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469A -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시 오버사이즈 입자의 재순환 - Google Patents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시 오버사이즈 입자의 재순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469A
KR20170002469A KR1020167032638A KR20167032638A KR20170002469A KR 20170002469 A KR20170002469 A KR 20170002469A KR 1020167032638 A KR1020167032638 A KR 1020167032638A KR 20167032638 A KR20167032638 A KR 20167032638A KR 20170002469 A KR20170002469 A KR 20170002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polymer
water absorbent
polymer particles
fraction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범
Original Assignee
송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원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0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5Differential crosslinking of one polymer with one crosslinking type, e.g. surface crossl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10Aqueous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8Treatment of solid polymer wetted by water or organic solvents, e.g. coagulum, filter c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8Polymer particles coated by inorganic and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3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trialcohols, e.g.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i) 모노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 선택적으로, 모노머 수용액에 흡수성 폴리머 미세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iii) 중합 개시제 또는 중합 개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iv) 선택적으로,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을 낮추는 단계; (v) 중합 반응기에 모노머 수용액을 충진하는 단계; (vi) 중합 반응기에서 중합하여, 폴리머 겔을 수득하는 단계; (vii) 폴리머 겔을 중합 반응기에서 배출시키고, 선택적으로 폴리머 겔을 파쇄하는 단계; (viii) 폴리머 겔을 제1 건조 장치에서 건조하는 단계; (ix) 건조된 폴리머 겔을 제1 분쇄 장치에서 분쇄하여,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x) 제1 분급 장치에서 분급하는 단계; (xi) 가교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xii) 추가의 건조 장치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xiii) 추가의 분급 장치에서 분급하여, 제1 분획과 추가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xiv) 제1 분획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의 분쇄 장치에서 추가로 분쇄하여,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xii)에서,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중 적어도 일부는 추가의 건조 장치로 재순환되며; 추가 분획 (409)이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을 포함하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연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시 오버사이즈 입자의 재순환 {RECYCLING OF OVERSIZED PARTICLES IN THE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본 발명은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제조 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이러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복합 재료;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용도; 흡수성 폴리머 입자 산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흡수제 (superabsorber)는, 팽윤 및 하이드로겔의 형성을 통해, 수성 유체, 특히 체액, 보다 구체적으로는 뇨 또는 혈액을 다량 흡수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가압 하에도 이들 유체를 보유할 수 있는, 수 불용성의 가교된 폴리머이다. 이들 폴리머는, 고유 특성으로 인해, 예를 들어 유아용 기저귀, 요실금용 제품 또는 생리대와 같은, 위생 용품들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고흡수제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가교제의 존재 하에 산성 기를 가진 모노머들의 유리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행되므로, 모노머 조성, 가교제 및 중합 조건과 중합 후 수득되는 하이드로겔의 가공 조건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흡수 특성을 가진 폴리머들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예를 들어, Modern Superabsorbent Polymer Technology, FL Buchholz, GT Graham, Wiley-VCH, 1998을 참조함).
하이드로겔로도 지칭되는, 중합한 후 수득되는 폴리머 겔은, 규정된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진 미립자 고흡수제를 수득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파쇄, 건조 및 분류 과정을 거친다. 추가적인 제조 단계에서, 흡수 거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고흡수제 입자에 흔히 표면 가교가 수행된다. 이를 위해, 입자를, 표면 가교제 및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첨가제가 함유된 수용액과 혼합하고, 가교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이 혼합물을 열 처리한다.
산성 기를 가진 모노머는 배치 공정 또는 연속 공정으로 가교제의 존재 하에 중합시킬 수 있다. 연속식 중합 및 배치식 중합에서는, 부분적으로 중화된 아크릴산이 전형적으로 모노머로서 사용된다. 적절한 중화 방법은, 예를 들어, EP 0 372 706 A2, EP 0 574 260 A1, WO 2003/051415 A1, EP 1 470 905 A1, WO 2007/028751 A1, WO 2007/028746 A1 및 WO 2007/028747 A1에 기술되어 있다.
선행 기술의 고흡수성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오버사이즈의 입자가 제조된다. 전체 공정의 적절한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진 고흡수성 입자의 생산량 또는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오버사이즈 입자를 분쇄하여, 공정의 다음 사이클에 재도입되며, 이들 입자는 재순환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경우, 오버사이즈 입자의 재순환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수단들이 종래 기술 분야에서는 인지되지 못한 유익한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놀랍게도 알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고흡수제의 제조와 관련하여 선행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적어도 일부 해결하는 것이다.
다른 과제는, 제조 방법의 생산량 또는 효율이 개선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체 수율 증가가 특징적인, 바람직하게는 오버사이즈의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재순환함으로써 수득되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물성이 개선된, 바람직하게는 AUL 또는 보유능 또는 이들 두가지 특성이 개선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술한 한가지 이상의 이점을 가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술한 한가지 이상의 이점을 가진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 방법의 수율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없이, 보유능 또는 AUL 또는 이들 두가지 물성 등의 물성이 개선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개선된 또는 악화되지 않은 물성, 바람직하게는 보유능 또는 AUL 또는 이들 두가지가 모두 개선 또는 악화되지 않으면서도 전체 수율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비용이 덜 드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이점을 가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며, 품질 저하가 없는 복합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술한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제조 방법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들 중 한가지 이상의 해법은 독립항으로 제시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구현예를 제시하며, 또한 전술한 과제들 중 한가지 이상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다.
본 발명은 고흡수제의 제조와 관련하여 선행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법의 제조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똔 다른 방법의 제조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단계 (xi)에서 (xiii)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혼합 장치의 종단면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제1 혼합 장치의 횡단면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연속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이상의 과제는, 하기 제조 단계,
(i) 카르복시산 기 (α1)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부분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 (at least one partially neutralized,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bearing carboxylic acid group) 및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포함하는, 모노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 선택적으로, 모노머 수용액에 흡수성 폴리머 미세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iii) 모노머 수용액에 중합 개시제 또는 2 이상의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iv) 선택적으로,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을 낮추는 단계;
(v) 중합 반응기에 모노머 수용액을 충진하는 단계;
(vi) 중합 반응기의 모노머 수용액 중에서 모노머를 중합하여, 폴리머 겔을 수득하는 단계;
(vii) 폴리머 겔을 중합 반응기에서 배출시키고, 선택적으로 폴리머 겔을 파쇄하는 단계;
(viii) 폴리머 겔을 제1 건조 장치에서 건조하는 단계;
(ix) 건조된 폴리머 겔을 제1 분쇄 장치에서 분쇄하여,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x) 분쇄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1 분급 장치에서 분급하는 단계;
(xi)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추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 조성물과 접촉시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xii)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추가의 건조 장치에서 건조시켜,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xiii)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추가의 분급 장치에서 분급하여,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1 분획과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추가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제1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600 내지 1000 ㎛ 범위의 직경 보다 큰, 제1 입자 직경을 가지며,
추가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제1 입자 직경 보다 작은 추가의 입자 직경을 가지는, 단계;
(xiv) 제1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의 분쇄 장치에서 추가로 분쇄하여,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 (xii)에서,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의 적어도 일부는 추가의 건조 장치로 재순환되며; 추가 분획이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을 포함하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연속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후속 단계들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시간적으로 중복될 수 있거나, 또는 이 둘다일 수 있다. 이는, 특히 단계 (i) - (iv)에 해당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iii) 및 단계 (iv)에 해당된다.
본원 전체에서, 입자 직경은 입자 표면의 2 지점을 연결하여 입자의 기하학적 정중점을 통과하는, 최단 직선 길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모노머 수용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중합 반응기로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연속 공정이다. 수득되는 하이드로겔은 중합 반응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며, 후속적인 제조 단계들에서 연이어 파쇄, 건조, 분쇄 및 분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적인 공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중단될 수도 있다.
- 제조 장치의 일부 부품, 컨베이어 벨트가 중합 반응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재료 등을, 교체하기 위한 경우,
- 제조 장치의 일부 부품, 특히 탱크 또는 파이프내 폴리머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는 경우, 또는
- 다른 흡수 특징을 가진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조하여야 하는 경우, 새로운 제조 단계를 개시하기 위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인 입자들은, WSP 220.2 ("Word Strategic Partners" EDANA 및 INDA의 시험 방법)에 준하여, 10 내지 3,0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850 ㎛ 범위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입자이다. 본원에서, 입자 크기가 300 내지 600 ㎛ 범위인 폴리머 입자의 함량은,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30 중량%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i)에서, 카르복시산 기 (α1)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와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포함하는 모노머 수용액이 제조된다.
카르복시산 기 (α1)를 가진 바람직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는 DE 102 23 060 A1에 바람직한 모노머 (α1)로서 언급되어 있는 것들이며, 아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흡수성 폴리머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카르복시산 기를 가진 모노머를 적어도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흡수성 폴리머는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의 아크릴산으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중화도는 20 mo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mol-%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조 단계 (i)에서 제공되는 모노머 수용액에서 카르복시산 기 (α1)를 가진 부분적으로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수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모노머 수용액은 (α1)과 공중합가능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 (α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모노머 (α2)는, DE 102 23 060 A1에서 바람직한 모노머 (α2)로서 언급된 모노머이며, 아크릴아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가교제 (α3)는 하나의 분자에 에틸렌계 불포화 기를 2개 이상 가진 화합물 (클래스 I 가교제), 축합 반응 (= 축합 가교제), 첨가 반응 또는 개환 반응에서 모노머 (α1) 또는 (α2)의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2개 이상을 가진 화합물 (클래스 II 가교제), 축합 반응, 첨가 반응 또는 개환 반응에서 모노머 (α1) 또는 (α2)의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기를 가진 화합물 (클래스 III 가교제), 또는 다가 금속 양이온 (클래스 IV 가교제)이다. 따라서, 클래스 I 가교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머의 가교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 (α1) 또는 (α2)와 가교제 분자의 에틸렌계 불포화 기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달성되며, 클래스 II 가교제 화합물과 클래스 IV 가교제의 다가 금속 양이온을 이용하는 경우, 폴리머의 가교는, 모노머 (α1) 또는 (α2)의 관능기와 관능기 (클래스 II 가교제)의 축합 반응을 통해 또는 다가 금속 양이온 (클래스 IV 가교제)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달성된다. 클래스 III 가교제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폴리머의 가교는, 에틸렌계 불포화 기의 라디칼 중합 뿐만 아니라 가교제의 관능기와 모노머 (α1) 또는 (α2)의 관능기 간의 축합 반응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가교제 (α3)는, DE 102 23 060 A1에, 클래스 I, II, III 및 IV의 가교제 (α3)로서 언급된 모든 화합물이되,
- 클래스 I 가교제 화합물로서,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아크릴 1 mol 당 에틸렌 옥사이드 9 mol을 사용해 제조되는 알릴노나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며,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가 특히 더 바람직하며,
- 클래스 IV 가교제 화합물로서, Al2(SO4)3 및 이의 수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바람직한 흡수성 폴리머는 각각 하기 클래스의 가교제에 의해 또는 하기 조합의 가교제들에 의해 가교된, 폴리머이다: I, II, III, IV, I II, I III, I IV, I II III, I II IV, I III IV, II III IV, II IV 또는 III IV.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바람직한 다른 흡수성 폴리머는, DE 102 23 060 A1에 클래스 I 가교제로서 언급된 임의의 가교제들에 의해 가교된, 폴리머이며, 여기서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아크릴산 1 mol 당 에틸렌 옥사이드 9 mol로 제조되는 알릴노나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가 클래스 I의 가교제로서 더욱 바람직하고,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모노머 수용액은 수용성 폴리머 (α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수용성 폴리머 (α4)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 스타치 또는 스타치 유도체, 폴리글리콜 또는 폴리아크릴산이다. 이들 폴리머의 분자량은, 폴리머가 수용성인 한, 중요한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수용성 폴리머 (α4)는 스타치 또는 스타치 유도체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이다. 수용성 폴리머 (α4), 바람직하게는 합성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은 중합시킬 모노머에 대한 그라프트 베이스 (graft base)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머 겔 또는 이미 건조된 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도 가능하다.
모노머 수용액은, 또한, 보조 물질 (α5), 특히 착화제 (complexing agent), 예를 들어 EDT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머 수용액에서, 모노머 (α1) 및 (α2), 가교제 (α3), 수용성 폴리머 (α4) 및 보조 물질 (α5)의 상대적인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파쇄된 폴리머 겔을 건조한 후 수득되는 흡수성 폴리머 구조가, 하기와 같이 구성되도록, 선택된다:
- 모노머 (α1) 20 내지 9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8.9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8.79 중량%,
- 모노머 (α2) 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4.9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4.89 중량%,
- 가교제 (α3) 0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 중량%,
- 수용성 폴리머 (α4)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 보조 물질 (α5) 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및
- 물 (α6) 0.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
(α1) 내지 (α6)를 합한 총 중량은 100 중량%임.
모노머 용액에서 모노머, 가교제 및 수용성 폴리머의 최적 농도 값은 간단한 예비 실험을 통해 또는 종래 기술로부터, 특히 공개문헌 US 4,286,082, DE 27 06 135 A1, US 4,076,663, DE 35 03 458 A1, DE 40 20 780 C1, DE 42 44 548 A1, DE 43 33 056 A1 및 DE 44 18 818 A1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제조 단계 (ii)에서, 선택적으로 흡수성 폴리머의 미세 입자가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선택 단계 (ii)과는 독립적으로, 흡수성 폴리머의 미세 입자는, 단계 (iii) 후, 단계 (iv) 후 및 단계 (v) 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시기 중 한 시기에, 또는 이들 2 이상의 시기에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흡수성 미세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그 조성이 전술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입자들의 조성에 상응하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중량%의 흡수성 미세 입자가 2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선택적으로, 제조 단계 (ii)에서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될 수 있는 흡수성 미세 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x)에서 수득되는 미세 입자이며, 즉, 재순환된다.
미세 입자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이런 목적에 적절한 것으로 간주하는 임의의 혼합 장치를 이용해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방법이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특히 유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미세 입자는 혼합 장치에서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되며, 미세 입자의 제1 스트림과 모노머 수용액의 제2 스트림은 연속으로, 그러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회전하는 혼합 장치 상으로 인가된다. 이러한 유형의 혼합 설정은, 혼합 구역에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형상의 비-회전성 고정자 (non-rotating stator)를 포함하고, 그 중심에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형상의 로터가 회전하는, 이른바 "로터 스테이터 믹서 (Rotor Stator Mixer)"에서 구현될 수 있다. 로터의 벽부와 고정자의 벽부에는, 통상적으로 노치가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미세 입자와 모노머 수용액의 혼합물을 흡입 통과시켜 고전단력을 가할 수 있는, 슬롯 형태의 노치가 구비된다.
이런 맥락에서, 미세 입자인 제1 스트림과 모노머 수용액인 제2 스트림은 60 - 120° 범위, 바람직하게는 75 - 105°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85 - 95°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각도 δ를 이루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믹서에서 배출되는 미세 입자와 모노머 수용액의 혼합물 스트림과, 믹서로 유입되는 미세 입자 제1 스트림은, 60 - 120° 범위, 바람직하게는 75 - 105°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5 - 95°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각도 ε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형의 혼합 설정은, 예를 들어, DE-A-25 20 788 및 DE-A-26 17 612에 개시된 혼합 장치를 이용해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 문헌의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조 단계 (ii)에서 모노머 수용액에 미세 입자를 첨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혼합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독일 슈타우펜 KG IKA® Werke GmbH & Co. 사의 상품명 MHD 2000/4, MHD 2000/05, MHD 2000/10, MDH 2000/20, MHD 2000/30 및 MHD 2000/50으로 구입가능한, 혼합 장치이며, 특히 혼합 장치 MHD 2000/20이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또 다른 혼합 장치로는 독일 발렌히텐 도팅겐에 소재한 ystral GmbH 사로부터 예를 들어 상품명 "Conti TDS"로, 또는 스위스 루타우에 소재한 Kinematika AG 사로부터 예를 들어 상품명 Megatron®으로 제공되는 장치도 있다.
제조 단계 (ii)에서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될 수 있는 미세 입자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수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iii)에서, 모노머 수용액에, 중합 개시제, 또는 2 이상의 구성 성분으로 구성된 중합 개시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이 첨가된다.
중합 개시를 위한 중합 개시제로서는, 통상적으로 고흡수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합 조건 하에 라디칼을 형성하는 모든 개시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 촉매, 레독스 촉매 및 광-개시제는 에너지 조사 (energetic irradiation)에 의해 활성화된다. 중합 개시제는 모노머 수용액에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다. 수용성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개시제 (thermal initiator)로서는, 승온된 조건에서 분해되어 라디칼을 형성하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인지하고 있는 모든 화합물들을 이용할 수 있다. 180℃ 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140℃ 보다 낮은 온도에서 반감기가 10초 보다 짧은, 바람직하게는 5초 보다 짧은 열 중합 개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퍼옥사이드, 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퍼설페이트 및 아조 화합물들이 특히 바람직한 열 중합 개시제이다. 일부 경우, 다양한 열 중합 개시제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들 혼합물들 중에서도, 과산화수소와 과황산칼륨 또는 과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임의의 바람직한 정량적인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유기 퍼옥사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아세톤 퍼옥사이드,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카프릴 퍼옥사이드, 이소프로필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2-에틸헥실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ter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쿠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tert.-아밀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피발레이트 (tert.-butyl perpivalate), tert.-부틸 퍼네오헥사노에이트 (perneohexonate), tert.-부틸 이소부티레이트, tert.-부틸 per-2-에틸헥세노에이트, tert.-부틸 퍼이소노나노에이트, tert.-부틸 퍼말리에이트,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부틸-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및 아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의 퍼옥사이드이다. 아울러, 다음과 같은 열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아조 화합물들, 예를 들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다이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아미-다이노프로판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azo-bis-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2,2'-아조비스-(N,N-다이메틸렌)이소부티르아미딘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2-(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및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전술한 화합물들은 통상적인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중합될 모노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5 mol-%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mol-% 범위로 사용된다.
레독스 촉매는 2종 이상의 구성 성분, 통상적으로 전술한 퍼옥소 화합물 (peroxo compound)들 중 하나 이상과 하나 이상의 환원 물질 성분 (reducing component),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스, 소르보스 (sorbose), 만노스,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하이드로겐 설파이트, 설페이트, 티오설페이트, 하이퍼설파이트 또는 설파이드, 금속 염, 예를 들어, 철 II 이온 또는 은 염, 또는 소듐 하이드록시메틸 설폭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또는 소듐 피로설파이트 (pyrosulfite)가 레독스 촉매의 환원 물질 성분으로 사용된다. 중합에 사용되는 모노머 양을 기준으로, 1 x 10-5 내지 1 mol-%의 레독스 촉매의 환원 물질 성분과 1 x 10-5 내지 5 mol-%의 레독스 촉매의 산화 물질 성분이 사용된다. 레독스 촉매의 산화 물질 성분 대신 또는 그 보완제 (complement)로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의 아조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조사 작용에 의해 개시되며, 이른바 광-개시제가 일반적으로 개시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광-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소위 α-스플리터 (splitter), H-추출 시스템 (abstracting system)을 포함하거나 또는 아지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시제에 대한 예로는, 벤조페놀 유도체, 예를 들어 미힐러 케톤, 페난트렌 유도체, 불소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티옥산톤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벤조인에테르 및 이들의 유도체, 아조 화합물, 예를 들어, 전술한 라디칼 형성 화합물 (radical former), 치환된 헥사아릴비스이미다졸 또는 아실포스핀 옥사이드가 있다. 아지드의 예로는 2-(N,N-다이메틸아미노)에틸-4-아지도신나메이트, 2-(N,N-다이메틸아미노)에틸-4-아지도나프틸케톤, 2-(N,N-다이-메틸아미노)에틸-4-아지도벤조에이트, 5-아지도-1-나프틸-2'-(N,N-다이메틸아미노)에틸설폰, N-(4-설포닐아지도페닐)말레인이미드, N-아세틸-4-설포닐-아지도아닐린, 4-설포닐아지도아닐린, 4-아지도아닐린, 4-아지도펜아실 브로마이드, p-아지도벤조산, 2,6-비스(p-아지도벤질리덴)사이클로헥사논 및 2,6-비스(p-아지도벤질리덴)-4-메틸사이클로헥사논이 있다. 광-개시제에 대한 또 다른 그룹으로는 다이-알콕시 케탈, 예를 들어,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이 있다. 광-개시제는,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중합될 모노머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조 단계 (iii)에서, 개시제는 하기 성분들,
iiia. 퍼옥소다이설페이트; 및
iiib. 3개 이상의 산소 원자 또는 3개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유기 개시제 분자를 포함하며,
퍼옥소다이설페이트와 유기 개시제 분자를 20:1 내지 50:1 범위의 몰 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현예에 대한 일 측면에서, 개시제 성분 iiia의 농도는 중합될 모노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현예에 대한 다른 측면에서, 유기 개시제 분자는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시아노 발레르산)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현예에 대한 또 다른 측면에서, 퍼옥소다이설페이트는 일반식 M2S2O8의 화합물이고, 여기서 M은 NH4, Li, Na, Ka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성분들은,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의 중합 단계 (vi)에서 UV로 중합을 개시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가능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모노머 잔류량 감소 및 황변 저하가 추가로 달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또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단계 (iii)는, 단계 (iv) 이전에, 단계 (iv)와 동시에 또는 단계 (iv)와 시기적으로 중복되게, 즉,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이 감소되었을 때, 수행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2종 이상의 구성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중합 개시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은, 예를 들어, 제조 단계 (iv) 이전에 첨가되는 반면, 중합 개시제 시스템의 활성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나머지 구성 성분 또는 나머지 구성 성분들은 단계 (iv) 이후, 아마도 심지어 제조 단계 (v) 이후에 첨가된다. 선택 단계 (iv)와는 독립적으로, 모노머 수용성의 산소 함량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단계 (iii)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iv)에서, 선택적으로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 감소가 수행된다. 선택 단계 (iv)와는 독립적으로,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단계 (ii) 이전에, 그 도중에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조 단계 (ii)에서 미세 입자를 첨가한 후,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 감소가 수행된다.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을 낮추는 경우, 이는 모노머 수용액을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와 접촉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모노머 수용액과 접촉되는 불활성 기체 상 (phase)에는 산소가 없으며, 따라서 매우 낮은 산소 분압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불활성 기체 상의 산소 분압과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분압이 동일해질 때까지, 산소는 모노머 수용액으로부터 불활성 기체 상으로 전환된다. 모노머 수 상과 불활성 기체 상의 접촉은, 예를 들어, 모노머 용액에 모노머 공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역 방향으로 또는 그 중간 각도로 불활성 기체의 기포를 유입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 스테틱 믹서 (static mixer), 다이나믹 믹서 (dynamic mixer) 또는 버블 컬럼을 이용해 혼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중합 반응 전에, 모노머 용액의 산소 함량을,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용액을 기준으로 1 ppmw (ppm by weight)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5 ppmw 미만으로 떨어뜨린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v)에서, 모노머 수용액은 중합 반응기,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벨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류 위치에 공급되며, 제조 단계 (vi)에서, 모노머 수용액내 모노머가 중합 반응기에서 중합되어, 폴리머 겔로 제조된다. 중합 반응기로서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중합이 수행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의 하류 구역에서 폴리머 겔 시트 (gel sheet)로 수득되며, 이는 건조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파쇄되어 폴리머 겔 입자로 수득된다.
중합 반응기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수용액에서 아크릴 산과 같은 모노머의 연속 또는 배치식 중합에 적절한 것으로 생각하는 모든 반응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중합 반응기의 예로는 니딩 반응기 (kneading reactor)가 있다. 모노머 수용액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 겔은, 니더에서, 예를 들어, WO 2001/3840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반회전식 교반기 샤프트 (contrarotatory stirrer shaft)에 의해 연속적으로 파쇄된 있다. 그래서, 폴리머 겔 파쇄는 폴리머 겔을 중합 반응기에서 배출시키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 반응기에 대한 다른 예는 컨베이어 벨트 (conveyor belt)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이용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전술한 모노머 수용액이 그 위로 적재된 다음 중합에 의해 하이드로 겔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지지 물질로서 유용한 것으로 생각하는 임의의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일반적으로 지지 부재 위를 지나가는 무한 이동 컨베이어 벨트 (endless moving conveyor belt)와 2개 이상의 가이드 롤러 (guide roller)를 포함하며, 롤러 중 적어도 1개는 벨트를 구동하고, 다른 1개는 조정가능하게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면 상에 섹션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형 시트 (release sheet)를 위한 와인딩 앤 피드 장치 (winding and feed system)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반응 구성 성분들에 대한 공급 및 계측 시스템과, 공급 및 계측 시스템 다음에, 냉각 및 가열 장치와 더불어,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선택적인 광 조사 수단 (irradiating mean), 및 컨베이어 벨트의 리턴 운행용 가이드 롤러의 근처에 배치되는 폴리머 겔 스트랜드의 회수 시스템 (removal system)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능한 최대 공간-시간 수율로 중합을 완료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의 상위 런 (upper run) 근처에 수평 지지 부재의 양측 상에, 공급 및 계측 시스템 구역에서 시작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가 존재하는데, 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는, 그 종축이 상위 런 아래에 있는 포인트에서 서로 교차하며, 컨베이어 벨트가 적절한 트로프-형태 (trough-shaped)가 되도록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는, 반응 성분들의 공급 시스템 근처에서, 유입되는 반응 성분들을 위해 딥 트로프-유사 또는 디쉬-유사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트로프-형태의 지지 및 베어링 (bearing) 부재들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한 트로프-유사 형태는 상위 런의 경로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지지 부재들의 형태와 배치에 의해 결정된다. 지지 부재들은, 반응 성분들이 유입되는 구역에서는 서로 상대적으로 인접하여야 하지만, 다음 구역에서는, 중합이 개시된 후, 지지 부재들이 서로 다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의 경사 각도와 지지 부재의 단면 (cross-section)은, 처음의 딥 트로프를 중합 구역의 종료 지점으로 갈수록 점차 평평하게 하고 이를 다시 확장된 상태로 만들도록,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각각의 지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실린더형 또는 구형 롤러에 의해 형성된다. 롤러의 구조 뿐만 아니라 롤러의 단면을 변화시킴으로써, 트로프의 바람직한 단면 형태가 쉽게 달성된다. 벨트가 평평한 형태에서 트로프-형 형상으로 이행되는 경우와 다시 평평한 형태로 복구되는 경우에,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트로프의 적절한 형태 형성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모두 가요성인 컨베이어 벨트가 바람직하다.
벨트는 다양한 물질들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들 물질은 양호한 인장 강도 및 가요성, 반복적인 굽힘 응력에 대한 우수한 피로 강도, 우수한 변형능 (deformability) 및 중합 조건 하의 각 반응 성분에 대한 화학적 내성과 같은 요건들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요건들은 통상적으로 한가지 물질로는 충족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층 물질이 본 발명의 벨트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기계적 요건도 예를 들어,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또는 스틸 코드 (steel cord)의 패브릭 인서트 (fabric insert)와 같은 카카스 (carcass)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화학적 내성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천연 또는 합성 고무,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로 된 커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커버 물질은 실리콘 고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vii)에서, 중합 반응기에서 수득되는 폴리머 겔은 선택적으로 파쇄되고, 따라서 폴리머 겔 입자가 수득된다. 바람직한 폴리머 겔 입자는 폴리머 겔 스트랜드 (polymer gel strand), 폴리머 겔 플레이크 (polymer gel flake) 및 폴리머 겔 너겟 (polymer gel nugge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이다. 파쇄 장치는 중합 반응기 또는 중합 반응기의 일부이거나, 또는 별개의 장치 또는 이 둘다일 수 있다. 그래서, 폴리머 겔 파쇄는, 폴리머 겔을 중합 반응기에서 배출시키기 전, 도중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파쇄 장치로서 바람직한 중합 반응기는 니딩 반응기이다. 파쇄가 중합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경우, 수득되는 폴리머 겔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중합 반응기에서 배출된 후 추가로 파쇄된다. 중합 반응기가 컨베이어 벨트인 경우, 파쇄는 바람직하게는 파쇄 장치에서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폴리머 겔 시트로서 폴리머 겔을 배출시킨 후에 수행되는데, 이때 파쇄 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겔 시트는 소프트한 반-고체 농도의 연속 시트로서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회수된 후, 파쇄와 같은 추가적인 가공 처리를 위해 이송된다.
폴리머 겔의 파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단계로 수행된다:
- 제1 단계에서는, 절단 유닛, 바람직하게는 나이프, 예를 들어, WO-A-96/36464에 언급된 나이프를 사용해, 폴리머 겔이 납작한 겔 스트립으로,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5 내지 500 m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mm 범위이고, 높이가 1 내지 30 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m 범위이며, 폭이 1 내지 500 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mm 범위인, 납작한 겔 스트립으로 절단된다;
- 제2 단계에서는, 종절 유닛 (shredding unit),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커 (breaker)를 사용해, 겔 스트립이 겔 조각으로,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3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mm 범위이고, 높이가 1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mm 범위이며, 폭이 1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mm 범위인, 겔 조각으로 파쇄된다;
- 제3 단계에서는, "울프 (wolf, 분쇄)" 유닛, 바람직하게는 민서 (mincer), 바람직하게는 스크류가 유공판 쪽으로 움직이는 스크류와 유공판을 구비한 민서를 이용해, 겔 조각을 바람직하게는 겔 조각 보다 더 작은 폴리머 겔 입자로 갈고 으깬다.
이로써 최적의 표면적 용적비 (surface-volume ratio)가 달성되며, 이는 제조 단계 (viii)의 건조 거동 (drying behaviour)에 유리하다. 이런 방식으로 파쇄된 겔은 특히 벨트 건조에 적합하다. 3단계로 이루어지는 파쇄는 과립 커널 (granulate kernel)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채널로 인해 더 양호한 "에어러빌러티 (airability)"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viii)에서는, 폴리머 겔 입자가 제1 건조 장치에서 건조된다.
폴리머 겔 입자의 건조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전술한 폴리머 겔 입자를 건조하는데 적절한 제1 건조 장치로 생각하는 임의의 건조기 또는 오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로터리 튜브 퍼니스 (Rotary tube furnace), 유동층 건조기 (fluidised bed dryer), 플레이트 건조기 (plate dryer), 패들 건조기 (paddle dryer) 및 적외선 건조기 (infrared dryer)가 예로 언급될 수 있다.
벨트 건조기가 제1 건조 장치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벨트 건조기는 특히 스루-에어러블 (through-airable) 제품의 가혹하지 않은 처리를 위한 대류 건조 시스템 (convective system of drying)이다. 건조시킬 제품을 기체를 통과시키는 무한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고, 가열된 기체 스트림,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흐름에 노출시킨다. 건조 기체는 제품 층을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동안에 극히 고도로 포화될 수 있도록 재순환된다. 건조 기체 중 소정의 분획, 바람직하게는 1회 통과 시 기체 함량의 10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가 고도로 포화된 증기로서 건조기에서 배출되어, 제품으로부터 증발된 소정의 수분을 제거한다. 가열된 기체 스트림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최대 250℃,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200℃이다.
제1 건조 장치의 크기와 디자인은 처리할 제품, 제조 용량 및 건조 용량 (drying duty)에 따라 결정된다. 벨트 건조기는 싱글-벨트, 멀티-벨트, 다단 (multi-stage) 또는 다층 (multistory system)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벨트를 구비한 벨트 건조기를 이용해 실시된다. 1-벨트 건조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벨트-건조 작업의 최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흡수성 폴리머의 건조 특성은 선택된 가공 파라미터에 따라 각각 결정된다. 벨트의 홀 크기와 메쉬 크기는 제품에 맞게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전해 연마 (electropolishing) 또는 테플론 처리 (teflonizing)와 같은 소정의 표면 강화도 가능하다.
건조시킬 폴리머 겔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스위블 벨트 (swivel belt)를 이용해 벨트 건조기의 벨트로 인가된다. 공급 높이, 즉 스위블 벨트와 벨트 건조기의 벨트 간의 수직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 c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c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c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0 c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0 c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cm 이하이다. 벨트 건조기 상의 건조시킬 폴리머 겔 입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c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c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 c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 c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 c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cm 이하이다. 벨트 건조기의 벨트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05 m/s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01 m/s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5 m/s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m/s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3 m/s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5 m/s 이하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 겔은 건조된 폴리머 겔 입자를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 범위의 수분 함량을 포함하도록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ix)에서는, 건조된 폴리머 겔 또는 건조된 폴리머 겔 입자 또는 이 둘다를 제1 분쇄 장치에서 분쇄하여, 흡수성 폴리머 미립자로 수득한다.
제1 분쇄 장치의 경우,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전술한 건조된 폴리머 입자를 분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하는 모든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제1 분쇄 장치에 대한 예로서, 1단- 또는 다단 롤 밀, 바람직하게는 2단 또는 3단 롤 밀, 핀 밀, 해머 밀 또는 진동 밀 (vibratory mill)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x)에서는, 흡수성 폴리머 분쇄 입자를 제1 분급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체 (sieve)를 사용해 분급한다. 여기에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분급 후, 입자 크기가 150 ㎛ 미만인 폴리머 입자의 비율은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중량% 미만이고, 입자 크기가 850 ㎛ 보다 큰 폴리머 입자의 비율은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중량%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분급 후, 입자의 3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 300 내지 600 ㎛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조 단계 (xi)에서,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표면은,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추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 조성물과 접촉시켜 가공 처리되며, 이로써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수득된다.
바람직한 추가적인 가교제는 표면 가교제이다. 바람직한 추가적인 가교제는 US 2011/0204288 A1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원에 하기와 같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추가적인 가교제는 폴리머 입자의 2 이상의 카르복실레이트 기와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기들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관능성 (polyfunctional) 아민, 다관능성 아미도 아민, EP 0 083 022 A2, EP 0 543 303 A1 및 EP 0 937 736 A2에 언급된 다관능성 에폭사이드, DE 33 14 019 A1, DE 35 23 617 A1 및 EP 0 450 922A2에 언급된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알코올, 또는 DE 102 04 938 A1 및 미국 특허 6,239,230에 언급된 β-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이다. 적합한 다른 가교제로서 추가적으로 기술된 것으로는 DE 40 20 780 C1의 사이클릭 카보네이트, DE 198 07 502 A1의 2-옥사졸리디논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2-옥사졸리디논, DE 198 07 992 C1의 비스- 및 폴리-2-옥사졸리디논, DE 198 54 573 A1의 2-옥소테트라하이드로-1,3-옥사진 및 이의 유도체, DE 198 54 574 A1의 N-아실-2-옥사졸리디논, DE 102 04 93 7 A1의 사이클릭 유레아, DE 103 34 584 A1의 이환식 아미도 아세탈, EP 1 199 327 A2의 옥세탄 및 사이클릭 유레아 및 WO 2003/031482 Al의 모르폴린-2,3-다이온 및 이의 유도체가 있다. 바람직한 추가적인 가교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아미드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반응 산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1,4-부탄다이올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추가적인 가교제는 2-하이드록시에틸-2-옥사졸리디논, 2-옥사졸리디논 및 1,3-프로판다이올이다. 아울러, DE 3713 601 A1에 언급된 바와 같이, 추가의 중합가능한 에틸렌계 불포화 기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인 가교제의 양은, 각 경우에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가교 조성물과의 접촉 전에, 접촉 중에 또는 접촉 이후에, 가교 조성물 외에도,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표면에 다가 양이온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가능한 다가 양이온은, 예를 들어, 아연, 마그네슘, 칼슘, 철 및 스트론튬의 양이온 등의 2가 양이온, 알루미늄, 철, 크로뮴, 희토류 및 망간의 양이온 등의 3가 양이온, 티타늄 및 지르코늄의 양이온 등의 4가 양이온이다. 가능한 반대이온 (counterion)으로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설페이트, 하이드로겐설페이트, 카보네이트, 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및 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사이트레이트 및 락테이트가 있다. 알루미늄 설페이트 및 알루미늄 락테이트가 바람직하다. 금속 염 외에도, 다가 양이온으로서 폴리 아민을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다가 양이온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각 경우에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기준으로, 0.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8 중량%이다. 가교 조성물과의 접촉은, 전형적으로, 가교 조성물이 용액으로서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상으로 분사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가교 조성물과의 접촉은,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믹서, 디스크 믹서 및 패들 믹서 등의 이동식 혼합 툴 (moving mixing tool)이 구비된 제1 혼합 장치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바람직한 믹서는 수평 믹서 또는 수직 믹서 또는 이 둘다이다. 수평 믹서가 특히 바람직하다. 믹서의 혼합 툴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면, 이 믹서는 수평 믹서이다. 믹서의 혼합 툴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면, 이 믹서는 수직 믹서이다. 적합한 믹서로는, 예를 들어, horizontal Ploughshare® Mixers (Gebruder Lodige Maschinenbau GmbH, Paderborn, Germany), Vrieco-Nauta continuous mixers (Hosokawa Micron BY, Doetinchem, the Netherlands), Processall Mixmill mixers (Processall Incorporated, Cincilmati, US), Schugi Flexomix® (Hosokawa Micron BY, Doetinchem, the Netherlands)가 있으며, 독일 파더보른에 위치한 Gebruder Lodige Maschinenbau GmbH 사의 고성능 링레이어 믹서 (ringlayer mixer) CoriMix® CM 350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동층에 가교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접촉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교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수용액 형태로 사용된다. 가교 조성물이 폴리머 입자로 침투하는 깊이는 비-수성 용매의 양과 용매의 총량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용매로서 물만 사용된다면,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첨가된다. 이는 습윤 거동 (wetting behavior)을 개선시키며, 덩어리지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용매 혼합물,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물, 1,3-프로판다이올/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혼합 비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40:60이다.
바람직하게는,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제조 단계 (xii)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혼합 장치에서, 10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90℃, 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80℃, 더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70℃,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 범위의 온도로 가열된다. 제1 혼합 장치내 폴리머 입자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 - 120분,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60분이다. 제1 혼합 장치의 충진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30 - 80 %, 더 바람직하게는 40 - 75 %,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 70 %이다. 제1 혼합 장치의 충진 수준은 월류 웨어 (overflow weir)의 높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특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코팅되거나 또는 수분 재보충 처리 (remoisturization)될 수 있다. 수분 재보충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30 - 80℃, 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 60℃에서, 바람직하게는 유동층에서 수행된다.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극저온에서는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고, 고온에서는 물이 인지가능한 수준으로 이미 증발된다. 수분 재보충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수분 함량은,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이다. 수분 재보충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입자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정전기 (static charging) 발생 성향을 낮춘다. 팽윤도 (swell rate) 및 투과성 (SFC, permeability)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코팅제로는, 예를 들어, 무기 불활성 물질, 예를 들어, 수-불용성 금속 염, 유기 폴리머, 양이온성 폴리머 및 2가 또는 다가 금속 양이온이 있다. 분진 결합 (dust binding)에 적합한 코팅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이 있다. 폴리머 입자의 부적절한 고화 성향 (caking tendency)을 상쇄하기에 적합한 코팅제로는, 예를 들어, Aerosil® 200와 같은 건식 실리카 (fumed silica) 및 Span® 20와 같은 계면활성제가 있다.
제조 단계 (xii)에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추가의 건조 장치에서 건조된다.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추가의 건조 장치로 도입될 때, 이들 입자는 아직 표면-가교되지 않은 폴리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가교 반응은 건조 중에, 건조 후에 또는 이 둘다에 완결될 수 있다. 폴리머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건조 장치에서 열 건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에,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온도는 80℃ 보다 높으며, 바람직하게는 85℃ 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90℃ 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95℃ 보다 높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보다 높다.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중 적어도 일부는 추가의 건조 장치로 재순환된다. 여기서,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의 단계 (i) - (xiv)로 된 이전 사이클에서의 단계 (xiii)에서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수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이다.
제조 단계 (xiii)에서,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추가의 분급 장치,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체에서 분급된다. 이로써,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1 분획과 추가 분획이 수득된다. 제1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60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650 내지 950 ㎛, 더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 ㎛, 더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900 ㎛, 더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900 ㎛, 더 바람직하게는 820 내지 880 ㎛, 더 바람직하게는 840 내지 860 ㎛, 더 바람직하게는 845 내지 855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50 ㎛ 범위의 직경 보다 큰, 제1 입자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특정된다. 추가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제1 입자 직경 보다 작은 추가의 입자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특정된다. 여기서, 추가 분획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에 의해 제조될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다.
제조 단계 (xiv)에서, 제1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 중 적어도 일부는 추가의 분쇄 장치에서 추가로 분쇄되어,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이 수득된다. 이러한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에 따른 단계 (i) - (xiv)로 된 다음 사이클 (following cycle)의 단계 (xii)에서, 추가의 건조 장치로 재순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에서, 가교 조성물은 환원제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 둘다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50 - 1000, 바람직하게는 150 - 750, 더 바람직하게는 200 - 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350 - 450 범위의 분자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환원제는 화학식 MxSO3의 화합물이며, 식에서 x는 1 또는 2인데, x = 2인 경우 M은 Li, Na 또는 이 둘다이고, x = 1인 경우 M은 Mg, Ca 또는 이 둘다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에서, 접촉은 제1 혼합 장치에서 수행되는데, 제1 혼합 장치는 회전 샤프트 (rotating shaft)와 복수의 혼합 툴을 포함하며, 혼합 툴들은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고, 제조 단계 (xi)에서, 회전 샤프트는 500 - 1200 rpm, 바람직하게는 550 - 1200 rpm, 더 바람직하게는 600 - 1200 rpm, 더 바람직하게는 650 - 1200 rpm, 더 바람직하게는 700 - 1200 rpm, 더 바람직하게는 750 - 1150 rpm, 더 바람직하게는 800 - 1100 rpm, 더 바람직하게는 850 - 1050 rpm, 가장 바람직하게는 900 - 1000 rpm 범위의 속도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에서, 접촉은 제1 혼합 장치에서 수행되며, 제1 혼합 장치는 복수의 혼합 툴을 포함하고, 이 혼합 툴들은 로드 (rod) 또는 패들 (paddle), 또는 이 둘다이다. 바람직한 복수의 혼합 툴은 로드 및 패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에서, 접촉은 제1 혼합 장치에서 수행되며, 제1 혼합 장치는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적어도 일부로 된 환상 층 (annular layer)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환상 층은 원심력에 의해 또는 혼합 챔버의 벽부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들 둘다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에서, 접촉은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회전 툴과의 여러번 접촉에 의한 혼합이며, 이때 혼합은 바람직하게는 혼합 툴과 0.1 내지 60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5초,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초,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초,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초,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초 범위의 기간 동안 수행된다. 여기서,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회전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혼합 기간 동안의 여러번 행해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ii)에서, 제1 분획 : 추가 분획의 중량 비는 1:100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1, 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1:3, 더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4, 더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6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v)에서, 추가의 분쇄 장치는 회전 샤프트와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데, 블레이드는 회전 샤프트에 연결된다. 특히 바람직한 추가의 분쇄 장치는 벨기에 신트니클라스에 위치한 Fitzpatrick Europe N. V. 사의 Fitz® Mill이다. 다른 바람직한 추가의 분쇄 장치의 회전 샤프트는 수평형이다. 바람직한 블레이드는 나이프 에지 또는 임팩트 에지 (impact edge) 또는 이들 둘다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블레이드는 나이프 에지와 다른 쪽엔 임팩트 에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i)에서, 추가의 분급 장치에서 분급되지 않은,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또는 건조된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또는 이 둘다는,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과 혼합되는데; 혼합되는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또는 건조된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또는 이들 둘다 :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7,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1:7, 더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1:7, 더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7, 더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7, 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7, 더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7, 더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 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 더 바람직하게는 1:19 내지 1:9, 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10, 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11, 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12, 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13, 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14, 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15, 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16,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7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i)에서, 추가의 건조 장치는 2개 이상의 회전 샤프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회전 샤프트는 수평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회전 샤프트들은 수평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xii)에서, 추가의 건조 장치는 패들 믹서 또는 패들 건조기 또는 이들 둘다이다. 특히 바람직한 패들 건조기 및 패들 믹서는, 바람직하게는, 오스트리아 그라츠에 위치한 Andritz AG 사의 타입 GPWD12W120의 Andritz Gouda Paddle Dryer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vii)에서 배출되는 폴리머 겔은 폴리머 겔을 기준으로 40 내지 60 wt.-%,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wt.-%, 더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56 wt.-%의 범위로 수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vii)에서 배출되는 폴리머 겔은, 10 내지 200 m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m,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mm 범위의 두께를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겔 시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 단계 (vii)에서 배출되는 폴리머 겔은, 30 내지 300 c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 cm,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0 cm,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cm 범위의 너비를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겔 시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단계 (vi)에서 중합은 발포제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발포제는 단계 (i), 단계 (ii), 단계 (iii), 단계 (iv), 단계 (v) 및 단계 (v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단계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에서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제는 단계 (i)에서 모노머 용액에 첨가된다. 발포제는 단계 (vi)의 중합 개시 전에, 또는 그 직후에 첨가되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발포제는 개시제 또는 개시제 시스템의 성분을 첨가한 후 또는 첨가와 동시에 모노머 용액에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제는, 모노머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0 내지 4000 ppmw,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500 ppmw, 더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3200 ppmw,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 ppmw 범위의 함량으로 모노머 용액에 첨가된다.
발포제는 모노머 중합 공정 중에 발포 과정을 통해 셀 구조 (cellular structure) 또는 포어 또는 이 둘다를 형성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발포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흡열성이다. 바람직한 흡열 발포 과정은 발열 중합, 가교 반응 또는 이들 2가지 반응으로부터 유래된 열에 의해 개시된다. 바람직한 발포제는 물리적 발포제 또는 화학적 발포제 또는 이 둘다이다. 바람직한 물리적 발포제는 CFC, HCFC, 탄화수소 및 C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조합물이다. 바람직한 CO2는 액체 CO2이다. 바람직한 탄화수소는 펜탄, 이소펜탄 및 사이클로펜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이다. 바람직한 화학적 발포제는 카보네이트 발포제, 아질산염, 퍼옥사이드, 소성 소다 (calcined soda), 옥살산 유도체, 방향족 아조 화합물, 하이드라진, 아지드, N,N'-다이니트로소아미드 및 유기 발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발포제는 카보네이트 발포제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카보네이트 발포제는 US 5,118,719A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카보네이트 발포제로는 카보네이트 함유 염 또는 바이카보네이트 함유 염 또는 이 둘다이다. 다른 바람직한 카보네이트 발포제는 CO2 기체, CO2 고체, 에틸렌 카보네이트, 소듐 카보네이트, 포타슘 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또는 마그네슘 하이드록시 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바륨 카보네이트, 바이카보네이트, 이들의 수화물, 기타 양이온 및 천연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천연 카보네이트는 돌로마이트 (dolomite)이다. 전술한 카보네이트 발포제는, 모노머 용액에 용해 또는 분산되었을 때 가열시 CO2를 방출한다. 특히 바람직한 카보네이트 발포제는 MgCO3이며, 이 화합물은 식 (MgCO3)4·Mg(OH)2·5-H2O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카보네이트 발포제로는 (NH4)2CO3가 있다. MgCO3 및 (NH4)2CO3는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카보네이트 발포제는 Mg, Ca, Zn 등의 다가 양이온의 카보네이트 염이다. 이러한 카보네이트 발포제에 대한 예로는 Na2CO3, K2CO3, (NH4)2CO3, MgCO3, CaCO3, NaHCO3, KHCO3, NH4HCO3, Mg(HCO3)2, Ca(HCO3)2, ZnCO3 및 BaCO3가 있다. 소정의 다가 전이 금속 양이온들도 사용될 수 있지만, 제2철 양이온 (ferric cation)과 같은 일부 양이온은 변색 (color staining)을 유발할 수 있으며, 수중 환원 산화 반응 또는 가수분해 평형을 거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종 폴리머 제품의 품질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Ni, Ba, Cd, Hg와 같은 다른 다가 양이온들 역시 잠재적인 독성 또는 피부 과민 효과로 인해 허용불가할 것이다.
바람직한 아질산염은 아질산암모늄이다. 바람직한 퍼옥사이드는 과산화수소이다. 바람직한 방향족 아조 화합물은 트리아젠 (triazene), 아릴아조설폰, 아릴아조트리아릴메탄, 하이드라조 화합물, 다이아조에테르 및 다이아조아미노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이다. 바람직한 하이드라진은 페닐하이드라진이다. 바람직한 아지드는 카르보닐 아지드 또는 설포닐 아지드이거나, 또는 이 둘다이다. 바람직한 N,N'-다이니트로소아미드는 N,N'-다이메틸-N,N'-다이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이다.
전술한 과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해법은 하기 장치들을 포함하는, 제조 스트림에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a) 카르복시산 기 (α1)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수용액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제1 용기;
b)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추가의 용기;
c) 추가의 혼합 장치:
상기 추가의 혼합 장치는
i) 제1 용기와 추가의 용기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모노머 용액과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혼합하도록 설계됨;
d) 중합 반응기:
상기 중합 반응기는
i) 제1 용기와 추가의 용기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모노머 수용액에서 모노머를 중합하는 동안에, 모노머 수용액과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수용하여, 폴리머 겔을 수득하도록 설계됨;
e) 파쇄 장치:
상기 파쇄 장치는
i) 제1 용기 및 추가의 용기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폴리머 겔을 파쇄하여, 폴리머 겔 입자를 수득하도록 설계됨;
f) 제1 건조 장치:
상기 제1 건조 장치는
i) 파쇄 장치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폴리머 겔 입자를 건조시키도록 설계됨;
g) 제1 분쇄 장치:
상기 제1 분쇄 장치는
i) 제1 건조 장치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건조된 폴리머 겔을 분쇄하여,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도록 설계됨,
h) 제1 분급 장치:
상기 제1 분급 장치는
i) 제1 분쇄 장치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분쇄된 흡수성 폴리머 겔 입자를 분급하도록 설계됨;
j) 제1 혼합 장치:
상기 제1 혼합 장치는
i) 제1 분급 장치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추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 조성물과 혼합하여,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수득되도록 설계됨;
k) 추가의 건조 장치:
상기 추가의 건조 장치는
i) 제1 혼합 장치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건조시켜,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고,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또는 건조된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또는 이 둘다를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과 혼합하도록 설계됨;
l) 추가의 분급 장치:
상기 추가의 분급 장치는
i) 추가의 건조 장치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급하여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1 분획과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추가 분획을 수득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1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60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650 내지 950 ㎛, 더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 ㎛, 더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900 ㎛, 더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900 ㎛, 더 바람직하게는 820 내지 880 ㎛, 더 바람직하게는 840 내지 860 ㎛, 가장 바람직하게는 845 내지 855 ㎛ 범위의 직경 보다 긴 제1 입자 직경으로 특정되며,
상기 추가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제1 입자 직경 보다 작은 추가의 입자 직경으로 특정되며,
상기 추가 분획은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을 포함함;
m) 추가의 분쇄 장치:
상기 추가의 분쇄 장치는
i) 추가의 분급 장치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제1 분획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분쇄하여,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을 수득하도록 설계됨.
본원에서, 추가의 혼합 장치는 중합 반응기와 상동할 수 있다. 아울러, 중합 반응기는 파쇄 장치와 상동할 수 있다. 그래서, 추가의 혼합 장치, 중합 반응기 및 파쇄 장치는 상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구성 성분 또는 장치들 또는 이 둘다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고안된다. 바람직한 제1 건조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1 건조 장치이다. 바람직한 추가의 건조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추가의 건조 장치이다. 바람직한 제1 혼합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1 혼합 장치이다. 바람직한 제1 분쇄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1 분쇄 장치이다. 바람직한 추가의 분쇄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추가의 분쇄 장치이다. 바람직한 가교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가교 조성물이다.
전술한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해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단계 (i)부터 (xiii)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해법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복수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하기 a)에서 c)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관한 것이다:
a) 500 내지 3,000 ppmw,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ppmw 함량 범위의, 킬레이트제, 특히 EDTA;
b) 500 내지 3,000 ppmw,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ppmw 함량 범위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c) 500 내지 3,000 ppmw,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ppmw 함량 범위의, SiO2.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복수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g-제올라이트를,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 중량부 (wt._part),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01 중량부의 함량 범위로 더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해법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는 폼(foam), 형상화된 물품 (shaped article), 섬유 (fibre), 호일 (foil), 필름 (film), 케이블 (cable), 봉지재 (sealing material), 액체 흡수성 위생 용품 (liquid-absorbing hygiene article), 식물 및 진균 성장-조절제용 담체, 포장재 (packaging material), 토양 첨가제 (soil additive) 및 건축 자재 (building materia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케이블은 청수 케이블 (blue water cable)이다. 바람직한 액체-흡수성 위생 용품은 기저귀, 탐폰 및 생리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2 이상의 조합이다. 바람직한 기저귀는 유아용 기저귀 또는 요실금 성인용 기저귀이거나, 또는 이 둘다이다.
전술한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해법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및 기재 (substrate), 그리고 선택적으로 보조 물질을 서로 접촉시키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전술한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해법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복합 재료에 의해 제공된다.
전술한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해법은 폼 (foam), 형상화된 물품 (shaped article), 섬유 (fibre), 호일 (foil), 필름 (film), 케이블 (cable), 봉지재 (sealing material), 액체 흡수성 위생 용품 (liquid-absorbing hygiene article), 식물 및 진균 성장-조절제용 담체, 포장재 (packaging material), 토양 첨가제 (soil additive), 활성 화합물의 조절 방출을 위한 또는 건축 자재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용도에 의해 제공된다.
테스트 방법
아래 테스트 방법들이 본 발명에 이용된다. 테스트 방법이 생략된 경우, 측정할 특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최초 출원일로부터 가장 가까운 날짜에 공개된 ISO 테스트 방법을 적용한다. ISO 테스트 방법이 불가할 경우, 본 발명의 최초 출원일로부터 가장 가까운 날짜에 공개된 EDANA 테스트 방법을 적용한다. 명확한 측정 조건이 없는 경우에는, 표준 주변 온도 및 압력 (SATP)으로서, 온도 298.15 K (25℃, 77℉) 및 절대 압력 100 kPa (14.504 psi, 0.986 atm)을 적용한다.
수분 함량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수분 함량은 건조 후 칼 피셔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보유능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보유능은 EDANA에 의해 규정된 표준 고흡수제 테스트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이 테스트 방법은 EDANA, Harmonized Test Methods Nonwovens and Related Industries, 2012 Edition에, 방법 번호 WSP 241.2.R3 (12) "원심분리 후, 식염수내 유체 보유능"으로서 기술되어 있다.
AUL (Absorption Under Load)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AUL은 EDANA에 의해 규정된 표준 고흡수재 테스트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이 테스트 방법은 EDANA, Harmonized Test Methods Nonwovens and Related Industries, 2012 Edition에, 방법 번호 WSP 243.2.R1 (12) "가압 하 흡수"로서 기술되어 있다. 측정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200 내지 700 ㎛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은 예로서 제시된 실시예들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부분 중화된 아크릴산 모노머 용액의 제조
물 0.4299 중량부 (wt.-part)를, 적절한 용기내에서, 아크릴산 0.27 중량부 및 모노 메틸 에테르 하이드로퀴논 (MEHQ) 0.0001 중량부와 혼합한다. 이 혼합물에 48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0.2 중량부로 첨가한다. 중화 비율이 70 mol-%인 소듐-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용액이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소듐-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용액을 질소로 탈기한다.
B) 모노머 용액의 중합
용기내에서, 단계 A)에서 제조된 모노머 용액 1 중량부를, 가교제로서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001 중량부, 1차 개시제 성분으로서 소듐 퍼옥소다이설페이트 0.001 중량부, 2차 개시제 성분으로서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 (Ciba® Irgacure® 651, Ciba Specialty Chemicals Inc., Basel, Switzerland) 0.000034 중량부 및 아크릴산 입자 (입자 크기 150 ㎛ 미만) 최대 0.1 중량부와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수득한다. 발포제로서 소듐 카보네이트를 혼합 용액에 혼합 용액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중량부로 첨가한다.
폴리머 겔, 추가의 후속 산물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추가의 후속 산물인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및 후처리된 추가의 후속 산물인 흡수성 산물을 제조하기 위해, 충분량의 혼합 용액에 대해 추가 가공 처리를 수행한다. 추가 가공 처리에 대한 상세 내용은 아래에 제공된다.
그런 후, 혼합 용액을 컨베이어 벨트 반응기의 벨트 위에 적재하고, UV 조사에 의해 중합을 개시한다. 컨베이어 벨트는 20 m 이상의 길이 및 0.8 mm 너비를 가진다. 컨베이어 벨트는 중합하면서 벨트 상에 용액을 수용하기 위해 트로프 형태를 취한다. 컨베이어 벨트의 크기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속도는, 폴리-아크릴산 겔이 벨트의 하류 단부에서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 공정이 끝나면, 흡수성 폴리머 겔이 제조된다. 이 폴리머 겔은 함수율이 폴리머 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2 중량%이다.
C) 폴리머 겔의 파쇄 및 건조
폴리머 겔은 폴리머 겔 스트랜드로 생성되며, 이를 컨베이어 벨트에서 배출시켜, 3단계로 파쇄한다:
- 폴리-아크릴산 고무 겔을 나이프를 사용해 납작한 겔 스트립으로 자른다. 겔 스트립은 10 - 20 cm 길이, 10 - 20 mm 높이 및 10 - 200 mm 너비를 가진다. 그런 후,
- 브레이커 (breaker)를 사용해, 스크립을 길이 5 - 50 mm, 높이 3 - 20 mm 및 너비 3 - 20 mm 범위의 겔 조각으로 자르고,
- 이들 겔 조각은 분쇄기가 구비된 믹서를 통해 압출시켜 겔 조각을 갈아, 길이 3 - 20 mm, 높이 3 - 20 mm 및 너비 3 - > 20 mm 범위의 겔 조각을 수득한다.
파쇄된 겔은, 벨트 건조기에서 180℃에서, 건조된 폴리머 겔을 기준으로 함수율 5 중량%로 건조시킨다. 벨트 건조기의 벨트에는 오리피스가 구비되어 있어, 뜨거운 공기가 노즐을 통해 폴리머 겔로 투입된다. 부가적으로, 뜨거운 공기는 벨트 위에서 겔쪽으로 흐른다.
D) 밀링 및 분급
건조된 폴리머 겔을 3단계로 분쇄한다. 일차로, 건조된 폴리머 겔을 Herbold Granulator HGM 60/145 (HERBOLD Meckesheim GmbH)에 통과시켜, 건조된 폴리머 겔을 크기가 7 mm 미만인 조각들로 수득한 다음 용기 안에 2.5시간 두어 폴리머 겔 조각들의 습도가 동일해지게 한다. 이후 건조된 폴리머 겔 조각들을 Bauermeister Type 350.1 x 1800 (3-stage crusher) (Bauermeister Zerkleinerungstechnik GmbH)의 롤러 밀에서 분쇄하여, 입자 크기가 1 mm 미만인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한다.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을 수개의 스크린이 장착된 텀블러 체로 체질한다. 스크린들의 메쉬 크기는 20, 30, 40, 50, 60에서 100 U.S.-mesh까지 다양하다. 수득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 중 50 중량% 이상은 입자 크기가 300 내지 600 ㎛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 중 5 중량% 미만이 150 ㎛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 중 5 중량% 미만은 850 ㎛ 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가진다. 수득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전구체 I이라 칭한다.
E) 이산화규소 처리
처리 단계에서, 전구체 I을, 디스크 믹서에서, 전구체 I + SiO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이산화규소 (SiO2) 약 0.01 중량부 (± 10 %)와 혼합한다. 이산화규소는 독일 에센에 위치한 에보닉 인더스트리즈 AG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Sipernat® 22 형태로 사용한다. 전구체 I을 SiO2와 혼합할 때, 전구체는 여전히 80℃ - 1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00℃의 온도를 유지한다. 전구체 II를 수득한다.
F) 표면 가교
추가 단계로서, 전구체 II 1 중량부를, 전구체 II와 가교제 혼합물을 합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표면 가교제 0.003 중량부 (+-10 %)와 혼합한다. 표면 가교제는, 가교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물 19 중량%, 에틸렌 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40 중량%, Na2SO3 1 중량%, 분자량 400 g/mol의 폴리 에틸렌 글리콜 40 중량%로 구성된다. 가교제의 구성 성분들은 관내 고정식 혼합기 (line static mixer)에서 혼합한다. 가교제는, 전구체 II와 도 5a 및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링레이어 혼합기 (ringlayer mixer)인 CoriMix® CM 350 (Gebruder Lodige Mascheninenbau GmbH, Paderborn, Germany)에서 혼합한다. 이 링레이어 혼합기는 이하, 즉 하기 표 1에서 믹서 I으로 언급된다. 이 혼합물을 130 - 16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한다. 그런 후, 혼합물을 오스트리아 그라츠에 위치한 안드리츠 AG 사의 패들 건조기인 Andritz Gouda Paddle Dryer, 바람직하게는 GPWD12W120 타입의 건조기에서, 45분간 130 - 160℃ 범위의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이 패들 건조기는 이하, 즉, 하기 표 1에서 믹서 II로 언급된다.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한다.
유동층 형태의 냉각 장치에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온도를 60℃ 아래로 냉각시켜, 냉각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고, 이를 전구체 III라 한다.
G) 후처리
전구체 III 1 중량부를 Ag-제올라이트 0.005 중량부와 혼합한다. 그런 후, 이 혼합물을 체질한다. 체는 입자 크기가 850 ㎛ 보다 큰, 냉각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리하도록 선택된다. 이 입자는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라 지칭한다.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 중 50 중량% 이상은 300 내지 600 ㎛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 중 5 중량% 미만은 150 ㎛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 중 5 중량% 미만은 850 ㎛ 보다 큰 입자 크기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를 가진다. 후처리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한다.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들을 채집하여, 추가의 분쇄 장치에서 추가로 분쇄한다.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를 추가로 분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의 분쇄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서 제시된다. 추가로 분쇄된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는 아래 표 1에 따라 재순환될 수 있다. 추가로 분쇄된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가 재순환된다면, 전술한 단계들이 1회 이상 수행되는데, 이때 추가로 분쇄된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는 표면 가교제와의 혼합하는 동안에 믹서 I로, 또는 건조하는 중에 믹서 II로 도입되거나, 또는 추가로 분쇄된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는 Ag-제올라이트와 함께 전구체 III에 첨가된다. 추가로 분쇄된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가 도입되는 단계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하기 표 1에 표시된다.
다음과 같은 척도를 사용해,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대해 표 1에 제시된 파라미터 측정 결과를 비교한다. 아래 나타낸 기호의 순서에서, 측정 결과는 좌에서 우로 갈수록 양호한 결과이다: ---, --, -, +.
실시예 오버사이즈 재순환 단계 오버사이즈 밀링 장치 보유능 AUL 전체 수율
비교예 1 / / --- --- --
비교예 2 Ag-제올라이트 혼합 Bauermeister (roll) -- -- -
비교예 3 Mixer I Bauermeister (roll) - - -
실시예 1 Mixer II Bauermeister (roll) + + -
실시예 2 Mixer II Fitz mill (impact) + + +
표 1: 여러가지 오버사이즈 재순환 공정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제조 방법의 전체 수율 및 이 생성물의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성능.
비교예 1에서는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가 추가로 분쇄 또는 재순환되지 않는다. 비교예 2에서 수행된 바와 같이,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들을 모아 이를 Bauermeister type 350.1 x 1800 (3-stage crusher) (Bauermeister Zerkleinerungstechnik GmbH)의 롤러 밀에서 추가로 분쇄한 다음 이를 Ag-제올라이트와 함께 전구체 III에 첨가한 결과, 전체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의 보유능과 AUL이 증가한다. 아울러, 전체 수율, 즉, 바람직한 범위 150 - 850 ㎛의 입자 크기를 가진 제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가 양적으로 증가한다. 비교예 3은, 추가로 분쇄된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를 믹서 I에 도입함에 의한 또 다른 개선을 보여준다. 보유능 및 AUL이 증가한다. 비교예 3과는 달리,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 1에서는, 추가로 분쇄된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를 믹서 II로 재순환시킨다. 그 결과, 전체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의 보유능 및 AUL에 추가적인 증가가 달성된다. 수율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실시예 2의 경우, 오버사이즈의 표면-가교된 흡수성 입자는 벨기에 신트니클라스에 위치한 Fitzpatrick Europe N. V. 사의 Fitz® Mill로 추가로 분쇄한 다음, 추가로 분쇄된 오버사이즈 입자는 믹서 II로 재순환시킨다. 그 결과, 놀랍게도, 전체 공정의 수율이 더욱 증가하면서도, 생성물의 보유능과 AUL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들에 비히해 우수한 제품 품질 및 제조 수율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가 최상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의 연속 제조를 위한 제조 방법 (100)의 단계들 (101에서 114)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1 단계 (101)에서, 카르복시산 기 (α1)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 및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포함하는 모노머 수용액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수용액은 부분 중화된 아크릴산의 수용액이며, 추가로 가교제를 포함한다. 제2 단계 (102)에서, 흡수성 폴리머 미세 입자가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제3 단계 (103)에서, 중합 개시제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성분이 모노머 수용액에 첨가된다. 제4 단계 (104)에서,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이, 모노머 수용액으로의 질소 버블링에 의해 감소된다. 제5 단계 (105)에서, 모노머 용액이 중합 반응기 (504)로서 중합 벨트 반응기의 벨트 위에 충진된다. 벨트는 무한 컨베이어 벨트이다. 제6 단계 (106)에서, 모노머 수용액이 폴리머 겔로 중합된다. 제7 단계 (107)에서, 폴리머 겔이 벨트에서 배출된다. 이후, 폴리머 겔은 파쇄되어, 폴리머 겔 입자가 수득된다. 제8 단계 (108)에서, 폴리머 겔 입자가, 제1 건조 장치 (606)인 벨트 건조기의 벨트 위에 충진된다. 이후, 폴리머 겔 입자는 약 120 - 150℃의 온도에서 건조된다. 건조된 폴리머 겔 입자 (401)는 벨트 건조기에서 배출된 다음 제9 단계 (109)에서 제1 분쇄 장치 (607)에서 분쇄되며, 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수득된다. 제10 단계 (110)에서, 분쇄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제1 분급 장치 (608)에서 분급되어, 잘 확립된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진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이 수득된다.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는 추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 조성물 (403)과 접촉되고, 제11 단계 (111)에서 열처리되어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로 제조된다. 제12 단계 (112)에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는 추가의 건조 장치 (407)에서 건조되고, 표면-가교 반응이 완료됨으로써,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가 수득된다. 제12 단계 (11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공정 (100)의 이전 사이클의 제13 단계 (113)에서 수득된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 중 적어도 일부가 추가의 건조 장치 (405)로 재도입되고,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와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혼합된다. 연속 공정 (100)의 현 사이클의 제13 단계 (113)에서는,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가 텀블러 체 (tumbler sieve)인 추가의 분급 장치 (407)에서 분급된다. 이로써,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의 제1 분획 (408)과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의 추가 분획 (409)가 수득되는데, 제1 분획 (408)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850 ㎛ 보다 큰 제1 입자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특정되며, 추가 분획 (409)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제1 입자 직경 보다 작은 추가 입자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특정된다. 제14 단계 (114)에서, 제1 분획 (408)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들 중 적어도 일부가 추가의 분쇄 장치 (410)에서 추가로 분쇄되어,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이 수득된다. 제13 단계 (113)에서 수득되는 추가 분획 (409)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을 포함한다. 이후, 연속 공정 (100)의 다음 사이클은 제1 단계 (101)에서 시작되며, 제1 단계 (101)에서 제14 단계 (114)가 반복 실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을 연속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공정 (100)의 단계들 (101에서 114)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공정 (100)은 도 1의 공정 (100)과 동일하지만, 제3 단계 (103)과 제4 단계 (104)가 시기적으로 겹친다. 중합 개시제를 모노머 수용액에 투입하면서, 산소 함유율을 낮추기 위해 모노머 수용액에 질소 버블링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을 연속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공정 (100)의 단계들 (101, 103, 105 - 114)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공정 (100)은 도 1의 공정 (100)과 동일하지만, 제2 단계 (102) 및 제4 단계 (104)는 도 3의 공정 (100)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단계 (xi) (111) 내지 (xiv) (114)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는 추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 조성물 (403)과 접촉되고, 제1 혼합 장치 (402)에서 가열 처리됨으로써,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로 제조된다. 뜨거운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는 추가의 건조 장치 (405)에서 건조되며, 이로써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가 수득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공정 (100)의 이전 사이클의 단계 (xiii)(113)에서 수득된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 중 적어도 일부가 추가의 건조 장치 (405)로 재도입되며, 따라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와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가 혼합된다. 수득되는 입자 혼합물은 텀블러 체인 추가의 분급 장치 (407)에서 분급된다. 이로써,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의 제1 분획 (408)과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의 추가 분획 (409)가 수득되며, 이때 제1 분획 (408)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800 ㎛ 보다 큰 제1 입자 직경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 분획 (409)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제1 입자 직경 보다 작은 추가 입자 직경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분획 (408)은 더욱 분쇄하기 위해 추가의 분쇄 장치 (410)으로 투입되며, 따라서 제1 분획 (408)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입자 크기 감소가 달성되어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이 되는데, 이는 적어도 일부가 추가의 건조 장치 (405)로 재순환된다. 추가 분획 (40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 (100)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을 포함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혼합 장치 (402)의 종단면 개략도이다. 제1 혼합 장치 (402)는 유입구 (501), 혼합 챔버 벽부 (503)에 의해 규정되는 혼합 챔버 (502) 및 유출구 (504)를 포함한다.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는 유입구 (501)를 통해 혼합 챔버 (502)로 공급된다. 여기서, 혼합 툴 (508) (도 5a에 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 회전 샤프트 (507)가 500 내지 1200 rpm 범위의 속도로 회전한다. 원심력으로 인해, 폴리머 입자는 혼합 챔버 벽부 (503)에 분산되어,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로 된 환상 층 (505)을 형성하게 된다. 혼합 챔버 (502)의 축 위치 (506)에서의 단면도를 도 5b)에 도시한다. 혼합 장치 Ma (402)는 독일 파더보른에 위치한 Gebruder Lodige Maschinenbau GmbH 사의 고성능 링레이어 믹서 CoriMix® CM 350이다.
도 5b)는 도 5a)의 제1 혼합 장치 (402)의 횡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횡단면은 도 5a)의 축 위치 (506)에서 수득한 것이다. 도 5b)는 부가적으로 회전 샤프트 (507)과 복수의 혼합 툴들 (508) 중 하나를 도시한다. 혼합 툴 (508)은 패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을 연속 제조하기 위한 장치 (600)에 대한 블럭도이다. 화살표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의 제조 스트림 (609)의 방향을 표시한다. 장치 (600)은 제1 용기 (601), 추가의 용기 (602), 하류에 위치한 추가의 혼합 장치 (603), 하류에 위치한 중합 반응기 (604)로서 중합 벨트 반응기, 하류에 위치한 파쇄 장치 (605), 하류에 위치한 제1 건조 장치 (606)로서 벨트 건조기, 하류에 위치한 제1 분쇄 장치 (607), 하류에 위치한 제1 분급 장치 (608), 하류에 위치한 제1 혼합 장치 (402), 하류에 위치한 추가의 건조 장치 (405), 하류에 위치한 추가의 분급 장치 (407) 및 하류에 위치한 추가의 분쇄 장치 (410)를 각각 본 발명에 따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현재 실질적인 예시적 구현예들로 간주되는 것을 들어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기술된 구현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 및 등가의 방식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본 발명에 따른 방법
101 단계 (i)
102 단계 (ii)
103 단계 (iii)
104 단계 (iv)
105 단계 (v)
106 단계 (vi)
107 단계 (vii)
108 단계 (viii)
109 단계 (ix)
110 단계 (x)
111 단계 (xi)
112 단계 (xii)
113 단계 (xiii)
114 단계 (xiv)
401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2 제1 혼합 장치
403 가교 조성물
404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5 추가의 건조 장치
406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7 추가의 분급 장치
408 제1 분획
409 추가 분획
410 추가의 분쇄 장치
411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2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501 유입구
502 혼합 챔버
503 혼합 챔버 벽부
504 유출구
505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로 된 환상 층
506 축 위치
507 회전 샤프트
508 혼합 툴
600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의 제조 장치
601 제1 용기
602 추가의 용기
603 추가의 혼합 장치
604 중합 반응기
605 파쇄 장치
606 제1 건조 장치
607 제1 분쇄 장치
608 제1 분급 장치
609 제조 스트림

Claims (24)

  1. 흡수성 폴리머 입자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 생성물 (412)의 연속 제조 방법 (100)으로서,
    (i) 카르복시산 기 (α1)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부분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와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포함하는, 모노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 선택적으로, 상기 모노머 수용액에 흡수성 폴리머의 미세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iii) 상기 모노머 수용액에 중합 개시제 또는 2 이상의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iv) 선택적으로, 상기 모노머 수용액의 산소 함량을 낮추는 단계;
    (v) 중합 반응기 (604)에 상기 모노머 수용액을 충진하는 단계;
    (vi) 상기 중합 반응기 (604)의 모노머 수용액 중에서 모노머를 중합하여, 폴리머 겔을 수득하는 단계;
    (vii) 상기 폴리머 겔을 중합 반응기 (604)에서 배출시키고, 선택적으로 폴리머 겔을 파쇄하는 단계;
    (viii) 상기 폴리머 겔을 제1 건조 장치 (606)에서 건조하는 단계;
    (ix) 건조된 폴리머 겔을 제1 분쇄 장치 (607)에서 분쇄하여,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x) 분쇄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1 분급 장치 (608)에서 분급하는 단계;
    (xi)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를, 추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 조성물 (403)과 접촉시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를 수득하는 단계;
    (xii)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를 추가의 건조 장치 (405)에서 건조시켜,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를 수득하는 단계;
    (xiii)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를 추가의 분급 장치 (407)에서 분급하여,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의 제1 분획 (408)과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의 추가 분획 (409)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분획 (408)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600 내지 1000 ㎛ 범위의 직경 보다 큰, 제1 입자 직경을 가지며,
    상기 추가 분획 (409)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제1 입자 직경 보다 작은 추가의 입자 직경을 가지는, 단계;
    (xiv) 제1 분획 (408)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의 분쇄 장치 (410)에서 추가로 분쇄하여,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xii)에서,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추가의 건조 장치 (405)로 재순환되며;
    상기 추가 분획 (409)이 상기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에서, 상기 가교 조성물 (403)이 환원제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이 둘다를 모두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화학식 MxSO3의 화합물이며,
    상기 식에서 x는 1 또는 2이며,
    x = 2인 경우 M은 Li, Na 또는 이들 둘다이고,
    x = 1인 경우 M은 Mg, Ca 또는 이들 둘다인, 제조 방법 (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에서, 상기 접촉은 제1 혼합 장치 (402)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 혼합 장치 (402)는 회전 샤프트 (507) 및 복수의 혼합 툴 (508)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 툴 (508)은 상기 회전 샤프트 (507)와 연결되며,
    상기 단계 (xi)에서, 상기 회전 샤프트 (507)가 500 내지 1200 rpm 범위의 속도로 회전하는, 제조 방법 (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에서, 상기 접촉은 제1 혼합 장치 (402)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 혼합 장치 (402)는 복수의 혼합 툴 (508)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 툴 (508)은 로드 (rod) 또는 패들 (paddle) 또는 이 둘다인, 제조 방법 (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에서, 상기 접촉은 제1 혼합 장치 (402)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 혼합 장치 (402)는 상기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들 중 적어도 일부로 된 환상 층 (annular layer, 505)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에서, 상기 접촉은 상기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와 회전 부재 (rotating component)의 복수회의 접촉에 의한 혼합이고,
    상기 혼합은 0.1 내지 60초 범위의 기간 동안 수행되는, 제조 방법 (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ii)에서, 상기 제1 분획 (408) : 상기 추가 분획 (409)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1 범위인, 제조 방법 (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v)에서, 상기 추가의 분쇄 장치 (410)가 회전 샤프트 및 복수의 블레이드 (blade)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 샤프트에 연결된, 제조 방법 (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i)에서, 상기 추가의 분급 장치 (407)에서 분급되지 않은, 상기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404) 또는 상기 건조된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406) 또는 이들 둘다가, 상기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과 혼합되며;
    상기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404) 또는 상기 건조된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406) 또는 이들 둘다 : 상기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의 혼합되는 중량비는 1:100 내지 1:7 범위인, 제조 방법 (1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i)에서, 상기 추가의 건조 장치 (405)가 2개 이상의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xii)에서, 상기 추가의 건조 장치 (405)가 패들 믹서 (paddle mixer) 또는 패들 건조기 (paddle dryer) 또는 이들 둘다인, 제조 방법 (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vii)에서 배출되는 상기 폴리머 겔이, 폴리머 겔을 기준으로, 40 - 60 중량% 범위로 수분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vii)에서 배출되는 상기 폴리머 겔이 폴리머 겔 시트 (polymer gel sheet)이고;
    상기 폴리머 겔 시트가 10 내지 200 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제조 방법 (10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vii)에서 배출되는 상기 폴리머 겔이 폴리머 겔 시트이고;
    상기 폴리머 겔 시트가 30 내지 300 cm 범위의 너비를 가지는, 제조 방법 (10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vi)에서의 중합이 발포제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제조 방법 (100).
  17. 하기 a) 내지 m)을 포함하는, 연속 제조 스트림 (609)에서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600):
    a)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산 기 (α1)를 가진 부분적으로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수용액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제1 용기 (601);
    b)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추가의 용기 (602);
    c) 추가의 혼합 장치 (603):
    상기 추가의 혼합 장치 (603)는
    i) 제1 용기 (601)와 추가의 용기 (602)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모노머 용액과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혼합하도록 설계됨;
    d) 중합 반응기 (604):
    상기 중합 반응기 (604)는
    i) 제1 용기 (601)와 추가의 용기 (602)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모노머 수용액에서 모노머를 중합하는 동안에, 모노머 수용액과 하나 이상의 가교제 (α3)를 수용하여, 폴리머 겔을 수득하도록 설계됨;
    e) 파쇄 장치 (605):
    상기 파쇄 장치 (605)는
    i) 제1 용기 (601) 및 추가의 용기 (602)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폴리머 겔을 파쇄하여, 폴리머 겔 입자를 수득하도록 설계됨;
    f) 제1 건조 장치 (606):
    상기 제1 건조 장치 (606)는
    i) 파쇄 장치 (605)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폴리머 겔 입자를 건조시키도록 설계됨;
    g) 제1 분쇄 장치 (607):
    상기 제1 분쇄 장치 (607)는
    i) 제1 건조 장치 (606)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건조된 폴리머 겔을 분쇄하여,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수득하도록 설계됨,
    h) 제1 분급 장치 (608):
    상기 제1 분급 장치 (608)는
    i) 제1 분쇄 장치 (607)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분쇄된 흡수성 폴리머 겔 입자를 분급하도록 설계됨;
    j) 제1 혼합 장치 (402):
    상기 제1 혼합 장치 (402)는
    i) 제1 분급 장치 (608)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분쇄 및 분급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1)를 추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 조성물 (403)과 혼합하여,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를 수득하도록 설계됨;
    k) 추가의 건조 장치 (405):
    상기 추가의 건조 장치 (405)는
    i) 제1 혼합 장치 (402)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를 건조시켜,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를 수득하고,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4) 또는 건조된 표면-가교된 폴리머 입자 (406) 또는 이 둘다를 추가의 분쇄된 제1 분획 (411)과 혼합하도록 설계됨;
    l) 추가의 분급 장치 (407):
    상기 추가의 분급 장치 (407)는
    i) 추가의 건조 장치 (405)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를 분급하여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의 제1 분획 (408)과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의 추가 분획 (409)을 수득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1 분획 (408)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600 내지 1000 ㎛ 범위의 직경 보다 긴 제1 입자 직경을 가지며,
    상기 추가 분획 (409)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는 제1 입자 직경 보다 작은 추가의 입자 직경을 가지며,
    상기 추가 분획 (409)은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을 포함함;
    m) 추가의 분쇄 장치 (410):
    상기 추가의 분쇄 장치 (410)는
    i) 추가의 분급 장치 (407)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며,
    ii) 제1 분획 (408)의 건조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 (406)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분쇄하여, 추가로 분쇄된 제1 분획 (411)을 수득하도록 설계됨.
  18. 제17항에 따른 장치 (600)에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방법 (100)에 의해 수득가능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
  20. 제19항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composite material).
  21. 제20항에 있어서,
    폼 (foam), 형상화된 물품 (shaped article), 섬유 (fibre), 호일 (foil), 필름 (film), 케이블 (cable), 봉지재 (sealing material), 액체 흡수성 위생 용품 (liquid-absorbing hygiene article), 식물 및 진균 성장-조절제용 담체, 포장재 (packaging material), 토양 첨가제 (soil additive) 및 건축 자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22.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9항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과 기재 (substrate), 및 선택적으로 보조 물질을 서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가능한 복합 재료.
  24. 폼 (foam), 형상화된 물품 (shaped article), 섬유 (fibre), 호일 (foil), 필름 (film), 케이블 (cable), 봉지재 (sealing material), 액체 흡수성 위생 용품 (liquid-absorbing hygiene article), 식물 및 진균 성장-조절제용 담체, 포장재 (packaging material), 토양 첨가제 (soil additive), 활성 화합물의 조절 방출 또는 건축 자재 용도로 사용되는, 제19항에 따른 흡수성 폴리머 입자 생성물 (412)의 용도.
KR1020167032638A 2014-04-25 2014-04-25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시 오버사이즈 입자의 재순환 KR201700024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3662 WO2015163507A1 (en) 2014-04-25 2014-04-25 Recycling of oversized particles in the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69A true KR20170002469A (ko) 2017-01-06

Family

ID=5433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638A KR20170002469A (ko) 2014-04-25 2014-04-25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시 오버사이즈 입자의 재순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70002469A (ko)
CN (1) CN106232688B (ko)
EA (1) EA031422B1 (ko)
WO (1) WO20151635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8930B1 (en) * 1997-06-18 2001-05-08 Nippon Shokubai Co., Ltd. Water-absorbent resin granule-containing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for water-absorbent resin granule
EP2104559B1 (en) * 2007-01-16 2012-05-16 Basf Se Production of superabsorbent polymers on a continuous belt reactor
WO2011023536A1 (de) * 2009-08-25 2011-03-03 Basf Se Weiche partikuläre superabsorber und ihre verwendung
US8871880B2 (en) * 2012-03-22 2014-10-28 Evonik Corporation Superabsorbent copolymer
WO2013182469A2 (en) * 2012-06-08 2013-12-12 Basf Se Odour-control superabsorb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2688B (zh) 2019-08-20
WO2015163507A1 (en) 2015-10-29
EA201691536A1 (ru) 2017-02-28
CN106232688A (zh) 2016-12-14
EA031422B1 (ru)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612B1 (ko)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에서의 종방향 형상의 중합 벨트
US6228930B1 (en) Water-absorbent resin granule-containing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for water-absorbent resin granule
KR102389682B1 (ko)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디스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파쇄 장치
US10377057B2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epara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s
WO2019221154A1 (ja) 吸水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
EP3225649B1 (en) Method for preparing superabsorbent polymer
KR20170002470A (ko) 첨가제를 이용한 표면-가교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후처리
KR20160149237A (ko)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를 위한 다단식 밀링
KR20170002468A (ko) 카보네이트 블로잉 및 벨트 건조를 이용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 방법
KR102223611B1 (ko)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과-중화를 이용한 모노머 처리 방법
WO2015163519A1 (en) Recycling of fine particles in the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WO2015163513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water- absorbent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subsequent hydrogel comminuting steps
KR102403560B1 (ko)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를 위한 미분의 분류
KR20170002469A (ko)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제조시 오버사이즈 입자의 재순환
KR102576445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210089156A (ko) 고흡수제의 제조 방법
WO2015163523A1 (en)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employing a blowing agent and surface-crosslinking
WO2015163516A1 (en) Surface-crosslinking and cooling of surface-crosslinked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in the production thereof
WO2015163517A1 (en) Release of polymer gel from polymerization belt in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WO2015163509A1 (en) Hydrogel comminuting device comprising rotating steel component in the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WO2015163518A1 (en) Initiator system for preparation of a water-absorbent polymer by radical polymerization
KR20210089157A (ko) 고흡수제의 제조 방법
WO2015163520A1 (en) Transversal concave shape of a polymerization belt in the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