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68A -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68A
KR20170003068A KR1020150093244A KR20150093244A KR20170003068A KR 20170003068 A KR20170003068 A KR 20170003068A KR 1020150093244 A KR1020150093244 A KR 1020150093244A KR 20150093244 A KR20150093244 A KR 20150093244A KR 20170003068 A KR20170003068 A KR 2017000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otated
speed change
sta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091B1 (ko
Inventor
차홍준
김대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0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60K235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복수의 변속단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회전되는 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라 상기 노브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부, 및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으로부터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단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상기 노브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초기 변속단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Transmission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 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변속 레버를 조작하여 변속기(Transmission)의 기어비를 바꾸게 된다.
이러한 변속 장치의 변속 모드로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모드와 운전자가 주행 모드(D)을 선택시에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이 바뀌는 자동 변속 모드가 있다.
이와 함께, 하나의 변속 장치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는 기본적으로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동 변속을 하는 변속 장치 옆에 자동 변속을 할 수 있는 변속 장치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변속 레버는 운전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차량 내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변속 레버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와 콘솔 박스 사이에 노출되어 있다.
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은 변속 레버의 일정 거리로 이동시켜 변속단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동 궤적에 따른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변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하게 하여 필요로 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변속 조작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US2013/0220055(2013.08.2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시에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게 하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복수의 변속단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회전되는 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라 상기 노브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부, 및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으로부터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단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상기 노브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초기 변속단으로 설정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노브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초기 변속단으로 설정하는 단계, 복수의 변속단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회전되는 상기 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라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으로부터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단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노브의 위치 확인을 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변속 조작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운전자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가 도시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회전 방향에 따른 변속단의 선택 순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변속단이 도시된 개략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에 따라 재배열된 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위치 감지부(100), 변속단 감지부(200), 변속 조건 판단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도 2와 같이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 힘에 의해 회전되는 노브(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브(5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의 변속단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브(500)의 외주 형상이 원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브(500)의 외주 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다각형일 수도 있다.
노브(500)는 도 3과 같이 기설정된 회전 각도(θ)로 회전될 때마다 변속단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P1 내지 P8은 노브(500)의 회전 각도를 전술한 기설정된 회전 각도(θ) 단위로 구분한 지점을 나타낸다.
이때, 노브(500)에는 운전자가 노브(500)를 회전시킬 때 기설정된 회전 각도(θ) 단위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디턴트 홈이나 디턴트 돌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턴트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노브(500)는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의 변속단이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변속단이 주차단(이하, P단), 후진단(이하, R단), 중립단(이하, N단), 주행단(이하, D단)을 포함하고, P, R, N, D단의 순서(또는 역순)으로 선택된다면, 현재 변속단이 N단인 경우 노브(500)가 도 4와 같이 제1 방향(시계 방향)으로 기설정된 회전 각도(θ)로 회전할 때는 D단이 선택될 수 있고, 노브(500)가 도 5와 같이 제2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기설정된 회전 각도(θ)로 회전할 때마다 R, P단이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변속단으로서 P, R, N, D단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브(500)의 회전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변속단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위치 감지부(100)는 노브(5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위치 감지부(100)는 노브(500)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브(500)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100)는 각 변속단에서의 노브(500)의 위치뿐만 아니라 두 위치 사이에서의 노브(50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는 노브(500)의 회전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전압 신호이거나 서로 다른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100)는 도 6과 같이 노브(500)가 회전할 때 노브(5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전압값(V1), 제2 전압값(V2), 제3 전압값(V3) 및 제4 전압값(V4)을 가지는 전압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노브(500)가 회전할 때 변속단이 변경되도록 하는 기설정된 회전 각도(θ)에 따라 제1 내지 제4 전압값(V1~V4)을 가지는 전압 신호가 일정 주기로 반복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부(100)는 도 7과 같이 노브(500)가 회전할 때 노브(5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듀티비(D1), 제2 듀티비(D2), 제3 듀티비(D3) 및 제4 듀티비(D4)을 가지는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노브(500)가 회전할 때 변속단이 변경되도록 하는 기설정된 회전 각도(θ)에 따라 제1 내지 제4 듀티비(D1~D4)을 가지는 감지 신호가 일정 주기로 반복 출력될 수 있다.
변속단 감지부(200)는 위치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에 따른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단 감지부(200)는 위치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 즉 전압 신호나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변속단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변속단 감지부(200)는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변속단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6에서 제1 전압값(V1)을 감지 신호가 P단에 대응되는 경우, 제2 내지 제4 전압값(V2~V4)을 가지는 감지 신호는 각각 R, N, D단에 대응될 수 있고, 전술한 도 7에서 제1 듀티비(D1)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가 P단에 대응되는 경우, 제2 내지 제4 듀티비(D2~D4)를 가지는 펄스 신호는 각각 R, N, D단에 대응될 수 있다.
변속 조건 판단부(300)는 복수의 변속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서 다른 변속단으로 변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 조건은 브레이크 작동 여부나 차량 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작동 여부는 브레이크가 작동될 때 발생되는 브레이크 신호를 통해 판단될 수 있고, 차량 속도는 기준 속도와의 비교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속 조건이 브레이크 신호 및 차량 속도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변속단마다 변속 조건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일부 변속단은 변속 조건이 생략될 수도 있다.
변속 조건 판단부(300)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에 따라 변속 조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되고,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의 변속 조건 신호를 "ON"이라 하고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되지 않거나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의 변속 조건 신호를 "OFF"라 칭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변속 조건 신호가 "ON"인 경우와 "OFF"인 경우의 변속 조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속 조건이 만족된다는 것이 변속 조건 신호가 "ON"인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변속 조건 신호가 "OFF"인 경우라도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 있는 경우에도 변속 조건을 만족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노브(500)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각도 등에 따라 변속단이 변경되도록 하는 변속 신호를 변속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술한 복수의 변속단 중 현재 변속단, 즉 노브(500)가 회전되기 이전 변속단으로부터 노브(500)의 노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변속단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현재 변속단이 P단인 경우의 일 예로서, 제어부(400)는 현재 변속단인 P단으로부터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R, N, D단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며,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P단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마지막으로 선택되는 변속단인 D단이 선택된 이후에도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유지될 때 D단을 유지시키게 된다.
도 9는 현재 변속단이 R단인 경우의 일 예로서, 제어부(400)는 현재 변속단인 R단으로부터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N, D단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며,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P단이 선택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마지막으로 선택되는 변속단인 D단이 선택된 이후에도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유지될 때 D단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마지막으로 선택되는 변속단인 P단이 선택된 이후에도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유지될 때 P단을 유지시키게 된다.
도 10은 현재 변속단이 N단인 경우의 일 예로서, 제어부(400)는 현재 변속단인 N단으로부터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D단이 선택되고,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R, P단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마지막으로 선택되는 변속단인 D단이 선택된 이후에도 노브(500)가 제 1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유지될 때 D단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마지막으로 선택되는 변속단인 P단이 선택된 이후에도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유지될 때 P단을 유지시키게 된다.
도 11은 현재 변속단이 D단인 경우의 일 예로서, 제어부(400)는 현재 변속단인 D단으로부터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D단을 유지시키고,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N, R, P단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마지막으로 선택되는 변속단인 P단이 선택된 이후에도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유지될 때 P단을 유지시키게 된다.
전술한 도 8 내지 도 11은 각 변속단에서 다른 변속단으로 변경되기 위한 변속 조건 신호가 "ON"인 경우의 일 예로서, 변속 조건 신호가 "OFF"인 경우에는 각 변속단으로부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노브(500)가 회전될 때에는 이전 변속단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각 변속단에서 변속 조건 신호가 "ON"인 경우에는 전술한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노브(5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변속단이 변경되나, 각 변속단에서 변속 조건 신호가 "OFF"인 경우에는 일부 변속단에서 노브(50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이전 변속단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노브(500)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으로부터 노브(500)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변속단을 재배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노브(500)가 회전될 때 위치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가 다르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500)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변속단을 재배열할 때 각 변속단에 대응되는 감지 신호도 재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6과 같이 노브(5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신호의 전압값이 다른 경우, 제어부(400)는 P단일 때의 노브(500)의 위치에 따라 도 13 및 도 14와 같이 P, R, N, D단에 대응되는 전압 신호의 전압값도 재배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도 7과 같이 노브(5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가 다른 경우, 제어부(400)는 P단일 때의 노브(500)의 위치에 따라 도 15 및 도 16과 같이 P, R, N, D단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도 재배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변경할때마다 노브(500)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변속단을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운전자의 오조작 등으로 인하여 노브(500)가 회전되는 경우라도 변속 조건에 따라 변속단이 변경되거나 유지되기 때문에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400)는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노브(500)의 위치를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초기 변속단인 비주행단(예를 들어, P 또는 N단)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비주행단을 제외한 다른 변속단에서 시동을 끈 경우라도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500)가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 신호를 변속기로 전달한 다음, 노브(500)의 위치에 따른 변속단과 변속기의 변속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경고 메시지, 경고음 및 경고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경고 수단을 통해 경고를 제공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은, 먼저 현재 변속단을 감지하게 된다(S110).
이때, S110 단계에서의 현재 변속단은 노브(500)이 회전되기 이전에 선택된 변속단으로서 위치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노브(50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에는 현재 변속단이 비주행단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노브(500)의 위치를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초기 변속단인 비주행단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변속단을 숙지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변속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현재 변속단, 즉 노브(500)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을 기준으로 복수의 변속단을 재배열하게 된다(S120).
즉, 제어부(400)는 전술한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현재 변속단을 기준으로 노브(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선택 가능한 변속단과 노브(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선택 가능한 변속단을 재배열하여 노브(5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되는 변속단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변속단에서 다른 변속단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을 판단하게 된다(S120).
이때, 변속 조건은 각 변속단마다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일부 변속단은 변속 조건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변속 조건이 생략되는 변속단은 항상 다른 변속단으로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단에서는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되거나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 다른 변속단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D단에서는 별도의 변속 조건 없이 다른 변속단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속 조건이 만족된다는 것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변속 조건이 생략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변속 조건이 만족될 때 노브(5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변속단이 변경되도록 한다(S150).
즉, 제어부(400)는 현재 변속단으로부터 변속 조건이 만족될 때 노브(50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기설정된 회전 각도(θ)로 회전될 때마다 복수의 변속단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위치 감지부
200: 변속단 감지부
300: 변속 조건 판단부
400: 제어부
500: 노브

Claims (19)

  1. 복수의 변속단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회전되는 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라 상기 노브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부; 및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으로부터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단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상기 노브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초기 변속단으로 설정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노브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브가 기설정된 회전 각도로 회전될때마다 변속단이 변경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변속단을 재배열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으로 기준으로 상기 노브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때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변속단을 상기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재배열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변속단을 비주행단으로 설정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이 P 또는 D단일 때 상기 노브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P 또는 상기 D단을 유지시키는 차량용 변속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노브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 신호 또는 서로 다른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에 대응되는 상기 전압 신호의 전압값 또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변속단에 대응되는 상기 전압 신호의 전압값 또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재배열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을 판단하는 변속 조건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이 만족될 때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단으로 변속시키는 차량용 변속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은,
    브레이크 작동 여부 및 차량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1.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노브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초기 변속단으로 설정하는 단계;
    복수의 변속단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회전되는 상기 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라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으로부터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단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변속단을 비주행단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변속단을 재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을 기준으로 상기 노브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변속단을 상기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재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노브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 신호 또는 서로 다른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통해 상기 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에 대응되는 상기 전압 신호의 전압값 또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변속단에 대응되는 상기 전압 신호의 전압값 또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재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시키는 단계는,
    상기 노브가 회전되기 이전의 변속단이 P 또는 D단일 때 상기 노브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P 또는 상기 D단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이 만족될 때 상기 노브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단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브레이크 작동 여부 및 차량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50093244A 2015-06-30 2015-06-30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6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244A KR101968091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244A KR101968091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68A true KR20170003068A (ko) 2017-01-09
KR101968091B1 KR101968091B1 (ko) 2019-04-11

Family

ID=5781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244A KR101968091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0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5595A (zh) * 2018-02-13 2019-08-20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换挡装置
CN111946807A (zh) * 2019-05-16 2020-11-1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换挡器、车辆及车辆换挡器的控制方法
CN112181046A (zh) * 2019-07-03 2021-01-05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一种旋钮档位输出方法、装置、旋钮装置以及存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6828A (ja) * 2010-09-21 2012-05-10 Tokai Rika Co Ltd 変速操作装置
KR20130081917A (ko) * 2012-01-10 2013-07-18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레버 장치 및 전자식 변속 시스템
US20130220055A1 (en) 2012-02-28 2013-08-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KR20140018165A (ko) * 2013-12-18 2014-02-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6828A (ja) * 2010-09-21 2012-05-10 Tokai Rika Co Ltd 変速操作装置
KR20130081917A (ko) * 2012-01-10 2013-07-18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레버 장치 및 전자식 변속 시스템
US20130220055A1 (en) 2012-02-28 2013-08-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KR20140018165A (ko) * 2013-12-18 2014-02-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5595A (zh) * 2018-02-13 2019-08-20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换挡装置
CN111946807A (zh) * 2019-05-16 2020-11-1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换挡器、车辆及车辆换挡器的控制方法
CN112181046A (zh) * 2019-07-03 2021-01-05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一种旋钮档位输出方法、装置、旋钮装置以及存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091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0878B2 (en) Shift-by-wire selector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and method therefor
US10060527B2 (en) Range-switching control device
JP3716837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自動変速機のレンジ選択装置
EP3379370B1 (en) Shift by wire gear shift actuator
KR102584369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5071422B2 (ja) 車両用シフト制御装置
KR10196809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066737B2 (en) Vehicle transmission
KR102418379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2018048662A (ja) シフトバイワイヤシステム
CN107795685B (zh) 用于车辆的线控换挡模块照明策略
KR101955033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2013019775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shboard display of the transmission ratios of an automatic gearbox and related system
EP4083475A1 (en) Vehicle park-lock control method and park-lock control device
JP6647324B2 (ja) 制御装置
US8246515B2 (en) Method for manually shift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through the accelerator pedal
JP5234309B2 (ja) 変速制御装置
KR101684181B1 (ko) 차량의 페일세이프 주행 제어방법
KR102507819B1 (ko)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CN113202922A (zh) 一种车辆摇杆式电子换档器的档位切换控制方法
JP6332138B2 (ja) 車両
JP2009222115A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変速制御装置
KR20160082061A (ko)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