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115A -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 - Google Patents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115A
KR20180054115A KR1020160151656A KR20160151656A KR20180054115A KR 20180054115 A KR20180054115 A KR 20180054115A KR 1020160151656 A KR1020160151656 A KR 1020160151656A KR 20160151656 A KR20160151656 A KR 20160151656A KR 20180054115 A KR20180054115 A KR 2018005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ad
eyeglass frame
eyeglass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향
김은솔
Original Assignee
김은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솔 filed Critical 김은솔
Priority to KR102016015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115A/ko
Publication of KR2018005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Abstract

안경테에서 두 개의 렌즈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착용시 안경과 착용자의 코 사이에 놓이게 되는 안경 코받침 패드로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한쪽의 면적이 적어도 3cm2 가 되는 양 코받침부와, 양 코받침부 사이에 있으며 일 측면에 돌기를 가지는 중심부와, 중심부에서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며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나 홀이 하나 이상 설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안경테와 결합시 연장부가 연결부를 감고 내려와 연장부의 홈이나 홀이 돌기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안경 코받침 패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을 위해 안경테에 손쉽게 탈착할 수 있고, 안경의 착용 시 안경을 받치는 코 부분에 눌림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코 부분에서 피부 트러블을 일으켜 아프고 감염에 의해 곪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pad for glasses for preventing nose pad mark}
본 발명은 안경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에 손쉽게 탈착할 수 있고, 안경의 착용 시 안경을 받치는 코 부분에 눌림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경 코받침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수정체의 굴절 이상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투명 합성수지나 유리 재질의 볼록렌즈나 오목렌즈를 눈 앞에 놓이도록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이다.
물론, 안경은 눈에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드는 선글라스나 착용자의 외관을 꾸미기 위한 용도로 착용될 수도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한 통상의 안경은 두 눈 앞에 하나씩 놓이는 렌즈와 이 렌즈가 놓이도록 구성되는 안경테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안경테는 통상 두 렌즈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부와, 렌즈를 얼굴에 장착하기 위해 귀에 걸 수 있도록 만들어진 두 개의 안경다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부나 안경다리는 렌즈에 구멍을 뚫어 이 구멍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통상은 렌즈의 주변 적어도 일부에서 렌즈를 둘러싸는 테두리 부분을 만들고, 이 테두리 부분과 연결부, 테두리 부분과 다리 부분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런 안경테에서 신체(얼굴)과 닿는 부분은 대개 두 다리와 연결부 혹은 테둘이 부분이 된다. 이렇게 신체와 닿는 부분에는 신체의 피부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별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가령, 안경 다리의 귀에 닿는 부분에는 연질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고무 등이 감싸질 수 있고, 코의 연골 위에 닿는 연결부나 테두리 부분에는 코와 닿는 부분에 코받침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기존의 이런 코받침은 외관으로 드러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 코의 피부에 눌린 자국을 남기는 경우가 많고, 이런 눌린 자국은 단순한 외관상의 문제뿐 아니라 피부 트러블을 일으켜 해당 부분이 아프고 감염에 의해 곪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무게가 집중되어 피부에 피지가 많아지거나 땀이 나면 안경이 잘 미끌어져 내려 손으로 안경을 다시 올려주는 동작을 번거롭게 반복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기존 코받침의 문제에 대한 인식은 이미 있었고, 기존에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가 제시된 바 있다.
가령,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1459호의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에 의하면 안경테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 내측면으로 장홈으로 형성된 삽입홈과 이 삽입홈과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의 양 측면으로 코받침이 형성된 코받침 부가 형성되어 이 삽입홈에 삽입부를 억지끼움하는 방식으로 안경테와 코받침부를 연결하는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가 개시된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1848호의‘안경 코받침의 연결구’에 의하면 합성수지 안경테 융기부 내부에 가열된 상태로 끼워져 합성수지 용융물과 융착하여 고정되는 끼움고정부와, 코받침 일면 연결편이 삽입 설치되어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잡아주는 홀더부와, 상기 끼움고정부와 홀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연결구가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코받침 연결구조는 삽입홈의 내부에 돌출부가 삽입하여 걸림부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삽입홈의 내부에 돌출부가 삽입하는 구조로 인해 공간이 생겨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유격으로 인해 코받침이 흔들거려 사용하지 못하거나 교체해야 한다거나, 연결구가 융기부 내부에 가열된 상태로 끼워져 융착함으로 인해 코받침의 파손시 교체가 불가능 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 외에도 다른 코받침들이 개시되기도 하였지만 이들도 안경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결합을 위해 기존의 안경테 구조와 다른 결합구조를 설치하고 이들을 나사로 결합시키는 등 도구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실제 간편하게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어서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1459호 :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1848호 : 안경 코받침의 연결구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안경 코받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테에 손쉽게 탈착할 수 있고, 안경의 착용 시 안경을 받치는 코 부분에 눌림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경 코받침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의 피부에 눌린 자국을 남기는 것을 억제하고, 피부 트러블을 일으켜 아프고 감염에 의해 곪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경 코받침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존 안경 코받침에 안경 무게가 집중되어 안경이 잘 미끌어져 내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안경 코받침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경 코받침 패드는,
두 개의 렌즈를 사용자 얼굴에 착용하기 위한 안경테로서 두 개의 렌즈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착용시 안경과 착용자의 코 사이에 놓이게 되는 안경 코받침 패드로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한쪽의 면적이 적어도 3cm2 가 되는 양쪽 코받침부와 이들 사이에 있으며 일 측면에 돌기를 가지는 중심부와, 이 중심부에서 가상의 대칭선을 따라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며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나 홀이 하나 이상 설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안경테와 결합시 연장부가 안경테의 연결부를 감고 내려와 연장부의 홈이나 홀이 중심부의 돌기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착용시 코와 닿는 측면을 내측면, 반대면을 외측면이라 할 때 돌기는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이고, 연장부는 안경테의 연결부 안경의 아래쪽 내측에서 위로 올라가 외측으로 감는 형태로 안경테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코받침부의 외측면이면서 좌우 폭방향 단부에는 주변을 따라 길게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기존의 안경테의 코받침 부분이 본 발명의 안경 코받침 패드의 코받침부에서 미끄러져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경 코받침 패드로는 강인하여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착용시 피부면을 따라 잘 접촉될 수 있도록 구부러지기 쉬운 연질 재질 및 두께를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피부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고 세균 감염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안티바이오틱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안경 코받침 패드는 피부와 넓은 면에서 접촉하면서도 착용시 착용자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경 코받침 패드는 안경과 분리된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고 독립적인 형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경테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비착용 상태)에서 원래의 형태는 평면상으로 코받침부가 대략 나비 날개를 상하 반전시킨 형태를 이루고, 중심부가 나비 몸체를 이루고, 연장부가 나비 몸체에서 꼬리처럼 길게 뻗어나온 부분을 형상화하여 전체적으로 나비를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을 위해 안경테에 손쉽게 탈착할 수 있고, 안경의 착용 시 안경을 받치는 코 부분에 눌림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과 닿는 코 부분에서 피부 트러블을 일으켜 아프고 감염에 의해 곪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넓은 면적에 안경의 무게가 분산되게 하여 피부와 접촉하게 하므로 기존에 안경 착용시 안경이 얼굴에서 잘 미끌어져 내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하게 형성되어 안경에 결합하여 착용할 때에도 얼굴을 많이 가려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고, 분리시 독립된 외관도 악세서리와 같이 형성하여 지참의 효용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안경에서 분리된 독립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2는 도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안경 코받침 패드가 안경테에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5 및 도6은 본 발명 패드가 안경에 장착된 상태로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방 사시도,
도7 및 도8은 본 발명 패드가 다양한 안경에 장착되는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안경에서 분리된 독립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2는 도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평면적이고 나비와 비슷한 좌우 대칭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착용시 사용자의 코와 닿는 부분인 날개부(코받침부: 10)는 나비의 날개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다. 단, 나비의 날개는 두 쌍으로 이루어지고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위쪽 날개와 아래쪽 날개가 분리되어 있고, 위쪽이 폭이 넓고 아래는 폭이 좁아지는데 여기서는 좌우에 날개가 하나씩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위쪽이 폭이 좁고 아래쪽이 폭이 넓게 벌어져 나비의 날개를 상하 반전시킨 형태를 취하고 있다.
나비의 몸통에 해당하는 중심부(20)는 좌우 날개를 연결하는 부분이고 별다른 특징 형태를 가지지는 않지만 외측면(안경에 결합될 때 외측을 향하는 면)에 원기둥형 돌기(21)가 돌출되어 있다. 돌기(21)의 끝단은 폭이 확대되어 있다.
마치 꼬리처럼 중심부에서 위쪽으로 길게 연장된 부분인 연장부(30)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hole: 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31)은 중심부의 돌기(21)가 삽입되어 꽉 끼워지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일단 돌기(21)가 홀(31)에 삽입되면 돌기(21)의 확대된 끝단은 돌기(21)가 홀(31)에서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날개부의 외측면의 좌우측 끝단 주변에는 역시 좌우 대칭적인 형태로 스토퍼(11)가 일정 구간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1)는 외측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런 스토퍼(11)는 기존의 안경의 코받침이 본 발명의 안경 코받침 패드의 코받침부(10) 외측면에 놓일 때 미끌어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안경 코받침 패드는 특히 날개부(10)가 안경에 결합되어 얼굴의 피부와 닿을 때에는 피부 표면과 쉽게 정합된 상태를 이루어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도록 쉽게 구부러지고 변형될 수 있는 판체(plate)로 이루어지며, 제작의 편의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날개부, 중심부, 연장부 모두가 같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된다. 이런 경우, 안경에 결합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접혀 보관상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주머니나 가방 등에 쉽게 넣어질 수 있다.
이런 안경 코받침 패드는 가령, 저밀도폴리에칠렌(LDPE)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나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가죽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비록 기존 코받침 패드에 비해 크기가 커지지만 외관상 쉽게 드러나지 않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받침부(10)를 나비의 날개처럼 구성한 것은 본 발명의 안경 코받침 패드가 안경과 분리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고 독립적인 형태를 구성하여 장신구 혹은 악세서리와 비슷한 소지품을 이룰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며, 기타 다른 형태를 취하면서 착용상태에서도 안경의 미적 악세서리를 구성하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경 코받침 패드 가운데 피부와 닿게 되는 내측면에는 피부 트러블을 줄일 수 있는 물질이나 기존에 잘 알려진 것으로 내구적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항균제나 항생제 물질로 코팅을 하거나 원재료에 이런 물질을 포함시켜 제작하는 등 위생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코받침부(10)를 포함하여 전체의 크기는 결합되는 안경의 크기 혹은 안경 착용자의 신체 크기를 고려하여 대략 두, 세개 정도, 가령 소아용과 성인용의 다른 크기로 형성할 수 있지만, 코받침부(1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형성하고, 연장부(30)에 형성, 배열된 홀(31)의 갯수 및 설치 간격을 조절하면 안경의 크기에 큰 상관없이 넓은 범위에서 안경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받침부(10)의 크기는 통상의 안경 코받침이 폭 1cm 이하, 길이 2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에 대비하여 폭 1.5cm 이상, 길이 2cm 이상으로 면적 3cm2 이상이 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4cm2 이상이 되는 것이 코 자국을 충분히 방지하기에 좋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안경 코받침 패드가 안경테에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안경테와의 결합을 위해 먼저 도1 및 도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안경 코받침 패드를 원래의 평면형상으로 그 외측면이 안경의 연결부(12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접근시켜 도3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안경테의 연결부(120)와 본 발명 패드가 충분히 가까워지면 패드의 중심부(20)는 안경테의 연결부(120)보다 조금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중심부(20)에서 위로 연장된 연장부(30)를 안경테의 연결부(120) 아래쪽 내측에서 시작하여 연결부(120) 위쪽까지 올라가 외측을 향하면서 연결부(120)를 감싸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게 하고, 이 상태에서 연장부(30)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홀(31) 가운데 중심부(20)의 돌기(21)에 가장 가까운 홀(31)에 돌기(21)를 끝단부터 압입시켜 체결시켜 도4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패드의 중심부에 있는 돌기(21)가 연장부(30)에 있는 홀(31)에 체결되면서 중심부(20)가 외측으로 조금 힘을 받으면서 당겨지고, 코받침부(10) 양측은 안경테의 기존 코받침(130)에 의해 앞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므로 패드는 착용자의 코의 돌출 상태와 비슷한 굴곡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패드를 안경체에서 분리할 때에는 역으로 연장부 끝단을 바깥쪽으로 힘을 주어 당겨 돌기(21)가 홀(31)에서 빠지도록 하고, 패드를 안경테에서 멀리 이격시키면 된다.
이런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패드는 별다른 도구 없이도 안경테에서 쉽게 탈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원래의 평면 형태의 패드가 안경테에 결합되면 인체의 코 굴곡과 비슷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 패드가 안경에 장착된 상태로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방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코받침부는 착용자의 콧등 부분의 볼록한 형상과 미간과 이마로 이어지는 눈 가장자리의 오목한 부분의 형상에 정합하도록 변형되고, 그 내측면이 안경이 걸쳐지는 콧등과 미간 사이의 얼굴 피부의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미치는 안경에 의한 압력이 넓은 면적에 걸쳐 분산되어 코받침 자국이 생기지 않게 된다. 물론, 이는 피부에 대한 압력이 적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코받침으로 인한 피부 압박에 의한 살갖 벗겨짐이나 기타 피부 트러블, 감염의 위험과 고통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 패드가 다양한 안경에 장착되는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여기서 보면 패드는 안경테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으로 제작하여 지나치게 두드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특히, 투명으로 제작하여 잘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패드는 착탈이 용이하므로 혼자 있거나 주변이 친숙한 사회적 공간일 때에는 외관에 상관없이 편하게 패드를 착용하고, 외부로 나갈 때에는 패드를 분리하여 소지하면서 외부인에 대한 안경 외관 관리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안경테의 연결부의 형태에 따라 연결부가 두 개의 가로바(horizontal bar)로 이루어진 경우, 패드 연장부가 아래쪽 가로바만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연결부의 상하 두께가 큰 경우, 연장부를 넉넉히 하여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하고, 두께가 작은 경우, 연장부를 짧게 이용하여 연결부를 감싸면서 패드가 안경태에 결합하도록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1, 도2의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비슷하지만 코받침부에 양쪽 외측으로 설치된 스토퍼에 더하여 코받침부 양쪽 내측(중심부에 가까운 쪽)에 안경테의 고정 코받침에 걸려 안경태를 코받침부 내에 더 잘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부(15)를 설치하고 있다.
이상에서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코받침부(날개부) 11: 스토퍼(stopper)
15: 걸림부 20: 중심부
21: 돌기 30: 연장부
31: 홀(hole) 110: 테두리(안경테 테두리)
120: 연결부 130: 코받침

Claims (5)

  1. 두 개의 렌즈를 사용자 얼굴에 착용하기 위한 안경테에서 상기 두 개의 렌즈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착용시 안경과 착용자의 코 사이에 놓이게 되는 안경 코받침 패드로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한쪽의 면적이 적어도 3cm2 가 되는 양 코받침부와, 상기 양 코받침부 사이에 있으며 일 측면에 돌기를 가지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며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나 홀이 하나 이상 설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경테와 결합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연결부를 감고 내려와 상기 연장부의 홈이나 홀이 상기 돌기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안경 코받침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시 코와 닿는 측면을 내측면이라 하고, 상기 내측면의 반대면을 외측면이라 할 때, 상기 돌기는 상기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의 아래쪽 내측에서 위로 올라가 외측으로 감는 형태로 상기 안경테와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부의 외측면이면서 좌우 폭방향 단부에는 주변을 따라 길게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안경테의 코받침 부분이 상기 코받침부에서 미끄러져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체와 닿는 부분에는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세균 감염을 억제하기 위한 항균제 혹은 항생제(antibiotic) 성분이 포함되고,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 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안경테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비착용 상태)에서 원래의 형태는 평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받침부가 나비 날개를 상하 반전시킨 형태를 이루고, 상기 중심부가 나비 몸체를 이루고, 상기 연장부가 나비 몸체에서 꼬리처럼 길게 뻗어나온 부분을 형상화하여 전체적으로 나비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치 패드.
KR1020160151656A 2016-11-15 2016-11-15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 KR20180054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656A KR20180054115A (ko) 2016-11-15 2016-11-15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656A KR20180054115A (ko) 2016-11-15 2016-11-15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115A true KR20180054115A (ko) 2018-05-24

Family

ID=6229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656A KR20180054115A (ko) 2016-11-15 2016-11-15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41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7538A4 (en) * 2020-03-04 2023-07-26 Looloops, LLC COMFORT FIT NON-SLIP GOGGL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7538A4 (en) * 2020-03-04 2023-07-26 Looloops, LLC COMFORT FIT NON-SLIP GOGGL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349A (en) Temples-less eyeglass frame
US3701591A (en) Head engaging spectacle structure
CA2933856C (en) Safety glasses deployment system
JP6233994B1 (ja) 鼻当てパ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眼鏡
US5229796A (en) Attachable eyeglasses
KR102027312B1 (ko) 사용자맞춤 코받침대 구비형 안경
KR20180054115A (ko) 눌림 자국 방지용 안경 코받침 패드
US8684519B2 (en) Dual eyeglasses
KR20170017243A (ko) 보조 안경테
JP3177822U (ja) 眼鏡支持補助具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KR20120004268A (ko) 코받침 없는 안경
KR20100091756A (ko) 원터치형 안경 코받침
JPH10161068A (ja) ずり落ち防止部を有する眼鏡つる
US7568796B1 (en) Eyeglasses frame with weighted member hanging therefrom
KR20190071117A (ko) 안경용 논슬립 노우즈 패드
CN212575072U (zh) 一种护目镜
JP3232996U (ja) 眼鏡のフロント部分とテンプル部分をつなぐ蝶番の形状、材質を工夫することで、容易に蝶番を付け替えることができ、かつ顔幅に適したかけ心地を実現する眼鏡。
KR20100117431A (ko) 안경용 고정구
CN212694188U (zh) 一种防摔防滑的眼镜镜架和眼镜
CN212723553U (zh) 一种佩戴稳定性强的眼镜
KR200468061Y1 (ko) 렌즈키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경
KR100930422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안경다리
KR101761520B1 (ko) 안경테의 코받침
KR101392234B1 (ko) 병따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