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786U -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786U
KR20170002786U KR2020160000484U KR20160000484U KR20170002786U KR 20170002786 U KR20170002786 U KR 20170002786U KR 2020160000484 U KR2020160000484 U KR 2020160000484U KR 20160000484 U KR20160000484 U KR 20160000484U KR 20170002786 U KR20170002786 U KR 201700027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spherical
protrusion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
Priority to KR2020160000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786U/ko
Publication of KR20170002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자의 코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대응되어 밀착성을 가짐은 물론 코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코에 안경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한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안경테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부에 구면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구면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 중앙부에 삽입공을 갖는 수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부의 양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구면돌부에 대응되는 구면홈을 갖고, 타측면에 실리콘패드가 형성된 코받침 몸체;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The nose pad union structure of glasses}
본 고안은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코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대응되어 밀착성을 가짐은 물론 코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코에 안경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한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이 좋지 않아 시력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경은, 렌즈의 고정을 도모하는 프론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에는 코받침이 형성되어 코받침을 통한 코와의 지지를 통해 착용자의 안면에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코받침 구조의 일 례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470738호(2014.01.07.공고.) "코받침 지지구와 코받침 커버의 결합력이 향상된 안경 코받침"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코받침 지지구와 코받침 커버의 결합력이 향상된 안경 코받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코받침 지지구에 형성된 결합구에 코받침 커버가 결합되어 구성된 안경 코받침에 있어서, 코받침 지지구(10)의 상부에는 안경테 결합구(11)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링형 결합구(12)가 구성되며, 상기 링형 결합구의 바깥 둘레(13)와 안쪽 둘레(14)에는 각각 2개 이상의 요철부(15)가 구성되고, 상기 요철부(15)가 구성된 링형 결합구(12)는 실리콘제 코받침 커버(20)에 삽입되어 안경 코받침이 완성되되, 상기 실리콘제 코받침 커버(20)의 상부에는 삽입공(21)이 구성되며, 내부에는 링형 결합구(12)의 바깥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공간(22)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는 코받침이 고정되어 있어 착용자의 코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대응하지 못해 착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코에 안경 자국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0470738호(2014.01.07.공고.) "코받침 지지구와 코받침 커버의 결합력이 향상된 안경 코받침"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착용자의 코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대응되어 밀착성을 가짐은 물론 코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코에 안경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한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의 한 형태는, 안경테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부에 구면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구면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 중앙부에 삽입공을 갖는 수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부의 양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구면돌부에 대응되는 구면홈을 갖고, 타측면에 실리콘패드가 형성된 코받침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받침대의 구면돌부와 코받침의 수용돌부 내측에 형성된 구면홈이 서로 구면짝을 이루어 안경 착용이 코받침이 착용자의 코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여 밀착됨은 물론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경이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안경자국이 남지 않게 됨으로써 제품의 질적 향상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경테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코받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경테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코받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경테(100)에 일단이 고정된 받침대(120)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20)의 타측단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코받침 몸체(13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20)는 타측단부에 구면돌부(120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면돌부(120a)에 코받침 몸체(130)가 구면짝을 이루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면짝을 이루게 됨으로써 코받침 몸체(130)은 360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받침 몸체(130)는 상기 받침대(120)의 구면돌부(12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 중앙부에 삽입공(132)을 갖는 수용돌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부(131)의 양측에 개방부(133)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구면돌부(120a)에 대응되는 구면홈(134)을 갖고, 타측면에 실리콘패드(13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20)의 구면돌부(120a)와 코받침(110)의 수용돌부(131) 내측에 형성된 구면홈(134)이 서로 구면짝을 이루어 안경 착용이 코받침(110)이 착용자의 코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여 밀착됨은 물론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경이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안경자국이 남지 않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스탬프 타입 아이 쉐도우용 화장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 진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 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안경테 110: 코받침
120: 받침대 120a: 구면돌부
130: 코받침 몸체 131: 수용돌부
132: 삽입공 133: 개방부
134: 구면홈 135: 실리콘패드

Claims (1)

  1. 안경테(10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부에 구면돌부(120a)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120)와;
    상기 받침대(120)의 구면돌부(12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 중앙부에 삽입공(132)을 갖는 수용돌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부(131)의 양측에 개방부(133)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구면돌부(120a)에 대응되는 구면홈(134)을 갖고, 타측면에 실리콘패드(135)가 형성된 코받침 몸체(1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
KR2020160000484U 2016-01-27 2016-01-27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 KR201700027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484U KR20170002786U (ko) 2016-01-27 2016-01-27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484U KR20170002786U (ko) 2016-01-27 2016-01-27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86U true KR20170002786U (ko) 2017-08-04

Family

ID=6062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484U KR20170002786U (ko) 2016-01-27 2016-01-27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78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16A (ko) 2018-07-26 2020-02-05 김영호 안경테의 코받침
KR20220052060A (ko) 2020-10-20 2022-04-27 김준엽 실리콘 패드를 갖는 안경용 코받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38B1 (ko) 1996-02-10 2005-07-12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변속장치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38B1 (ko) 1996-02-10 2005-07-12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변속장치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16A (ko) 2018-07-26 2020-02-05 김영호 안경테의 코받침
KR20220052060A (ko) 2020-10-20 2022-04-27 김준엽 실리콘 패드를 갖는 안경용 코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132B1 (en) 3D eyeglasses with detachable front eyeglasses frame
US8348420B2 (en) Eyeglass with a soft sleeving element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CN204945524U (zh) 一种安全载物眼镜架
KR20170002786U (ko)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구조
CN111684338B (zh) 柔性眼镜组件和眼镜的柔性部件
US6655799B1 (en) Clip-on lenses
WO2016139511A1 (en) Bridgeless glasses
JP3236897U (ja) レンズ交換可能なメガネ
KR20130138870A (ko) 합성수지안경테의 교환형 코받침
KR101634254B1 (ko) 공기부압을 이용한 부착식 안경
JP2014002386A (ja) 非定形の眼鏡フレーム
KR200475958Y1 (ko) 플라스틱 안경테
KR101610818B1 (ko)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
US5988811A (en) Nose pads for spectacles
CN209879167U (zh) 一种新型镜脚结构及眼镜
KR20140146799A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1761520B1 (ko) 안경테의 코받침
KR20180054115A (ko)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
KR200286676Y1 (ko) 안경테
KR200487261Y1 (ko) 안경 보조 도구
JP3145414U (ja) 二眼式水中マスク
US10782539B2 (en) Eyeglasses structure
KR20170059329A (ko) 안경용 경첩
KR200483264Y1 (ko) 선글라스, 안경 및 안경용 렌즈를 둘러싸는 렌즈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