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583A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83A
KR20170002583A KR1020167034302A KR20167034302A KR20170002583A KR 20170002583 A KR20170002583 A KR 20170002583A KR 1020167034302 A KR1020167034302 A KR 1020167034302A KR 20167034302 A KR20167034302 A KR 20167034302A KR 20170002583 A KR20170002583 A KR 20170002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color
light emitting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와카하라
나오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66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onforming the layers or laminate to a convex or concave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using holographic or diffrac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02B5/286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having four or fewer layers, e.g. for achieving a colour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H01L27/322
    • H01L27/3232
    • H01L51/524
    • H01L51/5268
    • H01L51/528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21Y2105/16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square or rectangular, e.g. for ligh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20Electroluminescent [EL] light sources
    • H01L2251/536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시인하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보다 큰 색 변화를 발현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발광 장치를 얻는다. 발광 장치는, 발광면(10S)을 갖는 유기 EL 패널(10)과, 발광면(10S) 위에 형성된 광 확산층(20)과, 광 확산층(20) 위에 형성되며,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광 확산층(20)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켜서 그것들을 방출하는 색차 형성층(3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LIGHT-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EL 패널을 구비한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2204호 공보(특허문헌 1)는, 장식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유기 EL 발광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광 시스템은, 시야각 의존성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유기 EL 발광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시야각 의존성이란, 발광면을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 콘트라스트비나 색의 보이는 방식이 상이한 성질을 말한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발광 시스템에 의하면, 시인하는 각도의 차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의 보이는 방식을 상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시인하는 각도에 있어서의 보이는 방식의 차이를 이용하여 모양 등을 형성함으로써, 모양 등이 부상되어 있는 듯한 인상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2204호 공보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 색의 보이는 방식이 상이하다는 시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는, 시인하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보다 큰 색 변화를 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시인하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보다 큰 색 변화를 발현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을 따르는 발광 장치는, 발광면을 갖는 유기 EL 패널과, 상기 발광면 위에 형성된 광 확산층과, 상기 광 확산층 위에 형성되며,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상기 광 확산층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켜서 그것들을 방출하는 색차 형성층을 구비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II-II 선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의 유기 EL 패널, 광 확산층 및 색차 형성층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의 사용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 있어서의, 색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1에 있어서의 수직면 내에서의 배광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1a에 있어서의 수직면 내에서의 배광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직면 내에서의 배광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수직면 내에서의 배광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의 사용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의 사용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동일 부품 및 상당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발광 장치(1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 중의 화살표 I의 방향으로 본 발광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 중의 II-II선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발광 장치(100)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발광 장치(100)는, 발광면(100S)(도 2)으로부터 광을 방사하는 발광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발광 장치(100)는, 조명이나 장식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장치(100)는, 유기 EL 패널(10), 광 확산층(20), 색차 형성층(30), 프론트 시트(40), 점착제(42)(도 2, 도 3), 점착 테이프(44)(도 2, 도 3), 백 시트(46)(도 2, 도 3) 및 리드선(51, 52)(도 1)을 구비한다.
(유기 EL 패널(10))
도 4는, 유기 EL 패널(10), 광 확산층(20) 및 색차 형성층(3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10)은, 투명 기판(11), 양극(12), 발광층(13), 음극(14), 밀봉 부재(15), 및 절연층(16)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11)은, 유리, 박막 유리, 또는 수지 필름 등으로 구성된다. 투명 기판(11)은, 유기 EL 패널(10)의 발광면(10S)(도 2, 도 3도 참조)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양극(12)은, 투명성을 갖는 도전막이며, 투명 기판(11) 위에 ITO 등이 성막됨으로써 형성된다. ITO막은, 양극(12)과 전극 취출부(17)(양극용)를 형성하기 위해, 및 전극 취출부(18)(음극용)를 형성하기 위해, 패터닝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전극 취출부(18)의 ITO막은, 음극(14)과 접속된다.
발광층(13)은,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광을 생성한다. 발광층(13)은 단일 또는 복수의 층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음극(1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AL)이며, 발광층(13)을 덮도록 형성된다. 절연층(16)은, 음극(14)과 양극(12)의 사이에 형성된다. 음극(14) 중, 절연층(16)이 위치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 부분은, 전극 취출부(18)에 접속된다.
밀봉 부재(15)는, 유리, 박막 유리, 또는 수지 필름 등으로 구성된다. 밀봉 부재(15)는, 양극(12), 발광층(13), 및 음극(14)의 전체를 투명 기판(11) 위에 밀봉한다. 전극 취출부(17, 18)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밀봉 부재(15)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전극 취출부(17, 18)는, 전극 패턴(유기 EL 패널(10)의 단부에 설치된 2군데의 전극 랜드), 배선 부재(FPC: Flexible Printed Circuits), 및 도전성 접착제 등을 개재하여, 리드선(51, 52)(도 1)에 각각 전기 접속된다.
유기 EL 패널(10)은,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리드선(51, 52) 및 전극 취출부(17, 18)를 통하여 급전됨으로써, 발광면(10S)으로부터 광을 출사한다(도 3 중의 백색 화살표 참조). 유기 EL 패널(10)을 구성하고 있는 투명 기판(11)을, 수지 필름이나 박막 유리 등의 유연한 재료(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유기 EL 패널(10)의 전체를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 확산층(20))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확산층(20)은, 유기 EL 패널(10)의 발광면(10S) 위에 형성된다. 광 확산층(20)은, 광 확산층(20)을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광 확산층(20)을 통과하기 전의 광과, 광 확산층(20)을 통과한 후의 광을 비교한 경우, 광 확산층(20)을 통과한 후의 광의 배광 특성은, 배광 특성의 각도마다의 광량 차가 작아지도록 변화한다.
즉 광 확산층(20)은, 광 확산층(20)을 통과하는 광의 배광 특성을 램버시안 배광에 가깝게 한다. 광 확산층(20)을 통과하기 전의 광의 배광 분포에 비하여, 광 확산층(20)을 통과한 후의 광의 배광 분포 쪽이, 램버시안 배광에 가까워진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광 확산층(20)은, 예를 들어 OCF(Out Coupling Film)로 구성된다.
광 확산층(20)을 통과하는 광의 배광 특성을 램버시안 배광에 가깝게 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라면, 이방성을 갖는 광 확산층(20)을 사용해도 되고, 등방성을 갖는 광 확산층(20)을 사용해도 된다. 광 확산층(20)으로서는, 모재의 내부에 미립자를 포함함으로써 내부 산란 작용을 이용하여 광을 확산시키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모재의 표면에 요철(미세 구조)을 가짐으로써 계면 반사 작용을 이용하여 광을 확산시키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유기 EL 패널(10)의 내부(발광층(13))에서 생성된 광의 대부분은, 발광면(10S)으로부터 출사된 후(발광면(10S)으로부터 취출된 후), 광 확산층(20) 내에 입사한다. 발광면(10S) 위에 형성된 광 확산층(20)은, 발광면(10S)으로부터 출사되지 않은 광성분을 취출하는, 소위 광 취출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광 확산층(20)이 발광면(10S) 위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기 EL 패널(10)의 광 취출 효율이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발광 장치(100)의 발광 효율도 향상된다.
(색차 형성층(30))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색차 형성층(30)은, 광 확산층(20) 위에 형성된다. 색차 형성층(30)과 유기 EL 패널(10)의 사이에, 광 확산층(20)이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색차 형성층(30)은, 레인보우 필름(31)과, 레인보우 필름(31)의 편측 표면을 덮도록 마련된 점착제(32)를 포함한다. 점착제(32)는 레인보우 필름(31)과 광 확산층(20)을 접착한다. 점착제(32)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면 된다.
색차 형성층(30)(레인보우 필름(31))은,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광 확산층(20)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켜서 그것들을 표면(30S)(도 3)으로부터 방출한다. 색차 형성층(30)이 갖는 이러한 기능은, 예를 들어 구조색의 원리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예시하면, 박막에 의한 간섭, 다층막에 의한 간섭, 회절에 의한 간섭, 미세 홈에 의한 간섭, 미세 돌기에 의한 간섭, 및 , 미립자에 의한 산란 중 적어도 하나의 작용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색차 형성층(30)의 기능은 실현될 수 있다.
색차 형성층(30)에는, 레인보우 필름(31)과 같은 소위 홀로그램 시트 대신에, 유전체 다층막을 사용해도 된다. 유전체 다층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층마다의 막 두께의 조합이나, 복수의 층마다의 막질의 조합에 의해, 광의 간섭의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유전체 다층막은, 다층막에 의한 간섭의 작용을 이용하여,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광 확산층(20)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켜서 그것들을 표면(30S)(도 3)으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프론트 시트(40) 및 백 시트(46) 등)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시트(40) 및 백 시트(46)는, PET 필름 등의 밀봉 기능을 갖는 부재로 구성된다. 프론트 시트(40) 및 백 시트(46)의 각각의 외형 사이즈는, 유기 EL 패널(10) 등보다도 크다(도 1 참조). 도 1에 있어서는, 편의상, 프론트 시트(40)를 일점 쇄선을 사용하여 투과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프론트 시트(40)의 편측 표면에는, 점착제(42)(도 2, 도 3)가 마련된다. 점착제(42)는 프론트 시트(40)와 레인보우 필름(31)을 접착한다. 점착 테이프(44)는, 유기 EL 패널(10)과 백 시트(46)의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EL 패널(10)과 백 시트(46)를 접착한다. 프론트 시트(40) 및 백 시트(46)는, 유기 EL 패널(10), 광 확산층(20) 및 색차 형성층(30)을 끼워 넣어 밀봉함으로써, 이것들을 밀봉한다. 밀봉에 의해 유기 EL 패널(10) 등을 모듈화함으로써, 방수성이 얻어지고, 물리적인 파손으로부터도 유기 EL 패널(10)을 보호할 수 있다. 사용 환경이나 사용 조건을 확대할 수 있고, 다양한 용도에 대한 적용이 가능해진다.
밀봉 수순의 일례를 들면, 먼저, 유기 EL 패널(10)의 발광면(10S) 위에 광 확산층(20)(OCF), 색차 형성층(30)(점착제(32) 및 레인보우 필름(31))을 순서대로 접합한다. 이어서, 백 시트(46)에, 점착 테이프(44)를 사용하여 유기 EL 패널(10)의 이면측을 접합한다. 그 후, 색차 형성층(30)의 표면(30S)(도 3)측에, 점착제(42)를 개재해서 프론트 시트(40)를 접합한다. 이에 의해, 유기 EL 패널(10), 광 확산층(20) 및 색차 형성층(30)을 밀봉할 수 있다.
밀봉 시에는, 기포가 가능한 한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63-051092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평02-16039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진공 다이어프램을 사용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론트 시트(40) 중, 유기 EL 패널(10)로의 급전 개소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10)의 단부에 설치된 2군데의 전극 랜드(도 1 참조)는, 이 개구를 이용하여, 리드선(51, 52)(도 1)에 전기 접속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발광 장치(100)는, 유기 EL 패널(10) 등(도 5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음)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기판(2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보유 지지 기판(200)은, 발광 장치(100)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유 지지 기판(200)은, 천장면이어도 되고, 측벽면이어도 된다. 보유 지지 기판(200)은 건축물 등의 고정물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등의 외표면이어도 된다.
보유 지지 기판(200)은, 예를 들어 PC(폴리카르보네이트), ABS, PMMA 등의 플라스틱 재료나, SUS(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강판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보유 지지 기판(200)의 형상은, 사출 성형, 굽힘 가공,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평판 형상이나 곡률이 있는 만곡판 형상으로 해도 된다. 보유 지지 기판(200)에 대하여, 발광 장치(100)를 접착제나 점착 양면 테이프 등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용 및 효과)
발광 장치(100)에 구비되는 색차 형성층(30)(도 2)은, 시인하는 각도 θ1, θ2, θ3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광 확산층(20)(도 2)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켜서 그것들을 방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θ1<θ2<θ3이다. 즉 발광 장치(100)의 발광면(100S)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은,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 색의 보이는 방식이 상이하다는 시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모두에서 설명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2204호 공보(특허문헌 1)는, 시야각 의존성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유기 EL 발광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발광 장치(100)에서는, 색차 형성층(30)을 사용함으로써, 시인되는 각도에 따라서 색의 보이는 방식이 상이하다는 시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10)로부터의 광이 광 확산층(20)을 통과할 때, 광의 배광 특성은, 램버시안 배광에 가까워지도록 변환된다. 광 확산층(20)을 통과하기 전의 광과, 광 확산층(20)을 통과한 후의 광을 비교한 경우, 광 확산층(20)을 통과한 후의 광의 배광 특성은, 배광 특성의 각도마다의 광량 차가 작아지도록 변화한다. 색차 형성층(30)은,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광 확산층(20)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키고 그것들을 방출한다.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광의 색 변화의 정도는, 유기 EL 패널(10)로부터의 광이 직접적으로 색차 형성층(30)에 도입되는 경우에 비하여, 광 확산층(20)의 확산 효과에 따라 배광 특성이 램버시안 배광에 가까워지도록 변환된 후에 광이 색차 형성층(30)에 도입되는 경우 쪽이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발광 장치(100)에 의하면, 시인하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보다 큰 색 변화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의 배광 특성은 다양한 패턴이 있지만, 광 확산층(20)을 사용함으로써 배광 특성이 램버시안 배광에 가까워지도록 변환되므로, 어떠한 배광 특성을 갖는 유기 EL 패널이더라도, 시인하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보다 큰 색 변화를 발현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도 6, 도 9)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비교예 1(도 6, 도 7)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고, 유기 EL 패널(10)만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비교예 1a(도 8)는, 비교예 1에 광 확산층(20)만을 더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비교예 2(도 6, 도 10)는, 비교예 1에 색차 형성층(30)만을 더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 있어서의, 색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XYZ 표색계 색도도를 사용하여 색도의 변화가 표현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비교예 1, 비교예 1a, 실시예,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수직면 내에서의 배광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배광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에 있어서, R은 적색의 값을 나타내고, G는 녹색의 값을 나타내며, B는 청색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비교예 1(패널만)의 경우에는, 시인하는 각도를 예를 들어 0°로부터 80°까지 변화시켰을 때 관찰되는 색(색도)의 변화의 정도는, 도 6 중의 사각 표시로 나타나는 선의 범위가 된다. 이 범위는, 실시예(동그라미 표시) 및 비교예 2(삼각 표시)의 어느 범위보다도 작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광 분포를 갖는 비교예 1(패널만)에, 광 확산층(20)을 부가했을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광 분포가 얻어진다. 즉, 비교예 1a의 구성에 있어서는, 광 확산층(20)의 확산 효과에 의해 배광 특성이 램버시안 배광에 가까워지도록 변환된다. 이것은, RGB의 각 색에 있어서 얻어지는 현상이며, 색차 형성층(30)으로 입사되었을 때, 보다 큰 시각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상태가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광 분포를 갖는 비교예 1a(패널+광 확산층(20))에, 색차 형성층(30)을 부가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광 분포가 얻어진다. 즉,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배광 분포가 광 확산층(20)에 의해 램버시안 배광에 가까워지도록 변화된 광이, 색차 형성층(30)을 통과한 후에 방사된다. 색차 형성층(30)을 통과함으로써,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 색의 보이는 방식이 상이하다는 시각 효과가 얻어진다.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경우에는, 시인하는 각도를 예를 들어 0°로부터 80°까지 변화시켰을 때 관찰되는 색(색도)의 변화의 정도는, 도 6 중의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나는 선의 범위가 된다.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나는 선은, 사각 표시로 나타나는 선 및 삼각 표시로 나타나는 선의 어느 것보다도 길고, 넓은 범위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비교예 1(및 비교예 1a, 2)에 비하여, 실시예는, 광 확산층(20)의 확산 효과를 거치고 있기 때문에 색차 형성층(30)이 갖는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시인하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보다 큰 색 변화를 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광 분포를 갖는 비교예 1(패널만)에, 광 확산층(20)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색차 형성층(30)을 부가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광 분포가 얻어진다. 시인하는 각도를 예를 들어 0°로부터 80°까지 변화시켰을 때 관찰되는 색(색도)의 변화의 정도는, 도 6 중의 삼각 표시로 나타나는 선의 범위가 된다. 이 범위는, 비교예 1(사각 표시)보다 크지만, 실시예(동그라미 표시)보다는 작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100)에 의하면, 모두에서 설명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2204호 공보(특허문헌 1)와 같이 시야각 의존성이 상이한 유기 EL 발광 패널을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색차 형성층(30)의 배치에 의해,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색의 보이는 방식이 상이하다는 시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광 확산층(20)의 확산 효과를 거침으로써, 색차 형성층(30)이 갖는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시인하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보다 큰 색 변화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광 확산층(20)이 발광면(10S) 위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기 EL 패널(10)의 광 취출 효율이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발광 장치(100)의 발광 효율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1)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100)는, 유기 EL 패널(10) 등(도 1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음)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다른 보유 지지 기판(70)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보유 지지 기판(70)은, 도 5에 도시한 보유 지지 기판(200)과는 상이하게,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유기 EL 패널을 만곡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시인하는 각도에 대해서는, θ4>θ5>θ6이다. 보유 지지 기판(70)도, 보유 지지 기판(200)(도 5)의 설명에서 서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광 장치(100)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유 지지 기판(70)은, 천장면이어도 되고, 측벽면이어도 된다. 보유 지지 기판(70)은, 건축물 등의 고정물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등의 외표면이어도 된다.
발광 장치(100)(발광면(100S))를 만곡시켰을 경우에는, 소정의 위치(시점)에 선 사용자가 근처로부터 먼 곳으로 시선을 옮겼을 경우에 얻어지는 시인하는 각도의 변화가, 평판 형상의 경우와는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만곡판 형상의 경우에는, 평판 형상의 경우와는 상이한 시각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례를 들면, 평판 형상의 경우에는 시선이 근처로부터 먼 곳으로 옮겨짐에 따라서 시인하는 각도가 점차 커진다. 이에 반해 만곡판 형상의 경우에는, 시선이 근처로부터 먼 곳으로 옮겨짐에 따라서 시인되는 각도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2)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장치(100) 및 보유 지지 기판(70)의 단부에는, 브래킷(82)을 개재하여 축 지지부(80)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축 지지부(80)는, 브래킷(82) 및 보유 지지 기판(70) 등을 개재하여, 유기 EL 패널(10)의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화살표 AR 참조). 축 지지부(80)는, 모터 등의 전기적인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어도 되고,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어도 된다.
발광 장치(100)(유기 EL 패널(10))가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됨으로써, 발광 장치(100)의 발광면(100S)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에도 연출 효과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일정 지점에 정지한 사용자가, 동일한 방향을 향한 채로 시선을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도, 발광 장치(100)가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의 발광면(100S)(색차 형성층(30))에 대한 시인의 각도가 변화한다. 시인하는 각도의 변화에 수반하여, 색이 변화하는 시각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발광 장치는, 발광면을 갖는 유기 EL 패널과, 상기 발광면 위에 형성된 광 확산층과, 상기 광 확산층 위에 형성되며, 시인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상기 광 확산층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켜서 그것들을 방출하는 색차 형성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차 형성층은, 박막에 의한 간섭, 다층막에 의한 간섭, 회절에 의한 간섭, 미세 홈에 의한 간섭, 미세 돌기에 의한 간섭 및, 미립자에 의한 산란 중 적어도 하나의 작용을 이용하여,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상기 광 확산층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차 형성층은, 홀로그램 시트 또는 유전체 다층막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유기 EL 패널을 만곡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EL 패널의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기 EL 패널로부터의 광이 광 확산층을 통과할 때, 광의 배광 특성이 램버시안 배광에 가까워지도록 변환된다. 색차 형성층은,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광 확산층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켜서 그것들을 방출한다.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광의 색 변화의 정도는, 유기 EL 패널로부터의 광이 직접적으로 색차 형성층에 도입되는 경우에 비하여, 광 확산층의 확산 효과에 의해 배광 특성이 램버시안 배광에 가까워지도록 변환된 후에 광이 색차 형성층에 도입되는 경우 쪽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발광 장치에 따르면, 시인하는 각도를 변화시켰을 때, 보다 큰 색 변화를 발현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개시 내용은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 유기 EL 패널
10S, 100S: 발광면
11: 투명 기판
12: 양극
13: 발광층
14: 음극
15: 밀봉 부재
16: 절연층
17, 18: 전극 취출부
20: 광 확산층
30: 색차 형성층
30S: 표면
31: 레인보우 필름
32, 42: 점착제
40: 프론트 시트
44: 점착 테이프
46: 백 시트
51, 52: 리드선
70, 200: 보유 지지 기판
80: 축 지지부
82: 브래킷
100: 발광 장치

Claims (5)

  1. 발광면을 갖는 유기 EL 패널과,
    상기 발광면 위에 형성된 광 확산층과,
    상기 광 확산층 위에 형성되며,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 되도록 상기 광 확산층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켜서 그것들을 방출하는 색차 형성층을 구비하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형성층은, 박막에 의한 간섭, 다층막에 의한 간섭, 회절에 의한 간섭, 미세 홈에 의한 간섭, 미세 돌기에 의한 간섭, 및 미립자에 의한 산란 중 적어도 하나의 작용을 이용하여, 시인하는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색이 관찰되도록 상기 광 확산층으로부터의 광의 색을 변화시키는, 발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형성층은, 홀로그램 시트 또는 유전체 다층막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유기 EL 패널을 만곡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기판을 더 구비하는, 발광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패널의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발광 장치.
KR1020167034302A 2014-09-26 2015-06-29 발광 장치 KR20170002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6839 2014-09-26
JPJP-P-2014-196839 2014-09-26
PCT/JP2015/068656 WO2016047229A1 (ja) 2014-09-26 2015-06-29 発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83A true KR20170002583A (ko) 2017-01-06

Family

ID=5558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302A KR20170002583A (ko) 2014-09-26 2015-06-29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98882A1 (ko)
JP (1) JPWO2016047229A1 (ko)
KR (1) KR20170002583A (ko)
CN (1) CN106465496A (ko)
WO (1) WO2016047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6779A (zh) * 2017-12-21 2019-06-28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光学膜片及具有其的环境光传感器
CN109946778A (zh) * 2017-12-21 2019-06-28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光学膜片及具有其的环境光传感器
CN110806611A (zh) * 2018-08-06 2020-02-18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光学膜片及具有其的环境光传感器
KR102589890B1 (ko) * 2018-12-31 2023-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일체형 전계 발광 조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2204A (ja) 2012-09-27 2014-04-21 Kaneka Corp 有機el発光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70A (ja) * 1997-06-17 1999-01-12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JP2000284726A (ja) * 1999-03-31 2000-10-13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KR20040048429A (ko) * 2001-10-25 2004-06-09 하리슨 도시바 라이팅 가부시키가이샤 발광장치
JP2004133050A (ja) * 2002-10-08 2004-04-30 Ricoh Co Ltd 機能性素子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機能性素子基板および機能性素子基板の使用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6023149A2 (en) * 2004-07-08 2006-03-02 Color Kinetics Incorporated Led package methods and systems
JP2006085985A (ja) * 2004-09-15 2006-03-3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有機el表示装置
JP5066814B2 (ja) * 2005-03-11 2012-11-07 三菱化学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TW200701195A (en) * 2005-06-28 2007-01-01 Lite On It Corp Medium playing apparatus
US20080007936A1 (en) * 2006-07-05 2008-01-10 Jie Liu Organic illumination source and method for controlled illumination
KR101669683B1 (ko) * 2008-01-30 2016-10-2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혼성중합체
JP5141280B2 (ja) * 2008-02-11 2013-02-13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CN101290445A (zh) * 2008-06-05 2008-10-2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曲面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JP5131047B2 (ja) * 2008-06-20 2013-01-3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照明装置
JP5360687B2 (ja) * 2009-07-07 2013-1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5728805B2 (ja) * 2009-11-05 2015-06-03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el表示装置、el照明装置
CN103154188B (zh) * 2010-10-06 2015-05-20 夏普株式会社 发光材料
JP6155566B2 (ja) * 2012-07-03 2017-07-05 旭硝子株式会社 有機led素子用の積層基板、透明電極付き積層基板、及び有機led素子
WO2015033853A1 (ja) * 2013-09-05 2015-03-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2204A (ja) 2012-09-27 2014-04-21 Kaneka Corp 有機el発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047229A1 (ja) 2017-07-13
US20170198882A1 (en) 2017-07-13
CN106465496A (zh) 2017-02-22
WO2016047229A1 (ja)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2762B2 (ja) フィルムベースのライトガイドを備える前面照射デバイス
US20130051000A1 (en) Transparent display structure
TWI517755B (zh) 3d電致發光之高壓成型元件及其製備方法和應用
JP2013525955A (ja) フィルムベースのライトガイドを備える照明デバイス
KR20170002583A (ko) 발광 장치
CN107534696B (zh) 装饰壳
CN102270412A (zh) 显示器
US20180067253A1 (en) Display device
CN106773200A (zh) 显示设备
TWM455809U (zh) 一種立體彩繪照明裝置
US20160363836A1 (en) Glass composite with functional element
CN102414509A (zh) 具有由led光条照明的窗玻璃装置和制造方法
EP3382446B1 (en) Display device
JP2008139606A (ja) 表示装置
JP5742035B2 (ja) 回路基板を通じて照明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及び方法
US9335581B2 (en) Display with an electro-optical display module
WO2010001488A1 (ja) 発光パネル
JP6300025B2 (ja) フィルム固定構造及びフィルム固定方法
WO2010001487A1 (ja) 発光パネル
US20210131652A1 (en) Flexible light emitting system
JP2007286565A (ja) 光るステッカーパネル
JP2008293944A (ja) 発光パネル
PH12017000302A1 (en) Display device
JP2008293942A (ja) 発光装飾体
JP2008293943A (ja) 発光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