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55A -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55A
KR20170003055A KR1020150093200A KR20150093200A KR20170003055A KR 20170003055 A KR20170003055 A KR 20170003055A KR 1020150093200 A KR1020150093200 A KR 1020150093200A KR 20150093200 A KR20150093200 A KR 20150093200A KR 20170003055 A KR20170003055 A KR 20170003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oadcast signal
broadcast
receiv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055A/ko
Priority to EP16174406.5A priority patent/EP3113488A1/en
Publication of KR2017000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수신장치는,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 및 상기 제 1 방송신호와는 다른 종류의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달하는 신호선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 1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제2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지 판단한 후,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처리부 또는 상기 제 2 신호처리부가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방송수신장치는 하나의 연결부를 통해 다양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방송수신장치가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신호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다.
방송수신장치는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방송수신장치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된 이 방송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의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box)가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처리된 방송신호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방송수신장치(10)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수신장치(10)가 케이블 방송국(17)의 방송 장비로부터 네트워크(16)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 있고, 방송수신장치(10)가 지상파 방송국(19)의 지상파 안테나(18)에서 송출된 RF 형태의 지상파 방송신호를 유선 접속된 RF 안테나(12)를 통해 수신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0)가 위성 방송국(15)의 위성 송출 안테나(14)를 통해 송출된 위성 방송신호를 인공위성(13)을 거쳐 위성 안테나(11)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 있다. 위성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성 안테나(11)는 컨버터 또는 저잡음변환기(LNB: 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를 포함한다. 컨버터는 인공위성(13)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방송수신장치(10)의 가용주파수대로 낮추며, 출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의 좌측 도면은 종래의 방송수신장치(10)의 신호선(201, 203)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200)인 잭(Jack)(202, 204)이 있는 후면을 도시한다. 종래에는 신호선(201, 203)을 연결하기 위해 방송수신장치(10)에 구비되는 잭(202, 204)이 지상파/케이블의 경우와 위성 방송 방식의 경우로 따로 사용해왔다. 따라서,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신호선(201, 203)을 대응하는 잭(202, 204)에 연결하여야 하는데, 사용자가 어느 연결부(200)에 어느 신호선(201, 203)이 연결되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면, 방송수신장치(10)가 정상적으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신호선(201, 203) 연결에 복잡함과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방송수신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기초하여 채널의 주파수 대역대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하지만,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 대역대에 해당하는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라면, 어떤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채널만을 선택하기 위해 방송수신장치(10)에 미리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방송수신장치(10)의 채널 검색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방송수신장치(1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방송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채널 중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채널을 검색하여 검색된 채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채널 검색 기능은 수신되는 방송신호 별로 채널 검색 기능이 진행되어, 사용자는 수신하고 있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선택하고 채널 검색을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소비자가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정확히 알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채널 검색 기능의 실행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알지 못하여도 영상을 시청하거나 채널을 검색하는 것에 불편함이 없는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 및 상기 제 1 방송신호와는 다른 종류의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달하는 신호선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 1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제2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지 판단한 후,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제1신호처리부 또는 상기 제2신호처리부가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알지 못하여도 영상을 시청하거나 채널을 검색하는 것에 불편함이 없는 방송수신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 1 방송신호는 위성 방송신호를 포함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위성 방송신호인 경우에 대해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송신호는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다양한 경우에 대해서 더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지상파 방송신호 방식 또는 상기 케이블 방송신호 방식으로 디모듈레이팅 하여 상기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상기 케이블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제 2 신호처리부가 처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가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인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제 1 방송신호인지 제 2 방송신호인지 여부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가용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상기 전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컨버터 전압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신호수신부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 차단을 방송수신장치에서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의 채널 선국을 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선의 단자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때,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 검색을 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신호선을 연결하면, 달리 채널 검색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채널이 자동으로 저장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채널 검색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 검색을 개시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사용자가 모르더라도, 간단한 조작으로 채널을 검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선국한 채널과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 및 상기 제 1 방송신호와는 다른 종류의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달하는 신호선의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호처리 중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알지 못하여도 영상을 시청하거나 채널을 검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송신호는 위성 방송신호를 포함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위성 방송신호인 경우에 대해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송신호는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를 포함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다양한 경우에 대해서 더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 2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디모듈레이팅 하여,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가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가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인지 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신호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제 1 방송신호인지 제 2 방송신호인지 여부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가용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버터의 상기 전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신호수신부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 차단을 방송수신장치에서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의 채널 선국을 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선의 단자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때,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신호선을 연결하면, 달리 채널 검색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채널이 자동으로 저장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채널 검색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사용자가 모르더라도, 간단한 조작으로 채널을 검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알지 못하여도 원하는 영상을 시청하거나,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채널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동작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수신하는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 동작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동작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동작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수신하는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 동작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수신하는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 동작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채널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채널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색을 수행 중인 방송수신장치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색을 수행 중인 방송수신장치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채널 검색을 마치고 영상이 표시되는 방송수신장치의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로 통합된 연결부를 가지며 자동으로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채널을 검색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방송수신장치(10)는 지상파 방송신호, 케이블 방송신호, 또는 위성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지상파 방송신호는 케이블 방송신호와 같은 종류의 신호선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같은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될 수 있지만, 위성 방송신호는 신호의 특성상 상기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신호와는 다른 신호선을 통해 전달되고, 다른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방송신호는 위성 방송신호를 포함하며, 제 2 방송신호는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의 우측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의 후면에 위치한 연결부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방송수신장치(10)는 외부로부터 연결부(100)를 통해 복수의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처리된 방송신호를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30)에 제공하여 표시하거나, 방송수신장치(10)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07)를 통해 직접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는 연결부(100), 제 1 신호처리부(101), 제 2 신호처리부(105), 제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는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20),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0)는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를 포함하며, 방송수신장치(10)에서 바로 처리할 수 있는 제 2 방송신호와 달리, 위성 방송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방송신호는, 인공위성에서 송출된 위성 방송신호는 신호수신부(20)에서 별도의 변환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에서 처리된다.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은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차단된다.
연결부(100)는 신호수신부(20)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과 연결되어, 제 1 신호처리부(101)와 제 2 신호처리부(105)에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를 전달한다. 연결부(100)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1 신호처리부(101) 또는 제 2 신호처리부(105)에 제공한다. 연결부(100)는 또한,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연결된 신호선을 통해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연결부(100)에 방송신호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이 검출된다면, 제어부(103)는 연결부(100)를 통해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의 후면에 위치한 잭(206)을 포함하는 연결부(200)를 도시한다. 잭(206)은 제 1 방송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201) 또는 제 2 방송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203) 중 어느 하나와도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에 관계 없는 통합 신호선(207)이 사용될 수 있다. 통합 신호선(207)은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잭(206) 역시 통합 신호선(207)과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을 제어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20)의 수신동작을 차단하고, 이 상태에서 방송신호가 검출되면,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한다.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는 연결부(100)에서 방송신호로 판단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이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른다. 또한,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이 차단된 상태에서 방송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신호수신부(20)가 신호수신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 신호수신부(20)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개시하면, 제어부(103)는 제 1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하고,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이 차단된 상태에서 방송신호가 검출되면, 바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2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방송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을 시작하고, 바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1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신호처리부(101)는 제 1 방송신호를 처리하며, 제 2 신호처리부(105)는 제 2 방송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방송국과 방송수신장치(10)는 기 정해진 통신 규약(protocol)에 따라서 방송신호를 송수신하고, 처리되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송국은 방송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통신 규약에 따라 모듈레이션을 수행하여 방송신호를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에 옮겨 송출하고, 방송수신장치(10)가 수신한 방송신호를 상기 통신 규약에 따라서 디모듈레이션을 한다. 이렇게 디모듈레이션이 처리된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방송수신장치(10)는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듈레이션은 진폭 모듈레이션(AM: amplitude modulation), 주파수 모듈레이션(FM: frequency modulation), 위상 모듈레이션(PM: phase modulation) 등이 있다. 따라서 제 1 신호처리부(101)는 제 1 신호처리부(101)가 처리할 수 있도록 모듈레이션 된 제 1 방송신호를 디모듈레이션 할 수 있으며, 제 2 신호처리부(105)는 제 2 신호처리부(105)가 처리할 수 있도록 모듈레이션 된 제 2 방송신호를 디모듈레이션 할 수 있다. 방송신호의 처리는 모듈레이션, 디모듈레이션 뿐 아니라,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하여, 멀티플렉싱, 디멀티플렉싱, 아날로그-디지털변환,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디코딩, 인코딩, 이미지인핸스먼트, 스케일링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해 도시되는 제 1 신호처리부(101) 및 제 2 신호처리부(105)는 예시일 뿐으로, 구현예에 따라서 두 신호처리부는 하나의 신호처리부 내에 집적회로(IC)로서 설계되어 각각의 방송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1 신호처리부(101) 또는 제 2 신호처리부(105)에서 처리된 방송신호는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30)로 전달되며, 디스플레이장치(30)는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수신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더 포함하여, 제 1 신호처리부(101)또는 제 2 신호처리부(105)에서 처리된 방송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제 1 방송신호의 수신을 위한 신호수신부(20)는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를 방송수신장치(10)가 처리할 수 있도록 주파수를 변환하고 출력을 증폭시키는 컨버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0)는 이런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입력된 외부 전원을 방송수신장치(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각 구성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는 또한, 연결된 신호선을 통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는 신호수신부(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신호수신부(20)에 구비된 컨버터(2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0)는 복수의 방송신호 중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안테나(21)와 컨버터(또는 LNB(Low Noise Block))(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23)는 신호수신부(20)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수인 제 1 방송신호를 방송수신장치(10)에서 처리 가능한 1GHz대 (예를 들어, 640 내지 2,150 MHz 범위 내의 신호)로 다운컨버팅을 수행하고, 출력을 증폭한다. 또한, 컨버터(23)는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버터(23)의 수신주파수대역은 C밴드(4 에서 8 GHz), Ku밴드(12 에서 18 GHz)가 사용되며 X밴드(8 에서 12 GHz), Ka밴드(26.5 에서 40 GHz)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전원 공급부의 컨버터(23)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는 전원 공급부로 하여금 컨버터(23)에 구동을 위한 전원(예를 들어, 전압 13V 또는 18V)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는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을 차단할 수 있고,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는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컨버터(2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가 컨버터(23)에 일정 레벨의 전압을 전달하면, 신호수신부(20)는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을 멈추거나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컨버터(23)에 제공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라서, 신호수신부(20)는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방송수신장치(10)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는 사용자의 방송수신장치(10)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11)는 조작 패널을 통해 조작 명령을 직접 수신하거나, 리모컨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포함된 리모컨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제어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동작 S600에서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수신되는 신호가 제 1 방송신호인지 제 2 방송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이후, 동작 S601에서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은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가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압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거나,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제 1 방송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방송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2 방송신호로 판단한다. 또한, 제 1 방송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방송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수신부(20)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시작하며,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1 방송신호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제 1 방송신호라면, 제 1 신호처리부(101)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제 2 방송신호라면, 제 2 신호처리부(105)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가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하며,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방송수신장치가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종류의 방송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으로, 실제 발명의 실시는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방송수신장치(10)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30)에 연결되어 처리된 방송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나, 방송수신장치(10)내부에 디스플레이부(107)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상술한바 있다.
먼저, 동작 S700에서,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20)의 방송신호 수신동작을 차단한다. 이어서, 동작 S701에서 제어부(103)는 방송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 방송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03)는 동작 S705에서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 후, 제어부(103)는 동작 S709에서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를 제 2 신호처리부(105)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동작 S701에서 방송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3)는 동작 S703에서,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을 시작한다. 그 후, 동작 S707에서 제어부(103)는 제 1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를 제 1 신호처리부(101)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먼저,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가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압 공급부를 제어함으로써,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을 차단한다(S700).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가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지 않고, 전압의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신호수신부(20)의 방송신호 수신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대로, 연결부(100)에서 방송신호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이 검출되면, 제어부(103)는 방송신호가 검출된다고 판단한다(S701).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20)의 수신동작 차단 중에,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2 방송신호라고 판단하며(S705), 제 2 신호처리부(105)가 이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S709). 이어서, 처리된 방송신호는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3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제공된다.
신호수신부(20)의 동작이 차단되는 동안 연결부(100)에서 방송신호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부(103)는 방송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S701). 그리고,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는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컨버터(23)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신호수신부(20)가 수신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S703). 신호수신부(20)의 방송신호 수신 동작 중에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1 방송신호라고 판단하고(S707), 제 1 신호처리부(101)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S708). 이어서, 처리된 방송신호는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3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제공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신호수신부(20)의 수신동작이 차단 되는 중에 방송신호가 검출되면, 제 2 신호처리부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20)의 수신동작 차단 중에 방송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수신부(20)의 수신동작을 시작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1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가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지 않고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신호수신부(20)의 동작을 멈추거나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음 역시 상술한바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의 방송신호가 수신되고 처리되는 동작을 블럭도를 통해 도시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방송수신장치(1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먼저,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는 전압 공급부를 제어하여,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800).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에서 연결부(100)를 지나 컨버터(23)에 이르는 점선은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가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출력하는 제어 명령의 흐름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는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변경된 레벨의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이 차단되는 중에, 제어부(103)는 연결부(100)에 방송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1).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이 차단되는 중에, 연결부(100)에 방송신호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이 검출되면, 제어부(103)는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하고,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 2 신호처리부에 전달한다(S803). 제 2 방송신호가 연결부를 지나 제 2 신호처리부에 도달하는 과정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S803).
제 2 신호처리부(105)는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30)에 제공한다(S805). 이어서, 디스플레이장치(30)는 처리된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방송수신장치(10)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겠다. 신호수신부(20)의 제 1 방송신호의 수신동작이 차단되는 중에, 연결부(100)에서 방송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S900),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는 컨버터(23)에 전원을 공급하고(S901), 신호수신부(20)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제 1 방송신호 수신동작을 시작한다(S903).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로부터 연결부(100)를 지나, 컨버터(23)에 이르는 점선은 컨버터 전압 제어부(109)가 컨버터(2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의 흐름 및 컨버터(23)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도시한다(S901).
신호수신부(20)의 수신 동작이 시작되면, 제 1 방송신호는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된다. 수신된 제 1 방송신호는 컨버터(23)에 의해 변환되어 연결부(100)에 전달되며, 연결부(100)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제 1 신호처리부(101)로 출력한다(S903). 신호수신부(20)로부터 연결부를 지나 제 1 신호처리부(S903)에 이르는 점선이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의 흐름을 도시한다(S903).
제 1 신호처리부(101)는 제 1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30)에 제공한다(S905). 이어서, 디스플레이장치(30)는 처리된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수신장치(10)는 처리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이 방송수신장치(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07)에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바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 2 방송신호가 지상파 방송신호인지 케이블 방송신호인지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상파 방송신호는 지상파 방송국과 방송수신장치(10)간의 통신 규약에 의해 지상파 방식으로 모듈레이션되어 전파되는바, 같인 지상파 방식으로만 디모듈레이션을 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블 방송신호 역시 케이블 방식으로만 디모듈레이션을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3)는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되면(도 7의 S705), 동작 S1000에서 제 2 방송신호를 지상파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을 하도록 제 2 신호처리부(105)를 제어한다. 그리고, 동작 S1001에서 제어부(103)는 제 2 방송신호가 지상파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가 지상파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이 가능하면, 제어부(103)는 동작 S1005에서 지상파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하고, 만약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가 지상파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이 불가능하면, 제어부(103)는 동작 S1003에서 케이블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우선 케이블 방식으로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를 디모듈레이션을 해볼 수 있다.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되면(S705), 제어부(103)는 제 2 신호처리부(105)를 제어하여 제 2 방송신호를 케이블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 한다(S1100). 디모듈레이션이 가능하면(S1101), 제어부(103)는 케이블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하며(S1105), 디모듈레이션이 불가능하면(S1101), 제어부(103)는 지상파 방송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할 것이다(S1103).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수신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는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며, 방송신호의 채널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동작 S1200에서, 방송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의 단자가 연결부(100)에 연결되면, 동작 S1201에서 제어부(103)는 채널 검색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동작 S1203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며, 마지막으로, 동작 S1205에서 판단된 방송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한다.
사용자가 연결부(100)에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신호선을 연결하면(S1200), 제어부(103)는 채널 검색 기능을 시작하는 신호로 받아들여, 채널 검색 기능을 시작한다(S1201).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하기에 앞서, 먼저,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제 1 방송신호인지, 제 2 방송신호인지 판단한다. 수신되는 신호가 제 1 방송신호라면, 위성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가 지상파 방송신호인지 케이블 방송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신호의 종류가 판단되었으면(S1203), 제어부(103)는 판단된 방송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한다(S1205).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연결부(100)에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지만 방송신호가 수신되지 않다가 방송신호가 수신되기 시작하면, 채널 검색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채널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채널 검색 기능을 개시할 수 있다. 먼저, 동작 S1300에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111)를 통해 채널 검색 기능이 요청되면, 동작 S1301에서 채널 검색을 개시한다. 그 후, 동작 S1303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며, 마지막으로, 동작 S1305에서, 판단된 방송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채널 검색을 개시하는 별도의 단계 없이, 연결부(100)에 신호선이 연결되거나, 사용자의 채널 검색 기능 요청이 있는 때, 우선 신호수신부(2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제 1 방송신호인지 제 2 방송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제 1 방송신호인 경우, 제어부(103)는 위성 방송신호의 수신되는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할 것이다.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제 2 방송신호인 경우, 제어부(103)는 제 2 신호처리부(105)를 우선 수신되는 제일 낮은 주파수 대역대의 방송신호를 지상파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지상파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이 가능하다면,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나머지 주파수 대역대의 방송신호를 지상파 방송신호의 채널로서 저장하고, 지상파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이 불가능하다면, 제어부(103)는 수신되는 나머지 주파수 대역대의 방송신호를 케이블 방송신호의 채널로서 저장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103)는 제 2 신호처리부(105)를 제어하여 우선 수신되는 제일 낮은 주파수 대역대의 방송신호를 케이블 방식으로 디모듈레이션 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색이 수행되는 방송수신장치(10)가 표시하는 UI를 도시한다. 방송수신장치(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연결부(100)에 신호선이 연결된 때 또는 사용자의 채널 검색 기능 요청이 입력된 때 채널 검색 기능을 개시한다. 방송수신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07) 또는 디스플레이장치(30)는 채널 검색이 개시됨을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UI는 외부의 방송신호가 감지되어, 채널 검색을 개시함을 알리는 안내문구(1400), 수신하는 방송신호의 종류(1401) 및 검색된 채널(1403)을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검색이 수행되는 방송수신장치(10)가 표시하는 UI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검색은 사용자 입력 수신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채널 검색 요청이 입력되는 때, 개시될 수 있다. 이때, UI는 사용자의 채널 검색요청에 따라 채널 검색을 개시함을 알리는 안내문구(1500), 수신하는 방송신호의 종류(1501) 및 검색된 채널(1503)을 포함한다.
도 16은 채널 검색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10)의 예를 도시한다. 방송수신장치(10)는 연결된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30) 또는 방송수신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07)에 사용자가 선택된 채널과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기초한 영상(1603) 및 선택한 채널(1601)을 표시한다. 채널을 변경하면, 저장된 다른 채널로 변경되어 변경된 채널에 기초한 영상(1603)과 변경된 채널(1601)이 표시된다.
10-방송수신장치
20-신호수신부
40-컨버터
100-연결부
101-제 1 신호처리부
103-제어부
105-제 2 신호처리부
109-컨버터 전압 제어부
111-사용자 입력 수신부

Claims (20)

  1.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 및 상기 제 1 방송신호와는 다른 종류의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달하는 신호선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 1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제2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지 판단한 후,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대응하는 상기 제1신호처리부 또는 상기 제2신호처리부가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신호는 위성 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송신호는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지상파 방송신호 방식 또는 상기 케이블 방송신호 방식으로 디모듈레이팅 하여 상기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상기 케이블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제 2 신호처리부가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방송수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가용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상기 전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컨버터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하는 방송수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선의 단자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때,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 검색을 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채널 검색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 검색을 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신호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방송신호 및 상기 제 1 방송신호와는 다른 종류의 제 2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달하는 신호선의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호처리 중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신호는, 위성 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송신호는,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 2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디모듈레이팅 하여,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가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제 2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수신 동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신호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가용주파수로 다운 컨버팅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버터의 상기 전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선의 단자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때,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채널 검색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채널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상기 제 1 방송신호 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
KR1020150093200A 2015-06-30 2015-06-30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3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200A KR20170003055A (ko) 2015-06-30 2015-06-30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174406.5A EP3113488A1 (en) 2015-06-30 2016-06-14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200A KR20170003055A (ko) 2015-06-30 2015-06-30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55A true KR20170003055A (ko) 2017-01-09

Family

ID=5613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200A KR20170003055A (ko) 2015-06-30 2015-06-30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113488A1 (ko)
KR (1) KR201700030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53A (ko) * 2017-12-05 2019-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8944B1 (en) * 2003-02-25 2015-10-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Tuner unit, receiver, electronic apparatus
KR20120129357A (ko) * 2011-05-19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7973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설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53A (ko) * 2017-12-05 2019-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3488A1 (en)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10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44841A (ko) 위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디지털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16349B2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antenna connection detection method for broadcast reception device
US20090066855A1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system
KR101105771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0942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채널 탐색 방법
KR20170003055A (ko)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15440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281746A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JP382495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128510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EP1883233A1 (en) Changing channel according to status of an image signal
JP2008017284A (ja) 受信装置
JP2008017292A (ja) ラジオ放送受信装置およびラジオ放送の自動選局装置
KR20160021538A (ko) 채널 검색 방법
KR20080042415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tpeg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10126922A (ko) Fm 송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오디오 송신방법
JP4645510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KR101315414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5833B1 (ko) 교통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6932453B2 (ja) ラジオ受信機
JP3093976U (ja) 衛星放送信号受信装置
WO2019185258A1 (en) A broadcast receiver device with enhanced signal reception efficiency
JP5027034B2 (ja) ミリ波送受信システム、ミリ波送信装置及びミリ波受信装置
JP2002353829A (ja) 地上波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情報取得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