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357A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357A
KR20120129357A KR1020110047552A KR20110047552A KR20120129357A KR 20120129357 A KR20120129357 A KR 20120129357A KR 1020110047552 A KR1020110047552 A KR 1020110047552A KR 20110047552 A KR20110047552 A KR 20110047552A KR 20120129357 A KR20120129357 A KR 20120129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image processing
image
unit
low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357A/ko
Priority to EP11187821A priority patent/EP2525585A1/en
Priority to US13/296,808 priority patent/US8508665B2/en
Priority to CN2012100250065A priority patent/CN102790846A/zh
Publication of KR2012012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영상수신부에 공중파로 수신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을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선택적으로 필터링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영상처리부에 전달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영상으로 표시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방송신호의 수신 및 처리 시 타 전자장치가 사용하는 신호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 예를 들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방송신호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함으로서 자체적으로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한다. 영상처리장치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는 대체적으로 디지털화되어 있는 바,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디지털 신호가 아닌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영상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영상신호가 영상으로 표시됨에 있어서, 표시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나타남으로써 화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영상의 노이즈는 영상신호가 영상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과정에서 간섭신호가 혼입되거나, 또는 영상신호가 영상처리장치에 수신되는 과정에서 혼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노이즈의 발생은 영상처리장치에 수신 및 처리되는 영상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보다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현저히 발생하며, 특히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영상처리장치에 수신되는 방식이 유선인 경우에 비해 무선인 경우에서 현저히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수신부에 공중파로 수신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을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링(low pass filtering)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필터링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전달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수신부에 공중파 및 케이블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설정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설정메뉴를 통해 선택된 수신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수신부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통해 수신 가능하며,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수신부에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의 디모듈레이팅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수신부에 공중파 또는 케이블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필터링부에 전달하며,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의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공중파로 수신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을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적으로 필터링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공중파 및 케이블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설정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메뉴를 통해 선택된 수신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의 디모듈레이팅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공중파 또는 케이블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에서 아날로그 방송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영상처리장치에서 설정메뉴에 의해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설정하는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되는 것으로 표현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 외에도 셋탑박스와 같이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지 않은 장치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한 바,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00)와, 영상수신부(100)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200)와, 영상처리부(200)에 의해 처리되는 방송신호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영상처리장치(1)의 동작 제어에 관한 기 설정된 커맨드를 생성하는 사용자입력부(400)를 포함한다.
영상수신부(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무선/유선, 즉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식을 통해 수신한다. 영상수신부(100)는 방송신호의 규격 및 영상처리장치(1)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수신부(100)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공중파 방식에 따라서 RF(radio frequency) 신호로 구현된 방송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케이블 방식에 따라서 컴포지트(composite)/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신호로 구현된 방송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00)는 이 외에도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수신부(100)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영상처리부(200)는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200)는 방송신호에 대해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방송신호 내 지정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0)에 출력함으로써, 해당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200)는 영상수신부(100)에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해당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C(analog/digital convertion) 변환과,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기저대역(baseband)로 천이시키는 디모듈레이팅(demodulat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200)는 이와 같이 기저대역으로 천이된 방송신호에 대해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디테일(detail) 강화 등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영상처리부(20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개별적 구성의 군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일체형 구성인 시스템 온 칩(system-on-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영상처리부(20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영상처리장치(1)의 다양한 제어 동작과 관련된 기 설정 커맨드를 생성하여 영상처리부(200)에 전달한다. 이에, 영상처리부(200)는 사용자입력부(400)로부터 전달된 커맨드에 대응하는 영상처리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입력부(40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영상처리장치(1)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나, 영상처리장치(1)와 원격으로 설치되어 통신이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가능하다.
이하, 영상수신부(100)에 수신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하여 영상처리부(200)가 디모듈레이팅을 수행하는 단계까지의 과정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아날로그 방송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난 과정은 방송신호가 RF 신호인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수신부(100)에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복수의 방송채널을 포함한다. 각 방송채널은 휘도신호, 크로마(chroma)신호 및 오디오신호의 세 가지 성분을 포함하며, 각 방송채널의 성분은 주파수 도메인(domain) 상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에 중심주파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방송신호는 영상수신부(100)에 수신되는 시점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주파수 대역인 RF 대역(610)을 가진다.
영상처리부(200)가 방송신호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방송신호를 기저대역(640)으로 천이시키는 디모듈레이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RF 대역(610)의 방송신호를 기저대역(640)으로 다이렉트로 천이시키는 것은 신호처리 품질 측면에서 곤란하므로, RF 대역(610)의 방송신호는 기저대역(640)으로의 천이에 앞서서 중간주파수인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620)으로 천이된다.
방송신호의 IF 대역(620)으로의 천이는 국부발진기(local oscillator)(미도시)에서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와의 믹싱에 의해 수행되며, 이에 따라서 방송신호는 RF 대역(610)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인 IF 대역(620)으로 천이된다.
IF 대역(620)의 방송신호는 ADC 대역(630)으로 천이되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ADC 대역(630)의 방송신호는 기저대역(640)으로 천이됨으로써 디모듈레이팅이 수행된다. 기저대역(640)으로 디모듈레이팅된 방송신호는 영상처리부(200)에 의해 디코딩 및 스케일링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00)에 영상으로 표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영상처리장치(1)가 방송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과정에서, 방송신호 내에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간섭신호 성분이 혼입됨으로써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방송신호의 주파수 천이 과정에서 영상처리장치(1) 내의 발진기(미도시)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우도 가능하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는 영상처리장치(1)에 방송신호가 공중파로 수신되는 과정에서 타 무선신호가 혼입됨으로써, RF 대역(610) 단계에서 이미 방송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방송신호는 영상처리장치(1)에 공중파 방식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기 설정된 주파수 미만으로 수신된다. 이러한 기 설정된 주파수는 한정될 수 없는 값이며 지역에 따라서 상이하나, 예를 들면 유럽의 경우 800MHz, 미국의 경우 700MHz 정도이다. 그런데, 별도의 타 전자장치(미도시), 예를 들면 무선전화(미도시)가 무선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영상처리장치(1)에 방송신호에 대하여 이 무선신호에 의한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영상처리장치(1)가 방송신호를 케이블 방식으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방송신호는 유선으로 전송되므로 앞서 공중파 방식의 경우에 비해 신호 간섭의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방송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공중파 방식의 경우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1)는 방송신호가 공중파 방식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타 전자장치(미도시)가 사용하는 무선신호의 혼입을 배제함으로써 방송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타 전자장치(미도시)의 무선신호는 앞서 설명한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형성하므로, 상기한 무선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함으로써 방송신호에 대한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는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영상수신부(100)에 공중파로 수신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해당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을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링(low pass filtering)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이 선택적으로 필터링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영상처리부(200)에 전달하는 필터링부(500)를 포함한다(도 1 참조).
필터링부(500)는 영상수신부(100)에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이 방송신호가 공중파 방식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로우 패스 필터링이 활성화됨으로써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대역을 필터링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주파수는 구체적인 수치를 한정할 수 없으나, 공중파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타 전자장치(미도시)가 사용하는 무선신호의 주파수 대역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필터링부(500)는 로우 패스 필터링에 의해 방송신호에서 타 전자장치(미도시)의 무선신호를 배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방송신호의 수신방식을 판단하고 필터링부(500)의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주체는 영상처리부(200)가 수행하거나, 필터링부(500)가 자체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가 수행할 수도 있다.
반면, 필터링부(500)는 영상수신부(100)에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케이블 방식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로우 패스 필터링이 비활성화된다. 필터링부(500)는 방송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방송신호를 그대로 영상처리부(200)에 제공한다.
방송신호가 케이블 방식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필터링부(500)가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케이블 방식은 유선전송방식이므로 무선신호가 방송신호에 혼입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바, 이 경우에는 필터링부(500)의 필터링 동작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에너지 소요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방식으로 전송되는 방송신호는 공중파 방식의 경우에 비해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므로, 만일 상기한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로우 패스 필터링을 수행하게 되면 정상적인 방송신호까지 필터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링부(500)가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에 대응하여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방송신호의 공중파 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타 전자장치(미도시)의 무선신호의 혼입을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표시 영상의 노이즈를 최소화시키고 화질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필터링부(500)가 필터링을 수행하는 시점은 방송신호가 기저대역(640)으로 천이되는 디모듈레이팅 시점 이전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RF 대역(610) 시점에서 혼입된 노이즈는 천이과정을 거치더라도 그대로 존재하므로, 방송신호가 IF 대역(620)으로 천이되는 시점 이전에 필터링부(500)에 의한 필터링이 수행되는 것이 신호의 품질 보장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영상수신부(100)에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영상처리장치(1)에서 설정메뉴(700)에 의해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설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400)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생성하면, 영상처리부(200)는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설정메뉴(700)가 표시되게 처리한다. 이 설정메뉴(700)는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영상수신부(100)에 공중파 및 케이블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400)를 통해 설정메뉴(700) 상에서 영상수신부(100)의 수신 방식을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선택된 수신 방식은 영상처리장치(1) 내에 저장됨으로써 필터링부(500)의 필터링 수행 시 참조된다. 즉, 필터링부(500)는 설정메뉴(700)를 통해 선택된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에 대응하여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수신부(100)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수신된다(S110). 필터링부(500)는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의 설정상태를 참조하며(S110), 이 설정상태가 방송신호를 공중파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 설정상태는 앞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메뉴(700)를 통한 선택에 따라서 저장된다.
필터링부(500)는 방송신호가 공중파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방송신호에 대해 로우 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여 영상처리부(200)에 출력한다(S130).
영상처리부(200)는 방송신호를 디지털 변환 및 디모듈레이팅하며(S140), 디스플레이부(300)에 해당 방송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S150).
반면, S120 단계에서,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이 공중파 방식이 아닌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케이블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필터링부(500)는 S130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영상처리부(200)는 로우 패스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은 방송신호에 대해 S140 및 S150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설정메뉴(700)를 통한 상태의 설정에 따라서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판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메뉴(70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이 아닌, 영상처리부(200)가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판단하고, 필터링부(500)가 영상처리부(200)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이러한 구성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관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수신부(100)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수신된다(S200). 영상처리부(200)는 방송신호에 대해 주파수 천이 및 디모듈레이팅을 수행하고(S210), 디모듈레이팅 결과에 기초하여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판단한다(S220).
디모듈레이팅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방식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신호가 IF 대역(620)으로 천이하는 시점의 이전 시점에서 공중파의 경우에 비해 케이블의 경우가 높은 주파수 대역을 형성하는 경우, 영상처리부(200)는 방송신호를 1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00)는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을 판단하면, 해당 판단 결과를 필터링부(500)에 전달한다. 또는 영상처리부(200)가 해당 판단 결과에 따라서 필터링부(500)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필터링부(500)는 방송신호가 공중파 방식으로 수신되는 경우(S230), 방송신호에 대해 로우 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여 영상처리부(200)에 출력한다(S240).
영상처리부(200)는 방송신호를 디지털 변환 및 디모듈레이팅하며(S250), 디스플레이부(300)에 해당 방송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S260).
반면, S230 단계에서, 방송신호의 수신 방식이 공중파 방식이 아닌 경우, 필터링부(500)는 S240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영상처리부(200)는 로우 패스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은 방송신호에 대해 S250 및 S260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영상처리장치(1)는 공중파로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해 타 전자장치(미도시)가 사용하는 무선신호의 혼입으로 인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영상처리장치
100 : 영상수신부
200 : 영상처리부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사용자입력부
500 : 필터링부

Claims (8)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수신부에 공중파로 수신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을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링(low pass filtering)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필터링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전달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수신부에 공중파 및 케이블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설정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설정메뉴를 통해 선택된 수신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수신부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통해 수신 가능하며,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수신부에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의 디모듈레이팅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수신부에 공중파 또는 케이블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필터링부에 전달하며,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의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공중파로 수신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을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적으로 필터링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공중파 및 케이블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설정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메뉴를 통해 선택된 수신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의 디모듈레이팅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공중파 또는 케이블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047552A 2011-05-19 2011-05-19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29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52A KR20120129357A (ko) 2011-05-19 2011-05-19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1187821A EP2525585A1 (en) 2011-05-19 2011-11-04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with interference fil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296,808 US8508665B2 (en) 2011-05-19 2011-11-15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0250065A CN102790846A (zh) 2011-05-19 2012-02-01 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52A KR20120129357A (ko) 2011-05-19 2011-05-19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357A true KR20120129357A (ko) 2012-11-28

Family

ID=4509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552A KR20120129357A (ko) 2011-05-19 2011-05-19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08665B2 (ko)
EP (1) EP2525585A1 (ko)
KR (1) KR20120129357A (ko)
CN (1) CN1027908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973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설정방법
KR20170003055A (ko) * 2015-06-30 201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6153A (ko) * 2016-10-27 201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6903B2 (en) * 2004-10-05 2008-11-25 Sanyo Electric Co., Ltd.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JP4639809B2 (ja) * 2005-01-17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チューナと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4674103B2 (ja) * 2005-03-15 2011-04-20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信号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0846A (zh) 2012-11-21
US8508665B2 (en) 2013-08-13
US20120293713A1 (en) 2012-11-22
EP2525585A1 (en)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185B1 (ko) 수신 감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8079241A (ja) 検波回路、変調方式判定回路、集積回路、チューナ装置、および多方式共用受信装置
KR20120129357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903793A2 (en) Method for switching a channel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e
EP2408195A1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JP2001320744A (ja) 受信装置及び受信アンテナの方向設定方法
US886137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broadcast reception state thereof
US200400887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television and radio broadcasting signals using a single tuner
KR20160021538A (ko) 채널 검색 방법
CN102256082A (zh) 一种支持多种数字电视制式的电视机
JP2003224780A (ja) 地上波放送信号変換装置及び地上波放送信号受信装置
US76970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demonstration
KR10167716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74579A (ja) 受信装置、携帯端末、受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システム
KR20110126922A (ko) Fm 송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오디오 송신방법
KR101488994B1 (ko) 와이어리스 텔레비전의 송신장치 및 그의 원격 명령 처리방법
JP388378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KR101183687B1 (ko) Atsc 및 atsc-mh 겸용 방송 수신기
KR100743284B1 (ko) 외부 영상기기를 이용한 듀얼 튜너 영상 처리 장치
JP2010114707A (ja) Rf変換装置、rf変換方法
EP2600630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711040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9272880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2119753A (ja) 車載用テレビ放送送信装置
JP2009088624A (ja) 移動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