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517U - 조립식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517U
KR20170003517U KR2020160001775U KR20160001775U KR20170003517U KR 20170003517 U KR20170003517 U KR 20170003517U KR 2020160001775 U KR2020160001775 U KR 2020160001775U KR 20160001775 U KR20160001775 U KR 20160001775U KR 20170003517 U KR20170003517 U KR 201700035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window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환
Original Assignee
최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환 filed Critical 최광환
Priority to KR2020160001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517U/ko
Publication of KR20170003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5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7Length, width or depth adjustment
    • E05Y2800/372Telescop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조립식 창호 프레임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결합부재가 연장 형성된 결합 프레임 모듈; 및 '1'자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 프레임 모듈의 결합부재가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 프레임 모듈과 결합하는 길이 조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 프레임 모듈 및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정 프레임의 결합으로 프레임 결합체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창호 프레임{ASSEMBLY FRAME FOR WINDOWS}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결합 프레임 모듈을 사용하여 간단하고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를 사용하여 미세 먼지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창호란 원하는 형태 및 크기로 창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결합 프레임을 이용하여 생성된 프레임 결합체를 이용하는 창호를 말한다.
조립식 창호는 완성된 창호에 비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사용자의 용도 및 의도에 따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창호를 붙박이 형태로 벽에 고정하지 않고 창틀에 삽입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도 있는 등, 그 목적에 따라 일시적이고 가변적인 용도 및 디자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87196호(고안의 명칭: 조립식 창호, 등록일자: 2005. 06. 08)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창틀에 부착하고, 부직포를 부착하여 미세먼지 등을 거를 수 있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결합부재가 연장 형성된 결합 프레임 모듈; 및 '1'자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 프레임 모듈의 결합부재가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 프레임 모듈과 결합하는 길이 조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 프레임 모듈 및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정 프레임의 결합으로 프레임 결합체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프레임 모듈은 두 개의 상기 결합부재가 'ㄱ'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 상하각 프레임; 세 개의 상기 결합부재가'T'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 양측 상하 프레임; 및 네 개의 상기 결합부재가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 중앙 지지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결합체에 부착되어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는 부직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결합체는 창틀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체를 창틀에 안착시키며, 'ㄹ'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창틀용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결합 프레임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결합체에 부직포를 부착하여 미세먼지 등을 거를 수 있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2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프레임 모듈 및 길이 조정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프레임 모듈 및 길이 조정 프레임이 결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직포가 부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결합체가 창틀에 부착되는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브래킷 및 창틀용 브래킷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100)은 프레임 결합체(110)를 포함한다.
프레임 결합체(110)는 복수의 결합 프레임 모듈(112, 114, 116) 및 복수의 길이 조정 프레임(118)의 결합으로 형성된 구조물이다.
즉, 프레임 결합체(110)는 창호 프레임의 형태를 갖는 구조체이다.
결합 프레임 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결합부재(10)가 연장 형성되고, 프레임 결합체(110)를 구성하는 모듈이다.
결합 프레임 모듈은 결합부재(10)의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결합 프레임 모듈이 있을 수 있다. 결합 프레임 모듈의 종류 및 외형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레임 결합체(110)는 금속류이거나 PVC, FRP를 비롯한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결합 프레임 모듈 및 길이 조정 프레임(118)은 금속류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길이 조정 프레임(118)은 '1'자 파이프 형상을 갖고, 결합 프레임 모듈의 결합부재(10)가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프레임 모듈과 결합한다.
여기서 길이 조정 프레임(118)이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는 것은 직선 형태 및 내부가 뚫려있는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가 관통되어 결합 프레임 모듈의 결합부재(10)가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결합 프레임 모듈과 길이 조정 프레임(118)이 결합할 수 있다.
길이 조정 프레임(118)의 종류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도 2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내지 2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프레임 모듈 및 길이 조정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결합 프레임 모듈은 상하각 프레임(112), 양측 상하 프레임(114) 및 중앙 지지대 프레임(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2a는 상하각 프레임(112)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하각 프레임(112)은 두 개의 결합부재(10)가 'ㄱ'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상하각 프레임(112)은 결합부재(10)가 90°로 결합되기에, 프레임 결합체(1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기에 적합하다.
도 2b는 양측 상하 프레임(114)을 도시하고 있는데, 양측 상하 프레임(114)은 세 개의 결합부재(10)가 'T'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양측 상하 프레임(114)은 결합부재(10)가 각각 180°또는 90°를 형성하며 결합 되기에, 프레임 결합체(110)의 외측 모서리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는 중앙 지지대 프레임(116)을 도시하고 있는데, 중앙 지지대 프레임(116)은 네 개의 결합부재(10)가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중앙 지지대 프레임(116)은 결합부재(10)가 각각 180°또는 90°를 형성하며 결합되기에 프레임 결합체(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d는 길이 조정 프레임(118)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결합체(110)가 형성될 때, 상하각 프레임(112), 양측 상하 프레임(114) 및 중앙 지지대 프레임(116) 모두가 사용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종류가 사용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창 만을 갖는 프레임 결합체(110)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네 개의 상하각 프레임(112) 및 네 개의 길이 조정 프레임(118)이 사용되면 충분하고, 도 1과 같은 정사각형의 네 개의 창이 있는 프레임 결합체(110)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네 개의 상하각 프레임(112), 네 개의 양측 상하 프레임(114), 한 개의 중앙 지지대 프레임(116) 및 열두 개의 길이 조정 프레임(118)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프레임 모듈 및 길이 조정 프레임이 결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양측 상하 프레임(114) 및 세 개의 길이 조정 프레임(118)이 결합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길이 조정 프레임(118)의 내부 직경은 결합부재(1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커서, 결합부재(10)가 길이 조정 프레임(118)에 삽입될 때 헐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직포가 부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의 결합체는 부착되어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는 부직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120)는 종이 또는 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황사, 꽃가루,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종류를 거를 수도 있다.
부직포(120)의 부착은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 결합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결합체가 창틀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 결합체(110)는 창틀(a)에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체(110)는 벽에 붙박이 되어 벽에 직접 고정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결합 되어 창틀(a)에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체에 다양한 색상 또는 이미지의 부직포를 포함하도록 하여 다양한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120)를 프레임 결합체(110)에 부착하여 창틀(a)에 부착하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면서도 외부의 미세먼지 등을 걸러낼 수 있으므로 실내 환경에도 유익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브래킷 및 창틀용 브래킷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브래킷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프레임(100)은 'ㄹ'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창틀용 브래킷(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창틀용 브래킷(20)은 창틀(a)의 가이드레일(b)에 고정되고, 프레임 결합체(110)를 창틀(a)에 안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프레임 결합체(110)는 창틀(a)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창틀(a)의 크기에 비하여 사이즈가 작아 고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창틀용 브래킷(20)은 프레임 결합체(110)가 창틀(a)에 고정이 되도록 안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창틀용 브래킷(20)은 단면이 'ㄹ'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두 개의 'ㄷ'자 형태의 모듈 두 개가 맞물린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ㄷ'형태의 부위에는 창틀(a)의 가이드 레일(b)이 들어가고, 다른 'ㄷ'형태 부위에는 프레임 결합체(110)가 들어갈 수 있다.
도 6b는 창틀용 브래킷이 창틀에 장착되고 프레임 결합체를 안착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결합부재 20 : 창틀용 브래킷
100 : 조립식 창호 프레임 110 : 프레임 결합체
112 : 상하각 프레임 114 : 양측 상하 프레임
116 : 중앙 지지대 프레임 118 : 길이 조정 프레임
120 : 부직포 a : 창틀
b : 가이드레일

Claims (5)

  1. 적어도 두 개의 결합부재가 연장 형성된 결합 프레임 모듈; 및
    '1'자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 프레임 모듈의 결합부재가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 프레임 모듈과 결합하는 길이 조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 프레임 모듈 및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정 프레임의 결합으로 프레임 결합체가 형성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 모듈은
    두 개의 상기 결합부재가 'ㄱ'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 상하각 프레임;
    세 개의 상기 결합부재가 'T'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 양측 상하 프레임; 및
    네 개의 상기 결합부재가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된 중앙 지지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결합체에 부착되어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체는
    창틀에 부착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창틀의 가이드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체를 창틀에 안착시키며, 'ㄹ'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창틀용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창호 프레임.
KR2020160001775U 2016-04-04 2016-04-04 조립식 창호 프레임 KR201700035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775U KR20170003517U (ko) 2016-04-04 2016-04-04 조립식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775U KR20170003517U (ko) 2016-04-04 2016-04-04 조립식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517U true KR20170003517U (ko) 2017-10-13

Family

ID=6040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775U KR20170003517U (ko) 2016-04-04 2016-04-04 조립식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51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199B1 (ko) * 2020-02-27 2021-01-27 (주)헤드어반스튜디오 인테리어용 조립식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6025254A (zh) * 2023-03-28 2023-04-28 吉林省鹏雨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集成建筑用门窗安装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199B1 (ko) * 2020-02-27 2021-01-27 (주)헤드어반스튜디오 인테리어용 조립식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6025254A (zh) * 2023-03-28 2023-04-28 吉林省鹏雨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集成建筑用门窗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4388B2 (en) Removable window and door screens
CN105398328B (zh) 用于调节机动车辆上的冷却空气的装置
US20110186240A1 (en) Roman curtain
AU2014241648B2 (en) Removable window and door screens
JP2020501958A (ja) キャノピーポールシステム
KR20170003517U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KR200465648Y1 (ko) 에어필터
US9713384B1 (en) Frame structure of net chair-back
KR200471751Y1 (ko) 3중 구조 자동차용 매트
KR101580891B1 (ko) 접이식 의자의 팔걸이 결합구조
CN105705713A (zh) 床上用品盖组件
KR101581939B1 (ko) 커튼 레일 커넥터
US20140041323A1 (en) Screen attachment handle with latch
CN104382314B (zh) 一种可拆卸的组合式拉杆箱
US20070136986A1 (en) Window blind carrier slide
CN107218715B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JP6002879B2 (ja) 吊り下げ型の吸音装置
DE202017003177U1 (de) Reversibel dehnbare Wabe mit Haltevorrichtung
US20050224190A1 (en) Adjustable curtain assembly in permeability to light
CN112665020A (zh) 过滤网组件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107472155A (zh) 一种车辆顶棚衣帽钩及具有其的车辆
KR200475658Y1 (ko) 환기망
JP3140388U (ja) 簡易カーテン
CN218864452U (zh) 空调面板组件及空调
JP6012939B2 (ja) 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