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213B1 - 접목용 접수 가공기 - Google Patents

접목용 접수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213B1
KR102262213B1 KR1020190148396A KR20190148396A KR102262213B1 KR 102262213 B1 KR102262213 B1 KR 102262213B1 KR 1020190148396 A KR1020190148396 A KR 1020190148396A KR 20190148396 A KR20190148396 A KR 20190148396A KR 102262213 B1 KR102262213 B1 KR 10226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afting
receiver
cutting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876A (ko
Inventor
박창민
Original Assignee
박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민 filed Critical 박창민
Priority to KR102019014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2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2Automatic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5Cutting; Inser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목용 접수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대목과 접수의 일부를 잘라서 대목에 접수를 연결하여 하나의 개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접목 작업시 대목의 접목홈에 삽입가능한 여러종류의 접목구 크기에 맞는 맞춤다이와 커팅날을 하판의 외주연에 다수개 마련하여 접목구의 크기에 맞는 맞춤다이와 커팅날을 선택하여 접목구의 끝단에 접수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종류의 크기별 접수에 맞는 맞춤다이를 선택하여 맞춤다이 상부면을 따라 투입하여 스톱퍼에 투입을 정지시킨 후 커팅날에 의해 절단되는 부위를 맞추도록 하여 접수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아 일일이 접수의 크기에 맞는 커팅날과 맞춤다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작동누름판에 의해 커팅날이 폐목이 완전히 커팅될때 까지 접수의 외부면을 누르고 있어 폐목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과 칼 등의 날카로운 절단구를 사용자가 직접 이용하지 않아 안전사고를 줄일 수있는 이점과 커팅을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목구의 절단면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이 간단하고 커팅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하는 이점과 그로 인한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접목용 접수 가공기{A cutter for grafting}
본 발명은 접목용 접수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대목과 접수의 일부를 잘라서 대목에 접수를 연결하여 하나의 개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접목 작업시 대목의 접목홈에 삽입가능한 여러종류의 접목구 크기에 맞는 맞춤다이와 커팅날을 하판의 외주연에 다수개 마련하여 접목구의 크기에 맞는 맞춤다이와 커팅날을 선택하여 접목구의 끝단에 접수를 형성하도록 하도록 하는 접목용 접수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 감 등의 과수류 및 기타 수목류의 접목법에는 묘목번식, 신품종갱신, 수분수 고접 등 접목하는 목적, 시기, 방식에 따라 깎기접, 눈접, 피하접 등의 접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접목이란 과수, 꽃, 나무, 야채 등 원예식물의 품종개량이나 개체의 번식을 위해 식물체의 조직 일부분을 모체로부터 잘라내어 다른 식물체에 유착시켜 하나의 완전한 식물체로 성장시키는 기술로서, 눈 또는 눈이 붙은 줄기(접수)를 뿌리가 있는 줄기 또는 뿌리(대목)에 접착시켜 대목과 접수의 형성층에서 형성된 유상조직에 의하여 서로 밀착하고 유관속으로 연결 되어 완전한 식물체로 생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목법은 통상 대목과 접수의 형성층이 맞닿도록 맞추어 주고 난 후, 폴리에틸렌 비닐을 이용하여 대목과 접수를 동여매어 고정 및 밀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접목법 활용시 주로 접목부위의 대목을 절단하여 대목의 굵기에 따라 깍기접, 피하접 등의 접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병해의 방지, 저온 신장성, 내병성 및 내서성 강화, 조기생육 촉진, 과실의 상품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잘 알려진 접목(또는 접붙이기)은 대목(代木)과 접수 절단면에 있는 형성층을 서로 밀착해 주어 유조직 세포가 발달하고 캘러스(callus)가 형성되 어 양 조직이 서로 융합되는 것을 말하며, 상처 부위의 유착 과정을 거쳐 통도조직이 연결되고, 양 조직간의 양분과 수분이 교류되면서 접수와 대목이 정상 생육을 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때, 대목과 접수의 절단면이 있는 형성층을 형성하고자 하면 대목에는 접수의 절단면을 삽입가능한 접목홈을 형성하여야 하고 접수에는 대목의 접목홈에 삽입가능한 일측에 경사면과 타측에 끼임면을 형성한 접목구를 형성하여야 대목의 절단면으로 형성된 접목홈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접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대목의 절단 접수의 접목구를 형성하기 위한 접수의 외부면에 경사면과 끼임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수작업으로 칼 등의 날카로운 절단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접목용 칼 등의 절단구를 이용하는 경우 손을 다칠 위험성이 있고 작업 과정에서 정확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어 작업자는 신중을 기하여 작업에 임해야만 하므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경험이 많은 숙련자를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칼 등의 날카로운 절단구를 이용하여 접수의 외부면을 가공하기에는 식물의 줄기나 가지를 절단할 때 절단 위치가 정확하지 않고 절단 형상이 접목에 요구되는 형상을 갖지 못하는 등 절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채관 및 물관을 정확하게 맞출 수 없게 되어 식물의 생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때, 작업자가 숙련되지 않으면 날카로운 절단구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일정한 경사면과 끼임면이 생성되기 어려워 여러개의 접수에 접목구를 형성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숙련자가 필요로 함과 동시에 동일한 접목구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접목을 위한 절단이 한 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여러 번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등 절단 작업성이 좋지 않으며 특히, 칼을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의 인체에 상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접목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수에는 대목의 접목홈에 삽입가능한 일측에 경사면과 타측에 끼임면을 형성한 접목구를 형성하여야 하나 이러한 접수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아 일일이 접수의 크기에 맞는 커팅날과 맞춤다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져 미리 셋팅된 커팅날과 맞춤다이에 맞는 접수와 동일 유사한 크기를 먼저 접수 작업한 후 접수의 크기가 다른 커팅날과 맞춤다이를 교체하여 크기가 다른 접수를 다시 가공하여야 하므로 여러종류의 크기가 있는 접수를 가공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3004호 "기능성 접목용 절단기"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칼 등의 날카로운 절단구를 이용하여 접수의 외부면을 정확한 위치에 가공하지 못하는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점과 작업자가 숙련되지 않으면 접수의 외부면을 가공하기에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접목을 위한 절단이 한 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여러 번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등 절단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과 접수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아 일일이 접수의 크기에 맞는 커팅날과 맞춤다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부 고정판에 마련한 실린더에 의해 다수개의 작동판에 마련한 커팅날을 하강시켜 맞춤다이에 마련한 접수를 커팅날에 의해 커팅시 접수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누름판으로 마련하고 작동판을 슬라이딩핀을 따라 승강가능케 하고 상기 커팅날에 의해 절단되는 접수의 내측으로 맞춤다이를 마련하여 커팅을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커팅날에 의해 커팅된 접수의 절단부가 비산되어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에 여러종류의 접수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맞춤다이의 마련하여 접수의 크기에 맞는 맞춤다이에 선택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접목용 접수 가공기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판(15)의 가이드봉(13)에서 상부로 연결된 가이드봉(13)을 고정나사(12)로 고정상판(10)과 연결하고 상기 고정상판(10)의 상부로는 실린더(18)를 마련하여 피난공(11)을 통해 고정상판(10) 하부로 연장시켜 작동판(20)과 연결하며,
상기 실린더(18)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판(20)에는 가이드봉(13)과 슬라이딩 가능케 부싱(14)을 마련하고,상기 작동판(20)의 외주연으로 피난홈(23)을 하부에 형성한 전판(22)을 마련하고 전판(22)의 하부에는 경사날(41)과 끼움날(42)을 형성한 커팅날(40)을 전판(22)의 피난홈(23)을 통해 공간부(21)에 마련하도록 전판(22)에 고정하되,
상기 커팅날(40)은 접수(4)의 여러종류 크기에 맞는 커팅날(40)을 다수개 마련하여 전판(22)의 피난홈(23)에 마련한 전판(22)을 작동판(20)의 외주연에 다수개 마련하며,
상기 다수개의 커팅날(40)의 하부에는 맞춤다이(50)을 마련하되 상기 맞춤다이(50)는 상면에 접수(4)를 마련하는 수용홈(51)을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커팅날(40)의 경사날(41)과 끼움날(42)에 의해 절삭가능한 절단면(52)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15)의 중앙에는 맞춤다이(50)를 통해 투입하는 접수(4)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스톱퍼(30)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하판(15)에 마련한 맞춤다이(50)와 작동판(20)의 전판(22)에 고정된 커팅날(40)은 작동판(20)과 하판(15)의 외주연으로 다수개 마련하여 접수(4)의 여러종류의 크기에 맞도록 크기별로 구분하여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30)는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하부로 베어링봉(31)을 돌출시켜 하판(15)의 베어링공(16)과 베어링(32) 결합을 하여 스톱퍼(30)가 회전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판에 마련한 실린더에 의해 다수개의 작동판에 마련한 커팅날을 하강시켜 맞춤다이에 마련한 접수를 커팅날에 의해 커팅시 접수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누름판으로 마련하고 작동판을 슬라이딩핀을 따라 승강가능케 하고 상기 커팅날에 의해 절단되는 접수의 내측으로 맞춤다이를 마련하여 커팅을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커팅날에 의해 커팅된 접수의 절단부가 비산되어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에 여러종류의 접수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맞춤다이의 마련하여 접수의 크기에 맞는 맞춤다이에 선택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종류의 크기별 접수에 맞는 맞춤다이를 선택하여 맞춤다이 상부면을 따라 투입하여 스톱퍼에 투입을 정지시킨 후 커팅날에 의해 절단되는 부위를 맞추도록 하여 접수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아 일일이 접수의 크기에 맞는 커팅날과 맞춤다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작동누름판에 의해 커팅날이 폐목이 완전히 커팅될때 까지 접수의 외부면을 누르고 있어 폐목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과 칼 등의 날카로운 절단구를 사용자가 직접 이용하지 않아 안전사고를 줄일 수있는 이점과 커팅을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목구의 절단면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이 간단하고 커팅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하는 이점과 그로 인한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목을 설명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팅날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판(15)의 가이드봉(13)에서 상부로 연결된 가이드봉(13)을 고정나사(12)로 고정상판(10)과 연결하고 상기 고정상판(10)의 상부로는 실린더(18)를 마련하여 피난공(11)을 통해 고정상판(10) 하부로 연장시켜 작동판(20)과 연결하며,
상기 실린더(18)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판(20)에는 가이드봉(13)과 슬라이딩 가능케 부싱(14)을 마련하고,상기 작동판(20)의 외주연으로 피난홈(23)을 하부에 형성한 전판(22)을 마련하고 전판(22)의 하부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날(41)과 끼움날(42)을 형성한 커팅날(40)을 전판(22)의 피난홈(23)을 통해 공간부(21)에 마련하도록 전판(22)에 고정하되,
상기 커팅날(40)은 접수(4)의 여러종류 크기에 맞는 커팅날(40)을 다수개 마련하여 전판(22)의 피난홈(23)에 마련한 전판(22)을 작동판(20)의 외주연에 다수개 마련하며,
상기 다수개의 커팅날(40)의 하부에는 맞춤다이(50)을 마련하되 상기 맞춤다이(50)는 상면에 접수(4)를 마련하는 수용홈(51)을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커팅날(40)의 경사날(41)과 끼움날(42)에 의해 절삭가능한 절단면(52)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15)의 중앙에는 맞춤다이(50)를 통해 투입하는 접수(4)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스톱퍼(30)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판(15)에 마련한 맞춤다이(50)와 작동판(20)의 전판(22)에 고정된 커팅날(4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판(20)과 하판(15)의 외주연으로 다수개 마련하여 접수(4)의 여러종류의 크기에 맞도록 크기별로 구분하여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30)는 하부로 베어링봉(31)을 돌출시켜 하판(15)의 베어링공(16)과 베어링(32) 결합을 하여 스톱퍼(30)가 회전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30)는 원형이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접수(4)에 형성하는 끼움면(7)과 경사면(6)을 형성시 접수(4)를 형성시키기 위한 상태가 갈라지거나 썩은 상태의 손상된 경우에는 커팅날(40)에 의해 형성되는 접수(4)의 형상 위치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원하는 길이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판(20)의 외주연에 마련하는 다수개 전판(22)의 전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판(24)을 연결하여 하부에는 스프링(25)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누름판(26)을 연결하여 전판(22)의 하부에 마련한 커팅날(40)보다 하부로 길게 연장시키게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누름판(26)의 하면에는 접수(4)의 외부면과 밀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밀착홈(2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15)에는 가이드공(17)을 형성하여 가이드봉(13)을 마련하여 고정상판(10)을 하판(15)의 상부에서 가이드봉(13)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여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판(20)의 중앙에는 실린더(18)를 고정하도록 실린더공(19)을 형성하여 실린더에 의해 작동판(20)이 승강 작동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목(2)의 접목홈(3)에 삽입가능케 접수(4)의 하부에 경사면(6)과 끼움면(7)으로 이루어진 접목구(5)를 형성하도록 하여 접목(1)가능케 하는 것으로,
먼저 하판(15)에 마련한 맞춤다이(50)의 상면으로 접수(4)를 투입시키면 맞춤다이(50)의 상부에 형성한 수용홈(51)을 따라 접수(4)의 투입을 유도하게 하면서 투입되는 접수(4)의 끝단이 스톱퍼(60)와 밀착하게 되면서 접수(4)의 투입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접수(4)의 투입이 정지하게 되면 고정상판(10)의 상부에 연결한 실린더(18)를 작동시키면 작동판(20)이 부싱(14)의 내부에서 가이드봉(13)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이드봉(13)을 따라 작동판(20)이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작동판(2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작동누름판(26)의 밀착홈(27)에 먼저 접수(4)의 외부면이 밀착하게 되면서 스프링(25)에 의한 압력으로 접수(4)의 외부면을 커팅날(40)에 의해 절삭되기 전에 맞춤다이(50)에 밀착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판(20)이 계속 하강하면서 전판(22)의 하부에 고정된 커팅날(40)의 경사날(41)과 끼움날(42)이 하강하여 접수(4)의 일측에 경사면(6)과 끼움면(7)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접수(4)의 끝단은 스톱퍼(30)에 밀착된 후 실린더(18) 작동으로 인해 상부에는 작동누름판(26)과 하부에는 맞춤다이(50)에 의해 접수(4)를 고정하도록 한 후 커팅날(40)의 경사날(41)과 끼움날(42)이 가이드봉(13)과 슬라이딩 연결된 작동판(20)을 따라 하강하면서 접수(4)를 절단시킨 폐목(8)은 하부로 낙하시키고 접수(4)에 경사면(6)과 끼움면(7)을 형성한 접목구(5)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18)에 의해 작동판(20)이 하강하면서 접수(4)의 접목구(5)를 형성하도록 한 후 다시 실린더(18)를 상승시키면 작동판(20)은 가이드봉(13)을 따라 작동판(20)이 상승하면서 커팅날(40)이 맞춤다이(50)의 절단면(52)의 상부로 상승하는 동안 접수(4)의 외부면은 스프링(25)에 의해 작동누름판(26)이 누르고 있는 것이다.
이때, 접수의 직경 크기가 여러종류 이므로 그에 맞는 접수(4)의 직경과 유사한 맞춤다이(50)의 수용홈(51)을 선택하여 스톱퍼(30)에 밀착시키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톱퍼(30)는 베어링(32)에 의해 회전가능케 하여 접수(4)의 직경에 따라 수용하는 맞춤다이(50)와 맞는 길이에 맞도록 하며 이때 접수(4)와 밀착하는 스톱퍼(30)는 베어링(32)에 의해 회전시켜 접수(4)가 스톱퍼(30)에 밀착되어 커팅날(40)에 의해 경사면(6)과 끼움면(7)을 절단시 접수(4)의 손상된 부위를 감안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접수(4)의 직경 크기에 따라 수용할 수 있는 맞춤다이(50)를 크기별로 하판(15)의 외주연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작동판(20)이 더 상승하게 되면서 커팅날(40)은 먼저 접수(4)의 외부면보다 상승하게 된 후에 스프링(25)에 의해 접수(4)의 외부면을 누른 작동누름판(26)까지 상승하면서 밀착홈(27)과 맞춤다이(50)의 수용홈(51)에 마련한 접수(4)를 배출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커팅날(40)에 의해 절단된 접수(4)의 폐목(8)은 하판(15) 상부에 마련하게 되며 어느정도 폐목(8)이 쌓이면 하판(15)의 상부에 마련한 폐목(8)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접수(4)의 접목구(5)를 커팅날(40)에 의해 절단시 접수(4)의 흔들림을 작동누름판(26)에 의해 방지하도록 하면서 커팅날(40)에 의한 절단시 발생되는 반발력으로 인해 커팅날(40)이 흔들리지 않도록 커팅날(40)을 연결한 작동판(20)을 다수개의 가이드봉(13)에 의해 커팅날(4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1 : 접목 2 : 대목
3 : 접목홈 4 : 접수
5 : 접목구 6 : 경사면
7 : 끼움면 8 : 폐목
10 : 고정상판 11 : 피난공
12 : 고정나사 13 : 가이드봉
14 : 부싱 15 : 하판
16 : 베어링공 17 : 가이드공
18 : 실린더 19 : 실린더공
20 : 작동판 21 : 공간부
22 : 전판 23 : 피난홈
24 : 고정판 25 : 스프링
26 : 작동누름판 27 : 밀착홈
30 : 스톱퍼 31 : 베어링봉
32 : 베어링 40 : 커팅날
41 : 경사날 42 : 끼움날
50 : 맞춤다이 51 : 수용홈
52 : 절단면

Claims (3)

  1. 하판(15)의 가이드봉(13)에서 상부로 연결된 가이드봉(13)을 고정나사(12)로 고정상판(10)과 연결하고 상기 고정상판(10)의 상부로는 실린더(18)를 마련하여 피난공(11)을 통해 고정상판(10) 하부로 연장시켜 작동판(20)과 연결하며,
    상기 실린더(18)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판(20)에는 가이드봉(13)과 슬라이딩 가능케 부싱(14)을 마련하고,상기 작동판(20)의 외주연으로 피난홈(23)을 하부에 형성한 전판(22)을 마련하고 전판(22)의 하부에는 경사날(41)과 끼움날(42)을 형성한 커팅날(40)을 전판(22)의 피난홈(23)을 통해 공간부(21)에 마련하도록 전판(22)에 고정하되,
    상기 커팅날(40)은 접수(4)의 여러종류 크기에 맞는 커팅날(40)을 다수개 마련하여 전판(22)의 피난홈(23)에 마련한 전판(22)을 작동판(20)의 외주연에 다수개 마련하며,
    상기 다수개의 커팅날(40)의 하부에는 맞춤다이(50)을 마련하되 상기 맞춤다이(50)는 상면에 접수(4)를 마련하는 수용홈(51)을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커팅날(40)의 경사날(41)과 끼움날(42)에 의해 절삭가능한 절단면(52)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15)의 중앙에는 맞춤다이(50)를 통해 투입하는 접수(4)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스톱퍼(30)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용 접수 가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5)에 마련한 맞춤다이(50)와 작동판(20)의 전판(22)에 고정된 커팅날(40)은 작동판(20)과 하판(15)의 외주연으로 다수개 마련하여 접수(4)의 여러종류의 크기에 맞도록 크기별로 구분하여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용 접수 가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30)는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하부로 베어링봉(31)을 돌출시켜 하판(15)의 베어링공(16)과 베어링(32) 결합을 하여 스톱퍼(30)가 회전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용 접수 가공기.
KR1020190148396A 2019-11-19 2019-11-19 접목용 접수 가공기 KR10226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96A KR102262213B1 (ko) 2019-11-19 2019-11-19 접목용 접수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96A KR102262213B1 (ko) 2019-11-19 2019-11-19 접목용 접수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76A KR20210060876A (ko) 2021-05-27
KR102262213B1 true KR102262213B1 (ko) 2021-06-07

Family

ID=7613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396A KR102262213B1 (ko) 2019-11-19 2019-11-19 접목용 접수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2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094A (ja) 2002-07-12 2004-02-12 Konishi Katsuhiro 穂木接合部の成形装置及び成形刃
WO2007144399A1 (en) 2006-06-14 2007-12-21 Iso Groep Machinebouw B.V. Grafting device and method
US20110154730A1 (en) 2009-12-28 2011-06-30 Iseki & Co., Ltd. Grafted seedling producing device
KR101244121B1 (ko) 2011-02-07 2013-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127Y1 (ko) * 1997-12-24 2000-06-01 박상근 과채류 접목용 접수목 자동 절단기
KR20110052393A (ko) * 2009-11-12 2011-05-1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접수조제기 및 이를 이용한 수목의 접목방법
KR20160003004U (ko) 2015-02-23 2016-09-01 박기헌 기능성 접목용 절단기
KR20170000400U (ko) * 2015-07-20 2017-02-01 차성호 파 절단 장치
KR102041271B1 (ko) * 2017-07-24 2019-11-06 박상준 과일용 자동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KR102048351B1 (ko) * 2018-02-02 2019-11-25 박창민 접목용 접수 가공기
KR102138443B1 (ko) * 2018-12-07 2020-07-27 이종웅 접목용 접수밑단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094A (ja) 2002-07-12 2004-02-12 Konishi Katsuhiro 穂木接合部の成形装置及び成形刃
WO2007144399A1 (en) 2006-06-14 2007-12-21 Iso Groep Machinebouw B.V. Grafting device and method
US20110154730A1 (en) 2009-12-28 2011-06-30 Iseki & Co., Ltd. Grafted seedling producing device
KR101244121B1 (ko) 2011-02-07 2013-03-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76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351B1 (ko) 접목용 접수 가공기
US11910761B2 (en) Cutting tool
CN101305679A (zh) 一种核桃“t”字形芽接方法
CN208783284U (zh) 一种柚子树嫁接装置
CN110521416B (zh) 一种油茶树支干嫁接用切割器
AU2020100636A4 (en) Grafting Jig
KR102262213B1 (ko) 접목용 접수 가공기
KR101715711B1 (ko) 고소 전지칼
CN109511397A (zh) 一种适用于t字型芽接的果树嫁接机
CN210630251U (zh) 一种林业树枝修剪装置
CN208446030U (zh) 一种快速移苗器
CN103814758A (zh) 薄壳山核桃简易芽接刀制作及其使用方法
CN109392485B (zh) 一种木本植物标准化扦插的削穗装置及方法
CN209403092U (zh) 一种木本植物标准化扦插的削穗装置
CN211960171U (zh) 一种植物嫁接工具
CN210868872U (zh) 一种脐橙种植嫁接装置
CN211378873U (zh) 一种多功能嵌芽式嫁接装置
CN216358080U (zh) 一种用于园林植物嫁接种植的植物枝干剖皮装置
CN213029213U (zh) 一种用于嫁接的装置
CN215774385U (zh) 一种用于水果种植的嫁接装置
CN105519361B (zh) 一种转轴嫁接机
CN205794207U (zh) 一种苗木病虫害防护装置
CN211909735U (zh) 一种用于山核桃芽接的新型芽接装置
CN219019623U (zh) 一种葡萄嫁接装置
CN205017919U (zh) 一种菠萝冠芽取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