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400U - 파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파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400U
KR20170000400U KR2020150004878U KR20150004878U KR20170000400U KR 20170000400 U KR20170000400 U KR 20170000400U KR 2020150004878 U KR2020150004878 U KR 2020150004878U KR 20150004878 U KR20150004878 U KR 20150004878U KR 20170000400 U KR20170000400 U KR 201700004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wave
main plate
breaking device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호
Original Assignee
차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호 filed Critical 차성호
Priority to KR2020150004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400U/ko
Publication of KR20170000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4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4Devices for topping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8Holding or clamping devices for supporting fowl, venison, or other meat, or vegetables, during cooking or during subsequent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량의 파를 짧은 시간에 균일한 품질로 썰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파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 절단 장치는 판상으로 중심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 배출공의 상부에서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커팅날이 구비된 커팅부, 메인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가 구비되고 승강바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승강바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압체로 구성되는 승강부 및 가압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절단될 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 절단 장치 {Cutting apparatus for green onion}
본 고안은 파를 손쉽게 썰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량의 파를 짧은 시간에 균일한 품질로 썰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파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채소와 같은 식재료는 주방에서 그 쓰임에 맞도록 가공되어 사용된다.
요리의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식재료도 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은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각각의 손질을 위해서는 숙달된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다양한 식재료 중에서도 한식을 비롯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는 갖가지 양념이나 국, 탕등에 널리 사용되고, 전 등의 부재료로도 이용된다.
대개의 경우 파를 식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직각 또는 어슷썰기로 채를 쳐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파를 썰기 위해서는 도마위에 파를 얹어 놓고 주방용 칼을 이용하여 일일이 써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했다.
이렇게 도마와 주방용 칼을 사용하여 파를 써는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파의 채 썰린 품질에 차이가 크고, 숙련자라 할지라도 대량의 파를 써는데에는 오랜 시간을 소비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형식당과 같이 많은 양의 식재료를 취급하고 가공하여야 하는 곳에서는, 일일이 파를 수작업으로 써는 작업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었고, 그 품질 또한 작업자에 따라 편차가 심할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9278호 '파절단기'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3851호 '파 절단장치'등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파절단 기구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커팅날 사이로 인입되는 절단된 파를 수시로 제거하여 주어야 한다거나 절단된 파를 인출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지 못한다거나, 하나의 커팅날로 파를 절단하여 장치의 설비비용에 비하여 효율이 떨어진다는 등의 단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개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짧은 시간에 대량의 파를 절단하여 채 썰 수 있도록 하고, 균일하게 가공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설비비용이 저렴한 파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 따른 파 절단 장치는 판상으로 중심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 배출공의 상부에서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커팅날이 구비된 커팅부, 메인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가 구비되고 승강바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승강바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압체로 구성되는 승강부 및 가압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절단될 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팅부는 전면플레이트와 평행하도록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커팅날, 커팅날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는 커팅슬릿 및 커팅슬릿이 일측에서 결합되는 커팅슬릿착탈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체는 상단이 승강바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승강부가 하강시에 상기 커팅날이 수용되는 커팅홈 및 절단될 파를 상부에서 가압하도록 커팅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압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체는 하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져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플레이트의 하부에 찰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절단된 파가 수용되도록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저장용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는 일단이 메인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선단부에는 돌출되어 걸림턱 역할을 하는 헤드가 형성된 제1가이드봉 및 일단이 메인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형상으로 외측둘레에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승강바의 하강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승강바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제2가이드봉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많은 양의 파를 동시에 채 써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파를 채 써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파를 커팅하는 날을 다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승강부를 한번 누르는 작업으로 다량의 파가 채 썰리도록 하며, 상부의 가압체를 경사지게 하여 파가 짓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한 작동으로도 균일하게 가공된 파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고 설계가 간단하여 설비에 드는 비용이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커팅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승강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본 고안에 따른 파 절단 장치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는 편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100)가 구비되고, 메인플레이트(100) 중심부에는 절단된 파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배출공(110)이 형성된다.
또한, 파를 절단하게 되는 커팅날(221)이 구비된 커팅부(200)가 메인플레이트(100)의 배출공(110)의 상부에서 메인플레이트(100)과 결합되고, 메인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부(300)가 구비되며, 가이드부(300)에 구속되어 승강운동을 하게 되는 승강부(400) 및 메인플레이트(100)의 배출공(110)의 하부에서 절단된 파가 수용되는 저장용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메인플레이트(10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판상의 편평한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넓직한 판상으로 형성되고, 파를 절단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그 하중을 지탱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하중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닌 재질로 구현되며, 목재나 철재, 플라스틱등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플레이트(100)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출공(110)이 형성되는데, 뒤에 설명될 커팅부(200)에서 절단된 파가 하방으로 배출되기에 원활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그 형상은 본 고안이 실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커팅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승강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면,
커팅부(200)는 얇은 두께를 지닌 판상의 커팅부바디(201)와 커팅부바디(201)의 전면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커팅날고정단(202)이 형성되고, 커팅부바디(201)의 하단이 메인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볼트로 고정된다.
커팅부바디(201)는 전방에서 투입되는 파의 끝단이 닿아 파가 절단하기 좋은 위치로 충분히 진입하여 놓였음을 작업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파가 커팅날(221)의 상부에서 절단을 위해 적당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도 3을 참고하여 양측 커팅날고정단(202)중 일측에는 커팅슬릿착탈구(210)가 후술될 커팅슬릿(22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의 홈으로 구비되고 커팅슬릿(220)이 커팅슬릿착탈구(210)에 끼워지게 된다.
커팅슬릿(220)은 다수개의 커팅날(221)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커팅날(221)집으로 다수개의 커팅날(221)의 일단이 동일한 간격으로 구속되어 형성된다.
커팅슬릿(220)은 커팅날(221)의 간격이 다양하게 형성된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절단하기 위한 파의 두께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커팅날(221)은 상측에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어 파를 절단하게되며 커팅슬릿(220)과 커팅날고정단(202)에 양단이 각각 구속된다.
가이드부(300)는 제1가이드봉(310) 및 제2가이드봉(320)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가이드봉(310) 및 제2가이드봉(320) 각각의 일단이 메인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메인플레이트(100)의 상면과 직교하도록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환봉의 형상을 지닌다.
이때, 제1가이드봉(310)의 선단부에는 외측둘레로 돌출되어 걸림턱역할을 하는 헤드(311)가 형성되고, 헤드(311)는 후술될 승강바(410)가 걸려 구속됨으로 승강부(4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제2가이드봉(320)의 외측둘레를 탄성부재(330)가 감싸며 결합되고 탄성부재(33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원형 코일로 형성되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된다.
탄성부재(330)는 제2가이드봉(320)의 외측둘레를 감싼채로 일단은 메인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접하고 타단은 후술될 승강바(410)의 하단에 접하여 승강바(410)와 메인플레이트(100)간을 탄성력을 통하여 일정한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제1가이드봉(310) 및 제2가이드봉(320)이 쌍을 이뤄 구성되는 가이드부(300)는 메인플레이트(100)의 배출공(110)의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는 가이드부(300)가 상술된 제1가이드봉(310)으로만 형성되어도 파를 절단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에 부합할 것이나, 제2가이드봉(320) 및 탄성부재(330)를 구성함으로 인력으로 하강된 승강부(400)를 자동으로 상승 복원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줄이고 작업에 소비되는 노동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승강부(400)는 일정한 길이를 지닌 바 형태의 승강바(410)가 구비되고, 승강바(410)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420)가 형성된다.
승강바(410)는 양측에 상기되었던 제1, 2가이드봉(310, 320)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411)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승강바(410)는 관통공(411)이 제1, 2가이드봉(310, 320)에 구속되어 상하로 승강하게 되며, 상술되었듯 제1가이드봉(310)의 헤드(311)에 승강바(410)의 상단면이 걸려서 구속됨으로 가이드부(300)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가압체(430)는 승강바(410)의 하단 중심부에 결합되어 승강바(410)의 하강시 커팅날(221)의 상부에서 절단될 파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체(430)는 승강바(410)와 결합되는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가압면(431) 및 커팅홈(432)이 형성되는 하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져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커팅날(221)위에 놓여진 파를 가압할 시에 파가 짓무르지 않도록 일측부터 점진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커팅홈(432)은 승강바(410)가 하강하여 가압체(430)의 하부면이 커팅날(221)과 접하게 되는 부위가 커팅날(221)의 갯수와 두께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한 것이다.
커팅홈(432)을 형성하여 커팅날(221)과 가압체(43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 커팅날(221) 또는 가압체(4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승강바(410)를 충분히 하강시켜 파를 절단하는 효율을 높이게 된다.
가압면(431)은 가압체(430)의 하면에 형성된 커팅홈(432)과 커팅홈(432)의 사이의 면으로 절단될 파와 접하여 파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전면플레이트(440)는 가압체(430)의 전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부재로 중심부에는 절단될 파를 투입하는 투입구(441)가 형성된다.
전면플레이트(440)의 투입구(441)로 절단될 파를 투입하게 되므로 여러개의 파를 절단시 안정적으로 커팅날(221)의 상부에 절단될 파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되었던 각각의 구성과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절단 장치는 대량의 파를 일정한 간격으로 채 썰기 위한 절단 장치로서, 절단하고자 하는 파를 전면플레이트(440)에 형성된 투입구(441)로 끝단부터 밀어넣어 커팅부바디(201)에 그 끝이 닿게 하여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절단될 파가 위치되었다면 작업자는 손잡이(420)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따라 승강바(410)가 가이드부(300)에 구속된 채로 하강하게 된다.
승강바(410)의 하강에 따라 승강바(4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압체(430)는 절단위치에 놓여 있는 파를 상부에서 비스듬하게 접하며 가압하게 되고, 가압면(431)과 접하여 하방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는 파는 다수개의 커팅날(221)에 의하여 절단된다.
절단된 파는 커팅날(221)의 하부에 구비된 메인플레이트(100)의 배출공(110)을 통하여 메인플레이트(100)의 하방으로 배출되고, 메인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방이 개방되어, 배출공(110)으로 배출되는 절단된 파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용기(500)에 담기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메인플레이트 110 : 배출공
200 : 커팅부 201 : 커팅부바디
202 : 커팅날고정단 210 : 커팅슬릿착탈구
220 : 커팅슬릿 221 : 커팅날
300 : 가이드부 310 : 제1가이드봉
311 : 헤드 320 : 제2가이드봉
330 : 탄성부재 400 : 승강부
410 : 승강바 411 : 관통공
420 : 손잡이 430 : 가압체
431 : 가압면 432 : 커팅홈
440 : 전면플레이트 441 : 투입구
500 : 저장용기

Claims (6)

  1. 판상으로 중심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
    상기 배출공의 상부에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커팅날이 구비된 커팅부;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바가 구비되고 승강바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승강바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압체로 구성되는 승강부; 및
    상기 가압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절단될 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전면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절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평행하도록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커팅날;
    상기 커팅날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는 커팅슬릿; 및
    상기 커팅슬릿이 일측에서 결합되는 커팅슬릿착탈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절단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상단이 상기 승강바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승강부가 하강시에 상기 커팅날이 수용되는 커팅홈; 및
    절단될 파를 상부에서 가압하도록 상기 커팅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압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절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하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져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절단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하부에 찰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절단된 파가 수용되도록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저장용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절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선단부에는 돌출되어 걸림턱 역할을 하는 헤드가 형성된 제1가이드봉; 및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형상으로 외측둘레에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바의 하강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승강바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제2가이드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절단 장치.
KR2020150004878U 2015-07-20 2015-07-20 파 절단 장치 KR201700004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878U KR20170000400U (ko) 2015-07-20 2015-07-20 파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878U KR20170000400U (ko) 2015-07-20 2015-07-20 파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00U true KR20170000400U (ko) 2017-02-01

Family

ID=5840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878U KR20170000400U (ko) 2015-07-20 2015-07-20 파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4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76A (ko) * 2019-11-19 2021-05-27 박창민 접목용 접수 가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76A (ko) * 2019-11-19 2021-05-27 박창민 접목용 접수 가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96769T3 (es) Rebanador manual de alimentos
EP1759819A1 (en) Melon wedger
EP2015663B1 (en) Food mill including a removable blade assembly
US20100043239A1 (en) Brownie/Cake Cutter
GB2462282A (en) Culinary utensil
US20040025651A1 (en) Cheese slicer
US20150217470A1 (en) Novel slicing guide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70000400U (ko) 파 절단 장치
CN105559642A (zh) 一种多功能刨丝机
US9266247B1 (en) Device for layering foods and cutting into portions
CN202505136U (zh) 便利切菜器
CN110405836A (zh) 一种萝卜切丁机
CN206455714U (zh) 一种新型黄瓜专用切割装置
CN202241392U (zh) 一种蘑菇切片器
KR20090005080U (ko) 피자 절단기
KR20080004093U (ko)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WO2015003720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of food objects such as potatoes
CN201501000U (zh) 面包切片器
US20140259683A1 (en) Efficient self-cleaning food chopper
CN204546608U (zh) 一种可调节切片器
CN211388899U (zh) 一种土豆切条机
CN102896652A (zh) 一种切菜机
JP3221948U (ja) スライス対象物切断機構
CN208575912U (zh) 智能多功能型切丝切片食物处理机
CN212015374U (zh) 一种厨房无障碍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