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41U -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41U
KR20170003841U KR2020160002957U KR20160002957U KR20170003841U KR 20170003841 U KR20170003841 U KR 20170003841U KR 2020160002957 U KR2020160002957 U KR 2020160002957U KR 20160002957 U KR20160002957 U KR 20160002957U KR 20170003841 U KR20170003841 U KR 201700038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stone
free en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concre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862Y1 (ko
Inventor
우성호
Original Assignee
우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호 filed Critical 우성호
Publication of KR20170003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9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completely or partially of insulating material, e.g. cellular concrete or foamed plas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경량보드는 천연 석재로 가공된 천연석층 및, 접착제에 의해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에 부착되며, 벌집 모양의 셀 구조로 연결된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량보드 고정장치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배치되어 설치 구조물의 전면에 이격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단부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경량보드와, 상기 설치 구조물의 전면에 일측 제1고정단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반대되는 제1자유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고정 브라켓과, 일단의 제2고정단이 상기 제1자유단과 교차로 밀착 결합되고, 반대되는 제2자유단이 상기 경량보드들 간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2자유단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제1고정단과 상기 설치 구조물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단과 상기 제1자유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LIGHT-WEIGHT PANEL AND FIXED APPARATUS THEREOF}
본 고안은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집 모양의 공기층 구조를 갖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천연석층의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접착제의 장력에 의한 휨이나 뒤틀림이 없어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얇은 두께의 천연석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있으며, 추가적인 본딩 작업 및 보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자재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나 바닥에는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의 천연석재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석재패널은, 시각적인 만족감과 더불어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소재 자체의 가격이 비싸고 중량도 많이 나가기 때문에 취급의 어려움이 있었고,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므로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천연석재패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석재패널과 세라믹 타일 등을 접착제로 부착시킨 복합패널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복합패널은 천연석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중량도 적게 나가므로 취급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복합패널은 첩착제를 이용해 천연석재와 세라믹 타일 등을 부착시키는 경우, 접착제의 장력 발생에 의해 복합패널의 휨이나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추가적인 본딩 작업 및 보강 작업을 필요로 하였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41407호(2002년 06월 0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천연 석재 가시 면을 갖는 복합 타일 및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벌집 모양의 공기층 구조를 갖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천연석층의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압축 강도와 인장 강도가 뛰어나므로 접착제의 장력에 의한 휨이나 뒤틀림이 없어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얇은 두께의 천연석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있으며, 추가적인 본딩 작업 및 보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천연석층의 배면에 보강대를 추가적으로 부착함으로써, 경량보드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어, 경량보드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대에 결합홈을 형성시킨 후, 설치 구조물에 결합된 고정장치의 일단을 결합홈에 결합시킴으로써, 경량보드의 결합 부위가 쉽게 파손되지 않고, 고정장치와 결합홈의 결합 부위가 외부로 크게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는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경량보드는 천연 석재로 가공된 천연석층 및, 접착제에 의해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에 부착되며, 벌집 모양의 셀 구조로 연결된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에는, 보강대가 더 부착되며, 상기 보강대는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측단에 밀착되도록 하나 또는 다수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측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간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는 상기 간격부들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대는, 화이버시멘트(fiber cement)를 이용하며, 상기 화이버시멘트는 시멘트(cement), 실리카 파우더(silica Powder), 강화 섬유(fib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은 포틀란드 시멘트(portland cement), 물, 압축공기, 플라이애쉬(flyash), 포졸란(pozzolans), 섬유(fiber), 발포제(foam)을 포함하며, 상기 발포제는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erene), 알루미늄 파우더(aluminum powde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경량보드 고정장치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배치되어 설치 구조물의 전면에 이격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단부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경량보드와, 상기 설치 구조물의 전면에 일측 제1고정단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반대되는 제1자유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고정 브라켓과, 일단의 제2고정단이 상기 제1자유단과 교차로 밀착 결합되고, 반대되는 제2자유단이 상기 경량보드들 간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2자유단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제1고정단과 상기 설치 구조물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단과 상기 제1자유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량보드는 천연 석재로 가공된 천연석층과, 접착제에 의해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에 부착되며, 벌집 모양의 셀 구조로 연결된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및,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부착되며, 일단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보강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상기 보강대의 대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자유단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보조 걸림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 걸림돌기는 상기 결합돌기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어, 상기 보강대의 배면을 전방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수직하게 관통 결합되는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홀은 상기 지지판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대는 화이버시멘트(fiber cement)를 이용하며, 상기 화이버시멘트는 시멘트(cement), 실리카 파우더(silica Powder), 강화 섬유(fib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벌집 모양의 공기층 구조를 갖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천연석층의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압축 강도와 인장 강도가 뛰어나므로 접착제의 장력에 의한 휨이나 뒤틀림이 없어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얇은 두께의 천연석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있으며, 추가적인 본딩 작업 및 보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천연석층의 배면에 보강대를 부착함으로써, 보드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어, 경량보드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보강대에 결합홈을 형성시킨 후, 설치 구조물에 결합된 고정장치의 일단을 결합홈에 결합시킴으로써, 경량보드의 결합 부위가 쉽게 파손되지 않고, 고정장치와 결합홈의 결합 부위가 외부로 크게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에 보강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에 보강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지지판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에 보강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에 보강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과 도 4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100)는 천연석층(화강암, 대리석 등, 110) 및, 경량기포콘크리트층(ALC: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12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천연석층(110)은 자연 그대로의 석재를 일정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 상기 천연석층(110)은 도 1에서처럼 테두리 부위를 직사각, 사각 등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연석층(110)의 전면과 배면은 평평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고, 상기 천연석층(110)의 전면은 일정 두께로 박리시킨 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표면 처리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석층(110)의 표면 처리 방법은 물갈기(wet rubbing), 브러싱(brushing), 샌딩(sanding)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천연석층(110)의 전면은, 석재가 가지는 자연 그대로의 무늬 및 질감이 외부로 표현되므로, 인공적인 소재가 가지지 못하는 자연스러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은, 접착제(본드 등, A)를 이용해 천연석층(110)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 2에서처럼 천연석층(110)의 테두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은 벌집 모양의 셀 구조로 연결된 다수의 공기층(121)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층(121)은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의 표면을 통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층(121)은 다수의 방향이 서로 연결된 벌집 모양을 가지므로,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가 뛰어나 수분의 이동에 따른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벌집 모양의 공기층(121)은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고, 가벼우며 내구성(耐久性)이 좋으므로, 접착제(본드 등)의 장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견뎌내는 강도가 탁월하여 내어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은 포틀란드 시멘트(portland cement), 물, 압축공기, 플라이애쉬(flyash), 포졸란(pozzolans), 섬유(fiber), 발포제(foam)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제는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erene), 알루미늄 파우더(aluminum powder)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연석층(110)의 배면에는 도 3과 도 4에서처럼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13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30)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의 측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천연석층(110)의 배면에 하나 또는 다수로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석층(110)의 배면측 상부와 하부에는 보강대(130)가 부착될 수 있는 한 쌍의 간격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대(130)는 간격부(111)들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대(130)의 일단이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의 양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천연석층(110)의 좌우 방향 테두리와 나란하게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의 상하 방향측 양단은 천연석층(110)의 좌우 방향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간격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석층(110)의 배면에는 상기 경량기포큰크리트층(120)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부 간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천연석(110)층의 하부에는 하부 간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접착제(본드 등, A)를 이용해 보강대(130)의 전면을 를 상부 및 하부 간격부(111)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간격부(111)에 부착된 보강대(130)의 하단이 경량기포큰크리트층(120)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된다.
반면, 상기 하부 간격부(112)에 부착된 보강대(130)의 상단이 경량기포큰크리트층(120)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된다.
또한, 상부 간격부(111)에 부착된 보강대(130)의 상단은 천연석층(110)의 상단과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부 간격부(112)에 부착된 보강대(130)의 하단은 천연석층(110)의 하단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대(130)는, 화이버시멘트(fiber cement board)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보강대(130)는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이버시멘트는 시멘트(cement), 실리카 파우더(silica powder), 강화 섬유(fiber)를 물과 배합하여 가압한 후, 양생 과정을 거쳐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내수 성능과 불연 성능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보강대(130)는 천연석층(110) 및 경량기포큰크리트층(120)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어, 경량보드(100)가 접착제(A)의 장력 작용에 의해 변형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의 제조단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는, 천연석층(110)을 가공하는 단계와,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을 제조하는 단계와, 천연석층(110)의 배면에 경량기포콘크리층(120)을 부착 후 양생하는 단계와, 천연석층(110)의 전면을 평평하게 박리하는 단계 및, 천연석층(110)의 전면을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천연석층(110)을 일정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는 자연 그대로의 천연석재(화강암, 대리석 등)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한다.
그리고, 천연석층(110)을 일정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천연석층(110)은 상기 천연석층(110)의 전면 및 배면은 평평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천연석층(110)을 일정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천연석층(110)은 테두리 부위를 직사각, 사각 등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을 제조하는 단계는 천연석층(110)의 배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전면을 평평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천연석층(110)의 배면에 경량기포콘크리층(120)을 부착 후 양생하는 단계는 접착제(A)의 접착력을 이용해 천연석층(110)과 경량기포콘크리층(120)을 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양생하는 건조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기구를 이용해 천연석층(110)과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의 부착 방향으로 일정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천연석층(110)과 경량기포콘크리층(120)은, 일체로 부착되어 설치 구조물(10)의 외면에 벽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하나의 보드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천연석층(110)의 전면을 평평하게 박리하는 단계는 별도의 박리용 기구를 이용해 천연석층(110)의 전면을 얇게 박리하여 평평한 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천연석층(110)의 전면을 마감처리 하는 단계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천연석층(110)의 표면을 부드럽게 가공할 수 있다.
아울러, 천연석층(110)의 전면을 마감처리 하는 단계의 이후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의 테두리측 단면에 밀착되도록 천연석층(110)의 배면에 보강대(130)를 더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대(130)를 더 부착하는 단계에서는 접착제(본드 등, A)의 접착력을 이용해 천연석층(110)의 배면에 상기 보강대(13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 고정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 구성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반복적으로 기재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의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지지판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량보드 고정장치(200)는 고정 브라켓(210)과, 지지판(220) 및, 체결부재(230)로 구비된다.
여기서, 경량보드(100)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배치되어 설치 구조물(10)의 전면에 이격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단부에 결합홈(14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량보드(100)들은 상하 방향뿐 아니라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어 설치 구조물(10)의 외면을 덮는 일정 넓이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홈(140)은, 다수의 경량보드(100)를 수직하게 배열하는 경우, 상기 경량보드(100)의 측방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경량보드(100)들 중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는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간격을 통해 후술 될 제2자유단(232)이 수평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40)은 경량보드(100)를 수직하게 배열시켜, 상하 방향에 보강대(130)를 위치시키는 경우, 도 5에서처럼 보강대(1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브라켓(220)은, 설치 구조물(10)의 전면에 일정 높이로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220)의 일측 제1고정단(221)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반대되는 제1자유단(222)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지지판(230)은, 고정 브라켓(220)의 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230)은 고정 브라켓(220)과 경량보드(100)를 상호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30)은 일단의 제2고정단(231)이 제1자유단(222)과 교차로 밀착 결합되고, 반대되는 제2자유단(232)이 경량보드(100)들 간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자유단(232)의 상부와 하부에는 결합홈(211)에 대응 삽입되도록 결합돌기(23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233)는 결합홈(211)에 흔들림 없이 삽입되도록 결합홈(211)과 대응되는 전후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자유단(232)의 상부와 하부에는 보조 걸림돌기(234)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 걸림돌기(234)는 결합돌기(233)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어, 경량보드(100)의 배면을 전방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지지판(230)은, 제2자유단(232)을 경량보드(100)들의 사이 간격으로 수평하게 삽입한 후, 결합돌기(233)를 결합홈(211)에 수직하게 삽입한다.
이때, 보조 걸림돌기(234)와 결합돌기(233)의 사이 간격에 보강대(130)가 위치되며, 상기 보조 걸림돌기(234)의 전면이 보강대(130)의 배면을 흔들림 없이 지지한다.
아울러, 지지판(230)에는 후술 될 체결부재(240)가 수직하게 관통 결합되는 장홀(235)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장홀(235)은 지지판(230)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체결부재(240)는, 제1고정단(221)과 설치 구조물(10)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고, 제2고정단(231)과 제1자유단(222)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240)는 설치 구조물(10)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단(231)과 제1자유단(222)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경량보드(100)들 간의 이격된 부위에는 도 5에서처럼 제2자유단(222)의 전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마감재를 채워 넣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장치(200)는 다수의 경량보드(100)를 수직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므로 경량보드(100)의 설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220)의 결합돌기(223)가 보강대(130)의 결합홈(140)에 삽입됨과 동시에, 보조 걸림돌기(224)가 일정 강도를 갖는 보강대(130)의 배면을 지지하므로, 경량보드(100)의 결합 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벌집 모양의 공기층 구조를 갖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120)을 천연석층(110)의 배면에 부착함과 아울러, 천연석층(100)의 배면에 보강대(130)를 부착함으로써, 압축 강도와 인장 강도가 뛰어나므로 접착제(A)의 장력에 의한 휨이나 뒤틀림이 없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얇은 두께의 천연석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과 경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본딩 작업 및 보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보강대(130)에 결합홈(140)을 형성시킨 후, 설치 구조물(10)에 결합된 고정장치(200)의 일단을 보강대(130)에 결합시킴으로써, 경량보드(100)의 결합 부위가 쉽게 파손되지 않고, 고정장치(200)와 결합홈(140)의 결합 부위가 외부로 크게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설치 구조물 100: 경량보드
110: 천연석층 111: 상부 간격부
112: 하부 간격부 120: 경량기포콘크리트층
121: 공기층 130: 보강대
140: 결합홈 200: 고정장치
210: 고정 브라켓 211: 제1고정단
212: 제1자유단 220: 지지판
221: 제2고정단 222: 제2자유단
223: 결합돌기 224: 보조 걸림돌기
225: 장홀 230: 체결부재
A: 접착제

Claims (10)

  1. 천연 석재로 가공된 천연석층; 및
    접착제에 의해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에 부착되며, 벌집 모양의 셀 구조로 연결된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에는,
    보강대가 더 부착되며,
    상기 보강대는,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측단에 밀착되도록 하나 또는 다수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측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간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는,
    상기 간격부들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화이버시멘트(fiber cement)를 이용하며,
    상기 화이버시멘트는,
    시멘트(cement), 실리카 파우더(silica Powder), 강화 섬유(fib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은,
    포틀란드 시멘트(portland cement), 물, 압축공기, 플라이애쉬(flyash), 포졸란(pozzolans), 섬유(fiber), 발포제(foam)을 포함하며, 상기 발포제는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erene), 알루미늄 파우더(aluminum powde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6.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배치되어 설치 구조물의 전면에 이격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단부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경량보드;
    상기 설치 구조물의 전면에 일측 제1고정단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반대되는 제1자유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고정 브라켓;
    일단의 제2고정단이 상기 제1자유단과 교차로 밀착 결합되고, 반대되는 제2자유단이 상기 경량보드들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2자유단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제1고정단과 상기 설치 구조물을 통해 수평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단과 상기 제1자유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고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량보드는,
    천연 석재로 가공된 천연석층과, 접착제에 의해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에 부착되며, 벌집 모양의 셀 구조로 연결된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및, 상기 천연석층의 배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부착되며, 일단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보강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상기 보강대의 대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고정장치.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제2자유단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보조 걸림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 걸림돌기는,
    상기 결합돌기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어, 상기 보강대의 배면을 전방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고정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수직하게 관통 결합되는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홀은,
    상기 지지판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고정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화이버시멘트(fiber cement)를 이용하며,
    상기 화이버시멘트는,
    시멘트(cement), 실리카 파우더(silica powder), 강화 섬유(fib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보드 고정장치.
KR2020160002957U 2016-05-01 2016-05-31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 KR2004878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67 2016-05-01
KR20160002367 2016-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41U true KR20170003841U (ko) 2017-11-09
KR200487862Y1 KR200487862Y1 (ko) 2018-11-14

Family

ID=6040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957U KR200487862Y1 (ko) 2016-05-01 2016-05-31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001A (zh) * 2019-05-09 2019-09-17 新疆京奥宏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发泡混凝土复合板及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93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친환경적인 경량벽체의 구조
KR20090011027U (ko) * 2008-04-24 2009-10-28 김한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023964B1 (ko) * 2010-07-13 2011-03-22 주식회사 신세계석재산업 단열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KR101308513B1 (ko) * 2013-05-09 2013-09-17 (주)우암건설 격자형 섬유 메쉬와 화이버보강 무기계 시멘트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건축물 및 건설 구조물의 보수 및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내진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93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친환경적인 경량벽체의 구조
KR20090011027U (ko) * 2008-04-24 2009-10-28 김한나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023964B1 (ko) * 2010-07-13 2011-03-22 주식회사 신세계석재산업 단열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KR101308513B1 (ko) * 2013-05-09 2013-09-17 (주)우암건설 격자형 섬유 메쉬와 화이버보강 무기계 시멘트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건축물 및 건설 구조물의 보수 및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내진 보강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001A (zh) * 2019-05-09 2019-09-17 新疆京奥宏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发泡混凝土复合板及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862Y1 (ko)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3033A1 (en) Natural rock panel, natural rock veneer panel and panel support apparatus
US7694479B2 (en) Structure
KR101023964B1 (ko) 단열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US9970192B2 (en) Multifunctional panel system and attachment means
US20090229207A1 (en) Structural Panel Utilizing A Lath And Fram Memb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200035815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US20190127972A1 (en) Acoustic tile frame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0911132B1 (ko) 연결브라켓 이용한 건물외단열 시공구조
JP2018066223A (ja) 石材を含む建築物用外壁材及び当該建築物用外壁材を使用した建築物の外壁施工方法
KR200487862Y1 (ko) 경량보드 및 그 고정장치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JP4215915B2 (ja) 吸音パネル及びこのパネルを用いた吸音内装構造
JP7091408B2 (ja) ルーバー材、天井構造、壁構造及び建物
CN211286367U (zh) 一种轻型干挂墙板结构
JPH10331385A (ja) 化粧板の施工方法及び化粧板を含む構造
JP2008248679A (ja) 壁下地材および塗壁
CN213449256U (zh) 一种快装式发泡膨胀扣锁拉紧建材板装置
KR101036236B1 (ko) 건축 외장재용 복합 판넬
JP2954011B2 (ja) 化粧盤
KR930004843Y1 (ko) 건축용 경량 판넬
JP2883659B2 (ja) 複合ボードの下地への取付け方法
KR101054334B1 (ko) 기능성강화 하니콤 알루미늄 판넬
JP3107800U (ja) 自然石パネル外壁材
KR960003315Y1 (ko)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