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779U - 복합프레스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프레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779U
KR20170003779U KR2020170004342U KR20170004342U KR20170003779U KR 20170003779 U KR20170003779 U KR 20170003779U KR 2020170004342 U KR2020170004342 U KR 2020170004342U KR 20170004342 U KR20170004342 U KR 20170004342U KR 20170003779 U KR20170003779 U KR 201700037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upport table
eccentric shaft
guid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종
이정규
김용희
안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테크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테크, 주식회사 풍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테크
Priority to KR2020170004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779U/ko
Publication of KR20170003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30B1/266Drive systems for the cam, eccentric or crank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면으로 부터 피가공물(P)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피가공물(P)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0)과;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지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6)와; 상기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2)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6)와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22)와,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과 편심되게 형성되는 제1편심축(24)과, 상기 제1편심축(24)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편심축(24)과 서로 다른 편심축으로 이루어지는 제2편심축(30)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샤프트(20)와; 상기 제1,2편심축(24,3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2편심축(24,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제1,2승강로드(34,36)와; 상기 제1,2승강로드(34,36)와 연결되며, 상기 제1,2승강로드(34,36)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승강로드(34,3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2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피가공물(P)을 성형하는 제1,2램(38,40)과,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판형상의 피가공물(P)을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피더부재(50)와; 상기 지지테이블(10)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서 성형이 완료된 피가공물(P)을 외부로 안내하는 아웃피더부재(74);를 포함하는 복합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크랭크샤프트의 1회전시 2개의 프레스 공정이 동시에 실시되어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인더퍼부재와 상기 아웃피더부재가 설치되어 피가공물이 상기 지지테이블에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가공 투입 인원을 최소화 하고,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프레스장치{COMPOUND PRESS Device}
본 고안은 복합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랭크샤프트에 제1편심축과 제2편심축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편심축과 제2편심축에 제1승강로드와 제2승강로드가 설치되어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2개의 프레스공정을 한번에 실시할 수 있는 복합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는 재료에 힘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굽힘, 전단, 단면수축 등의 가공을 하는 기계를 말하며, 프레스 가공을 간단히 프레스라고도 한다.
프레스 가공의 대표적인 예는, 주로 금속판에 압축력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여러 모양을 만들어낸 것으로 시계, 카메라의 정밀부품에서부터 자동차의 차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며, 이러한 프레스 가공의 재료로는 강판, 동판, 황동판, 알루미늄판은 물론 플라스틱, 섬유 등도 사용되고, 프레스 가공의 특징으로는 특별히 가열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정확한 치수,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교환성이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프레스장치는 소성가공의 종류에 따라 프레스의 종류를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는바, 이 프레스는 구동방식에 따라 기계식 프레스장치와 액압식 프레스장치로 나누어지는데, 액압식 프레스장치는 가압속도와 가압력의 조절 및 가압력의 유지 등을 기계식 프레스장치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소음이 크고 생산속도가 매우 느린 단점으로 인해 소음이 적고 프레스 작업이 고속으로 이루어지는 기계식 프레스장치가 선호되고 있다.
상기 고속의 기계식 프레스장치는 크랭크, 너클조인크, 캠, 링크 등의 기구학적인 구성을 갖춘 다양한 것들이 이용되는데, 이들 중에서 특히 크랭크기구를 이용하는 크랭크식 프레스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크랭크식 프레스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8529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크랭크식 프레스장치는 크랭크축에 단일의 편심축이 형성되어 크랭크축이 1회전시 하나의 프레스 가공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피가공물에 다양한 형상을 프레스 가공하는 경우에는 각 단계별로 프레스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프레스장치의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각 단계별로 피가공물을 이송시켜야하므로 가공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식 프레스장치에는 별도의 피가공물 공급장치 및 배출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작업자가 직접 피가공물을 공급해야 하므로 피가공물의 투입시간이 오래 걸리고, 오작동에 의해 작업자가 다칠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852988호
따라서, 본 발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랭크샤프트에 제1편심축과 제2편심축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편심축과 제2편심축에 제1승강로드와 제2승강로드가 설치되어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2개의 프레스공정을 한번에 실시할 수 있는 복합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는, 바닥면으로 부터 피가공물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피가공물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과,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며,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지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심축과 편심되게 형성되는 제1편심축과, 상기 제1편심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편심축과 서로 다른 편심축으로 이루어지는 제2편심축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샤프트와, 상기 제1,2편심축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2편심축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제1,2승강로드와, 상기 제1,2승강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1,2승강로드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승강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2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피가공물을 성형하는 제1,2램과, 상기 지지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판형상의 피가공물을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피더부재와, 상기 지지테이블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측에서 성형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아웃피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2램의 상부에는, 상기 제1,2램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2램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2램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가이드바와,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2램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밸런스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인피더부재는, 상기 지지테이블의 측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일측에 원호면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호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가이드롤러와,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가이드롤러를 따라 이송되는 피가공물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피가공물을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1상,하부이송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피더부재는,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피가공물의 초기 진입시 피가공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롤러와, 상기 상부가이드롤러의 하부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가공물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피가공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가이드롤러의 양측에는, 상기 상부가이드롤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가이드롤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타단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바를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크랭크샤프트에 제1편심축과 제2편심축이 각각 형성되어, 크랭크샤프트의 1회전에 따라 제1,2승강로드가 순차적으로 상하 이동되어 복수의 프레스 공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의 1회전시 2개의 프레스 공정이 동시에 실시되어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인더퍼부재와 상기 아웃피더부재가 설치되어 피가공물이 상기 지지테이블에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가공 투입 인원을 최소화 하고,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에 디코일러와 레벨러가 장치되어 피가공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랭크샤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편심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편심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상,하부이송롤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상,하부이송롤러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에 디코일러와 레벨러가 장치되어 피가공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크랭크샤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편심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편심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복합프레스장치(1)는, 바닥면으로 부터 피가공물(P)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피가공물(P)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0)과,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지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6)와, 상기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2)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6)와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22)와,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과 편심되게 형성되는 제1편심축(24)과, 상기 제1편심축(24)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편심축(24)과 서로 다른 편심축으로 이루어지는 제2편심축(30)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샤프트(20)와, 상기 제1,2편심축(24,3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2편심축(24,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제1,2승강로드(34,36)와, 상기 제1,2승강로드(34,36)와 연결되며, 상기 제1,2승강로드(34,36)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승강로드(34,3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2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피가공물(P)을 성형하는 제1,2램(38,40)과,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판형상의 피가공물(P)을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피더부재(50)와, 상기 지지테이블(10)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서 성형이 완료된 피가공물(P)을 외부로 안내하는 아웃피더부재(7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테이블(10)은 일반적인 테이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이 지지된다.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부면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피가공물(P)이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이송되며 성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부면에는 프레임(12)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2)은 일반적인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2) 사이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12)의 상측에는 상판(14)이 설치된다. 상기 상판(14)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판(14)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구동모터(16) 및 밸런스실린더(46) 등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판(14)의 상부에는 구동모터(16)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6)는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모터(16)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후술할 크랭크샤프트(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2)의 측면에는 클러치(18)가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18)는 내부에 복수개의 기어(미도시)가 서로 치차 결합되어 기어비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상기 클러치(18)는 상기 구동모터(16)와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클러치(18)의 일측에는 크랭크샤프트(20)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20)는, 상기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2)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6)와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22)와,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과 편심되게 형성되는 제1편심축(24)과, 상기 제1편심축(24)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편심축(24)과 서로 다른 편심축으로 이루어지는 제2편심축(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샤프트(22)는 도 6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2)는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단이 각각 프레임(12)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2)는 상기 클러치(18)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앙에는 제1편심축(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편심축(24)은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편심축(24)은 상기 회전샤프트(22)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22)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제1편심축(24)의 양측에는 제1로드고정플레이트(26)가 형성된다. 상기 제1로드고정플레이트(26)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편심축(24)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로드고정플레이트(26)는 상기 제1편심축(24)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편심축(24)에 후술할 제1승강로드(34)가 설치되는 경우에 후술할 제1승강로드(34)의 좌우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1로드고정플레이트(26)의 측면에는 제2편심축(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편심축(3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편심축(24)과 서로 다른 편심된 위치에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편심축(30)은 일단이 제1로드고정플레이트(26)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제2로드고정플레이트(3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22)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제2편심축(30)의 측면에는 제2로드고정플레이트(3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로드고정플레이트(32)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편심축(3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로드고정플레이트(32)는 상기 제2편심축(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편심축(30)에 후술할 제2승강로드(36)가 설치되는 경우에 후술할 제2승강로드(36)의 좌우 이동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편심축(24)이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0~120° 각도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편심축(24)의 양측에 각각 제2편심축(30)이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0~120° 각도로 상기 제1편심축(24)과 다른 위치에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편심축()과 상기 제2편심축()은 각각 30~120°각도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위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편심축(24)과 상기 제2편심축(30)의 편심축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22)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편심축(24)과 상기 제2편심축(30)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1편심축(24)의 외측에는 제1승강로드(3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승강로드(34)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로드(34)의 상측에는 상기 제1편심축(24)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제1편심축(24)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제1승강로드(34)가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2편심축(30)의 외측에는 제2승강로드(36)가 설치된다. 상기 제2승강로드(36)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승강로드(36)의 상측에는 상기 제2편심축(30)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제2편심축(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제2승강로드(36)가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1승강로드(34)의 하부에는 제1램(38)이 설치된다. 상기 제1램(38)은 일반적인 프레스금형의 램(ram)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램(38)은 상기 제1승강로드(34)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승강로드(34)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2승강로드(36)의 하부에는 제2램(40)이 설치된다. 상기 제2램(40)은 일반적인 프레스금형의 램(ram)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램(40)은 상기 제2승강로드(36)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승강로드(3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1램(38)과 상기 제2램(40)의 하부에는 각각 제1,2금형(미도시)이 설치되어, 피가공물(P)에 프레스 가공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즉, 상기 제1편심축(24)과 상기 제2편심축(30)에 각각 상기 제1승강로드(34)와 제2승강로드(36)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샤프트(20)의 1회전에 따라 먼저 상기 제1승강로드(34)가 하강하여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 후 연속적으로 제2승강로드(36)가 하강하여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2램(38,40)의 상부에는 승강가이드부재(42)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재(42)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2램(38,40)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가이드바(44)와,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밸런스실린더(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는 상기 제1,2램(38,40)의 상부면 대각선 방향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는 일단은 상기 제1,2램(38,4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술할 밸런스실린더(46)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는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시 고중량의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의 상측에는 밸런스실린더(46)가 설치된다. 상기 밸런스실린더(46)는 일반적인 유압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밸런스실린더(46)에는 유압실린더 이외에도 다양한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유압실린더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밸런스실린더(46)는 상기 프레임(1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승강가이드부재(42)는 상기 제1,2램(38,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1,2램(38,40)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도 9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상,하부이송롤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상,하부이송롤러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우측에는 인피더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인피더부재(50)는,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측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일측에 원호면(53)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와,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 사이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호면(53)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가이드롤러(62)와,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상측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를 따라 이송되는 피가공물(P)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피가공물(P)을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1상,하부이송롤러(66,6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는 도 9과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우측면에는 원호면(53)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 사이에는 후술할 복수개의 이송가이드롤러(62)가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전면 좌측에는 높이조절홀(54)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홀(54)은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전면 좌측 상,하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홀(54)은 상하로 길게 관통 형성되어, 내부에 고정볼트(56)가 삽입되어,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를 상기 지지테이블(10)에 고정한다.
또한, 상가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높이 조절시에는 상기 고정볼트(56)를 분리할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홀(54)이 관통 형성된 위치만큼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고, 상기 높이조절홀(54)에 상기 고정볼트(56)를 재삽입입하여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하부에는 지지브라켓(58)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라켓(58)은 단면이 "┎"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라켓(58)의 우측에는 후술할 높이조절볼트(60)가 상하로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브라켓(58)의 우측에는 높이조절볼트(60)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60)는 일반적인 볼트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60)는 상기 지지브라켓(58)의 우측에 상하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볼트(60)의 상단이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하부를 지지한다.
즉,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높이조절볼트(60)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고정볼트(56)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하단부를 상기 높이조절볼트(60)가 추가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가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 사이에는 이송가이드롤러(62)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는 일반적인 롤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는 상기 원호면(53)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는 외부에서 상기 지지테이블(10) 측으로 공급되는 피가공물(P)을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좌측 상부에는 제1지지프레임(64)이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64)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64) 사이에는 후술할 상,하부이송롤러(66,68)의 양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64) 사이에는 상,하부이송롤러(66,68)가 설치된다. 상기 상,하부이송롤러(66,68)는 일반적인 롤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하부이송롤러(66,68)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프레임(6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이송롤러(66,68) 사이에 피가공물(P)이 삽입된다. 상기 하부이송롤러(68)의 끝단에는 회전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상,하부이송롤러(66,68)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에 의해 공급되는 피가공물(P)을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이송롤러(68)의 일측에는 제1,2동력전달기어(70,72)가 설치된다. 상기 제1,2동력전달기어(70,72)는 일반적인 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70)는 상기 하부이송롤러(68)와 치차 결합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72)는 상기 상부이송롤러(66)와 치차 결합된다. 상기 제1,2동력전달기어(70,72)는 상기 하부이송롤러(68)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이송롤러(66)에 전달한다.
도 1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피더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좌측 상부면에는 아웃피더부재(74)가 설치된다. 상기 아웃피더부재(74)는,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76)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76) 사이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피가공물(P)의 초기 진입시 피가공물(P)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롤러(78)와,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하부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가공물(P)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피가공물(P)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롤러(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76)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76) 사이에는 후술할 제 상,하부가이드롤러(78,80)의 양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76) 사이에는 상부가이드롤러(78)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는 일반적인 롤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7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가공물(P)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피가공물(P)을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하부에는 하부가이드롤러(8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가이드롤러(80)는 일반적인 롤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가이드롤러(80)는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하부에 피가공물(P)의 두께 만큼 하부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가이드롤러(8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2지지프레임(7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면에 피가공물(P)의 하부면이 밀착된다. 상기 하부가이드롤러(8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피가공물을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하부가이드롤러(80)의 일측에는 제3,4동력전달기어(82,84)가 설치된다. 상기 제3,4동력전달기어(82,84)는 일반적인 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동력전달기어(82)는 상기 하부가이드롤러(80)와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4동력전달기어(84)는 상기 하부가이드롤러(80)와 끝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3,4동력전달기어(82,84)는 서로 치차 결합되어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가이드롤러(80)의 회전력이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에 전달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양측에는 승강부재(88)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재(88)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76)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축(8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승강플레이트(9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타단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바(92)와, 상기 승강바(9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바(92)를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9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플레이트(90)는 도 15 또는 도 16와 같이,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양단이 각각 관통 설치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좌측단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76) 사이에 설치된 회동축(8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90)는 상기 회동축(86)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끝단에는 승강바(92)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바(92)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바(92)의 상단부는 상기 승강플레이트(90)와 링크 결합되며, 후술할 승강실린더(9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바(92)는 상기 승강플레이트(9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바(92)의 하단에는 승강실린더(94)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실린더(94)는 일반적인 실린더로 자세할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실린더(94)는 상기 승강바(9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바(9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승강부재(88)는 상기 피가공물(P)의 초기 진입시 피가공물(P)이 상기 상,하부가이드롤러(78,80)의 사이에 손쉽게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복합프레스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는 롤러 형태로 감겨진 판재 형상의 피가공물(P)의 끝단을 파지하여 인피더부재(50) 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피가공물(P)은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원호면(53)을 따라 설치된 복수개의 이송가이드롤러(62)의 의해 하부면에 지지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가공물(P)을 지지테이블(10)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에 의해 상기 지지테이블(10) 측으로 이송된 피가공물(P)의 상,하부이송롤러(66,68)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상,하부이송롤러(66,68)는 회전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피가공물(P)은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인피더부재(50)에 의해 피가공물(P)은 일정한 속도로 상기 지지테이블(10)을 지나 아웃피더부재(74)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아웃피더부재(74)의 승강부재(88)가 작동되어 상부가이드롤러(78)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하부에 피가공물(P)이 위치되면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는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상,하부가이드롤러(78,80) 사이에 피가공물(P)이 위치된 상태에서 크랭크샤프트(20)가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제1,2승강로드(34,36)가 순차적으로 상하 이동을 반복하고, 피가공물(P)에 2개의 프레스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피가공물(P)을 성형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20)의 1회전에 의해 2개의 프레스 공정이 피가공물(P)에 이루어지면, 상기 인피더부재(50)와 상기 아웃피더부재(74)가 작동되어 일정거리 만큼 피가공물(P)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샤프트(20)의 1회전시 2개의 프레스 공정이 동시에 실시되어 피가공물(P)에 대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P)에 대한 가공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상기 인피더부재(50)와 상기 아웃피더부재(74)가 설치되어 피가공물(P)이 상기 지지테이블(10)에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작업 투입 인원을 최소화 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지지테이블 12. 프레임
20. 크랭크샤프트 24. 제1편심축
30. 제2편심축 50. 인피더부재
52. 이송가이드플레이트 53. 원호면
62. 이송가이드롤러 66. 상부이송롤러
68. 하부이송롤러 74. 아웃피더부재

Claims (3)

  1. 바닥면으로 부터 피가공물(P)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피가공물(P)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0)과;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지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6)와;
    상기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2)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6)와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22)와,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제1편심축(30)과, 상기 제1편심축(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편심축(30)의 30°~120° 각도 내에서 상기 제1편심축(30)과 서로 다른 편심축으로 이루어지는 제2편심축(24)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샤프트(20)와;
    상기 제1편심축(30) 및 상기 제2편심축(24)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2편심축(30,24)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제1,2승강로드(36,34)와;
    상기 제1,2편심축(30,24)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2승강로드(36,34)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제1,2로드고정플레이트(32,26)와;
    상기 제1,2승강로드(36,34)와 연결되며, 상기 제1,2승강로드(36,34)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승강로드(36,34)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2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피가공물(P)을 성형하는 제1,2램(40,38)과;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판형상의 피가공물(P)을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인피더부재(50)와;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76)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76) 사이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피가공물(P)의 초기 진입시 피가공물(P)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롤러(78)와, 상기 상부가이드롤러(78)의 하부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가공물(P)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피가공물(P)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롤러(8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테이블(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서 성형이 완료된 피가공물(P)을 외부로 안내하는 아웃피더부재(74)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심축(30)과 상기 제2편심축(24)은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0°~120°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편심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샤프트(22)의 1회전시 순차적으로 승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프레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램(38,40)의 상부에는,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4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부재(42)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2램(38,40)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가이드바(44)와;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2램(38,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가이드바(4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밸런스실린더(46);를 포함하는 복합프레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피더부재(50)는,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측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일측에 원호면(53)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와;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 사이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호면(53)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가이드롤러(62)와;
    상기 이송가이드플레이트(52)의 상측에 설치되며,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가이드롤러(62)를 따라 이송되는 피가공물(P)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피가공물(P)을 상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1상,하부이송롤러(66,68);를 포함하는 복합프레스장치.
KR2020170004342U 2017-08-16 2017-08-16 복합프레스장치 KR201700037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42U KR20170003779U (ko) 2017-08-16 2017-08-16 복합프레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42U KR20170003779U (ko) 2017-08-16 2017-08-16 복합프레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924A Division KR20170081905A (ko) 2016-01-05 2016-01-05 복합프레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79U true KR20170003779U (ko) 2017-11-02

Family

ID=6040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42U KR20170003779U (ko) 2017-08-16 2017-08-16 복합프레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77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88B1 (ko) 2007-05-16 2008-08-20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난방부하에 따른 보일러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88B1 (ko) 2007-05-16 2008-08-20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난방부하에 따른 보일러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658A (en) Shaping machine for cylindrically bending a plate
EP3178582B1 (en)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for a pressing machine
CN104608186B (zh) 平压平高周波模切机
CN113547005B (zh) 一种可变曲率的型材正反弯曲设备
KR101439890B1 (ko) 프로그래시브 인너 트랜스퍼 금형공정의 소재이송방법
KR20170081905A (ko) 복합프레스장치
CN116713351A (zh) 一种板状金属材料的弯曲成形装置
CN100506421C (zh) 输送装置
US7237417B2 (en) Roll preshaping
US5636962A (en)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JP3797445B2 (ja)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のリフト、クランプ装置
CN101157107B (zh) 机械手冲压自动化生产传输过渡台
ITMI952778A1 (it) Dispositivo di cambio tavola per una macchina per lavorazione di pezzi
KR20170003779U (ko) 복합프레스장치
CN216540329U (zh) 一种具有上料限位功能的可调式卷板机
CN108057812A (zh) 轮辋滚型机及轮辋自动加工系统
CN211564294U (zh) 一种冲压机的上料装置
KR101440873B1 (ko) 단조용 예비 성형장치
KR101708827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프레스용 피더 장치
KR101259411B1 (ko) 롤 밀 전조장치
CN112295841A (zh) 一种自动化点胶烘干设备的工作方法
CN103752949A (zh) 圆铝锭全自动加工装置及加工方法
KR200358716Y1 (ko) 펀치 프레스기
CN220806250U (zh) 一种全自动生产的法兰机
CN212495739U (zh) 一种可旋转式带锯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