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775U -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지혈 및 유착방지용 복합시트 - Google Patents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지혈 및 유착방지용 복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775U
KR20170001775U KR2020150007344U KR20150007344U KR20170001775U KR 20170001775 U KR20170001775 U KR 20170001775U KR 2020150007344 U KR2020150007344 U KR 2020150007344U KR 20150007344 U KR20150007344 U KR 20150007344U KR 20170001775 U KR20170001775 U KR 201700017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on
sheet
composite sheet
hemostasis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라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50007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775U/ko
Publication of KR20170001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5Implantable devices for insertion in between organs or other soft tissues
    • A61B2090/0816Implantable devices for insertion in between organs or other soft tissues for preventing adhe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수술 후 유착방지 및 지혈을 위해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복합시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는, 체내 장기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 시트; 및 상기 외측 시트에 접합되며 상기 체내 장기의 지혈을 위한 내측 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지혈 및 유착방지용 복합시트{COMPOSITE SHEET ATTACHED TO SURGICAL SITE FOR PREVENTION OF ADHESION AND HEMOSTASIS}
본 고안은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복합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술 후 체내 장기의 지혈 및 이상적인 유착방지를 위해 그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복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서 유착(adhesion: 癒着)은 다른 조직이나 장기(臟器)가 서로 들러붙는 것을 말한다.
특히 산부인과 수술 및 외과 수술에서 수술 이후 장기들 간의 유착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술 부위에 염증이 동반된 상태에서 수술이 행해진 경우, 자궁내막증과 같이 질병의 특성상 유착이 많이 형성된 경우, 여러 번의 수술이 행해진 경우 등에서 유착 발생 가능성이 가능성이 높으나 기본적으로 모든 수술에서 유착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유착 발생 시 여러 가지 위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장 운동 감소, 만성 통증, 난관이나 복막 유착에 따른 불임, 추후 수술 시의 장기 손상 등을 들 수 있다.
수술 후 장기들 간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타입의 유착방지제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직물(textile) 타입의 유착방지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film) 타입의 유착방지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젤(gel) 타입의 유착방지제를 주입하는 주입기가 도시되어 있다.
직물 및 필름 타입의 유착방지제들은 대상 장기 위에 그냥 덮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젤 타입의 유착방지제는 주입기를 사용하여 대상 장기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유착방지제는 통상적으로 2 내지 4주 가량은 대상 장기 상의 적용 위치에 그대로 유지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젤 타입의 유착방지제는 그 요구 기간이 경과하기도 전에 씻겨져 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직물 및 필름 타입의 유착방지제도 그 요구 기간이 경과하기도 전에 제 자리를 벗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되고 있다. 유착방지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유착 방지 효과가 감소되는 주 원인이 여기에 있다.
필름 형태의 유착방지제나 젤 타입의 유착방지제는 개복 수술에는 적용될 수 있지만 복강경 수술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필름 형태의 유착방지제는 과도한 형태 변형 시 찢겨지거나 부서지는 등의 손상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복강경 수술에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며, 젤 타입의 유착방지제도 주입기를 통해 주입되는 특성 상 복강경 수술에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
한편, 유착방지제가 적용되는 곳은 대부분 수술 부위이므로 유착방지와 더불어 지혈이 함께 필요한 곳이다. 지혈은 그 자체로 중요한 사항이기도 하지만 유착방지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즉, 수술 부위의 출혈은 유착의 근원이 되는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수술 부위에 대한 완전한 지혈 없이 유착방지제를 그 위에 적용하게 되면, 유착방지 효과가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오히려 유착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리하여 유착방지제를 적용하기에 앞서 수술 부위에 대한 지혈 시술이 별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혈 시술의 예는 지혈이 필요한 곳을 전기 소작하거나 그 곳에 지혈제를 적용하는 것이다. 지혈제로 시판 중인 제품에는 젤 타입, 무른 천 타입, 두꺼운 스티로폼 타입 등이 있다.
그런데 유착방지제의 적용에 앞서 지혈 시술을 별도로 진행하는 것은 마무리 수술 작업이 번거롭고 그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수술 부위에 유착방지제와 더불어 전술한 타입들의 지혈제를 함께 적용할 경우, 유착방지제와 지혈제 중 어느 만이 적용된 경우에 비하여 유착방지제와 지혈제의 위치 고정성이 약화될 수 있다.
특히, 양자의 동시 적용 시 유착방지제는 지혈제 위에 배치되어지는 특성 상 그 위치 고정성이 약화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밖에 없는데, 유착방지제는 비교적 장기간(2 내지 4 주 가량)의 적용 기간이 요구되는 바 그것의 위치 고정성의 약화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사항이다.
일본특허공개문헌 제2011-507665호 (2011.03.10.) 한국특허공개문헌 제2004-0025926호 (2004.03.26.)
이에 본 고안은 수술 이후에 장기의 유착방지 및 지혈을 위한 후속 작업들이 보다 간편해지면서도 위치 고정성이 증대될 수 있는 복합시트는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술 후 유착방지 및 지혈을 위해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복합시트로서, 체내 장기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 시트; 및 상기 외측 시트에 접합되며 상기 체내 장기의 지혈을 위한 내측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복합시트가 상기 체내 장기에 접착 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시트에는 하나 이상의 접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는 각각 직물(textile) 형태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는 각각 필름(film)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시트는 한 종류 이상의 유착방지성 물질로 제조되거나, 한 종류 이상의 유착방지성 물질과 기재(base material)를 형성하는 다른 물질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시트는 한 종류 이상의 지혈성 물질로 제조되거나, 한 종류 이상의 지혈성 물질과 기재(base material)를 형성하는 다른 물질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시트에 의하면, 유착방지 기능과 함께 지혈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므로 지혈 작업과 유착방지 작업을 별개의 과정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시트에 의하면, 내측 시트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접착부가 마련됨으로써 적용 부위에 대한 복합시트의 위치 고정성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복합시트에 의하면, 직물 형태의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의 접합에 의해 제조되므로 전체적으로 직물 타입의 시트 형태가 됨으로써 형태 변형에 있어서 그 제약성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체내로의 투입부가 넓은 개복 수술은 물론 체내로의 투입구가 좁은 복강경 수술에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물(textile) 타입의 유착방지제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film) 타입의 유착방지제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젤(gel) 타입의 유착방지제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입기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합시트의 내측 및 외측 시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8은 도 4에 도시된 복합시트의 변형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합시트의 내측 및 외측 시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10)는 산부인과 수술이나 외과 수술 등의 수술 마무리 단계에 대상 장기(臟器)의 유착(adhesion: 癒着)을 방지하고 그 장기의 수술 부위를 지혈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10)는 대상 장기의 유착방지 및 지혈을 위한 수술 보조 기구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10)는 대상 장기의 유착 방지를 위한 외측 시트(20)와, 대상 장기의 지혈을 위한 내측 시트(30)를 포함한다.
사용 시에, 내측 시트(30)는 대상 장기의 수술 부위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그 수술 부위에 대한 지혈을 수행하게 되며, 외측 시트(20)는 그 내측 시트(30) 상에서 복합 시트(10)의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대상 장기가 체내의 다른 장기들과 유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시에 외측 시트(20)와 내측 시트(30)가 상호 접합됨으로써 하나의 복합시트(10)가 구성된다. 예로써 외측 시트(20)와 내측 시트(30) 간의 접합은 접착제를 통한 접착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접착제로는 인체에 무해한 생체적합성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시트(20)와 내측 시트(30)는 각각 직물(textile)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직물 형태의 외측 및 내측 시트(20, 30)의 접합에 의해 복합시트(10)가 제조된 경우 그 복합시트(10) 역시 직물 형태를 갖게 된다. 이처럼 직물 형태로 제조된 경우 복합시트(10)는 형태 변형에 큰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개복 수술 뿐만 아니라 복강경 수술에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강경 수술 시에 직물 형태의 복합시트(10)는 접거나 말아서 작은 크기의 절개 구멍 안으로 투입될 수 있으며, 이때 직물 형태의 복합시트(10)는 작게 접혀지거나 말려지는 형태 변형이 따르더라도 그 과정에서 찢겨지거나 부서지는 등의 손상이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복합시트(10)는 개복 수술 뿐만 아니라 복강경 수술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측 시트(20)와 내측 시트(30)는 각각 필름(film)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측 시트(20)와 내측 시트(30)의 접합에 의해 제조된 복합시트(10) 역시 필름 형태를 갖게 된다. 전술한 직물 형태의 복합시트(10)가 개복 수술은 물론 복강경 수술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것과 달리, 필름 형태로 제조되는 복합시트(10)는 개복 수술에는 사용 가능하지만 복강경 수술에는 사용되기 어렵다. 복합시트(10)가 필름 형태로 제조된 경우 그러한 복합시트(10)를 작게 접거나 마는 과정에서 복합시트(10)에 찢겨지거나 부서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착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외측 시트(20)는 한 종류 이상의 유착방지성 물질로 제조되거나, 한 종류 이상의 유착방지성 물질과 기재(base material)를 형성하는 다른 물질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유착방지성 물질로는 기 공지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과 하이드록시에틸스타치(Hydroxyethylstarch)의 조합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지혈 기능을 수행하는 내측 시트(30)는 한 종류 이상의 지혈성 물질로 제조되거나, 한 종류 이상의 지혈성 물질과 기재를 형성하는 다른 물질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지혈성 물질로는 기 공지된 트롬빈(thrombin)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시트(30)의 외측면(31) 즉 대상 장기에 접촉하는 면(31)에는 하나 이상의 접착부(4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내측 시트(30)의 외측면(31)에는 6개의 접착부(40)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접착부(40)의 개수는 4개, 8개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내측 시트(30)의 각 접착부(40)는 복합시트(10) 제조 시에 공급된 생체적합성 접착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처럼 내측 시트(30)의 외측면(31)에 하나 이상의 접착부(40)가 마련됨으로써, 복합시트(10)는 대상 장기의 적용 부위에 접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사)가 의도한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제 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복합시트(10)가 제공하는 이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10)에 의하면 유착방지 기능과 함께 지혈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므로 지혈 시술과 유착방지 시술이 이중으로 수행될 필요가 없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술 부위에 전기 인두로 지지거나 그 곳에 지혈제를 적용한 이후에 직물 또는 필름 타입의 유착방지제로 그 곳을 덮는 방식으로 수술 이후의 후처리가 진행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러한 통상적인 과정에 의하면, 지혈 시술과 유착방지 시술이 분리되어 진행됨으로써 수술 이후의 후처리가 번거롭고도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복합시트(10)는 유착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외측 시트(20)와 지혈 기능을 제공하는 내측 시트(3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복합시트(10)의 1회적 사용에 의해 지혈 시술과 유착방지 시술이 통합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술 이후의 후처리 작업이 보다 간편해지고 그 소요 시간도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둘째,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10)에 의하면 내측 시트(30)의 외측면(31)에 하나 이상의 접착부(40)가 마련됨으로써 적용 부위에 대한 복합시트(10)의 위치 고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직물 및 필름 타입의 유착방지제는 단순히 적용 대상 부위에 단순히 덮여지는 방식으로 사용되다 보니 필요한 기간(예로써, 2주 내지 4주 가량) 동안 제 자리에 유지되지 못하고 유동에 의해 제 자리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젤 타입의 유착방지제도 역시 그러한 필요 기간을 채우기 전에 씻겨져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복합시트(10)는 내측 시트(30)에 하나 이상의 접착부(40)가 마련됨으로써 자체적인 생분해가 진행될 때까지는 적용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유착방지제들과 달리 본 실시예의 복합시트(10)는 유착방지에 요구되는 기간(2주 내지 4주 가량) 동안 적용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지혈 작용 및 유착방지 작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유착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외측 시트(20)의 위치 고정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적용 대상 부위에 젤, 무른 천 또는 폼 타입의 지혈제를 적용한 다음 직물 또는 필름 타입의 유착방지제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지혈제가 이물질로 작용함으로써 그 위에 적용되는 유착방지제의 위치 고정성이 특히 약화되기 쉽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복합시트(10)의 경우, 외측 시트(20)와 내측 시트(30)가 상호 접합되어 있고 내측 시트(30)에 마련된 접착부(40)에 의해 복합시트(10)가 적용 대상 부위에 접착되므로, 적용 대상 부위에 직접 접촉하는 내측 시트(30)는 물론 그에 접합된 외측 시트(20)도 제 자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셋째, 본 실시예의 복합시트(10)는 직물 형태의 외측 시트(20)와 내측 시트의 접합에 의해 제조되므로 전체적으로 직물 타입의 시트 형태가 됨으로써 형태 변형에 있어서 그 제약성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체내로의 투입부가 넓은 개복 수술은 물론 체내로의 투입구가 좁은 복강경 수술에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복합시트(10)는 그것이 적용되는 장기의 종류 및 부위에 적응적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6 내지 8에는 그에 대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복합시트(10A)는 자궁의 앞뒷면과 직장을 커버하기에 적합한 모양을 갖는다.
이러한 복합시트(10A)는 자궁 앞면 하부와 방광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부분(11a), 자궁 앞면을 커버하는 제2 부분(11b), 자궁 뒷면을 커버하는 제3 부분(11b) 및 직장을 커버하는 제4 부분(11d)을 포함한다. 복합시트(10A)에는 대상 장기와의 부착을 위해 앞서 설명한 접착부들(40)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부분(11a, 11b)에 의해 자궁 앞면이 방광에 유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제3 및 제4 부분(11c, 11d)에 의해 더글라스 와(Cul-de-sac) 영역에서 자궁 뒷면이 직장에 유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복합시트(10B)는 자궁의 뒷면과 함께 그 좌우측의 난소 및 난관을 함께 커버하기에 적합한 모양을 갖는다.
이러한 복합시트(11B)는 자궁의 뒷면을 커버하는 제1 부분(12a), 좌측의 난소 및 난관을 커버하는 제2 부분(12b) 및 우측의 난소 및 난관을 커버하는 제3 부분(12c)을 포함한다. 복합시트(11B)에는 대상 장기와의 부착을 위해 앞서 설명한 접착부들(40)이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복합시트(10C)는 제왕절개 수술에 적합한 모양을 갖는다.
이러한 복합시트(10C)는 제왕절개 수술 시 자궁에 형성된 세로 방향의 절개선 및 가로 방향의 절개선을 각각 커버하는 제1 부분(13a) 및 제2 부분(13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8의 복합시트(10C)는 대략 T자 형태를 갖는다. 복합시트(10C) 역시 자궁에의 부착을 위해 앞서 설명한 접착부들(40)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A, 10B, 10C : 복합시트
20 : 외측 시트
30 : 내측 시트
40 : 접착부

Claims (6)

  1. 수술 후 유착방지 및 지혈을 위해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복합시트로서,
    체내 장기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 시트; 및
    상기 외측 시트에 접합되며 상기 체내 장기의 지혈을 위한 내측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가 상기 체내 장기에 접착 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시트에는 하나 이상의 접착부가 마련된,
    복합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는 각각 직물(textile) 형태로 제조되는,
    복합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는 각각 필름(film) 형태로 제조되는,
    복합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는 한 종류 이상의 유착방지성 물질로 제조되거나, 한 종류 이상의 유착방지성 물질과 기재(base material)를 형성하는 다른 물질의 혼합물로 제조되는,
    복합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시트는 한 종류 이상의 지혈성 물질로 제조되거나, 한 종류 이상의 지혈성 물질과 기재(base material)를 형성하는 다른 물질의 혼합물로 제조되는,
    복합시트.
KR2020150007344U 2015-11-12 2015-11-12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지혈 및 유착방지용 복합시트 KR201700017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344U KR20170001775U (ko) 2015-11-12 2015-11-12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지혈 및 유착방지용 복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344U KR20170001775U (ko) 2015-11-12 2015-11-12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지혈 및 유착방지용 복합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75U true KR20170001775U (ko) 2017-05-23

Family

ID=5902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344U KR20170001775U (ko) 2015-11-12 2015-11-12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지혈 및 유착방지용 복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77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926A (ko) 2001-06-15 2004-03-26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유착 방지재
JP2011507665A (ja) 2007-12-31 2011-03-10 アクラレ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膜組織包帯剤及び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926A (ko) 2001-06-15 2004-03-26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유착 방지재
JP2011507665A (ja) 2007-12-31 2011-03-10 アクラレ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膜組織包帯剤及び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1693A (en) Surgical hemostatic clip
US8361110B2 (en) Heart-shaped PFO closure device
US9668853B2 (en)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of organs
JP4243189B2 (ja) 前方経路ヘルニアの修復のための、完全で普遍的なインプラント
US11247630B2 (en) Side airbag apparatus
JP5363261B2 (ja) 医療機器用カバー
US20090076510A1 (en) Surgical Staple Line Reinforcements
ES2716078T3 (es) Estructura para unión de miembros
JP2009523044A (ja) 外科結紮クリップ
BRPI0715100A2 (pt) stent
JP2020505210A5 (ko)
KR20120076368A (ko)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
JP2021167190A (ja) 双方向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ラッパー及び関連する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並びに方法
US201403790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bleeding arising from left atrial appendage
US11479012B2 (en) Elastic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astic layer material
KR20170001775U (ko) 수술 후 체내 장기에 부착되는 지혈 및 유착방지용 복합시트
JP2008296690A (ja) 内装パネルアッセンブリ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8206576A (ja) 輸液バッグ用ポート部材、及び輸液バッグ
JP2009006995A (ja) エアバッグ包装体
JP5047548B2 (ja) 着用物品の止着構造
US20140375030A1 (en) Closing Device for a Housing for an Airbag
Rashid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ree-dimensional mesh (3D mesh) and polypropylene mesh in laparoscopic inguinal hernia repairs in adults
JP2010131296A (ja) 止血器具
JP6616924B2 (ja) 涙道チューブ
US20180271386A1 (en) Soft gripper and blood pressure measuring cuff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