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640U - 접목작업용 공구 - Google Patents

접목작업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640U
KR20170003640U KR2020160001990U KR20160001990U KR20170003640U KR 20170003640 U KR20170003640 U KR 20170003640U KR 2020160001990 U KR2020160001990 U KR 2020160001990U KR 20160001990 U KR20160001990 U KR 20160001990U KR 20170003640 U KR20170003640 U KR 201700036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unching
punching body
tree
bla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172Y1 (ko
Inventor
김경상
Original Assignee
김경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상 filed Critical 김경상
Priority to KR2020160001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17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6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1Manual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runing 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 형상의 손잡이,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상태로 선측을 개방시킨 통 구조를 가지며,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고, 선측 테두리 부분 둘레로는 펀칭칼날이 형성된 펀칭몸체, 펀칭몸체의 후측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테두리 부분 및 하단 테두리 부분에는 조피제거칼날이 형성된 칼날판을 포함하는 접목작업용 공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접목작업용 공구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펀칭몸체의 선측 부분이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을 타격되게 하면, 펀칭칼날에 의해 조피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칼날판으로는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의 거친 부분을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바, 펀칭칼날에 의한 조피 부분의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목작업용 공구{Tool for a grafting groove}
본 고안은 접목작업시 대목의 조피를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접목작업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 감 등의 과수류 및 기타 수목류의 접목법에는 묘목번식, 신품종갱신, 수분수 고접 등 접목하는 목적, 시기, 방식에 따라 깎기접, 눈접, 피하접 등의 접목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접목법은 통상 대목과 접수의 형성층이 맞닿도록 맞추어 주고 난 후, 폴리에틸렌 비닐을 이용하여 대목과 접수를 동여매어 고정 및 밀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접목법 활용시 주로 접목부위의 대목을 절단하여 대목의 굵기에 따라 깍기접, 피하접 등의 접목법을 활용하고 있다.
이때, 수목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굵은 가지의 원하는 위치에 가지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특히, 성목 과수 수형관리에 있어서 열매가 달려야 할 공간에 가지가 발생하지 않아 생산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기존 접목법으로 해결하고자 할 때, 목질부에 톱질을 하거나 접도를 이용하여 조피를 벗기는 등의 방법으로 접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있어 많은 노력과 시간이 투입됨에 따라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대목의 조피제거 및 대목조제 방법으로 전동드릴을 이용하게 되는데, 전동드릴을 이용할 경우 조피 내측에 위치하는 대목의 조직이 손상될 수 있는 바 숙련자가 아닐 경우에는 접목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접목 작업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52393호(2011.05.18)에 제시된다.
본 고안은, 접목을 위한 조피 제거작업시 대목의 조직 손상을 방지하면서 작업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접목작업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봉 형상의 손잡이,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상태로 선측을 개방시킨 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고, 선측 테두리 부분 둘레로는 펀칭칼날이 형성된 펀칭몸체, 상기 펀칭몸체의 후측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테두리 부분 및 하단 테두리 부분에는 조피제거칼날이 형성된 칼날판을 포함하는 접목작업용 공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펀칭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조피이탈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판은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일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판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 방향과, 상기 칼날판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칭몸체의 펀칭칼날 방향은 상기 펀칭몸체의 선측 테두리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목작업용 공구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펀칭몸체의 선측 부분이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을 타격되게 하면, 펀칭칼날에 의해 조피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칼날판으로는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의 거친 부분을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바, 펀칭칼날에 의한 조피 부분의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목작업용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목작업용 공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후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접목작업용 공구는, 손잡이(100), 펀칭몸체(200), 칼날판(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100)는 작업자로 하여금 파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휘둘림을 통해 이후 설명될 펀칭몸체(200)나 칼날판(300)으로 조피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100)는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100)의 일단은 펀칭몸체(200)에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작업자의 파지시 안정감을 주거나 펀칭몸체(200)나 칼날판(300)으로 조피를 제거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이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부재(도면미도시)가 부착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펀칭몸체(200)는 상기 손잡이(100)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접목대상나무 방향으로 휘둘리면서 접목대상나무의 조피를 타격하여, 타격된 상기 조피 부분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펀칭몸체(200)는 상기 손잡이(100)의 일단에 수직하게 연결 결합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를 타격하게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펀칭몸체(200)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통 형상의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 부분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게 한다. 이같이, 상기 펀칭몸체(200)의 개방된 선측 부분이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을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 테두리 부분 둘레로는 펀칭칼날(210)이 형성되어,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 테두리 부분이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을 타격시, 상기 조피 내측으로 용이하게 하고 들어가면서 상기 접목대상나무에서 상기 조피를 이탈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펀칭칼날(210)의 길이, 즉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 테두리 부분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펀칭칼날(210)의 길이는 상기 조피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을 타격시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목질부와 상기 조피의 경도차로 인하여 상기 조피 부분만이 상기 펀칭칼날(21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도록 칼집이 형성되어, 상기 접목대상나무에서 상기 조피 부분만을 이탈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에 형성된 펀칭칼날(210) 방향은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 테두리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을 타격시, 상기 접목대상나무에서 상기 조피 부분이 쉽게 이탈된 후, 상기 펀칭몸체(200) 내측의 공간부로 삽입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펀칭칼날(210)은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 테두리 내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펀칭칼날(210)에 의한 펀칭으로 상기 펀칭몸체(200) 내측으로 유입시, 상기 펀칭칼날(210)의 경사진 면에서 상기 펀칭몸체(200) 내측면의 수평면으로 접촉면이 변경되면서 상기 접목대상나무로부터 상기 조피 부분을 용이하게 이탈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펀칭몸체(2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저면 일측에는 상기 펀칭몸체(200)의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는 조피이탈구(220)가 관통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조피이탈구(220)는 상기 펀칭몸체(200)의 공간부를 하방으로 연직되게 외부에 연결되도록 관통되게 하는 바, 상기 펀칭칼날(210)에 의해 상기 접목대상나무에서 상기 펀칭몸체(200) 내부로 이탈 삽입된 상기 조피가 상기 펀칭몸체(200)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조피이탈구(220)의 직경 크기는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 테두리 부분의 직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목대상나무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조피를 상기 펀칭몸체(200) 외부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칼날판(300)은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표면을 다듬을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칼날판(300)은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표면을 거친 부분을 긁어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칼날판(300)은 상기 펀칭몸체(200)의 후측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펀칭몸체(200)에 연결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칼날판(300)은 사각형의 판 부재로, 상기 칼날판(300)의 상단 테두리 부분 및 하단 테두리 부분에는 각각 조피제거칼날(3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칼날판(300)은 상기 손잡이(100)를 연직선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펀칭몸체(200)의 후측 테두리 부분에 연결 결합한다. 즉, 상기 칼날판(300)은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일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칼날판(300)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할 때, 상기 조피제거칼날(310)이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표면을 안정적으로 긁어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칼날판(3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310) 방향과, 상기 칼날판(30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310) 방향은 성호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칼날판(3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310)은 상기 칼날판(300) 일측면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칼날판(30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310)은 상기 칼날판(300) 타측면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가공하고자 하는 조피 표면 위치에 따라 상기 칼날판(3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310) 또는 상기 칼날판(30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31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접목작업용 공구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00)를 잡고 상기 펀칭몸체(200)의 선측 부분이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을 타격되게 하면, 상기 펀칭칼날(210)에 의해 상기 조피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칼날판(300)으로는 상기 접목대상나무의 조피 부분의 거친 부분을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바, 상기 펀칭칼날(210)에 의한 상기 조피 부분의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손잡이 200: 펀칭몸체
210: 펀칭칼날 220: 조피이탈구
300: 칼날판 310: 조피제거칼날

Claims (5)

  1. 봉 형상의 손잡이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상태로 선측을 개방시킨 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고, 선측 테두리 부분 둘레로는 펀칭칼날이 형성된 펀칭몸체; 및
    상기 펀칭몸체의 후측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테두리 부분 및 하단 테두리 부분에는 조피제거칼날이 형성된 칼날판을 포함하는 접목작업용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칭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조피이탈구가 관통 형성된 접목작업용 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판은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일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접목작업용 공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판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 방향과, 상기 칼날판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피제거칼날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접목작업용 공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칭몸체의 펀칭칼날 방향은 상기 펀칭몸체의 선측 테두리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접목작업용 공구.
KR2020160001990U 2016-04-12 2016-04-12 접목작업용 공구 KR200485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90U KR200485172Y1 (ko) 2016-04-12 2016-04-12 접목작업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90U KR200485172Y1 (ko) 2016-04-12 2016-04-12 접목작업용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40U true KR20170003640U (ko) 2017-10-20
KR200485172Y1 KR200485172Y1 (ko) 2018-01-10

Family

ID=6040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90U KR200485172Y1 (ko) 2016-04-12 2016-04-12 접목작업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17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3657A (en) * 1948-05-14 1950-12-12 Helen E Wolfe Grafting knife
JPS5853056B2 (ja) * 1977-02-09 1983-11-26 株式会社松風 歯科用合金
JP3626473B2 (ja) * 2002-07-12 2005-03-09 小西 克博 穂木接合部の成形装置
JP3887003B2 (ja) * 2005-01-17 2007-02-28 志比兵衛 西浦 切断面に処理剤等を一握りごとに一定量圧出する鋏。
CN201274673Y (zh) * 2008-10-24 2009-07-22 福建农林大学 一种半折叠式果树嫁接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3056B2 (ja) * 2014-06-05 2016-02-0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接ぎ木用台木カッタ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3657A (en) * 1948-05-14 1950-12-12 Helen E Wolfe Grafting knife
JPS5853056B2 (ja) * 1977-02-09 1983-11-26 株式会社松風 歯科用合金
JP3626473B2 (ja) * 2002-07-12 2005-03-09 小西 克博 穂木接合部の成形装置
JP3887003B2 (ja) * 2005-01-17 2007-02-28 志比兵衛 西浦 切断面に処理剤等を一握りごとに一定量圧出する鋏。
CN201274673Y (zh) * 2008-10-24 2009-07-22 福建农林大学 一种半折叠式果树嫁接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172Y1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4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tape on a hockey stick
US10327391B2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tree branch hanger and shock-absorbing functions
KR101804869B1 (ko) 접목작업용 공구를 이용한 수목의 접목방법
KR200485172Y1 (ko) 접목작업용 공구
EP3375276A1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functions of hanging on tree branch and absorbing shock
CN206728619U (zh) 一种果实采摘器高稳定性的夹持机构
CN106612920B (zh) 一种横切式白芦笋采收装置及采收方法
KR101300246B1 (ko) 과실나무용 박피기
CN1799319B (zh) 双斜面对应嫁接工具及其应用
CN205794140U (zh) 采果器
JP2006061042A (ja) 移植用ポット
CN109392485B (zh) 一种木本植物标准化扦插的削穗装置及方法
CN105493751A (zh) 柑橘采摘器
US1922877A (en) Pruning tool
CN102550306B (zh) 一种砧木劈口装置及其应用
CN211531931U (zh) 一种果树栽培修剪刀
KR102523804B1 (ko) 휴대용 적과기구
CN216982639U (zh) 一种用于鸭梨采摘的高枝采摘器
KR100913478B1 (ko) 마늘껍질 제거기
CN218042633U (zh) 一种新型多肉植物嫁接工具
KR102262213B1 (ko) 접목용 접수 가공기
CN218593038U (zh) 一种榴莲开果器
KR200475768Y1 (ko) 채칼
CN211558077U (zh) 杠杆式v形嫁接刀
CN211682630U (zh) 一种竹筒切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