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819B1 -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819B1
KR102507819B1 KR1020180101048A KR20180101048A KR102507819B1 KR 102507819 B1 KR102507819 B1 KR 102507819B1 KR 1020180101048 A KR1020180101048 A KR 1020180101048A KR 20180101048 A KR20180101048 A KR 20180101048A KR 102507819 B1 KR102507819 B1 KR 10250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change
vehicle
am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414A (ko
Inventor
김성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819B1/ko
Priority to DE102018220076.9A priority patent/DE102018220076A1/de
Priority to CN201811477917.5A priority patent/CN110871778A/zh
Publication of KR20200024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0Preventing gear creeping ; Transmission control during standstill, e.g. hill hol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60W2510/101Transmission neutr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1Clutch engagemen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16H2059/446Detecting vehicle stop, i.e. the vehicle is at stand still, e.g. for engaging parking 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23Sensing neutral state of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0Preventing gear creeping ; Transmission control during standstill, e.g. hill hold control
    • F16H2061/207Preventing gear creeping ; Transmission control during standstill, e.g. hill hold control by neutr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가 차량의 제동상태에서 이그니션이 온되는 경우, 클러치를 해제하고 엔진을 시동시키는 제동중시동단계와;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를 수행할 조건이 만족되고, 현재 변속기의 변속레인지가 N레인지가 아닌 경우, 변속기의 변속레인지를 N레인지로 변경시키는 N레인지변경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START CONTROL METHOD ON VEHICLE WITH AMT}
본 발명은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차량 시동 조작에 대하여, 가급적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여 차량의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AMT(Automated Manual Transmission)는 종래의 MT(Manual Transmission)와 같이, 상시 치합된 변속기어들 중 동력을 전달할 변속기어를 동기치합장치로 선택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클러치의 단속 작용과 동력을 전달할 변속기어를 선택하는 셀렉팅(selecting) 및 쉬프팅(shifting)이 모두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액츄에이터들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마치 종래의 자동변속기 탑재 차량과 같은 방식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차량의 시동 시에는 차량의 급발진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변속기의 변속기어는 모두 해제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경우에만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AMT 탑재 차량의 경우에도 변속기의 중립상태와 브레이크 작동이 엔진 시동의 전제조건이 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AMT 탑재 차량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 시동을 시도하거나, 변속기의 변속기어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 즉 D레인지 상태나 R레인지 상태에서 엔진 시동을 시도하면, 컨트롤러가 클러스터에 경고등을 점등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서 운전자에게 엔진 시동이 불가한 상태임을 알리도록 한다.
그러나, 해당 차량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나, 청각 장애인 등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경고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혼란스럽게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067398 A
본 발명은 AMT 탑재 차량에서 차량의 급발진 등을 방지하는 차량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가급적 운전자의 엔진 시동 의지를 반영하여 엔진의 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경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보다 사용자 친화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은
컨트롤러가 차량의 제동상태에서 이그니션이 온되는 경우, 클러치를 해제하고 엔진을 시동시키는 제동중시동단계와;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를 수행할 조건이 만족되고, 현재 변속기의 변속레인지가 N레인지가 아닌 경우, 변속기의 변속레인지를 N레인지로 변경시키는 N레인지변경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동중시동단계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완료되고,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에 의해 N레인지로 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변경이 완료되면, 변속조작부를 N레인지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부전환단계;
를 더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는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 수행 중 N레인지로의 변경에 실패하면,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N레인지로의 변경을 시도하도록 하는 수동조작유도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는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 수행 중 N레인지로의 변경에 실패하였을 때,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클러치의 체결이 필요한 상황이 되어도 클러치의 체결을 보류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클러치 체결 보류 예비단계와;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에 의해 N레인지로 변경이 이루어지면, 상기 클러치 체결 보류 예비단계를 해제하는 보류해제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는 소정의 기준시간 동안 시도하고,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도록 N레인지로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엔진의 시동을 오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는 운전자에게 자동적인 N레인지로의 변경이 실패한 것과, 수동으로 N레인지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고를 출력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AMT 탑재 차량에서 차량의 급발진 등을 방지하는 차량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가급적 운전자의 엔진 시동 의지를 반영하여 엔진의 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경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보다 사용자 친화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AMT 탑재 차량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AMT 탑재 차량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엔진(E)의 동력은 클러치를 통해 AMT로 전달되어 변속된 후, 디퍼렌셜(DF)을 통해 양쪽 구동륜(W)으로 인출된다.
상기 AMT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인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는 엔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인 ECU(Engine Control Unit)과 통신하면서 상기 AMT와 엔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TCU는 클러치액츄에이터(CA)를 제어하여 클러치(CL)를 조작하며, 셀렉팅/쉬프팅액츄에이터(SA)를 제어하여 AMT의 셀렉팅 및 쉬프팅 작동을 통해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 TCU에는 운전자의 변속조작을 입력 받는 변속조작부(MP)가 연결되는데, 상기 변속조작부(MP)는 종래와 같은 변속레버의 형태이거나 버튼식 또는 터치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의 전진 주행을 위해 사용하는 D레인지, 변속기의 모든 변속기어가 해제되어 있는 중립상태인 N레인지, 차량의 후진 주행을 위해 사용하는 R레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ECU는 엔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상기 TCU와 통신하여 엔진 시동 조건이 만족될 때, 엔진을 시동하고 엔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TCU와 ECU는 각각 독립된 구성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론적 또는 개념적으로 통합된 구성도 가능하며, 이하의 본 발명 설명에 있어서, 굳이 ECU와 TCU를 구분하여 언급할 필요는 없으므로, 이하에서 단순히 "컨트롤러"라 함은, TCU와 ECU를 통칭하는 의미로 해석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의 실시예는, 컨트롤러가 차량의 제동상태에서 이그니션이 온되는 경우, 클러치(CL)를 해제하고 엔진(E)을 시동시키는 제동중시동단계(S10)와;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S10)를 수행할 조건이 만족되고, 현재 변속기의 변속레인지가 N레인지가 아닌 경우, 변속기의 변속레인지를 N레인지로 변경시키는 N레인지변경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상태가 확보되어 있다면, 비록 변속기의 변속레인지가 N레인지가 아닌 상태라고 하더라도, 일단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경고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가급적 운전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의 시동이 이루어져도 차량의 제동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작동하여 차량에는 제동력인 인가된 상태이고, 상기와 같이 클러치(CL)가 해제된 상태에서 엔진의 시동이 이루어지므로, 비록 변속레인지가 D레인지 또는 R레인지인 상태이더라도 차량의 발진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안전성 또한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엔진의 시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변속레인지를 자동적으로 N레인지로 변경시켜서 추가적인 차량의 안전성 확보를 담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동중시동단계(S10)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완료되고,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S20)에 의해 N레인지로 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변경이 완료되면, 변속조작부(MP)를 N레인지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부전환단계(S30)를 더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S20)의 수행에 의해 변속기가 N레인지로 변경되었다면, 엔진 시동 시에 변속조작부(MP)는 N레인지 이외의 D레인지나 R레인지를 선택하고 있는 상태였을 것이므로, 이를 실제 변속기의 상태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S10)는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S20) 수행 중 N레인지로의 변경에 실패하면,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N레인지로의 변경을 시도하도록 하는 수동조작유도단계(S50)를 더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동중시동단계(S10)에 의해 엔진의 시동은 이루어졌지만, 하드웨어의 문제나 기타 여러 가지 문제에 의해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S20)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여, 결국 변속기의 상태가 N레인지로 자동적으로 변경되지 못하면,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라도 N레인지로 변속하도록 시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S50)는 소정의 기준시간 동안 시도하고,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도록 N레인지로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엔진의 시동을 오프시켜서,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준시간은 차량의 안전성 확보를 고려하여 설정될 것인 바, 예컨대, 5초, 10초 등과 같이 수초 내지 수십 초 이내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S50)는 운전자에게 자동적인 N레인지로의 변경이 실패한 것과, 수동으로 N레인지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고를 출력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S10)는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S20) 수행 중 N레인지로의 변경에 실패하였을 때,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S50)를 수행하기 전에, 클러치(CL)의 체결이 필요한 상황이 되어도 클러치(CL)의 체결을 보류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클러치 체결 보류 예비단계(S40)와;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S50)에 의해 N레인지로 변경이 이루어지면, 상기 클러치 체결 보류 예비단계(S40)를 해제하는 보류해제단계(S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즉, 일단 상기 제동중시동단계(S10)가 완료되어 엔진의 시동은 이루어진 상태에서, N레인지로의 자동적인 전환이 이루어지지 못했을 때에는 상기 클러치 체결 보류 예비단계(S40)를 수행하여, 갑자기 클러치(CL)가 체결됨에 의해 구동륜(W)으로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상황이 발생할 염려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도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S50)에 의해 N레인지로 변속기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보류해제단계(S60)를 수행하여, 클러치(CL)의 체결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클러치(CL)의 체결을 허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E; 엔진
DF; 디퍼렌셜
W; 구동륜
CA; 클러치액츄에이터
CL; 클러치
SA; 셀렉팅/쉬프팅액츄에이터
MP; 변속조작부
S10; 제동중시동단계
S20; N레인지변경단계
S30; 조작부전환단계
S40; 클러치 체결 보류 예비단계
S50; 수동조작유도단계
S60; 보류해제단계

Claims (6)

  1. 컨트롤러가 차량의 제동상태에서 이그니션이 온되는 경우, 클러치를 해제하고 엔진을 시동시키는 제동중시동단계와;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를 수행할 조건이 만족되고, 현재 변속기의 변속레인지가 N레인지가 아닌 경우, 변속기의 변속레인지를 N레인지로 변경시키는 N레인지변경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동중시동단계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완료되고,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에 의해 N레인지로 변속기의 변속레인지 변경이 완료되면, 변속조작부를 N레인지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부전환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는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 수행 중 N레인지로의 변경에 실패하면,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N레인지로의 변경을 시도하도록 하는 수동조작유도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동중시동단계는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N레인지변경단계 수행 중 N레인지로의 변경에 실패하였을 때,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클러치의 체결이 필요한 상황이 되어도 클러치의 체결을 보류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클러치 체결 보류 예비단계와;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에 의해 N레인지로 변경이 이루어지면, 상기 클러치 체결 보류 예비단계를 해제하는 보류해제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는 소정의 기준시간 동안 시도하고,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도록 N레인지로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엔진의 시동을 오프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유도단계는 운전자에게 자동적인 N레인지로의 변경이 실패한 것과, 수동으로 N레인지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고를 출력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KR1020180101048A 2018-08-28 2018-08-28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KR10250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48A KR102507819B1 (ko) 2018-08-28 2018-08-28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DE102018220076.9A DE102018220076A1 (de) 2018-08-28 2018-11-22 Startsteuerungsverfahren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siertem Schaltgetriebe (AMT)
CN201811477917.5A CN110871778A (zh) 2018-08-28 2018-12-05 具有amt的车辆的起动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48A KR102507819B1 (ko) 2018-08-28 2018-08-28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14A KR20200024414A (ko) 2020-03-09
KR102507819B1 true KR102507819B1 (ko) 2023-03-07

Family

ID=6952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048A KR102507819B1 (ko) 2018-08-28 2018-08-28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07819B1 (ko)
CN (1) CN110871778A (ko)
DE (1) DE1020182200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886B2 (ja) * 1995-09-14 2001-08-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変速装置
KR19990047066A (ko) * 1997-12-02 1999-07-05 김영환 반자동 변속기의 크래킹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20376B1 (ko) * 1999-06-22 2002-01-12 신현오 자동차의 안전 출발 방법 및 장치
KR100560840B1 (ko) * 2003-07-25 2006-03-13 신현오 자동차 안전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26904B2 (ja) * 2007-09-26 2012-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自動変速制御システム
KR101438923B1 (ko) 2012-11-26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amt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71778A (zh) 2020-03-10
DE102018220076A1 (de) 2020-03-05
KR20200024414A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22068A (ja) クラッチバイワイヤシステム
JP2006283919A (ja) 変速機の変速段表示装置
KR101846681B1 (ko)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US9309966B2 (en)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WO2018051593A1 (ja) 自動変速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802276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anual Transmission in the Event of a Disorderly Engine Behavior
US9090257B2 (en) Method in a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rive engine
JP2004270944A (ja) クラッチの制御方法
US20140039746A1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with an electric motor and a motor vehicle
KR102507819B1 (ko)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CA2958730C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method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US6612966B2 (en) Vehicle securing system
KR102465901B1 (ko) 차량의 중립단 주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074420A (ja) 車両用変速機の制御システム
EP4083475B1 (en) Vehicle park-lock control method and park-lock control device
US824651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 train
KR101628526B1 (ko) 변속시 차량 제어 방법
US10358145B2 (en) Actuating device
WO2018079348A1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2018141495A (ja) 車両用自動変速装置
JP2006519966A (ja) 重車両の中立段から噛合ギヤ段への変速のための車両ブレーキペダルインターロック
KR101292511B1 (ko)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KR100716626B1 (ko) 자동 변속 차량용 더블 클러치 구동방법
JP2022152515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2596513B1 (ko) 트랜스미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