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47U - 프레임 연결구 - Google Patents

프레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47U
KR20170003347U KR2020160001458U KR20160001458U KR20170003347U KR 20170003347 U KR20170003347 U KR 20170003347U KR 2020160001458 U KR2020160001458 U KR 2020160001458U KR 20160001458 U KR20160001458 U KR 20160001458U KR 20170003347 U KR20170003347 U KR 201700033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bottom portion
fixing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896Y1 (ko
Inventor
정재홍
남승원
Original Assignee
정재홍
남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홍, 남승원 filed Critical 정재홍
Priority to KR2020160001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9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볼트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바깥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면부가 '凹'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어 프레임의 교차하는 내측 부위에 위치하여 외관상 표시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연결구{FRAME CONNECTOR}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각으로 교차하는 도어 프레임을 내측에서 고정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연동도어나 폴딩도어의 경우에는 압출된 금속재 프레임을 교차시켜 도어를 구성한다. 이러한, 도어 프레임은 목재나 MDF 계열의 재질과 달리 연결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100호(2015년 02월 04일 공고)는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짝용 세로 프레임과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제1프레임 결합공이 형성된 제1수직 밀착판과, 상기 제1수직 밀착판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제1수직 밀착판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문짝용 가로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수직 측벽판과, 상기 제1수직 밀착판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수직 측벽판의 상부의 일부를 덮게 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암나사공이 형성된 제1수평 덮개판과, 상기 제1수직 밀착판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수직 측벽판의 하부의 일부를 덮게 되는 제1수평 지지판으로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야 하며, 결합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단가가 증가하고,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 프레임의 교차하는 내측 부위에 위치하여 외관상 표시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가공을 최소화하면서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는,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볼트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바깥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면부가 '凹'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면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접하는 면에 상기 측면부가 억지끼움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는, 상기 가압돌기가 외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턱을 형성하며, 중앙부에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측면부의 내측 공간을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고정부가 'ㅂ'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프레임의 교차하는 내측 부위에 위치하여 외관상 표시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가공을 최소화하면서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가 도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에 고정부가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가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가 도어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100)는 바닥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도어 프레임의 일부 구성으로,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프레임 연결구(100)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이 겹쳐지는 내측 영역에 위치하여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을 고정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들(10, 2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제1 프레임(10)의 단부에 볼트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111)이 형성된다. 바닥부(110)는 외측면이 제1 프레임(10)의 단부와 맞닿게 되며, 볼트공(111)을 통해 볼트가 삽입되어 제1 프레임(1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바닥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10)는 제1 프레임(10)의 단부에 끼워지도록 양측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측면부(120)는 바닥부(110)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형성된다. 측면부(120)는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부(110)와 측면부(120)가 '凹'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측면부(120)는 외측면에 가압돌기(121)가 형성된다. 이는 제2 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21)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20)에는 직사각형의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양측의 측면부(120)가 삽입된다. 이 경우, 측면부(120)의 외측면에는 '∠' 형상으로 경사지게 가압돌기(121)가 턱을 형성하고 있어, 삽입공(21)에 억지끼움 된 후 단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20)의 중앙부에 절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22)은 측면부(120)가 제2 프레임(20)의 삽입공(21)에 체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절개홈(122)의 개수 및 간격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절개홈(122)은 측면부(120)가 삽입공(21)에 삽입된 이후에 이를 제2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양 측면부(120)를 용이하게 오므려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측면부(120)의 내측면에는 레일(123)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3)은 후술하는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홈이다. 고정부는 측면부(120)가 제2 프레임(20)의 삽입공(21)에 삽입된 후 체결되는 구성이다. 고정부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에 고정부가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가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프레임 연결구(100)는 고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측면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레일(123)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이 경우, 바닥부(110), 측면부(120) 및 고정부(130)가 'ㅂ'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고정부(13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측면부(120)의 내측 공간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제2 프레임(20)에 측면부(120)가 삽입된 이후 측면부(120)의 내측의 레일(123)을 따라 고정부(130)를 삽입시켜, 측면부(120)가 삽입공(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레임 연결구(100)를 제2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부(130)를 측면부(120)로부터 이탈시킨 후, 측면부(120)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삽입공(21)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31)은 바닥부(110)의 볼트공(111), 제1 프레임(10)의 체결공(11)과 대응하도록 동일축 상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고정부(130)의 관통공(131)을 통해 바닥부(110)의 볼트공(111)에 결합된 볼트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10)와 제1 프레임(10)은 볼트(30)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측면부(120)와 제2 프레임(20)은 가압돌기(121)에 의해 억지끼움결합되며, 양 측면부(120)의 내측에 고정부(130)가 삽입되어 고정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500)는 바닥부(510)와 측면부(520)를 포함하며, 바닥부(51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측면부(520)의 외측면에는 가압돌기(521)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100)와 달리는 측면부(520) 간의 간격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에서는 프레임 연결구(100)의 측면부(120)가 장방향의 길이로 형성되고, 도 5의 프레임 연결구(500)는 측면부(520)가 단방향의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 연결구(500)의 내측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고정부(130)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제1 프레임
11 : 체결공
20 : 제2 프레임
21 : 삽입공
30 : 볼트
100 : 프레임 연결구
110 : 바닥부
111 : 볼트공
120 : 측면부
121 : 가압돌기
122 : 절개홈
123 : 레일
130 : 고정부
131 : 관통공
500 : 프레임 연결구
510 : 바닥부
520 : 측면부
521 : 가압돌기
523 : 레일

Claims (5)

  1.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볼트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이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바깥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면부가 '凹'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면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접하는 면에 상기 측면부가 억지끼움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가압돌기가 외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턱을 형성하며, 중앙부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측면부의 내측 공간을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고정부가 'ㅂ'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볼트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구.
KR2020160001458U 2016-03-17 2016-03-17 프레임 연결구 KR200485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458U KR200485896Y1 (ko) 2016-03-17 2016-03-17 프레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458U KR200485896Y1 (ko) 2016-03-17 2016-03-17 프레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47U true KR20170003347U (ko) 2017-09-27
KR200485896Y1 KR200485896Y1 (ko) 2018-03-08

Family

ID=6057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458U KR200485896Y1 (ko) 2016-03-17 2016-03-17 프레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9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271U (ja) * 1991-10-24 1993-05-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枠体の連結構造
JPH10159397A (ja) * 1996-11-28 1998-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格子枠と格子との接合構造
KR20100071244A (ko) * 2008-12-19 2010-06-29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KR20120008708A (ko) * 2010-07-19 2012-02-01 안건형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KR101550547B1 (ko) *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271U (ja) * 1991-10-24 1993-05-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枠体の連結構造
JPH10159397A (ja) * 1996-11-28 1998-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格子枠と格子との接合構造
KR20100071244A (ko) * 2008-12-19 2010-06-29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방식의 고정 브라켓
KR20120008708A (ko) * 2010-07-19 2012-02-01 안건형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KR101550547B1 (ko) *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96Y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4151B2 (en) Guide rail for a drawer
KR19980042853A (ko) 가구용 힌지 등속을 고정하기 위한 바닥판
KR200485896Y1 (ko) 프레임 연결구
KR20200001698U (ko) 단자대 고정용 스톱퍼
KR101158089B1 (ko) 조립식 파티션 체결장치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462898Y1 (ko) 가구용 도어 프레임 연결구
JP2007297831A (ja) ふかし枠、及び、建具
KR200476755Y1 (ko)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커버프레임 분리형 천정매립등
KR200250486Y1 (ko) 창짝프레임 모서리 연결구
JP6448751B2 (ja) 建具
KR200491662Y1 (ko) 탈착식 프레임 연결구
CN208863840U (zh) 一种滑轨组件和具有其的家具
KR101029152B1 (ko) 칸막이 패널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143582B1 (ko) 칸막이 조립체
KR101123209B1 (ko) 침대 프레임 연결구조
KR20150002921U (ko)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구
KR20180016808A (ko) 도어 프레임 장치
KR200402768Y1 (ko) 창틀용 연결구
CN103924905B (zh) 一种塑钢门窗铝扣板的连接结构及其加工方法
CN220379991U (zh) 热水器壳体结构及燃气热水器
KR102329322B1 (ko)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JP6347623B2 (ja) 建具
KR200459541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의 연결구조
KR101877679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