 프레임부(110)의 배면에 착탈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발광부(130)는 LED 소자 등의 발광 소자, 기판 등을 포함하고, 전선부(140)에 의한 전원 공급에 따라, 온, 오프(On/Off)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난유도선(100)은 발광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발광부(13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130)는 적어도 일면이 야광물질 또는 축광물질로 구성되어 전원 공급없이 자체적으로 발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확산필름(150)은 타공부(111)각각에 대응하도록 프레임부(110)와 발광부(13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확산필름(150)은 타공부(111)의 크기에 대응하거나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타공부(111)를 밀폐시킬 수 있다. 즉, 확산필름(150)이 타공부(111)를 배면방향에서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타공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확산필름(15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반투명한 재질의 확산필름(150)은 표면을 샌딩(Sanding) 처리하거나, 약품 처리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반투명 재질을 통해 발광부(130)로부터 발생한 빛을 부드럽게 퍼트려 줌으로써, 대피자의 눈부심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확산필름(15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난연필름(160)은 프레임부(110) 및 발광부(130)의 배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난연필름(160)의 일 면에는 소정의 접착 물질이 도포된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난연필름(160)은 발광부(130) 및 전선부(140)를 화염과 열로부터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난연필름(160)이 프레임부(110)의 일부(특히, 결합부(도 3의 112))와 발광부(130)의 배면에 걸쳐 결합되는 경우, 발광부(130)의 고정을 보조하여, 발광부(130)가 프레임부(110)로부터 임의 분리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분해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10)는 발광부(1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2) 각각은 프레임부(11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프레임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결합부(112)가 프레임부(110)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을 이루며, 서로 대향하는 이러한 결합부(112) 사이에 타공부(111)가 각각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발광부(130)는 프레임부(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결합부(112) 사이에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2) 각각의 선단은 프레임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거나 또는 일 영역이 돌출됨으로써, 걸림 단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광부(130)가 대향하는 2개의 결합부(112) 사이로 삽입되어 이러한 걸림 단턱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발광부(130)는 결합부(112) 사이에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워맞춤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결합부(112)의 적어도 일부(특히, 걸림 단턱)는 소정 이상의 변형력 및 복원력을 갖는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분해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난유도선(200)은 프레임부(210), 고정부(220), 발광부(230), 확산필름(250), 난연필름(260), 결합판(270) 및 결합 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발광부(2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210)의 일부, 결합판(270) 및 결합 부재(2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피난유도선(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부(210)는 폭 방향의 양 단이 프레임부(210)의 중심을 향하여 다단 절곡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레임부(210)의 전면 부분으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안착면(2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안착면(212)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결합 부재(280)가 결합되는 결착홈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판(270)은 결합 부재(280)를 통해 프레임부(210)의 안착면(212)에 결합됨으로써, 발광부(230) 및 확산필름(250)을 프레임부(2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필름(250) 및 발광부(230)를 타공부의 형성 위치에 차례로 밀착시키고, 결합판(270)의 양 단을 결합 부재(280)를 통해 각각 안착면(212)에 결합함으로써, 확산필름(250) 및 발광부(230)가 프레임부(210)에 밀착하여 장착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결합 부재(280)는, 예를 들어, 볼트, 나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결합판(270)의 결합 후, 결합판(270)의 배면에는 난연필름(260)이 부착되어, 외부의 열, 이물질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유도선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유도선(100)은 건축물 벽면, 천장 등의 일 영역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피난유도선(100)은 건축물의 형태, 설치 위치 등에 적합하도록 길이, 폭, 색상 등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치를 요하는 벽면 등의 길이가 길거나, 또는, 일부 구간이 절곡된 경우에는, 복수의 피난유도선(100)을 연속 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차례로 배치함으로써, 피난유도선(100)의 설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벽면 등에도 피난유도선(100)을 적합한 길이로 구현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피난 유도선 110, 210 : 프레임부
111 : 타공부 112 : 결합부
120 : 고정부 130, 230 : 발광부
140 : 전선부 150, 250 : 확산필름
160, 260 : 난연필름 212 : 안착면
270 : 결합판 280 : 결합 부재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지시하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타공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타공부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발광부가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피난유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결합부 사이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피난유도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피난유도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부를 더 포함하는, 피난유도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발광부의 배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전선부를 보호하는 난연필름을 더 포함하는, 피난유도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발광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필름을 더 포함하는, 피난유도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착색된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피난유도선.
KR2020160002548U 2016-05-11 2016-05-11 피난유도선 KR200490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48U KR200490884Y1 (ko) 2016-05-11 2016-05-11 피난유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48U KR200490884Y1 (ko) 2016-05-11 2016-05-11 피난유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26U true KR20170003926U (ko) 2017-11-21
KR200490884Y1 KR200490884Y1 (ko) 2020-01-16

Family

ID=6048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548U KR200490884Y1 (ko) 2016-05-11 2016-05-11 피난유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423B1 (ko) 2020-07-20 2020-11-24 주식회사 삼인에이치엔티 재난발생시 전자종이를 이용한 피난 방향 안내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91Y1 (ko) * 2003-12-29 2004-04-06 화성방재(주) 피난유도등
JP2007322585A (ja) * 2006-05-31 2007-12-13 Kuniaki Komaki 誘導シール及び誘導シールの製造方法
KR100950319B1 (ko) * 2009-08-05 2010-03-31 (주)리더스테크 피난유도 표시구
KR100986145B1 (ko) * 2009-11-05 2010-10-07 윤병기 피난유도 시스템
KR20100010547U (ko) * 2009-04-17 2010-10-27 피완수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KR101021056B1 (ko) * 2010-05-12 2011-03-15 박용규 연속적인 선형 발광 특성을 갖는 발광 피난 유도선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0632A (ko) * 2010-06-28 2012-01-04 문현숙 Led 점멸 피난 유도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91Y1 (ko) * 2003-12-29 2004-04-06 화성방재(주) 피난유도등
JP2007322585A (ja) * 2006-05-31 2007-12-13 Kuniaki Komaki 誘導シール及び誘導シールの製造方法
KR20100010547U (ko) * 2009-04-17 2010-10-27 피완수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KR100950319B1 (ko) * 2009-08-05 2010-03-31 (주)리더스테크 피난유도 표시구
KR100986145B1 (ko) * 2009-11-05 2010-10-07 윤병기 피난유도 시스템
KR101021056B1 (ko) * 2010-05-12 2011-03-15 박용규 연속적인 선형 발광 특성을 갖는 발광 피난 유도선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0632A (ko) * 2010-06-28 2012-01-04 문현숙 Led 점멸 피난 유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84Y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0190A (ko) 발광 스트라이프 및 발광 스트라이프 시스템
CN103038573A (zh) 低剖面的压制件
KR101021056B1 (ko) 연속적인 선형 발광 특성을 갖는 발광 피난 유도선 및 그 제조방법
US9841151B2 (en) Belt-like LED light
JP5793274B1 (ja) Led照明装置
KR20170003926U (ko) 피난유도선
EP3132184B1 (en) Flexible ribbon led module
JP6104734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
US9435516B2 (en) Fixing strip for a light-source band
KR101483372B1 (ko) 피난 유도등 조립체
KR102421907B1 (ko) 안전캡 장치
JP6029789B2 (ja) Led照明装置
US10876689B1 (en) Lighting tube system for uniform signage illumination
JP5795114B1 (ja) Led照明装置
JP2016021369A (ja) Led照明装置
KR200460253Y1 (ko) 수배전반
CN213935529U (zh) 一种吊装式消防标志灯
WO2017082332A1 (ja) Led照明装置、led照明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6840318B2 (ja) 照明パネル
KR200329862Y1 (ko) 비상 발광표시 디스플레이
KR20120008569A (ko) 엘리베이터의 도착표시장치
KR20160001728U (ko) 피난유도선
KR200434530Y1 (ko) 축광식 비상 유도등
JP7333723B2 (ja) 照明装置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