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310U -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310U
KR20170002310U KR2020160007377U KR20160007377U KR20170002310U KR 20170002310 U KR20170002310 U KR 20170002310U KR 2020160007377 U KR2020160007377 U KR 2020160007377U KR 20160007377 U KR20160007377 U KR 20160007377U KR 20170002310 U KR20170002310 U KR 201700023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predetermined position
shift
car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02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면(120)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외부충격이 흡수되어지도록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지는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하부면(220)은 상기 케이스 보호부(100)의 상부면(110)에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부면(210)은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지는 가이드 부재(200)와, 하부면(320)은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과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지는 덮개부재(300)로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을 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지는 시프트부재(400)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가이드 부재(200) 및 덮개부재(300)로 이루어져 형성된 내부공간에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등의 카드가 수납되어지도록 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는 덮개부재(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카드를 수납하고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E CASE FOR CARD STORAGE}
본 고안은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보호부재와 가이드 부재 및 덮개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지는 3단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슬라이드형 덮개부재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사용함으로써, 내부에 형성되어진 카드 수납 공간에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와 같은 개인 소지품을 간편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은 서로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전화연결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과 같은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카드 수납공간이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폰 케이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폰 케이스 중에서 카드를 전면 덮개 없이 스마트폰 후면에 보관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수납 및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435호 (2014.04.22. 등록)에 소개되었으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일측에 모바일기기를 수용하는 기기 수용부를 가지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상기 기기 수용부 반대편에 고정 결합되고, 오목하게 형성된 카드 수납부를 갖는 제2몸체부; 및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카드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몸체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간 결합이 다소 불안정함에 따라 카드 수납부에 수납되어진 카드가 이탈되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된 새로운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72435호 (2014.04.22.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보호부재와 가이드 부재 및 덮개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지는 3단 부재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시프트 슬라이드형 덮개부재의 탈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내부에 형성되어진 카드 수납 공간에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와 같은 개인소지품을 간편하게 보관 및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면(120)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외부충격이 흡수되어지도록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지는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하부면(220)은 상기 케이스 보호부(100)의 상부면(110)에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부면(210)은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지는 가이드 부재(200)와, 하부면(320)은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과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지는 덮개부재(300)로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을 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지는 시프트부재(400)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부재(200) 상부면(210)는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결합부재(500)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500)의 하측단부와 가이드 부재(200) 상부면(210) 사이에는 지지부재(25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50) 외경에는 제2 스프링부재(25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500)은 가이드 부재(200)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돌기부(240)를 통해 상하로 개폐(開閉)가 되는 제1 결합부재(500a)와 제2 결합부재(50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프트 부재(400)는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과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사이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제1 시프트 고정부재(410a)와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제2 시프트 고정부재(410b)가 구성되며, 상기 제2 시프트 구정부재(410b)일측단부에는 결합돌기(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프트 고정부재(400)는 일측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제2 단(412)이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제1 단(411)과, 일측단부는 상기 제1 단(411)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제3 단(413)이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제2 단(412)과, 일측단부는 상기 제2 단(412)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는 제3 단(4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양측단부에는 버튼부재(230)가 구성되며, 상기 버튼부재(230)의 외주를 따라 작게 형성하되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50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관통홀(510)의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하는 돌기부(2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240)내경에는 제1 스프링부재(24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재(230)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돌기부(240)는 결합부재(420) 일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관통홀(510)을 향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되어진 관통홀(510)은 제1결합부재(500a)과 제2결합부재(500b)으로 개폐(開閉)가 되어 상기 결합부재(420)와 결합되어진 결합돌기(500)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는,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가이드 부재(200) 및 덮개부재(300)로 이루어져 형성된 내부공간에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등의 카드가 수납되어지도록 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는 덮개부재(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카드를 수납하고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케이스 보호부재(100)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가이드 부재와 덮개부재를 도시한 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시프트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작용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작용도,
도 9는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작용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따르면 본 고안은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 보호하고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어지도록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가이드 부재(200), 및 덮개부재(300)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면(120)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외부충격이 흡수되어지도록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지는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하부면(220)은 상기 케이스 보호부(100)의 상부면(110)에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부면(210)은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지는 가이드 부재(200)와, 하부면(320)은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과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지는 덮개부재(300)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 보호부재(100)의 외경은 스마트폰 기기의 외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 보호부재 하부면(120)을 따라, 날개부가 연장형성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의 크기는 상기 케이스 보호부재(100)의 외경과 동일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타측면의 상단 및 하단의 소정의 위치에는 가이드 부재(200)와 결합되어지기 위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끼움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타측면의 양측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결합되어지기 위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철(凸)자 형상의 복수개의 끼움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진다.
한편, 타측면에는 상기 케이스 보호부재(100)의 타측면과 끼움결합 되어지도록, 상기 복수개의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요(凹)자 형상의 복수개의 홈부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절개부의 상측 소정의 위치와, 상기 절개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케이스 보호부재(100)의 타측면에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카드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는 덮개부재(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카드를 수납하고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을 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지는 시프트 부재(400)와 결합부재(500)를 더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을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과 덮개 부재(300)의 하부면(320)사이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제1 시프트 고정부재(410a)와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제2 시프트 고정부재(410b)사이에 시프트 부재(400)가 구성된다.
상기 시프트 부재(400)의 제1단의 일측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재(200)와 덮개부재(300)의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제1 시프트 고정부재(410a)와 결합되어지고, 타측단부의 내경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지는 제1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단은 상기 제1단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단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1돌기의 내측으로 안착되어지도록 외경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지는 제2돌기와, 타측단부의 내경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지는 제3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3단은 상기 제2단의 내부에 십입되도록 상기 제3단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2돌기의 내측으로 안착되어지도록 외경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지는 제3돌기와, 타측단부의 내경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지는 제4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 사이에 구성된 시프트 부재(400) 대신 상기 가이드 부재(200) 상부면(210)과 덮개부재(300) 하부면(320)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200) 상부면(210)에 구성된 결합부재(500)의 소정의 위치만큼 하부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200) 상부면(210)에 구성된 결합부재(500)는 상기 가이드 부재(200)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돌기부(240)를 통해 상하로 개폐가 되는 제1 결합부재(500a)과 제2 결합부재(50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500)의 소정의 위치만큼 하부로 수직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 내부에는 슬라이딩 결합돌기가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결합돌기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경로를 따라 이동된 슬라이딩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에 구성된 결합부재(500)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3단은 소정의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제2 시프트 고정부재(410b)의 타측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제2 시프트 고정부재(410b)의 일측단부에는 결합돌기(420)가 더 포함된다.
연질의 재질로 구성된 상기 결합돌기(420)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의 위치에는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구형상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제2 시프트 고정부재(410b)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결합돌기(420)는 시프트 부재(410)의 이동경로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에 구성된 결합부재(500)에 결합되도록한다.
상기 제1 결합부재(500a)와 제2 결합부재(500b)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530)을 포함한 결합부재(500)은 상기 결합부재(500)의 하측단부와 가이드 부재(200) 상부면(210) 사이에는 지지부재(25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50) 외경에는 제2 스프링부재(25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재부재(250)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가이드 부재(200)의 양측단부에 구성된 버튼부재(230)에 구성된 제1 돌기부(240)가 가이드 부재(200) 상부면에 구성된 결합부재(50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51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250)는 지지부재(250)외경에 형성된 제2 스프링 부재(251)를 따라 수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530)은 가이드 부재(200)의 양측단부 에 형성된 제1 돌기부(240a)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50)와 지지부재(250) 외경에는 단수의 제2 스프링부재(251)로 구성되지만 사용용도에 따라 복수개의 구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양측단부에는 버튼부재(230)가 구성되며, 상기 버튼부재(230)의 외주를 따라 작게 형성하되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 돌기부(240a)를 구성하되 상기 제1 돌기부(240a)내경에는 제1 스프링부재(241)가 구성된다.
상기 제1 돌기부(240a)의 끝단은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되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제1 돌기부(240a)의 외주를 따라 비스듬하게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돌기부(240a)의 외주를 따라 비스듬하게 작게 형성된 제2 돌기부(240b)는 결합부재(500) 양측단부에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관통홀(510)을 가압하게되면 상기 가압되어진 관통홀(510)을 포함한 결합부재(500)이 제1 결합부재(500a)와 제2 결합부재(500b)로 개폐(開閉)가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500)이 개폐(開閉)하기 위해서는 제1 결합부재(500a)의 하측단부와 제2 결합부재(500a)의 상측단부에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된 오목부(520)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때, 형성된 오목부(520)는 상기 제2 시프트 고정부재(410b)에 구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가압받게 된다.
그리고, 결합돌기(420)에 의해 가압된 오목부(520)는 결합돌기(42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천천히 개폐(開閉)가 된다.
상기 개폐(開閉)하기 위해 형성된 오목부(520)는 상기 결합돌기(420)의 구형상 보다 작게 형성된 곳에 다다른 순간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에 형성된 스프링 부재(25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500)과 결합된 결합돌기(420)가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가 구성된 덮개부재(300)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보호부재 200 : 가이드 부재
300 : 덮개부재 400 : 시프트부재
500 : 결합부재

Claims (8)

  1. 하부면(120)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외부충격이 흡수되어지도록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지는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하부면(220)은 상기 케이스 보호부(100)의 상부면(110)에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 보호부재(100)와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부면(210)은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지는 가이드 부재(200)와,
    하부면(320)은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과 대응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지는 덮개부재(300)로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을 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지는 시프트부재(400)가 더 포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에는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결합부재(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500)의 하측단부와 가이드 부재(200) 상부면(210) 사이에는 지지부재(25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50) 외경에는 제2 스프링부재(25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500)은 가이드 부재(200) 소정의 위치에 구성된 돌기부(240)를 통해 상하로 개폐(開閉)가 되는 제1 결합부재(500a)와 제2 결합부재(50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부재(400)는 가이드 부재(200)의 상부면(210)과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사이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제1 시프트 고정부재(410a)와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제2 시프트 고정부재(410b)가 구성되며, 상기 제2 시프트 구정부재(410b)일측단부에는 결합돌기(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고정부재(400)는
    일측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200)와 덮개부재(3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제2 단(412)이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제1 단(411)과,
    일측단부는 상기 제1 단(411)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제3 단(413)이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제2 단(412)과,
    일측단부는 상기 제2 단(412)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덮개부재(300)의 하부면(320)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는 제3 단(4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200)의 양측단부에는 버튼부재(230)가 구성되며, 상기 버튼부재(230)의 외주를 따라 작게 형성하되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50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관통홀(510)의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하는 돌기부(2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40)의 내경에는 제1 스프링부재(24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230)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돌기부(240)는 결합부재(420) 일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관통홀(510)을 향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되어진 관통홀(510)은 제1결합부재(500a)과 제2결합부재(500b)으로 개폐(開閉)가 되어 상기 결합부재(420)와 결합되어진 결합돌기(500)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160007377U 2015-12-18 2016-12-19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17000231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39 2015-12-18
KR20150008339 2015-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10U true KR20170002310U (ko) 2017-06-28

Family

ID=5924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377U KR20170002310U (ko) 2015-12-18 2016-12-19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310U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435A (ko) 2003-02-12 2004-08-18 에스케이 주식회사 벤젠디올로부터 고수율 및 고순도로시스-시클로헥산디올을 제조하는 방법
KR20090104946A (ko) * 2008-04-01 2009-10-07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KR101355772B1 (ko) * 2013-10-08 2014-02-03 김상민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2435Y1 (ko) * 2013-11-22 2014-04-28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슬라이드 커버를 갖는 카드 수납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KR20140071584A (ko) * 2012-12-03 2014-06-12 최정욱 휴대폰 케이스
JP2015106754A (ja) *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シェリー 携帯電話機用背面カバー
KR101568165B1 (ko) * 2014-06-16 2015-11-1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US20160088912A1 (en) * 2013-10-07 2016-03-3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435A (ko) 2003-02-12 2004-08-18 에스케이 주식회사 벤젠디올로부터 고수율 및 고순도로시스-시클로헥산디올을 제조하는 방법
KR20090104946A (ko) * 2008-04-01 2009-10-07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KR20140071584A (ko) * 2012-12-03 2014-06-12 최정욱 휴대폰 케이스
US20160088912A1 (en) * 2013-10-07 2016-03-3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KR101355772B1 (ko) * 2013-10-08 2014-02-03 김상민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2435Y1 (ko) * 2013-11-22 2014-04-28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슬라이드 커버를 갖는 카드 수납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JP2015106754A (ja) *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シェリー 携帯電話機用背面カバー
KR101568165B1 (ko) * 2014-06-16 2015-11-1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165B1 (ko)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7832606B2 (en) Belt clip for detachably fixing cellular phone
KR101757399B1 (ko) 카드 수납기능이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US8805461B2 (en) Protective device for mobile devices
KR101519978B1 (ko)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WO2017007028A1 (ja) カード収容型背面ケース
KR200472435Y1 (ko) 슬라이드 커버를 갖는 카드 수납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KR20200130901A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170002310U (ko) 카드 수납형 스마트폰 케이스
US20090045079A1 (en) Optical casing with skylight arrangement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8908Y1 (ko) 다기능 핸드폰 케이스
US11666135B2 (en) Smartphone holster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101825827B1 (ko) 슬라이드식 카드 인출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JP3205498U (ja) 携帯型情報端末用ケース
KR200478642Y1 (ko) 열쇠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US20190199387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KR20170003703U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63633B1 (ko)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2092455B1 (ko)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